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의 대기오염 장기변화와 '98년 봄철 에어로졸 사례 분석

        조영순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은 인구, 자동차, 산업시설 등이 밀집한 세계적인 규모의 대도시로서 자체 오염원이 많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에서 배출되고 있는 에어로졸에 함유된 화학성분도 매우 다양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배출된 오염물질은 직·간접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서울의 대기오염이 어떻게 변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관측되는 자연발생적인 봄철의 황사발생은 중국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장거리 수송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잘 나타내 주는 것으로서 먼지와 함께 각종 유해물질이 수송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기상학적인 측면에서 오염물질이 장거리 수송됨을 연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대기오염과 이와 관련되는 시정의 장기적 변화경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9년부터 1998년까지 환경부의 자료를 이용하여 장기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TSP, SO_2, CO는 최근으로 올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NO_2의 경우는 과거나 현재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O_3의 경우는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기오염을 가시적으로 나타내 주는 시정을 동일기간 동안 기상청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장기변화를 고찰하였고 이를 스모그현상의 지속시간과 함께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시정은 '93년까지는 낮은 값을 보이다가 최근으로 올수록 점차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모그 지속시간은 전반('89∼'93년)에 길다가 후반('94∼98년)에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스모그 지속시간과 시정이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울의 봄철 에어로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사현상이 심하였던 1998년의 기상청/ 기상연구소의 에어로졸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주간별 등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 중 에어로졸 수 농도의 시간별 변화는 8시경에 최대 값을 나타내었고 16시경에 최소 값을 보였으며, 주간변화에 있어서는 수요일과 금요일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강수전과 강수후의 먼지개수의 변화는 강수 전보다 강수 후에 아주 작은 입자를 제외한 0.50∼25 μm 의 경우 25.8 %의 세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황사 시에는 먼지입자의 수량이 최고 219 % 증가하였는데 2.23∼6.06 μm 범위의 입자가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황사의 이동경로와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알아본 결과 황사는 3,000 m이상 고도의 풍향풍속에 따라 이동하는데 기상장의 영향을 받아 우리 나라 부근의 기압배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Seoul is a worldwide metropolis where many people, cars and industry institutions are grouped densely and has various chemical constitution contained in the aerosol from the pollution source as well as much pollution source in itself. Pollution material affects human bodies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refore, it is very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variation of air pollution of Seoul in the long term. Besides, the natural occurrence of yellow sand in Spring shows visually long way translation of aerosol from China and many poisonous materials can be translated with dust and therefore, the study of aerosol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the investigation of long way translation of pollution material is essential in meteorology.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long term variation of air pollution of Seoul and relevant visibility, long term tendency was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1989 to 1998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SP, SO_2 and CO have reduced every year, NO_2 has not changed much, and O_3 has increased every year. The long term variation of visibility which can represent air pollution of a certain area visibly was also investigated using the data during the same perio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compared to the smog duration time. The result shows that the visibility was low until '93 and got better after that time until recently. And the smog duration time is the long in the former period('89-'93) and has shortened in latter period('94-'98).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smog phenomenon and the visibility affect directly each oth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erosol of Seoul in Spring, the characteristics per day and week of observed data in spring 1998 when the yellow sand was appeared severely was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density of aerosol number per day is maximum at 08:00 and minimum at 16:00 and weekly variation shows maximum at Wednesday and Friday. The change of dust number before the rainfall and after rainfall was analyzed and the result shows that after rainfall, the dust of 0.50∼25 ㎛ except very tiny particles have been washed out to the amount of 25.8%. Finally, the moving path and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sand were investigated two example analyses show that the yellow sand drifts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wind whose latitude is about 3,000m above sea level and it appea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field. It is affected from the arrangement of atmospheric pressure in the vicinity of Korea also.

