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소병원 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및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수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중소병원 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및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지도교수: 정경희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및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소재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221명을 편의표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5년 10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내부마케팅 인식은 Herzberg(1966)가 정의한 동기-위생이론을 근거로 조윤희(2002)가 개발한 도구를 이은아(2012)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를, 조직몰입은 Mowday, Steers와 Porter(1979)가 개발한 도구를 이명하(1998)가 번안하고, 지미자(200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임파워먼트는 Fiedler(1993)의 도구를 차윤석(1995)이 번안하고 장영애(1999)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를 이은아(2012)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고객지향성은 Parasuraman, Zeithml과 Berry(1998)가 개발한 도구를 최귀선(2000)이 번안하고, 문효점(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26∼35세 이하가 63.8%(141명)을 차지하였고, 기혼이 59.3%(131명)이었으며, 최종학력은 전문학사가 67.0%(148명)이였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4.7%(165명), 임상경력은 5∼10년 미만이 33.9%(75명)이었으며,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64.7%(143명)이었다. 2. 내부마케팅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2.93±0.55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교육훈련제도 3.28±0.66점, 공정성 3.12±0.60점, 편의성 3.00±0.62점, 보상제도 2.54±0.70점 순이었다. 조직몰입은 5점 만점에 평균 3.16±0.46점이었다. 임파워먼트는 5점 만점에 평균 3.33±0.36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업무수행시 개인열정 3.42±0.53점, 의사결정시 개인역량 3.40±0.48점,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 3.35±0.42점, 조직에 대한 지각정도 3.14±0.45점 순이었다. 고객지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59±0.42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신뢰성 3.75±0.46점, 유형성 3.63±0.52점, 반응성 3.49±0.50점, 공감성 3.48±0.52점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내부마케팅 인식은 종교(t=2.13, p=.045)와 학력(F=4.21, p=.01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교육훈련제도는 학력(F=3.66, p=.027)에서, 보상제도는 종교(t=2.81, p=.005)에서, 공정성은 연령(F=2.73, p=.045)에서, 편의성은 학력(F=3.87, p=.022)과 현 근무경력(F=2.63, p=.0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근무부서(F=8.7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는 직위(F=7.19,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의사결정시 개인역량은 연령(F=2.64, p=.049), 직위(F=8.39, p<.001), 총근무경력(F=3.14, p=.026)에서,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은 연령(F=2.66, p=.047), 학력(F=3.57, p=.030), 직위(F=4.80, p=.009), 현 근무경력(F=2.72, p=.045)에서, 조직에 대한 지각정도는 직위(F=5.26,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객지향성은 연령(F=3.64, p=.013), 결혼상태(F=2.61, p=.009), 직위(F=.425, p=.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신뢰성은 결혼상태(F=2.07, p=.039)에서, 반응성은 연령(F=4.84, p=.003), 결혼상태(F=3.04, p=.003), 직위(F=4.89, p=.006)에서, 공감성은 연령(F=4.36, p=.005), 결혼상태(F=2,41, p=.017), 학력(F=4,99, p=.008), 직위(F=5.34, p=.005), 현 근무경력(F=2.65, p=.04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임파워먼트 및 고객지향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13<r<.69). 5.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내부마케팅 인식의 하위변인 중 공정성(β=.27, p<.001),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β=.29, p<.001), 업무수행시 개인열정(β=.21, p<.01)과 일반적 특성의 결혼유무(β=.17, p<.01)였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1%이었다(F=39.82, p<.001).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내부고객인 간호사에 대한 내부마케팅과 임파워먼트는 고객지향성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내부고객인 간호인력의 요구를 파악하여 공정한 보상제도를 수립하고, 구성원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여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의 개발로 업무수행 시 열정을 발휘하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근무경력이 많은 기혼간호사들의 조직몰입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관리할 것을 제안한다.

