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병원 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및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중소병원 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및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지도교수: 정경희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및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소재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221명을 편의표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5년 10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내부마케팅 인식은 Herzberg(1966)가 정의한 동기-위생이론을 근거로 조윤희(2002)가 개발한 도구를 이은아(2012)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를, 조직몰입은 Mowday, Steers와 Porter(1979)가 개발한 도구를 이명하(1998)가 번안하고, 지미자(200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임파워먼트는 Fiedler(1993)의 도구를 차윤석(1995)이 번안하고 장영애(1999)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를 이은아(2012)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고객지향성은 Parasuraman, Zeithml과 Berry(1998)가 개발한 도구를 최귀선(2000)이 번안하고, 문효점(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26∼35세 이하가 63.8%(141명)을 차지하였고, 기혼이 59.3%(131명)이었으며, 최종학력은 전문학사가 67.0%(148명)이였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4.7%(165명), 임상경력은 5∼10년 미만이 33.9%(75명)이었으며,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64.7%(143명)이었다. 2. 내부마케팅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2.93±0.55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교육훈련제도 3.28±0.66점, 공정성 3.12±0.60점, 편의성 3.00±0.62점, 보상제도 2.54±0.70점 순이었다. 조직몰입은 5점 만점에 평균 3.16±0.46점이었다. 임파워먼트는 5점 만점에 평균 3.33±0.36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업무수행시 개인열정 3.42±0.53점, 의사결정시 개인역량 3.40±0.48점,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 3.35±0.42점, 조직에 대한 지각정도 3.14±0.45점 순이었다. 고객지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59±0.42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신뢰성 3.75±0.46점, 유형성 3.63±0.52점, 반응성 3.49±0.50점, 공감성 3.48±0.52점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내부마케팅 인식은 종교(t=2.13, p=.045)와 학력(F=4.21, p=.01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교육훈련제도는 학력(F=3.66, p=.027)에서, 보상제도는 종교(t=2.81, p=.005)에서, 공정성은 연령(F=2.73, p=.045)에서, 편의성은 학력(F=3.87, p=.022)과 현 근무경력(F=2.63, p=.0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근무부서(F=8.7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는 직위(F=7.19,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의사결정시 개인역량은 연령(F=2.64, p=.049), 직위(F=8.39, p<.001), 총근무경력(F=3.14, p=.026)에서,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은 연령(F=2.66, p=.047), 학력(F=3.57, p=.030), 직위(F=4.80, p=.009), 현 근무경력(F=2.72, p=.045)에서, 조직에 대한 지각정도는 직위(F=5.26,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객지향성은 연령(F=3.64, p=.013), 결혼상태(F=2.61, p=.009), 직위(F=.425, p=.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신뢰성은 결혼상태(F=2.07, p=.039)에서, 반응성은 연령(F=4.84, p=.003), 결혼상태(F=3.04, p=.003), 직위(F=4.89, p=.006)에서, 공감성은 연령(F=4.36, p=.005), 결혼상태(F=2,41, p=.017), 학력(F=4,99, p=.008), 직위(F=5.34, p=.005), 현 근무경력(F=2.65, p=.04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내부마케팅 인식, 조직몰입, 임파워먼트 및 고객지향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13<r<.69). 5.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내부마케팅 인식의 하위변인 중 공정성(β=.27, p<.001),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β=.29, p<.001), 업무수행시 개인열정(β=.21, p<.01)과 일반적 특성의 결혼유무(β=.17, p<.01)였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1%이었다(F=39.82, p<.001).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내부고객인 간호사에 대한 내부마케팅과 임파워먼트는 고객지향성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내부고객인 간호인력의 요구를 파악하여 공정한 보상제도를 수립하고, 구성원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여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역량의 개발로 업무수행 시 열정을 발휘하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근무경력이 많은 기혼간호사들의 조직몰입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관리할 것을 제안한다.