      •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력 함양에 관한 반성적 실천 연구

        조영순 慶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생들이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스스로 공부하지 않는 모습을 보면서 연구자는 아이들이 학습을 자신의 일로 여겨 학습에 관심을 가지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계획,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어떻게 길러나가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학습 주제를 어떻게 선정하는지를 이해한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어떠한 학습방법을 활용하여 학습하는지를 이해한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의 성취결과를 어떻게 발표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모둠 토의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흥미와 수준을 알게 되었고 이에 적합한 학습 주제를 선정할 줄 알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이 가장 접근하기 쉽고, 공부할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공부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자기가 정한 공부 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스스로 공부하게 되었다. 셋째, 학생들은 자기 수준에서 최선을 다해 발표물을 만들어 발표하고 학습 결과와 과정을 비교를 통해 객관적으로 반성할 줄 알게 되었다. As students are neither interested in their studies nor motivated to study on their own, it's planned in this study to map out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to let them view learning as one of their primary tasks and help them enjoy studying. The purpose of this reseach was to examine how students could develop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It's specifically attempted to find out how students selected learning themes in light of their interest and level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what type of learning method was utilized by them by being exposed to project learning, and how they presented and evaluated their learning output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vestigated became aware of their interested field and level in the course of being engaged in group discussion, and they learned to select learning themes suitable for them. Second, they took advantage of learning methods that were most accessible and facilitated their studies. And they studied on their own by harnessing their selected learning methods. Third, they did their utmost to give a presentation of what they learned, and they looked back on themselves by comparing mutual learning process and output.

      • 의료기관 정맥주사간호사의 업무수행도, 조직지원인식 및 개인대처자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영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의료기관 정맥주사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수행도, 조직지원인식, 개인대처자원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을 비롯해 충청, 경상, 전라지역의 19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정맥주사간호사로,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1월 20일부터 2018년 3월 10일까지 하였고, 155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업무수행도는 박정화(2014)의 연구에서 조사된 정맥주사 간호업무와 의료기관의 직무기술서 등을 바탕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통해 업무수행도 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였고, 조직지원인식은 Eisenberger 등(1986)이 개발하고 김영임(2016)이 번안하여 사용한 9문항을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개인대처자원은 이동수(1999)의 직무스트레스 검사 중 개인적 자원(personal resources)을 김영임(2016)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25문항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은 Stamps 등(1978)이 개발하고 한형숙(2008)이 30문항으로 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version 23.0)을 이용하여 요인 및 신뢰도 분석,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와 One-way ANOVA, Scheffe 및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8.7세(±8.01)이고, 지역별로 서울이 76.1%로 많았고, 중부권이 12.9%, 남부권이 11.0%였다. 근무기관의 형태는 상급종합병원이 78.7%, 종합병원이 21.3%였으며, 임상경력은 평균 14.6년(±7.81)이었고, 정규직이 95.5%로 대부분이었다. 근무형태는 3교대가 51.0%로 많았고, 2교대가 29.0%, 통상근무가 20.0%로 나타났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0.3%로 많았으며, 팀 구성인원은 10명 이하가 39.4%, 31명 이상이 29.7%로 많았다. 배치방법은 비정규 로테이션이 44.5%, 정기로테이션이 20.6%였다. 업무수행도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60점(±0.63)으로 정맥주사나 채혈, 혈액배양검사 등의 직접간호실무 영역에서는 높은 업무수행도를 보였지만 업무관련 연수나 교육 등의 활동과 업무협력 등에서는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업무수행도는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높았고, 팀 구성인원에 따라 직접간호실무와 교육 및 행정의 업무수행도가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에 비해 기타지역에서 교육 및 행정영역의 업무수행도가 높았고, 정기로테이션이 다른 배치방법에 비해 업무수행도가 높았다. 조직지원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2.83점(±0.49)으로 직업적 최선에도 병원은 인식하지 못할 거라는 항목 등에서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통상근무가 교대근무에 비해 조직지원인식이 높았고, 직위가 높을수록 조직지원인식이 높았다. 개인대처자원은 5점 만점에 평균 3.53점(±0.46)으로 내 주변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의논할 사람이 있다와 같은 사회적 지지와 합리적/인지적 대처의 수준은 높았으나 개인여가 및 자기관리 영역에서는 대처수준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정기로테이션이 다른 배치방법에 비해 사회적 지지와 합리적/인지적 영역의 개인대처자원이 높았다. 직무만족의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3.01점(±0.47)으로 동료와의 상호작용이나 전문가적 위치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보수와 직무, 자율성 영역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지역별 직무만족의 비교에서는 서울에 비해 기타지역에서 전문적 위치와 직무영역의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직무만족은 연령이 높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주요변수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업무수행도와는 약한 상관관계를, 조직지원인식과 개인대처자원은 중간 이상의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직무만족에는 조직지원인식과 개인대처자원이 주요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지역변수도 영향요인이었다. 이에 정맥주사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령, 직위, 지역, 조직지원인식과 개인대처자원의 접근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영화를 활용한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 연구

        조영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dvocates implementation of a more communicative emphasis in secondary schools. Recently, many teachers have conducted their lessons using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such as movies in the form of videos and DVDs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s. Both short film clips and full length movies can be used in classes to motivate EFL students and enhance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eaching through using movies will affect students' motivation, aural and oral performance. For these purpos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80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 vocational high school. The experiment lasted for 10 weeks. The animation 'Shrek' was chosen as the teaching material. 40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divided into 10 small groups of 4 students. The lesson plans follow ten short sequenced film clips. They include key vocabularies, useful expressions and various activities. The main activities are divided into three activities: pre-viewing, in-viewing and post-viewing. To evaluate th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oral production tests were given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movies as teaching materials in the class. In addition,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in general, film-based instruction and small group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watching with English movies in classes help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enhance motivation and made their learning more meaningful. Second, students showed a marked improvement in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after using English movies in the English classroom. Third, the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English class helped to build students stronger self-confidence when using English movies. This study conclud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ovies in the EFL classroom increases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s well as their affective aspects.