      • 중국백주(白酒)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한 패키지 디자인 전략 연구 : 중국 10대 명주(十大名酒)를 중심으로

        조수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brand for our life emphasize in almost all fields. Upheaval of the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of the difference of brand products, the competitiveness of the enterprises of the most important, made a "strategic master Michael porter (m - porter) also appeared in" economic war ". The meaning is before the real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operating efficiency, but the particularity of the product or service provided by enterprises, which may get. That is, provide consumers with other enterprise discrimination cannot provide a product or service is to survive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market of the 21st century. Once upon a time, a brand trademark goods pure means, but now the enterprise culture, led by the method, in addition, the starting point of enterprise's strategic decision. Brand or brand influence from modern society can't survive, this means that the enterprise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war between the ultimate strength of brand, and by establishing the strong brand core competitive advantages when oil prices. Success is typical of the condition of high brand awareness of the brand. Consumers already know, of course, under the condition of enterprise product is safer than to, can feel it. Chinese nation's long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Recent intern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emerging phenomenon of uniform inherent in traditional culture, has the originality of the national culture, and establish "era, is also hope. In Western Europe social cultural activities as an honor that ship. The world,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ountry, conform to this kind of wine is triggered according to each country have distinguishing feature each wine culture, established the development become the taste and smell of them proud. Alcohol ordinary people be fond of food, its origin is the history of mankind, and in each country, each their own traditional wine, so wine is the culture of that country and folk content. At present Chinese liquor industry, especially the traditional liquor mainly liberalization than at any time in the fierce market competition both at home and abroad and open at the same tim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In such a reality to realize the mainstream industry in China on the one hand, short-term corresponding solutions, on the one hand, with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s the industry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the project should appear. Worldwide progress and open, so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industry in the domestic production base is difficult. Export industries, and in South Korea industry the world first-class level, mainly in the domestic market, also does not have the significance of competitive cannot survive. 브랜드에 대한 중요성은 우리생활 모든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와 경제적 환경은 브랜드로 대변되는 제품의 차별성을 기업의 가장 중요한 경쟁력으로 만들었으며 이는 전략의 대가인 마이클 포터(M.Porter)의 ‘경쟁론’ 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기업의 진정한 경쟁력은 운영의 효율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업에서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차별성을 높임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소비자에게 다른 기업이 제공할 수 없는 차별적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21세기의 치열한 경쟁 시장에서 살아남는 방법임을 의미한다. 이렇듯 브랜드는 회사가 소유할 수 있는 가장 가치 있는 자산이다. 제품은 눈으로 볼 수 있으며 외형적인 존재감을 갖는 반면, 브랜드는 지각적(인지적)인 존재감만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제 특정기업의 제품을 소비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기업의 서비스를 즐기고자 한다. 또한 서비스에 얽힌 추억을 남기는 것이다. 기업과 소비자는 브랜드를 통해 교감하고, 과거의 즐거움을 향유한다. 그리고 이는 미래의 소비로 연결된다. 이전의 브랜드는 하나의 상품명을 의미하는 단순한 수단이었으나 지금은 기업의 문화를 이끄는 수단이며, 기업의 전략을 결정하는 기점이 되고 있다. 현대 사회는 브랜드나 브랜드 영향으로부터 벗어나서 살 수가 없다. 기업의 경쟁 환경이 결국 파워 브랜드들 간의 전쟁이며, 강력한 브랜드 구축과 시장점유율을 위한 경쟁적 요인이라는 것이다. 성공한 브랜드의 대표적인 조건 중 하나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이며 소비자는 그들이 알고 있던 기업의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보다 안전감을 느낄 수 있다. 중국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최근 획일화된 국제화, 세계화의 시대적 현상 속에서 고유의 전통문화를 되살려 독창적인 민족문화를 정립해 간다는 것은 시대적인 요청이기도 하다. 세계 여러 나라에는 그 나라의 자연환경에 알맞은 술들이 빚어져 왔고 그에 따라 각 나라마다 특색 있는 술 문화가 정립, 발전되어 그 들의 멋과 맛을 자랑하고 있다. 술은 일반 대중들의 기호식품이다. 술의 기원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하며, 각 나라의 풍토와 민속을 담고 있기에 각 나라마다 특유의 전통주를 갖고 있다. 현재 중국의 주류 중 특히 전통주 백주는 자유화된 국내외 시장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치열해진 경쟁과 또 다른 기회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중국의 주류 산업은 한편으로는 단기 대응 방안을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 경쟁력을 지닌 산업으로써 미래지향적인 발전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방화와 세계화가 진전되면 국제 경쟁력이 없는 산업은 국내 생산 기반의 존립이 어려워진다. 수출산업은 물론이고 국내 시장을 위주로 하는 산업조차도 세계 일류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지 않고는 생존해 나갈 수 없다는 의미이다.