      • 체험 학습을 통한 역사 수업 지도 방안 (성북동 지역을 중심으로)

        조수연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History education is a science to teach the fact in the past mainly to learners. It has the difficulty for learners to easily understand or have intere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might be th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study. Once getting out of classroom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study, the learners will have an interest in historical facts with a new mind set. An active learning will also be realized, experiencing directly the facts in the past. Especially the history class that makes use of local cultural heritage that the learners can easily contact will maximize that kind of effect. The field experience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f Hansung Girl's Middle School in which the researcher works. Currently Hansung Girl's Middle School is located in Samseon-dong Seongbuk-gu, an area where the field experience study of history is possible as there are various sites like Hanyang castle town and modern and contemporary remains nearby in downtown Seoul. Here the field experience study of history was carried out centering around Seongbuk-dong located at the nearest taking largely two themes. First, a plan was made to proceed inquiry into characters related remains in Seongbuk-dong. There was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specifically Yong-Un Han and Hyeong-Pil Jeon who are related to Simujang and Gansong Art Gallery, the two places students selected. Second, the time to think of the ideology of governance for people in Joseon Dynasty was spent through experience activity in Hanyang castle town and Seonjam complex. It became the opportunity to learn more abstract concept of history through experience activity of history. Lastly, experience place-related family history was investigated to expand the content experienced through experience activity of history. However, it was expanded to hearing and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family as it was difficult to find proper cases. As mentioned before, the experience study of history might be an alternative that can turn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so far felt far away and recognized boring. So far most of the field experience study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regions far away. Teaching-learning making use of cultural heritage may trigger curiosity for history and foster local patriotism and the sense of community. 역사 교육은 과거의 사실을 주로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학문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거나 또는 흥미를 갖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체험학습을 통한 역사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일단 체험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교실을 벗어남으로써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과거의 사실을 직접 체험하면서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학습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역의 문화재를 활용한 역사수업은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교육현장에서의 역사수업은 교사의 주도 아래 주입식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사중심으로 과도하게 지식암기위주의 수업을 하게 되면 학생들은 역사적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을 넘어서 역사의식을 배양하거나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역사교과서는 본래, 학습내용의 대부분이 현재 경험할 수 없는 과거의 내용이 중심이다. 그러다 보니 학습내용이 구체적이기 보다는 실감하기 어려운 추상적인 용어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학생들이 역사 이해에 더 어려움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역사 체험학습을 고려해 보았다. 지금까지의 역사수업에서 실제적인 체험학습을 진행하기에는 교과시간의 제한이라는 시간상의 문제와 이동수단의 어려움이라는 공간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체험학습이 이루어지긴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고 시도되고 있는 다른 교과와의 통합수업 또는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그리고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시간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체험학습은 공간적인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체험학습이 역사교육의 현장에서 이루어진다면 현재의 역사 교수 학습 방법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논문에서는 필자가 재직 중인 한성여중 학생들을 중심으로 체험학습을 진행 하였다. 현재 한성여중은 성북구에 삼선동에 위치하고 있는 학교로서 가까이에는 한양도성부터 서울 시내의 근현대 유적까지 다양한 곳에 대한 역사 체험학습이 가능한 지역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첫 번째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성북동을 중심으로 크게 두 개의 주제를 정하여 역사 체험학습을 진행하였다. 첫째, 성북동의 유적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도록 계획하였다. 학생들의 선택한 두 곳인 심우장과 간송 미술관에 관련된 한용운과 전형필에 대해서 역사 체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한양 도성 및 선잠 단지의 체험활동을 통해서 조선시대의 위민(爲民)의 통치 이념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역사 체험활동을 통해서 보다 추상적인 역사 개념까지 확대하여 학습하는 시간이 되었다. 셋째, 역사 체험활동을 통해서 경험한 내용을 확대하기 위해 체험 장소와 관련된 가족의 역사를 조사해 보았다. 하지만 적합한 사례를 찾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가족의 역사를 듣고 조사해 오는 것으로 확대해 보았다. 이처럼 세 번의 역사 체험활동을 통해서 교실과 교과서 속의 역사수업에서 벋어나 학습자가 스스로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과거의 죽어 있는 역사가 아니라 학습자의 현재를 있게 한 진행형의 역사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기회였다. 앞서 거론된 것처럼 역사 체험학습은 지금까지 학습자에게 멀게만 느껴지고 지루하게 인식되던 역사교육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지금까지의 체험학습은 대부분 자신의 지역에서 먼 지역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역의 문화재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면서 역사적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에 대한 애향심 그리고 공동체 의식까지 함양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회전자 온도 변화에 대한 토크 보상 제어기법 연구

        조수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의 회전자 영구자석 온도 변화에 따른 전동기 제어특성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라인 파라미터 추정기법을 이용한 토크 보상 제어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고효율 운전 및 고출력 밀도 특성을 갖고 있어 차량용 전동기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영구자석 동기전동기가 차량이라는 응용분야에 적합하도록 고토크화, 고속화 및 소형화 등의 발전 방향을 지향하면서 전동기 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지속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고정자 온도에 비해 측정불가한 회전자 온도에 의한 영향은 특히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제어 시 고려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내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회전자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보상하는 토크 제어기법을 목표로 하였다.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일반 이론 및 제어기법을 정리하였으며, 회전자 온도변화에 따른 영구자석 특성 변화의 영향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회전자 온도의 변화를 전동기 제어 시 반영하기 위해 전동기 파라미터에 대한 추정이 필요함을 밝혔다. 전동기 파라미터를 온라인 추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파라미터 추정기 간의 연관관계를 고려해 추정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 파라미터 추정기의 성능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추정된 파라미터 정보를 활용하여 회전자 온도 변화를 반영하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최대 출력 제어에 기반을 둔 토크 보상 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토크 보상 제어기법에 대해 750W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PMSM)의 다이나모 세트에서의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실험 대상 전동기의 회전자 온도를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상승시켜 가며 회전자 온도를 변화시켰을 때, 전동기의 특성이 제안된 토크 제어기법을 통해 보상됨을 확인하였다.