      • 노년기 부부의 이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남·여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영순 백석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고령 사회 진입을 십 여 년 앞둔 시점에, 현재와 같이 인구의 고령화가 지속된다면, 노년기 부부의 노인 이혼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의 이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고,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들의 개관을 하였고,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유배우 노인 281명이었고, 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 테스트, 일원변량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의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에서 종속변인으로 이혼의도를, 통제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결혼배경 요인, 자녀지지 요인, 부부갈등 요인, 양성평등의식 요인을 설정하여 노인이혼에 미치는 영향요인인지 파악하고, 전체 노인, 남성 노인, 여성 노인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노년기 부부의 이혼의도와 독립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논의 및 함의를 도출하였고,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부부의 이혼 및 이혼시도를 예방하는 사회복지적 접근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언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은 전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월평균 소득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2012년 고령자 통계). 본 연구의 조사대상의 80% 이상이 65세 이상 노인이었기 때문에 사회지표보다 상대적으로 노인의 빈곤이 잘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주요 결과이다. 전체 노인의 이혼의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은 성, 학력, 결혼 연령, 결혼 당시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 결혼 당시 배우자 가족에 대한 만족도, 자녀지지 요인, 부부갈등 요인, 양성평등의식 요인 등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혼 종류에서 초혼보다 재혼의 경우에 이혼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 이혼이 증가할수록 노인의 재혼도 계속 증가할 수 있다. 노인의 이혼의 급격한 증가는 노인-자녀세대 간의 문제, 가족원 구성의 변화, 이혼노인과 재혼노인의 부양문제, 이혼 및 재혼에 따르는 재산이동문제 등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유추되므로 앞으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여성 노인은 자녀지지와 결혼 당시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자녀지지가 높을수록 결혼 당시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도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 노인의 경우, 자녀지지와 결혼 당시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남성 노인은 부부갈등과 자녀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었다. 즉, 부부갈등이 낮을수록 자녀지지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 노인은 부부갈등과 자녀지지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여성 노인의 경우 부부갈등은 결혼 당시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여성 노인은 부부갈등이 낮을수록 결혼 당시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노인의 경우 이혼의도와 양성평등의식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성 노인에게 이혼의도와 양성평등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노년기 부부의 이혼의도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영향요인 분석을 한 결과, 성과 연령은 노년기 부부의 이혼의도에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이혼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적을수록 이혼의도가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배경 요인에서 남성 노인의 경우, 결혼 연령과 결혼 지속 연수, 배우자의 결혼 종류가 노인 이혼의도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자녀지지 요인에서 남성 노인은 자녀지지가 낮을수록 이혼의도가 높았고, 여성 노인은 자녀지지 요인이 이혼의도에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남녀 노인 간에 차이로 나타났다. 여성 노인이 자녀에 대해 의존적이지 않은 이유는 결혼 당시의 배우자 및 배우자 가족에 대한 만족도와 연관성이 있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전문가가 개입할 때,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에 대한 차별화된 실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부부갈등 요인은 전체 노인, 남성, 여성 노인 모두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남성, 여성노인 모두에게 다른 변인보다 크게 유의미 하였다. 의사소통 영역에서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에 비해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나 성 및 애정 영역에서 남녀 노인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전문가가 개입할 때,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에 대한 차별화된 개입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양성평등의식 요인은 전체 조사 대상 노인, 남성 노인, 여성 노인