      • 한·중 근현대 산수화의 필묵조형에 대한 연구 : 이상범과 이가염을 중심으로

        조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outh Korea and China were at a very important crossroads in history. South Korea was in a national crisi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occupation, while China had become a competition field for western European powers, experiencing a lot of chaos. Under this background, there were many social, ethnic and cultural changes in the two countries, and art circles were no exception. At that time, modern civilization and culture were introduced from the West, and foreign students from all walks of life introduced strange culture and art from the west, which became a popular trend in the whole society.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artists engaged in traditional painting were faced with the choice between western painting and traditional painting. The major issue was whether to settle to the status quo or accept new things and develop. During this period, Li Xiang Fan of South Korea and Li Keran of China were very important artists who absorbed and integrated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nd modernized them without abandoning the tradition. Li Xiangfan, a Korean landscape painter, learned from his master An Zhongzhi at that time, how to draw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and accepted the sketch techniques of western paintings to create his own “Qingtian style”. He integrated the sketch drawing on the technique of “drawing with dense vertical or horizontal dots saturated with ink”, showing the early style of realistic painting in the mountains and rivers of South Korea, and gradually developed into his own brushwork, that is, “drawing with dense horizontal dots saturated with ink”. Drawing with dense horizontal dots saturated with ink is a way to lay the pen on its side and draw lines like a pop-up pen. It is very effective in showing the peaceful massif scenery and mountain scenery in South Korea. He used the method of accumulating ink layer by layer to grasp the skeleton of hills and forest, and painted them with color, which gave the landscape a rhythmic sense of layer, a sense of space, and a deep impression on the paintings. His rich local scenery of mountain is vaguely hazy and full of sadness, showing the touching and nostalgia that soothed the hearts of the people who were in distress at that time. The “Qingtian style” local scenery that Li Xiangfan worked hard all his life stimulated many painters who were bound by traditional painting methods at that time, and becam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point out the new road of modern Korean art. Li Keran is one of the most innovative landscape painters in modern China. He was taught by famous Chinese painting masters Qi Baishi and Huang Binhong at that time, and was already proficient in traditional painting. And through many trips of painting from life, he erased the traditional painting method from the live painting and learned his own brushwork from nature. Then, in the 1960s, he incorporated the light and shade techniques of western painting into his calligraphy method and created an innovative calligraphy method —“piling up ink with light and colour”. He made use of the backlit landscape painting to bring great impact and emotion to the painting circle. He also vividly demonstrated the beauty and grandeur of Chinese mountains and waters through landscape painting, striving to show the Chinese spirit and atmosphere. His challenging spirit and innovation have become the respected objects of many later painters.