      •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북큐레이션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경기도 A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북큐레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진로교육을 자료탐색과 독서와 연계하여 진로독서 북큐레이션 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내용을 구성하였다. 진로의 주제와 필요한 독서 과정을 자기주도적으로 원하는 관심 주제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진로의 주제와 방향을 정하고 그에 따른 독서와 정보탐색을 통해 논제서술문을 작성하였다. 학생들이 진로 주제를 설정하고 도서관 주제 서가와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를 다루는 정보문해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진로를 인지하고 직업태도와 관련한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하여 집단을 나누어 수업을 진행하고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들이 정보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에 대한 스스로 가지는 신뢰, 자신감, 적성 및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는 능력과 태도를 파악하고 검사의 각 문항그룹별 변수가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교육과 활동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해 집단 간 차이를 주는지, 프로그램이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전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해 사전동질성 검사를 실행한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기존의 독서기록활동을 유지했던 집단은 정보문해 자기효능감 및 그 하위영영에 대해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기존의 독서기록활동을 유지했던 집단은 진로성숙도 및 그 하위영역에 대해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그 하위영역인 정보필요인식, 정보검색실행과 이용, 정보원의 이해와 평가, 정보의 해석과 활용, 정보전달, 정보탐색 과정의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 실시 여부에 따른 집단별 사후 검사를 살펴보면 정보검색과 이용, 이해와 평가, 해석·통합·활용, 정보전달 영역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북큐레이션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 영역인 진로 계획성, 자기이해, 진로 독립성, 직업 태도, 진로정보탐색, 합리적 진로 의사결정, 희망직업 지식과 진로탐색 준비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 실시 여부에 따른 집단별 사후 검사를 살펴보면 진로계획성,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진로정보탐색 영역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학교도서관 자료를 기반으로 실시한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북큐레이션 프로그램의 교육 및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정보문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of school librarie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y can cultivate the qualities of professionals who contribute to society with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ability to cultivate autonomy and self-reliance that will becom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uture society, create new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areer book curation program based on school library data to explore career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school library materials and reading, and to have career ability through career design and activities. Also, the purpose of the school library career book curation program was to analyze whether the information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lf-efficacy for information and career maturity. The school library classes were organized for high school students in a period of specific search and decision-making their careers by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topics, selecting and developing topics, accessing and exploring career informatio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writing. Through activities to find, select, re-organize, express, and share books and information sources under the theme of the career path, I expected to develop self-directed and self-selective reading skills, enhance career knowledge through search and browsing of materials, and enhance career awareness and attitude by designing career paths. In addition, it was designed to develop the ability of reading, interpret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by organizing materials, expressing them in presentations and writing, selecting and recommending career-themed books, and sharing opinions with classmat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career book curation program, 5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25 students in groups of experiments and control groups, and pre-post-inspections were conducted on self-efficacy for information and career maturity through information inquiry. School library career book curation classe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Big 6 Skills Information Problem Solving Model developed by Eisenberg and Berkowitz and Bloom's cognitive area step model and proceeded in the 10th r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variables set were analyzed in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library career book cur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for information literacy. Second, the school library career book curation program in the librar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regional variables of self-efficacy for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sub-regional variables of career maturity has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u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cales. Four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ender, grade, and family have been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ower area variables of the two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verified whether the school library career book curation program in the school library affects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for information literacy and career matur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prosecutors' sub-regional variabl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programmed or not. Based on this study, it is desirable to develop a school library education program that can support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development and provide it in the field.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산화물계 음극 소재 개발 및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조수연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Solid oxide fuel cells (SOFCs) are highly promising energy conversion devices that can directly convert chemical energy in a fuel to electrical energy. Because they have numerous advantages, such as high conversion efficiency, low pollutant output, and great fuel flexibility, SOFCs have been considered as next-generation clean energy generators. The-state-of-art SOFC anode materials are the Ni-electrolyte cermets, which offer exceellent electrocatalytic properties of fuel oxidation and good currrent collection. However, such cermets present some disadvantages related to the low tolerance to carbon under hydrocarbon fuelling. In addition, Ni-based anode suffer from instability upon redox cycling due to the volume expansion of the anode by the Ni oxidation to NiO. This drawback significantly reduces the lifetime of SOFCs. To overcome these drawbacks of Ni-cermets, we investigate Ni-free oxide materials as alternative anodes. In particular, Lanthanum chromite (LaCrO3) materials have shown high tolerance for carbon deposition and catalytic activity for methane oxidation. In addition, La0.75Sr0.25Cr0.5Mn0.5O3-δ (LSCM) exhibits a stable performance under redox cycling conditions. Thus, we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LSCM as an anode materials for SOFCs.