      • 질병으로 고통(苦痛)받는 생명에 대한 치유적 회화 표현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조영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질고(疾苦)로 고통 받는 생명체에 대한 연민과 인간의 이기심으로 파생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내용으로 한 본인 작품의 주제와 형식을 분석한 것이다. 본인 작품에 내재한 주제 의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동서양의 생명 사상에 근거를 두고 고찰하였다. 본인 작품의 주제는 질병으로 고통 받은 생명들이며, 아픔을 내적인 힘의 의지로 치유하고, 다시 생성하며 계속 순환하는 생명들의 표현이다. 이런 의미를 담은 소재는 환경오염과 자연의 외적 요인으로 질병에 걸린 동·식물이다. 따라서 본인 작품 주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환경오염, 질병 원인과 치유 작동, 생명의 순환의 내용을 생성론적 철학을 근거하여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동양철학은 노·장자의 변화하고 순환하는 생명(生命)사상을 도(道)로 규명하였고, 황제내경에 담긴 노·장자의 질병사상은 기(氣)로 인한 질병과 치료방법을, 천진무구(天眞無垢), 무지(無知), 무욕(無慾)하는 무위자연의 수양은 질병 치유(治癒)가 가능함을 생성철학으로 규명하였다. 서양철학의 베르그송은 생명(生命)을 변화하는 지속의 특성으로 보았고, 내적의지인 ‘자유의지’는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힘이며, 습관기억과 이미지 기억의 파괴는 질병의 발생이 원인이며, 또한 내적의지로 치유 될 수 있음을 생성철학으로 입증하였다. 그리고 생명(生命)의 정상성의 문제를 개체의 ‘규범성’ 가치(價値)로 증명하고, 질병도 생명처럼 변화하며 순환한다는 의학관을 깡길렘의 생성 철학으로 규명하였다.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미를 미학적 토대로 고찰해봄으로서 인위적인 인간의 이성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무한자유’의 정신적 사유와 환경오염에 대한 비판, 동물들과 상생을 본인 작품의 미학적 심미 방식으로 적용하여 시각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주제적 특징인 ‘환경오염과 생명’에서는 환경오염 원인과 동물들의 질병에 걸린 이유를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노장자의 일원론적 사상으로 인간중심주의 사상 비판과 환경 위기의 인식과 생명의 소중함을 밝힐 수 있었다. ‘자연을 통한 치유’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자연환경으로 질병에 걸리지만 자연(自然)은 그 자체로 치유 기능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순수한 자연 본성인 동·식물과의 교감으로부터 받은 본인의 예술적 행위는 내면의 정화 과정으로 치유가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생명의 순환성’에서는 생명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지속되며 순환하는 질서 속에 있다고 보고, 그 순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병든 나무들을 노·장자의 ‘도와 순환’철학 관점과 베르그송의 ‘지속’ 철학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인작업 과정에서 동·식물로 감응된 심리적 자아와 본인의 트라우마 감정이 표출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심리적 표출은 무위자연의 ‘무한자유’의 정신이며 이 정신은 질병의 극복의지와 심리적 안정을 찾는 치유의 효과도 얻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형식적 분석의 특징에서 초기 작품은 자연의 형태를 구상적 형상으로 그렸다면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비구상 형상으로 그렸다. 이는 질병에 걸린 생명의 강한 내적의지를 시간의 흐름으로 변화된 형태임을 밝혔다. 작품에 그려진 원(圓) 형태의 의미는 생성하는 자연과 내재적 생명 운동력에 대한 순환하는 생명의 상징적 기호다. 큰 원형은 우주 거대한 공간을 작은 원형은 생명의 내적 의지 표현이다. 화면속의 수많은 원형은 혼돈의 모습처럼 보이지만 만물의 탄생, 성장. 소멸하는 생성하는 질서를 갖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동양화 안료인 분채를 중첩함은 색을 올리는 반복적 행위로서 오는 심리적 치유 효과와 동·식물에 대한 집중과 깊이감의 표현이였다. 그리고 반복에서 오는 중첩은 변화와 지속하며 순환하는 의미가 담겨있음을 확인하였다. 곤충이 날아다니며 보는 시점과 개미가 보는 시점을 상상하여 구성한 화면은 생명내적 의지 표현이다. 이와 같은 조감법(鳥瞰法)의 사용은 조형원리 요소인 운동성의 표현으로 생명의 상승하는 흐름이며 활기찬 생명의 움직임으로 생동감을 주는 표현이다. 이러한 다양한 각도의 시점은 거대한 규모의 생명세계를 하나의 화면에 담아낼 수 있는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질병으로 고통 받은 생명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역동적인 힘과, 그 생명에 내재된 순환성과 지속적인 속성을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밝힐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노·장자의 도가 사상과 베르그송과 깡길렘의 생성이론을 도출하여 근거로 삼았다. 그리고 인간이 겪는 환경오염의 문제성과 이를 다시 회복하려는 인간의 노력, 질병에 걸린 동·식물도 같이 상생하고 살아가야함을 일원론적 관점으로 알아 볼 수 있었다. 철학적 사유와 전통적 재료 기법은 새로운 기법과 창작으로 연결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었고, 본인의 작업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작업에 대한 세계를 넓혀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A Healing Pictorial Expression of life Suffering from Disease -Focused on my works- This paper analyzes the theme and form of my artworks, which focus on compassion for creatures suffering from diseases(疾苦) and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human selfishness. In order to explain the thematic awareness inherent in my work, I examined it based on the ‘thoughts of life’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theme of my work is creatures sufferring from disease, and it is the expression of life that heals pain with the will of inner power, regenerates, and continues to circulate. Materials containing this meaning are animals and plants that have suffered from diseas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ternal factors of nature. Therefore, in order to interpret the theme of my work, this paper used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auses and healing mechanisms of diseases, and the cycle of lif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generative philosophy. In Eastern philosophy, Lao and Zhuangzi identified the 'thought of life(生命)' which is changing and cyclical, as Tao(道) The disease thoughts of Lao and Zhuangzi contained in the Huangdi Neijing(黃帝內經) include diseases caused by energy(氣) and treatment methods, Through Generative Philosophy, it was identified that the cultivation of ‘Wu Wei Zi Ran’, characterized by innocence (天眞無垢), ignorance (無知), and desirelessness (無慾), is capable of curing diseases. In Western philosophy, Bergson viewed life(生命) as a characteristic of changing continuity. 