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reation of the new brush-and-ink modeling techniques of Li Xiangfan and Li Keran did not abandon the Oriental spirit, but absorbed the advantages of Western painting and developed into their own brush and ink method while sticking to it. Instead of confronting or avoiding foreign cultures, they collided head-on, developed into something more novel, and in the process looked for new brush and ink spirits to inject vitality into the painting world and remind the futu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landscape paintings of Li Xiangfan and Li Keran, who are not desperate, adhere to the advantages of traditional painting and the eastern spirit, absorb western culture and kindle their own enthusiasm in the era of chaos and crisis. This thesis analyzes the process and goal of their creation, the reflection of the times, and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ir paintings. Through the researc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ir landscape paintings, this thesis trie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nd common points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landscape paintings, and points out the direction of their younger painter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enable young painters in South Korea and China to bring about new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 and play a role in the exchange of learning materials and catalysts. 20세기 초 한국과 중국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갈림길에 놓이게 된다. 한국은 일제강점기라는 국가적 위기에 처해 있었고 중국은 서구열강들의 각축장이 돼 많은 혼란을 겪고 있었다. 그것은 사회적, 민족적,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요구하였고 미술계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서양에서 현대화된 문명과 문화가 유입되고 각 분야의 유학생들이 서구에서 들여오는 낯선 문화와 예술이 사회전반에 대유행을 낳게 되었다. 전통적인 회화에 몸담고 있던 한· 중 예술가들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산수화풍과 근대에 도입된 서구 화풍의 각축으로 인해 전통화를 시대감각에 맞는 형식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되었다. 그것은 기존의 관념에 안주하느냐 새로운 것을 받아 들여 발전해 가느냐 하는 중대한 문제였다. 이 시기 한국의 이상범과 중국의 이가염은 전통을 버리지 않으면서 서양화를 받아들이고 현대적으로 발전시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예술가들이다. 한국의 산수화가 이상범은 당시 스승인 안중식에게 전통산수화의 화법을 습득하고 서양화의 스케치 소묘기법을 받아들여 자신의 ‘청전양식’을 창조해 내었다. 그는 미점준에 소묘화법을 접목해 한국의 산하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초기의 화풍을 보이다가 점차 자신의 필법인 ‘와필횡점준’으로 발전시켰다. 와필횡점준은 붓을 옆으로 뉘여 필을 튕기듯이 선을 긋는 방식인데 그것은 한국의 고즈넉한 언덕풍경과 산골풍경을 표현하는데 효과적 이었다. 그는 점을 쌓아가는 점묵법으로 구릉과 수풀의 뼈대를 잡고 그 위에 색으로 바림 작업을 하여 풍경에 운율과 리듬감을 주었고 허실의 공간감을 주어 작품에 깊이를 주었다. 그의 향토색 짙은 산골풍경은 아련하고 몽롱하며 슬픔이 깃들어 당시 슬픔에 빠져있던 대중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감동과 그리움을 드러내었다. 이상범이 평생에 걸쳐 노력한 청전양식의 향토색풍경은 당시 전통화법에 얽매여있던 많은 화가들에게 자극이 되었고 한국의 근현대 미술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가염은 중국 근현대 화가 중에 가장 혁신적인 산수화의 발전을 가져다준 산수화의 대가이다. 그는 당시 유명한 중국화의 대가였던 제백석, 황빈홍에게 가르침을 받아 이미 전통화법에 능통했다. 그리고 많은 사생여행을 통해 현장에서 그림을 그리면서 전통적인 화법을 지우고 자연으로부터 자신의 필법을 익혀나갔다. 그리고 1960년대 그는 자신의 점묵법에 서양화의 빛과 명암법을 융합해 ‘광색적묵법’이라는 혁신적인 묵법을 창안해 내었다. 역광을 이용한 그의 산수화는 화단에 커다란 충격과 감동을 주었다. 또한 그는 산수화를 통해 중국 산수의 수려함과 웅장함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고 중국인의 기개와 기상을 드러내게 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도전정신과 혁신은 많은 후배화가들에게 존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상범과 이가염 두 대가의 새로운 필묵법의 창조는 기존의 전통과 동양의 정신을 버리지 않고 지키면서 서양화의 장점을 수용해 자신들의 필법으로 발전시켰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은 외세의 문화에 맞서거나 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부딪혀 더 새로운 것으로 발전시키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 화단에 활력을 넣고 미래를 제시 했다. 본 논문은 혼란과 위기의 시대에 절망하지 않고 전통회화의 장점과 동양의 정신을 고수하며 시각적 객관화에 기반을 둔 서양의 화풍을 적절히 수용하여 자신들의 창작열정을 불태웠던 이상범과 이가염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들의 창작의 과정과 목표, 시대적 반영, 작품에 내포된 미학적 의의 등을 분석하였다. 그들의 산수화를 연구, 비교 분석하면서 한·중 산수화의 차이와 공통점을 찾아보고 한·중 후배화가들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논자는 본 논문이 한국과 중국의 젊은 작가들에게 필묵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발전을 유발시키는 교류적 학습 자료와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장편영화 《All in His Name》 제작 보고서 : 연출을 중심으로