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LSCM, LSCM is composited with NDC. The anode supported cell with LSCM-40NDC anode achieved a maximum power density was 127 mW cm-2 at 650℃. La-doped SrTiO3 (LST) has strong chemical stability in both oxidizing and reducing conditions as well as high resistance against carbon coking and sulfur poisoning. Furthermore, LST exhibits good electronic conductivity in reducing atmospheres, because titanium is easily reduced from Ti4+ to Ti3+. However, these materials still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insufficient ionic conductivity and low catalytic activity. In this study, Nd0.1Ce0.9O2-δ (NDC) is thus incorporated into LST to form composite anode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ST anode on performances and stability, the weight ratio of LST and NDC is varied (7:3, 6:4 and 5:5). In addition, single cell performances in H2 atmosphere with anodic polarization resistance are measured at 650℃.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a single cell using LST-30NDC anode was 143 mW cm-2,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previously reported results. However, the LSCM-40NDC and LST-30NDC anode showed relatively low porosity for the gas phase diffusion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Future work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rosity of the composite anode through the use of pore-formers, thus resulting in improved performances. Barium titanate (BaTiO3) material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SOFC anodes, because they exhibit high tolerance for carbon deposition and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in H2 atmospheres. Futhermore, BaTiO3 exhibits a stable performance under redox cycling condi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barium titanate, A-site (A=La, Nd and Sm) or B-site (B=Cr, Fe and Ni) doped in BaTiO3. When Lanthanum 10 mol% doped BaTiO3, they have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other rare earth elements doped BaTiO3. Futhermore, we improve properties of anode of B-site by substituting. In other words, in various doped transition metal,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anode improved when 8 mol% Chromium is used as substitutional materials because this help to improve free electron concentration than titanium content. In the present work, A-site doped La 10 mol% and B-site doped Cr 8 mol% in BaTiO3 were introduced to be anodes of SOFCs. La0.1Ba0.9Ti0.92Cr0.08O3-δ anode exhibits superio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at of BaTiO3 and good chemical stability of La0.1Ba0.9Ti0.92Cr0.08O3-δ with YSZ electrolyte. The performance of YSZ electrolyte (300 ㎛ thickness) supported single cells was tested with La0.1Ba0.9Ti0.92Cr0.08O3-δ anode and NBSCF as cathode. The maximum power densities produced by the cells are 72, 111 and 151 mW cm-2 at 700, 7550 and 800℃, respectively. La0.1Ba0.9Ti0.92Cr0.08O3-δ anode is one of the excellent candidates to substitute Ni-based cermets for SOFCs, because they hav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n reducing atmospheres and good stability under redox cycling conditions. Further improvements on performances and stability are necessary through the optimization of production process.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lid oxide fuel cell)는 공급되는 연료가 지니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일종의 에너지 변환 장치이다. SOFC는 다른 발전시스템에 비하여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보일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연료사용이 가능하며 공해 물질의 배출이 거의 없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SOFC 연료극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Ni-cermet이 가진 탄소침적 또는 황 피독과 같은 열화요인으로 인한 급격한 성능저하는 상용화에 치명적인 단점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니켈 산화물이 반복적인 산화·환원분위기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연료극의 수축·팽창은 지지체의 물리적 파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 Ni-cermet의 대체 연료극 소재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이로 인하여 최근 니켈이 포함되지 않은 산화물계 연료극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화물계 연료극 소재 중 Perovskite 구조 기반의 소재를 탐색한 뒤, 연료극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통하여 고신뢰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확보를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La0.75Sr0.25Cr0.5Mn0.5O3-δ (LSCM)은 산화·환원 분위기에서 우수한 안정성 및 높은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주목받고 있는 산화물 음극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LSCM과 이온 전도도가 높은 전해질 재료 Nd-doped Ceria (NDC)를 혼합하여 LSCM의 낮은 이온전도도를 보강하고 전해질과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연료극 지지체 기반의 단위전지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혼합되는 NDC의 비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율로 LSCM과 혼합한 이후, 대칭형 단전지를 제작하여 연료극 소재의 분극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SCM-NDC (60:40 wt.%)의 저항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LSCM-40NDC를 이용하여 연료극 지지체 기반의 단위전지를 제작하였으며, 준비한 단위전지를 3% H2O를 포함한 수소 연료 분위기에서 출력 특성 및 임피던스를 측정하였으며, 650 ℃에서 최대출력밀도는 127 ㎽/㎠의 매우 우수한 값을 보였다. La-doped SrTiO3 (LST)는 탄소침적에 대한 높은 저항성과 환원분위기에서 높은 전자 전도도를 보이기 때문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소재로써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연료극의 이온 전도도 및 촉매 활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Nd-doped Ceria (NDC)를 다양한 비율로 LST와 혼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LST-xNDC 혼합연료극 잉크를 준비한 뒤 전해질 양단에 도포하여 대칭형 단전지를 제작하였다. 해당 시편을 이용하여 연료극의 분극저항을 측정하였으며, LST-30NDC의 저항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LST-30NDC를 연료극으로 이용한 연료극 지지형 단위전지를 제작하였고, 650 ℃의 수소 연료 분위기에서 143 ㎽/㎠의 매우 우수한 최대출력밀도 값을 보였다. 그러나 LSCM과 LST 연료극을 기존의 Ni-cermet 연료극 기반의 단위전지와 비교하였을 때, 높은 전자전도도 특성에 비하여 낮은 출력밀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SEM 분석을 통하여 연료극 층의 불충분한 기공도로 인하여 연료의 이동이 제한적이었을 것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료극 지지체 제작 공정 최적화를 통하여 단위전지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Barium titanate (BaTiO3) 소재는 탄소침적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보일뿐 아니라, 낮은 산소분압 조건에서 높은 전자 전도성을 보여 차세대 산화물계 연료극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소재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으로 적용시키기 위하여 반복적인 산화·환원 분위기에 노출시키는 가속열화실험을 통해 Ni-cermet 연료극과 다르게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aTiO3의 연료극 성능 향상을 위하여 A-site에 란탄계열 원소를 소량 치환하여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원소들 중 Lathanum 10 mol% 치환한 BaTiO3이 가장 높은 전자 전도성을 가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더하여 B-site에 전이금속을 치환함으로써 연료극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다양한 전이금속들 중에서 Titanium보다 원자가 수가 높은 Chromium을 8 mol% 치환하였을 때, 잉여전자의 농도가 증가하여 전체 연료극의 전자 전도성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BaTiO3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기 위하여 A-와 B-site에 치환하여 가장 우수한 특성을 보인 Lanthnum 10 mol%와 Chromium 8 mol%를 동시에 치환하여 La0.1Ba0.9Ti0.92Cr0.08O3-δ를 제작하여 월등히 향상된 전자 전도도 결과를 얻었다. 