'Free will', which is the inner will, is the power to live continuously, and the destruction of habit memory and image memory is caused by the occurrence of disease. In addtion, it has been proven through Generative philosophy that these diseases can be healed through internal will. And the issue of the normality of life(生命) was proven as the 'normative' value of the entity, and the medical view that diseases change and circulate like life was identified through Canguilhem's Generative philosophy of creation. By examining the Beauty of ’Wu Wei Zi Ran‘(無爲自然) as an aesthetic foundation, and the mental boundary of 'infinite freedom' that must return artificial human reason to nature, Criticism of environmental pollution, I visualized coexistence with animals by applying it as an aesthetic method in my work.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ife,’ which is the thematic feature of this paper, we will look into the caus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reasons why animals develop diseases. And with Lao Zhuang's monistic ideas, we will criticize anthropocentric ideas, recogniz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reveal the preciousness of life. In ‘Healing through Nature’, it is revealed that nature(自然) itself has a healing function even though it gets disease due to unpredictable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I considered that my artistic actions received from communication with animals and plants, which are pure natural nature, were healed through an inner purification process. In the 'circularity of life,' life is seen as existing within an order that constantly changes, continues, and circulates. The diseased trees that arise in this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Laozi and Zhuangzi's philosophy of 'Tao and Circulation' and Bergson's philosophy of 'Continuity. As a result, I learned that my psychological ego and my traumatic emotions, which were affected by animals and plants, were expressed during my work. It was found that such a psychological expression is the spirit of 'infinite freedom' of ‘Wu Wei Zi Ran(無爲自然)’, and this spirit also has the effect of healing to overcome disease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terms of formal analysis, early works depicted natural forms as figurative shapes, while later works depicted them as non-figurative shapes. This revealed that the strong inner will of creatures afflicted by disease is a form that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meaning of the circular(圓) form used in the artwork is a symbolic sign of life, representing 'nature that creates' and 'inner life force’ The large circle represents the vast cosmic space, and the small circle the expression of inner will life. The numerous circles in the artwork may appear as a form of chaos, but explain that all things have a generative order in which all things are born, grow, and perish. Layering the mineral pigments used in East Asian painting is a repetitive act of adding color, which brings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and expresses focus and depth in relation to plants and anima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ayering from repetition contains the meaning of change, continuance, and circulation. The composition of the scene, imag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sect flying and from the perspective of an ant, is an expression of the intrinsic will of life. The use of this bird's-eye view method(鳥瞰法) is an expression of the principle of motion in visual composition, representing the ascending flow of life and conveying a lively, dynamic movement of life. It was found that these various angles of view are an expression that can capture the huge world of life on a single screen. This paper was able to reveal the invisible dynamic power of lives suffering from disease to overcome it, as well as the circularity and continuous nature inherent in that life,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of the work. In this process, the Taoist ideas of Lu and Zhuangzi and the generative theories of Bergson and Canguilhem were derived and used as the on basis. And, from a monistic perspective,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experienced by humans, human efforts to restore it, and the need for diseased animals and plants to coexist and live together. Philosophical thinking and traditional material techniques became motivation to connect with new techniques and creation. and I was 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analyze my work in depth and expand the world of my work.