        조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논문은 2017년 9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제작된 장편영화《All in his name》에 대한 제작 보고서이다. 본 영화는 부모님 특히 아버지와의 소통 부재에 관해 다루고 있다. 이는 필자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필자는 이 영화를 통해서 아버지와의 소통 부재를 극복해보고자 했다. 또한 관객들로 하여금 이 영화를 통해 아버지와의 소통 부재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여 공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논문은 프리 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별 준비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하나의 장편영화가 완성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기획 의도, 시놉시스, 시나리오의 변화 과정, 레퍼런스 영화, 인물 분석 및 캐스팅, 로케이션, 프로덕션 디자인, 콘티, 연출 방향, 촬영 장비, 스태프 구성에 대한 준비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제작 개요와 함께 회차별 연출 방향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하였으며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어떻게 대처하였는지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DI, 편집, 사운드 디자인, 색 보정 및 CG 작업에 관해 기술하였다. 본 논문은 필자가 첫 장편 영화를 완성하기까지의 기록이 담겨있다. 첫 장편 영화이다 보니 완성하기까지 많은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겪었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더불어서 이 논문은 함께 해준 스태프들과 배우들의 애정과 열정의 기록이기도 하다. 부디 이 논문이 많은 이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문화상품 재구매 관람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조수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상품 재구매 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 연구 提 出 者 : 조수연 指導敎授 : 金商湧 본 연구는 문화예술 산업의 비중과 중요성이 커지는 현 상황에서 문화예술기관들은 안정적인 고객확보와 양질의 고객 중심으로 기획된 문화상품 기획에 따른 마케팅 전략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문화상품 재구매 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의 파악하고, 구매는 하지만 재구매 하지 않는 비재구매 관람객과의 비교로 문화예술기관들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상품 재구매 관람객의 각 개인들의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통해 각 개인들의 유사성에 의해 통합한 집단을 세분화 및 분석함으로써 재구매 관람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문화상품 재구매 관람객이 구분되는 라이프 스타일 변수를 파악하여 재구매 관람객을 판별하여 표적시장 공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셋째, 재구매 관람객과 비재구매 관람객의 특성 비교 및 판별변수 파악을 통해 각 집단별 마케팅 전략 및 문화상품 기획에 대해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재구매 군집과 비재구매 군집과의 차이를 밝히고, 그들의 특징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규명, 명명하였다. 또한 그 라이프스타일을 토대로 세분화에 따른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체험 학습을 통한 역사 수업 지도 방안 (성북동 지역을 중심으로)

        조수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History education is a science to teach the fact in the past mainly to learners. It has the difficulty for learners to easily understand or have intere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might be th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study. Once getting out of classroom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study, the learners will have an interest in historical facts with a new mind set. An active learning will also be realized, experiencing directly the facts in the past. Especially the history class that makes use of local cultural heritage that the learners can easily contact will maximize that kind of effect. The field experience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f Hansung Girl's Middle School in which the researcher works. Currently Hansung Girl's Middle School is located in Samseon-dong Seongbuk-gu, an area where the field experience study of history is possible as there are various sites like Hanyang castle town and modern and contemporary remains nearby in downtown Seoul. Here the field experience study of history was carried out centering around Seongbuk-dong located at the nearest taking largely two themes. First, a plan was made to proceed inquiry into characters related remains in Seongbuk-dong. There was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specifically Yong-Un Han and Hyeong-Pil Jeon who are related to Simujang and Gansong Art Gallery, the two places students