해당 물질을 단위전지에 적용하기 위하여 전해질 물질과의 화학적 호환성 실험을 통하여, YSZ 전해질을 이용한 단위전지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La0.1Ba0.9Ti0.92Cr0.08O3-δ를 연료극으로 이용한 전해질 지지형 단위전지를 수소분위기에서 출력 특성 및 임피던스를 측정하였으며, 700 – 800℃에서 각각 72, 111 그리고 151 ㎽/㎠의 매우 우수한 최대출력밀도 값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La0.1Ba0.9Ti0.92Cr0.08O3-δ 연료극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차세대 연료극 소재로써 높은 전자전도성과 산화·환원 분위기에 대한 안정성을 갖춘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 공정 최적화를 통하여 높은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덕성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 on 5-year-old infant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I would like to fin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effectively lead children's empathy and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1. What effect does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have on children's empathy ability? 2. How does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ffect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50 children, 25 of whom were 5 - year - old children, who were in P kindergarten in Ilsan, Goyang, Gyeonggi - do.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empathy education using the picture book including the sub - elements of empathy was performed 14 times in total for 2 times a week for 7 weeks.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carry out the empathy education and the picture book I read only.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we used the tools of(2002) who modified the tools produced by Yeon, Jin-Young(1987) with reference to the tools produced by Bryant(1982) four tools of emotional intelligence (Mayer and Salovey, 1997) were used. And Eun - Soo Lee (1999) based on the 16 elements of the lower 4 levels of each doma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 18.0, and the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post 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 's empathy abilit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empathy education group. As for the sub-factors of empathy, 'joy' and 'sadnes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nxiety' and 'mental burden'. Second, the effects of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empathy education group. In terms of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verage score tha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otional thinking facilitation', 'emotional knowledge utilization', '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has a positive effect on infant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can be provid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children 's empath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만 5세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발달을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에 위치한 P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각각 25명씩 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공감의 하위요소가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을 7주 동안 주 2회씩 총 14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공감교육은 실시하지 않고 대집단활동시간에 공감의 하위요소가 포함된 그림책만 읽어주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ryant(1982)가 제작한 도구를 참고하여 연진영(1987)이 다시 제작한 도구를 유아에게 맞게 수정한 최수랑(2002)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Mayer와 Salovey(1997) 정서지능의 4개 영역과 각 영역의 하위 4수준의 16개 요소에 기초하여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1999)가 개발한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용 정서 지능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8.0을 이용하여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있어 두 집단 간의 차이 분석을 위해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간의 차이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공감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공감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공감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자면, ‘기쁨’, ‘슬픔’ 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 과 ‘심적부담’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공감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공감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정서지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자면 ‘정서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정서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한국과 일본의 온천요법 비교

        조수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은 ‘온천대국’ 일본과 비교하여, 온천지의 숫자, 온천 용출량, 온천시설 등이 미비하다고 하더라도, 일본에 뒤지지 않는 온천의 탕치, 온천요법 등에 관한 내용을 갖고 있다. 일본보다 더 심각하고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우리에게, 일본의 온천요법과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노력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급증하는 노인 의료비의 문제를 포함하여, 초고령화사회의 사안에 대한 해결방안이 제대로 제시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의 미래에 심각한 사태가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은 단순한 미래예측이 아닌 현실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의 해결방안으로서 온천요법을 적극 활용하는 온천요양시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국가연구기관에서는 온천요법을 활용한 ‘탕치’(湯治)에 대한 연구와 조사, 온천요법의· 온천이용지도사와 같은 제도의 정비, 국민건강보험과의 연계 방안의 검토 등이 시행되어야 한다. 민족전통의학으로 인정받고 있는 한의학과 온천요법의 연계는 현대 서양의학이 안고 있는 약물 오남용, 의료비 상승의 의료적 시스템의 극복과 나아가 예방의학과 만성퇴행성 질환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귀중한 자원인 온천이 온천요법과 보양온천으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온천요법의 의학적, 과학적 기능과 치료의 적용 범위를 한의학과 연계하는차원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In the unity of private, government, and academic sectors, Japan is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national health by using the balneotherapy, which might be the best way for super-aged Japan to aim for. In the actual results of a research, there were remarkabl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medical expenses. Moreover, on top of the financial stabiliz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by the reduced medical expenses, it also had invisible effects such as mental, social, and cultural support. According to a report on「A study on the role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hot springs under the health &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re were lots of positive effects such as prevention/consultation of diseases, use of hot spring facilities as a place for social gathering, acceleration of going out of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and expansion of exchanges with