      •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敎育目標 反映에 대한 適切性 硏究 : 基礎漢字 900字를 對象으로

        조영순 建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How well the textbooks reflect the purpose of the Chinese writings course was examined in various ways. During this study, performed were analysis of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the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s course, the frequency comparison of the Korean vocabulary for learning and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the textbook content analysi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s, a test of 900 basic Chinese character comprehension at each grade, and a test of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stored i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were not in balance. Second,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 students' realization of the goal to learn and make use of the 900 middle school basic Chinese characters in daily life languages. Third, the realization of the goal to develop the basic ability to understand simple Chinese writings is more related to the realistic status of the Chinese writing course rather than the perfec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Fourth, It is thought that classic Chinese writings and proverbs are the best learning material to learn ancestors' way of life and wisdom, to cultivate good qualities, and to understand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Chinese writings course, the selection of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reconsider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organic three areas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Chinese writings must get closer to one another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Chinese writings course. Thus, the learning purpose in the area of Chinese character course, that is, understanding and being able to use properly the sounds and meanings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accommodated and reflected in the Chinese writings course too in composing the textbooks. As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goal to make use of Chinese words in daily life languages, it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cluding the Chinese characters that are being used frequently in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writings education, having them in the textbook. To fulfill the goal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simple Chinese sentences, proper sentences consisting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selected and included. Additionally, to cultivate right values and desirable qualities, instructive writings, as those in the existing textbooks, should be selected.

      •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상상력 및 과학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조영순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상상력 및 과학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이하영 외(2014)이 재구조화한 상상력 유형에 따라 목표와 적절한 상상력을 배치하고, Egan의 상상력 인지도구들로 내용을 구성하고, Osborn의 상상력 유도 질문법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한 중학교의 2학년 두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2015년 3월 9일부터 4월 17일까지 6주간 주 2차시에 걸쳐 총 12차시에 걸쳐 실시였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과학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에는 학업성취도 검사, 이경화(2014)가 제작한 표준화된 ‘중학생용 통합창의성 검사’, OECD/PISA에서 활용한 흥미도 조사 문항을 한국과학교육학회에서 ‘과학교과목’에 대한 흥미도 조사문항으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 전에 학업성취도, 상상력 및 흥미도의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프로그램에 의한 과학학업성취도, 상상력 및 흥미도 향상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으로 자료 처리하여 t-test와 ANCOVA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은 중학생의 과학학성취도의 적용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식과 이해면에서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은 중학생의 상상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은 과학흥미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인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유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긴장감, 자아개념, 학습전략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은 중학생의 과학지식 적용, 상상력 및 과학에 대한 과학흥미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상상력 강조 과학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지식 적용 및 상상력 증진교육을 위해 중학교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magination-emphasized science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Imagination-emph asized science program on science achievement, imagination and interest in science. Researcher developed this program, consid ering the types of imagination(Lee & Chin 2014) suitable to instructional objectives, constructing contents with Egan’s imagin ative cognitive tools and appling Osborn’s imaginative questions. Two classes of 8th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Imagination-emphasized scienc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regular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12 hours from 9th of March through 17th of April.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Standardized 'integrated creative tool for middle students' by Lee(2014) and interest in science(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adapted OECD/PISA Interest in Mathematics into) were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The homogeneity was confirmed between two groups in pre-tests. By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the T-test, ANCOVA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process and resul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in the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in the application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the imagination test. Thirdly,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est in science. And interest in and enjoyment of science and instrumental motivation in science of the sub-factors,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ce learning anxiety, self-concept, learning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magination-emphasized science program on the science application, imagination, interest in scien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identified. Therefore, I hereby suggest that ‘Imagination-emphasized science program’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program in the middle school.