selected. Second, the time to think of the ideology of governance for people in Joseon Dynasty was spent through experience activity in Hanyang castle town and Seonjam complex. It became the opportunity to learn more abstract concept of history through experience activity of history. Lastly, experience place-related family history was investigated to expand the content experienced through experience activity of history. However, it was expanded to hearing and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family as it was difficult to find proper cases. As mentioned before, the experience study of history might be an alternative that can turn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so far felt far away and recognized boring. So far most of the field experience study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regions far away. Teaching-learning making use of cultural heritage may trigger curiosity for history and foster local patriotism and the sense of community. 역사 교육은 과거의 사실을 주로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학문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거나 또는 흥미를 갖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체험학습을 통한 역사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일단 체험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교실을 벗어남으로써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과거의 사실을 직접 체험하면서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학습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역의 문화재를 활용한 역사수업은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교육현장에서의 역사수업은 교사의 주도 아래 주입식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사중심으로 과도하게 지식암기위주의 수업을 하게 되면 학생들은 역사적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을 넘어서 역사의식을 배양하거나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역사교과서는 본래, 학습내용의 대부분이 현재 경험할 수 없는 과거의 내용이 중심이다. 그러다 보니 학습내용이 구체적이기 보다는 실감하기 어려운 추상적인 용어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학생들이 역사 이해에 더 어려움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역사 체험학습을 고려해 보았다. 지금까지의 역사수업에서 실제적인 체험학습을 진행하기에는 교과시간의 제한이라는 시간상의 문제와 이동수단의 어려움이라는 공간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체험학습이 이루어지긴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고 시도되고 있는 다른 교과와의 통합수업 또는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그리고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시간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체험학습은 공간적인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체험학습이 역사교육의 현장에서 이루어진다면 현재의 역사 교수 학습 방법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논문에서는 필자가 재직 중인 한성여중 학생들을 중심으로 체험학습을 진행 하였다. 현재 한성여중은 성북구에 삼선동에 위치하고 있는 학교로서 가까이에는 한양도성부터 서울 시내의 근현대 유적까지 다양한 곳에 대한 역사 체험학습이 가능한 지역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첫 번째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성북동을 중심으로 크게 두 개의 주제를 정하여 역사 체험학습을 진행하였다. 첫째, 성북동의 유적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도록 계획하였다. 학생들의 선택한 두 곳인 심우장과 간송 미술관에 관련된 한용운과 전형필에 대해서 역사 체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한양 도성 및 선잠 단지의 체험활동을 통해서 조선시대의 위민(爲民)의 통치 이념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역사 체험활동을 통해서 보다 추상적인 역사 개념까지 확대하여 학습하는 시간이 되었다. 셋째, 역사 체험활동을 통해서 경험한 내용을 확대하기 위해 체험 장소와 관련된 가족의 역사를 조사해 보았다. 하지만 적합한 사례를 찾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가족의 역사를 듣고 조사해 오는 것으로 확대해 보았다. 이처럼 세 번의 역사 체험활동을 통해서 교실과 교과서 속의 역사수업에서 벋어나 학습자가 스스로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과거의 죽어 있는 역사가 아니라 학습자의 현재를 있게 한 진행형의 역사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기회였다. 앞서 거론된 것처럼 역사 체험학습은 지금까지 학습자에게 멀게만 느껴지고 지루하게 인식되던 역사교육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지금까지의 체험학습은 대부분 자신의 지역에서 먼 지역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역의 문화재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면서 역사적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에 대한 애향심 그리고 공동체 의식까지 함양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