community residents by using the balneotherapy through the connection with health projects and local public health centers. It was very rare to find a case of using famous hot spring tourist sites as balneotherapy in Japan. Even though such well-known hot spring sites of Japan could create economic effects like tourism revenue, they do not really contribute to the national health focusing on local residents. Compared to Japan with lots of hot springs, the number of hot spring sites, yield of hot spring water, and hot spring facilities might be imperfect in Korea. However, Korea has the unsurpassed history about hot spring cure and balneotherapy. Despite the small number of it, there are hot springs in various places of the whole nation. Considering this, Japan’s effort for balneotherapy and enhancement of national health implies a lot to Korea that is entering the super-aged society more seriously and quickly than Japan. For the traditional balneotherapy, the hot spring cure for seven days needs to be extended to 14 days(2 weeks). In modern society, the effects could be expected through the balneotherapy for seven days at least. In other words, the day trip or overnight trip to hot spring sites can only expect the effect of taking a bath, which is far from balneotherapy. As the solution measures for enhancing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n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hot spring recuperation facilities actively using the balneotherapy. Also, the research institutions would need to study and research the hot spring cure using the balneotherapy while the government needs to repair the system like balneotherapist and hot spring use instructor, and also to review the measures for connecting it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connection between balneotherapy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which the authenticity is recognized as the historically-traditional medicine, could largely contribute to the drug abuse of modern western medicine, medical system with the increased medical expenses, preventive medicine, and treatment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the rapidly-increasing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the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elderly by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for the Elderly took effect from July 2008. In the circumstance without any solution measures for the super-aged society, it is pretty obvious to tell that our future could face with serious problems. The use of hot springs in Korea is limited to the functions of washing off the dirt, entertainment, and taking a bath focusing on one-day users.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hot springs as precious resources for balneotherapy and recuperation hot springs, it would be necessary to research the range of treatment application and medical/scientific functions of balneotherapy in the level of connecting it to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옴니채널경험이 쇼핑의도와 상품리뷰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out the revolution of the retail industry. The COVID-19 pandemic also has caused significant changes to shopping patterns. In addition, the advent of the Internet, mobile and social media has interconnected multiple data sets in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causing an innovation in consumers’ retail experience. While many retailers have put forth efforts to develop omni channel strategies for the past years, the spread of COVID-19 has caused a threat to the traditional shopping system. Besides, as untact consumption increases, the distribution industry has put forth more efforts into establishing omni channel environments.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n omni channel shopping intentions and product review intentions among consumers with experience of using an omni channel in consideration of omni channel characteristics, customer experie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etworking according to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t is expected that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se of omni channels. There are summary and preview point about the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below. First, it turned out that omni channel characteristics positively affected the perceived compatibility of consumers regarding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This means that consumers using an omni channel would highly regard the compatibility between online and offline means if the omni channel is immediately accessible, offer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responds promptly to customer needs. Second, it turned out that omni channe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ceived risks regarding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This means that when the convenience of using an omni channel is improved, risks of an omni channel can be reduced. Third, it turned out that customer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ceived compatibility of consumers regarding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In other words, customer experience of an improved shopping process via an omni channel contributes positively to the perceived compatibility. Fourth, it turned out that customer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ceived risks regarding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perceived risks by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to consumers who recognize the uncertainty of an omni channel as risks so that the reliability of such services is improved. Fifth, it turned out that network effec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ceived compatibility of consumers regarding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Consumers using an omni channel would respond positively to an omni channel if acquaintances often use an omni channel or if they learn about a highly recognizable omni channel. Sixth, it turned out that network effec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ceived risks among consumers regarding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In other words, the perceived risks of omni channels among users decrease if the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omni channels are improved. Seventh, it turned out that the perceived compatibility of shopping omni channels among consum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ntion of omni channel shopping. In other words, if the use of an omni channel is not inconvenient compared to other past shopping experiences or rather recognized as favorable, and if the shopping experience is compatible with their past shopping experience and preference, the possibility of habitually using an omni channel increases. Eighth, it turned