      • 段建業 盲派命理의 이론체계 연구

        조영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四柱命理를 포함한 점복업은 맹인의 오래된 직업으로서 한국인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현대 사회 문화의 일부분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賤人이라도 命課學을 통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기 때문에 점복은 맹인들의 생계를 책임지며 사회적 편견에 맞설 수 있는 직업으로서 선호되었다. 하지만 현대에는 증가하고 있는 점복 시장의 규모에 비해 맹인들의 비중이 오히려 줄어들고 있으며 그들의 명리 이론 또한 전승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때, 중국 맹인 점복인들이 사주팔자를 기반으로 운명의 吉凶禍福을 豫斷하는 盲派命理가 이를 계승한 正眼人 점복인들의 전파에 의해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맹인에게만 전수하는 폐쇄성이 만들어낸 盲派命理의 신비감은 命理人들의 기대감을 증폭시키며 그 적용 사례를 늘려가고 있다. 명리학의 발전은 다양한 사주분석 방법의 토대가 되는 이론들을 증명하는 측면에서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盲派命理에 관한 자료들은 상당한 부분이 감춰져 있고, 이러한 이유로 드러나 있는 명리 이론 역시 여실히 증명되지 않았다. 盲派命理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盲派命理 이론의 일부 내용만을 선별하여 설명함으로써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盲派命理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논의함으로써 盲派命理 이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命課學의 전개과정과 근대 이후 맹인 점복의 상황 변화를 살핌으로써 현대 맹인 점복인들의 모습을 조명하였다. 한국 점복시장에서 논의되는 盲派命理는 일반적으로 段建業 盲派命理를 지칭한다. 2000년대 한국으로 유입되어 사주 상담과 교육의 현장에서 그 이론을 보이는 段建業 盲派命理는 段建業이 盲師에게 전달받은 실전 비결에 자신의 論命法을 더하여 만들어낸 新生의 명리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盲派命理 이론에는 理法, 象法, 技法이 있는데 이들은 사안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理法에는 賓主•體用•做功•能量•效率•干支配置가 있고, 象法에는 干支象•宮位象•十神象•神殺象이 있으며 口傳心授된 盲師口訣은 技法에 속한다. 盲派命理에서 주장하는 이론적 특징은 子平命理를 근간으로 日主의 쇠왕을 보지 않고 격국과 용신을 논하지 않으며 오행의 生剋制化에 盲師口訣의 技法을 가미한 방법을 간명에 사용하는 데 있다. 그러나 命理書에 예시된 命造의 풀이 과정에서 일주의 쇠왕과 격국, 용신 등의 개념을 盲派命理에서는 體用과 賓主, 干支配置와 能量과 效率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간명에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다 보니 사주 주인공의 吉凶禍福과 貧富貴賤에 대한 논점이 자평명리와 어긋나지 않았고, 유연한 관점들을 제시함으로써 사안의 구체적인 측면까지 밝혀낼 수 있다는 장점을 드러내었다. 다만 盲師口訣을 사용한 다양한 直斷法의 활용은 개연성을 염두에 둔 가능성의 측면을 무시한 단언과 확언이라는 점에서 면밀한 검증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사주팔자를 통해 운명의 길흉화복을 파악하는 사주명리는 인간의 적극적 실현의지가 반영된 학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간 삶의 궁극적 가치가 행복의 지향임을 숙지한다면 사주명리의 생성 이유와 목적이 우리의 인생과 매우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호 관련성을 바탕으로 한 盲派命理의 유연한 이론체계는 변화하는 현대인의 삶을 반영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盲派命理처럼 검증되지 않은 신생의 명리 이론들이 사주 상담과 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볼 때 학계의 책임 있는 연구와 이해는 앞으로의 과제로써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관련된 후속 연구가 향후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Telling divination including Saju Myeongli(四柱命理) has been a major occupation of the blind for a long time. This occupation is being reborn as a part of modern social-cultural aspects while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aily lives of the Korean people. Even the lowest class, in particular, was allowed to step into the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Myeonggwahak(命課學) in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elling divination was preferred as an occupation that was responsible for the livelihood of the blind and able to confront social prejudice. In modern times, however, the proportion of blind people is rather decreasing compared to the fact of increased size in the telling divination market. In addition, their theory of Myeongli has not been passed on either. Maengpa Myeongli, which foresees the GilHyeungHwaBok(吉凶禍福) and BinBuGuiChon(貧富貴賤) of the destiny based on the Sajupalja(四柱八字)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from the blind people who were telling divination in China under such a situation. Then, it was handed down and spread by the people having normal eyes who are telling divination. Maengpa Myeongli, which is passed down only to the blind, has closed characteristics. The mysterious feeling created by the closed characteristics amplified the expectations of those who follow Myeongli. Therefore, the number of cases that take advantage of Maengpa Myeongli is also increasing. Myeongli Science(命理學) can make its progress in the course of proving the theories that serve as the basis of various analysis methods on Saju(四柱). However, since the considerable parts of the data with regard to Maengpa Myeongli are hidden, everything in fact has not been proven even in the case of the Maengpa Myeongli theory that is being applied. Previous studies on Maengpa Myeongli also exhibit limitations because only the partial contents of the Maengpa Myeongli theory are selectively explained.