out that the perceived risks of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among consum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of omni channel shopping. This means that even if consumers using an omni channel highly recognize the risks, the intention of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does not decrease. This finding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because, as people use online shopping and mobile shopping more often due to the limited offline shopping under the restriction of social distancing in the COVID-19 pandemic, consumers do not regard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as involving risks. Ninth, it turned out that the intention of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affected the intention of product review. Shoppers using an omni channel are more likely to leave a product review. In previous studies, it was recognized that perceived risks affected the intention of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whil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opposite result. This is probably because consumers accept the risks of shopping via on omni channel since omni channels are more commonly used and offline shops are closed or open for less hour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order to promote the wide spread of omni channels, therefore, efforts need to be put forth to raise the awareness that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is a wise choice 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consistency between distribution channels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mobile payment that are recognized as risk factors of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Fifth, it turned out that the intention of shopping via an omni channel affected the intention of product review. The study results show that omni channel retailers should provide smooth omni channel shopping experiences to obtain positive product reviews, which induce customers’ trust and loyalty, or in purchases and post-purchase steps. 정보통신의 발전은 리테일 산업의 혁명을 가져왔으며, 최근의 코로나펜더믹은 쇼핑형태(pattern)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인터넷, 모바일 및 소셜미디어의 출현은 다양한 유통경로에서의 여러 정보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소매경험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옴니채널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더 많은 소매업체가 노력하고 있으며, 코로나19의 확산은 전통적인 쇼핑체계에 위협을 초래하였다. 그로 인한 비대면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 유통업계는 옴니채널 환경구축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환경 속에서 혁신확산이론을 중심으로 옴니채널의 특성, 고객경험, 환경적 특성요인 중 네트워크효과가 옴니채널쇼핑의도와 상품리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옴니채널 사용경험이 있는 20세에서 60세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494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한 설문 26부를 제외한 46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과 AMOS 22.0을 사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Cronbach’s 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옴니채널 특성은 옴니채널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호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옴니채널을 이용하면서 즉시 접속이 가능하고 다양한 정보제공이 가능하며 고객 요구를 신속하게 대응해 준다고 느끼면, 온라인 오프라인 간에 호환성이 높게 지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옴니채널 특성은 옴니채널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 감소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옴니채널을 이용 옴니채널의 쇼핑의도가 높아지다는 것이 검증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선행연구와 다른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COVID-19 팬더믹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오프라인 쇼핑 제약에 따라 온라인 쇼핑 및 모바일 쇼핑을 자주 사용함으로 인해 옴니채널쇼핑을 할 때 위험으로 크게 인식하지 않은 사람이 상당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아홉 번째, 옴니채널쇼핑의도는 상품리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옴니채널방식 사용하여 쇼핑한 소비자는 상품리뷰를 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과 학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 시사점이다. 첫 번째, 혁신확산이론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주로 챗봇서비스 도입 및 지속사용의도, 그리고 O2O 환경에서의 서비스품질과 기술수용에 관련된 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옴니채널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혁신확산이론에 대한 외적 측면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두 번째, 옴니채널 관련된 선행연구는 주로 실무적 측면에서 옴니채널의 필요성, 전략적 필요성 등에 대한 이론적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옴니채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통해 옴니채널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증적 의미를 가진다. 세 번째, 옴니채널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옴니채널 특성, 고객경험, 네트워크효과 등을 함께 고려하여 한다는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옴니채널 특성은 지각된 호환성과 지각된 위험 감소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옴니채널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해서 여전히 소비자들은 기존의 구매방식과 비교하여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지각하고 있으므로 옴니채널을 이용할 때 소비자들과 옴니채널 소매업체 간 상호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고객경험은 지각된 호환성과 지각된 위험 감소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옴니채널을 쇼핑허는 소비자가 채널을 선택함에 있어 자신의 습관이나 선호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옴니채널을 운영하는 소매업체는 소비자가 구매과정에서 유통경로의 유연성과 일관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네트워크효과는 지각된 호환성과 지각된 위험 감소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옴니채널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할수록 더 좋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또 다른 사용자를 불러들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 지각된 호환성은 고객이 가지는 습관, 신념, 경험이 이전 및 현재에 경험과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지각된 호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옴니채널쇼핑 소비자들에게 쇼핑경험을 제공(예:VR 체험, 메타버스 등)할 수 있도록 소매업체들의 여러 지원이 필요하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지각된 위험 감소수준이 옴니채널쇼핑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인해 옴니채널에 대한 이용이 늘어나고, 코로나 확산으로 오프라인 점포들의 운영시간 축소 및 패쇄 등으로 옴니채널쇼핑에 대한 위험을 수용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옴니채널 확산을 촉진시기키 위해서는 옴니채널쇼핑의 위험으로 인식되는 개인정보, 모바일 결재, 유통경로간의 일관성 및 편리성을 강화하여 옴니채널쇼핑을 현명한 선택으로 인식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다섯 번째, 옴니채널쇼핑의도는 상품리뷰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옴니채널 소매업체는 고객의 신뢰와 충성도를 구축할 수 있는 상품리뷰를 얻기 위해 구매 또는 구매 후 단계로 전환될 때 원활한 옴니채널쇼핑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와 문학 과제활동 분석 연구 - 문학 문식성을 중심으로 -