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and systematize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Maengpa Myeongli theory, thereby exerting to seek a way of utilizing it. First of all,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Myeonggwahak a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ituational changes of telling divination by the blind since modern times,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status of the blind divination-tellers. MaengpaMyeongli, which is being discussed in the divination-telling market of the Korean peninsula, generally refers to the Maengpa Myeongli of Tuan Jianye(段建業). The MaengpaMyeongli of Tuan Jianye, which flowed into South Korea in the 2000s, reveals its theory both in educational settings and Saju counseling of individuals. Tuan Jianye created a new theory of Myeongli by adding his own method of interpreting Sajupalja to the practical know-how that was conveyed from his Blind master(盲師) and this is referred to as the Maengpa Myeongli of Tuan Jianye. The theories of such a Maengpa Myeongli include Libub(理法), Sangbub(象法), and Gibub(技法), which should be appropriately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ase. Libub has a placement of Binju(賓主)•Ch’eyong(體用)•Jugong(做功)•Neungryang(能量)•Hyoyul(效率)•Ganjibaechi(干支配置). In addition, Sangbub is classified into GanjiSang(干支象), GungwiSang(宮位象), SibsinSang(十神象), and SinsalSang(神殺象). The know-how that is verbally conveyed by the Blind master, which is referred to Gujeonsimsu(口傳心授: handed via the mouth and taught in the heart), belongs to Gibub. Since it is based on Japyeong Myeongli(子平命理), one of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claimed by Maengpa Myeongli is in that it does not care about the Soewang(衰旺) of Ilju(日主). Moreover, it does not consider Gyeokguk(格局) and Yongsin(用神). In addition, the technique, which adds Maengsagugyeol(盲師口訣: the know-how of the Blind master) to SaenggeukjJehwa(生剋制化) of Ohaeng(五行), is being used to interpret the Sajupalja of individuals. When interpreting Saju of an individual foreseen in the Myeongli book, the Sajupalja of an individual in the case of Maengpa Myeongli was interpreted using the placement of Ch’eyong, Binju, Ganjibaechi and the names of Neungryang and Hyoyul instead of the concepts of Gyeokguk and Yongsin as well as the Soewang of Ilju. As a result, no contradictions in the disputed issues with regard to GilHyeungHwaBok and BinBuGuiChon were identified between Sajupalja of an individual and Japyeong Myeongli. Furthermore, Maengpa Myeongli entail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lucidate specific aspects of the problematic issues by presenting flexible perspectives. The know-how of the Blind master lies in employing a variety of short sentences. So, In this case, a thorough verification seems to be necessary further in that it is to speak firmly and definitely about the Sajupalja of an individual while ignoring the aspect of probability or possibility.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Saju Myeongli, which identifies the GilHyeungHwaBok in the destiny of an individual through Sajupalja, is a study reflecting the active will of realization of humans. If it is kept fact in mind that the ultimate value of life is happiness, the reason and purpose that Saju Myeongli has come out are very much in line with human lives. Maengpa Myeongli has a very flexible theoretical structure because it is based on correlation. This has a profound meaning because it is exerted to reflect the lives of modern people. Other new Myeongli theories being appeared such as Maengpa Myeongli also have a great influence on Saju counseling and education settings, a verification thus should be considered. The responsible study and understanding in academia should be consistently progressed as a future task and it is hoped that the relevant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