        조수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의 문학 텍스트와 문학 과제활동을 분석하고 문학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과제활동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학 텍스트를 유형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둘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학 과제활동을 목적별, 유형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셋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된 문학 과제활동 중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과제활동은 무엇이 있는지 그 예를 통해 살펴본다. 연구 문제를 밝히기 위해 분석 대상으로 세 개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출판된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 6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문학 텍스트의 유형별 분석 기준과 문학 과제활동의 목적별, 유형별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문학 텍스트는 문학적 텍스트와 문학 작품으로 나눈 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문학 과제활동의 목적별 분류는 한국어문학교육의 네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의사소통 능력 신장, 상호문화적 태도 함양, 문학능력 향상 그리고 개인의 성장으로 분류하였다. 문학 과제활동의 유형별 분류는 8가지의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한 문학 문식성의 개념과 내용을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의 구성 요인을 상호문화적 태도, 문학능력 그리고 개인의 성장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과제활동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문학 과제활동의 세 가지 유형 <유형6: 창작>, <유형7: 개작> 그리고 <유형8: 추론>을 중심으로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된 문학 과제활동 중 문학 문식성 교육을 위한 과제활동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는 문학 작품이 문학적 텍스트보다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특히 수필, 시, 소설 유형의 텍스트가 가장 높은 빈도로 수록되어 있었으며 전체 문학 텍스트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기행문, 전기문, 감상문 등과 같은 문학적 텍스트는 자기성찰적인 정서 표현의 글로 그 필요성이 뚜렷함에도 적게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문학 과제활동의 목적별 분류에서 ‘개인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 과제활동이 절반에 해당하는 비율로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유형별 과제활동 분류에서는 <유형5: 개인적 반응>이 가장 빈번하게 수록되어 있었다. 이는 같은 맥락의 결과로 단순 말하기 활동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었다. 반면 학습자의 경험과 정서를 바탕으로 심화된 문학적 표현을 요구하는 과제활동은 비중이 적었다. 셋째,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문학 과제활동 중 <유형6: 창작> 과제활동으로는 ‘수필 쓰기’, ‘기행문 쓰기’ 등이 있었다. <유형7: 개작> 과제활동으로는 ‘모방시 쓰기’, ‘극본 쓰기’, ‘역할극 하기’ 등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유형8: 추론> 과제활동으로는 ‘결말 예측하기’가 수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네 가지 한국어문학교육의 목표를 뚜렷하게 달성하고 있는 과제활동은 적었으며 특히 <유형8: 추론> 과제활동은 한 가지의 활동만이 제시되고 있어 그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의 문학 텍스트와 문학 과제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문학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몇 가지 개선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문학 문식성의 구성 요소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과제활동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세 기관의 교재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 학습 전과 학습 후의 단순 학습활동을 분석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terature text and literature task activities of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as well as to suggest what task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ry literac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o analyze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focusing on literary literacy. First is to examine the type of literature text presented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Second is to examine literature task activities presented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by purpose and type. Third is to suggest examples of literature task activities that are effective in developing literay literac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 six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published by thre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for analysis. Nex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criteria for literature text type analysis as well as criteria for literature task activity analysis by purpose and type were set. Literature texts were classified by type after being divided into literary texts and literature works. The classification of literary task activities by purpose was classified focusing on the four goal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hich are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developing intercultural attitude, improving literary ability and individual growth. Classification by type of literary task activity was based on eight criteria. In addition, based on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literary literacy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constituent factors of literary literacy were summarized into intercultural attitude, literary ability, and individual growth. Based on the constituent factors,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task activities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ry literacy were established. Focusing on <Type 6: Creation>, <Type 7: Adaption>, and <Type 8: Inference> task activities, examples of task activities for literary literacy education included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were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literature text as a literature work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literature text as a literary text. In particular, essays, poems, and novels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accounted for half of all literarture texts. On the other hand, literary texts such as travel journals, biographies, and book or film reports were less included, even though the need for writing reflective emotional expressions was clear. Second, in the classification of literary task activities by purpose, literary task activities aimed at 'individual growth' we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of task activities by type, <Type 5: Personal Reaction> was most frequently included. These two results were because the proportion of simple speaking activities was large. On the other hand, intensified task activities that require literary expressions based on learners' experiences and emotions were less emphasized. Third, among the literary task activities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ry literacy, <Type 6: Creation> task activities included 'writing an essay' and 'writing a travel journal'. <Type 7: Adaption> task activities included 'writing an imitation poem', 'writing a script', and 'role-playing', while <Type 8: Inference> task activities included 'predicting the ending'. However, there were few task activities that clearly achieved the four goals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education. Moreover, only one kind of activity was presented as the task activity of <Type 8: Inference> so its diversity was insufficient. By analyzing the literature text and literature task activities of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as manifested and some improvement points were found.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literary literacy were presented and accordingly, examples of task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literary literacy education were suggested. This approach, however, has limitations sin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ly on the textbooks of three institutions. Another drawback of this study is that simple pre-reading activities and after-reading activities were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