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순조대 궁중연향 복식에 관한 연구

        조미라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조선왕조는 창업 초기에 채택한 抑佛崇儒라는 국가 이념에서 보듯이 유교를 治國의 根本으로 표방하였다. 儒敎理念에 입각한 禮治主義는 나라의 정치·사회·문화 등 모든 방면에서 수호해야 하는 절대적 표준이었다. 禮와 樂은 왕권을 강화하고 조종의 권위를 앞세우는데 합당한 지배논리로 수용되어 조선 문화 전반을 지배하는 중요한 문화담론으로 이어졌다. 조선조 왕궁문화의 주류였던 정재 역시 왕실의 권위와 규범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정재를 수반한 궁중연향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예악사상 표방의 대표적인 근거로 인식되었다. 또한 궁중연향은 나라를 지배하는 통치 집단인 君臣간, 또는 왕실 내부의 친목과 연대감 조성을 위한 목적에서 치루어 지는 것으로 조선 전기부터 매우 중요한 왕실의 행사였다. 궁중연향을 원활히 치루기 위하여 행정을 도맡아 처리하는 進宴都監을 비롯한 進宴廳을 설치하여 행사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관장하고 연향이 끝나면 곧 해체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궁중연향의 준비부터 진행과 종료 후 정리를 비롯하여 행사 전반의 내용을 기록하는 의궤의 편찬까지 도맡아하는 ‘儀軌廳’이 따로 설치되었다. 儀軌는 차후 거행되는 궁중 연향 준비에 유용한 안내서가 되었고, 또 행사와 관련하여 예기치 않은 논란이 제기될 경우 판단 기준이 되는 지침서 역할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춤과 관련하여 궁중연향에 공연된 정재의 종목과 女妓의 이름, 춤의 진행 순서 및 舞圖와 服飾, 儀物, 舞具 등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정재 사료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복식사 연구에 있어서 儀軌의 고찰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조선왕조 정재 역사 상 가장 많은 정재가 창작되고 이를 바탕으로 궁중정재의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는 純祖대의 연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정재 역사상 가장 많은 춤을 창작한 효명세자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춤의 창작 배경과 창작복식의 형태를 분석하여 현재 공연되고 있는 궁중 정재무복식에 있어서 좀더 고증에 충실한 복식을 제시하였다. 궁중정재에 대한 선행 연구는 劉頌玉의 ‘조선시대 의궤도의 복식 연구’에서 正祖 乙卯년의 整理儀軌를 중심으로 進宴시 복식을 연구하였으며,金京實은 ‘조선왕조 궁중진연의궤’에 나타난 복식의 조형미에서 현존하는 進宴儀軌를 바탕으로 조선의 전반적인 進宴시 복식을 고찰하고 考證 · 製作하였다. 또한, 이 밖에도 궁중정재의 역사와 禮樂사상에 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왕조 정재 역사상 가장 섬세하고 많은 정재가 창작되고 궁중정재의 기틀을 확고하게 한 효명세자의 창작 정재복식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보고 현재 공연되고 있는 정재의 복식사적 고증을 통하여 정확하고 다양한 복식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 교사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조미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재량활동이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에서 그 의도를 어떻게 파악하고 편성하고 있는지를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학교 현장(교사수준)에서 시행되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실태조사를 통해 편성의도와의 차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의도와 운영지침은 무엇인가? 둘째, 지역교육청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은 무엇인가? 셋째, 학교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은 어떻게 편성·운영되고 있는가? (연구·우수·일반학교 각 4개교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운영 계획 비교) 넷째, 교사수준의 재량활동 운영은 어떻게 되고 있는가? 다섯째, 각 수준별 재량활동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으며, 편성의도와 실제와의 차이(gap)는 무엇인가? 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효율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문서분석과 면담을 주된 방법으로 하여 관찰과 공문분석을 병행하였다. 학교교육과정 우수학교의 교원 10명과 일반학교의 교원 25명 등 총 3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면담은, 면담지를 이용한 '반구조적'방법을 기조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비구조적'인 방법도 활용되었다. 선행연구의 고찰과 각 수준별 재량활동 교육과정 문서의 분석을 통해 편성의도와 실제 사이의 차이를 밝힐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하여 각 의사결정주체 즉, 국가수준, 지역수준, 교사수준 별로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으며 의도와 실제와의 차이(문제점)가 있는가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전체적인 편성의도, 체제, 방법 등을 제시해주고 있다. 우리의 교육과정이 이론적 배경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집권적인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국가수준에서는 구체적인 실천 중심의 지침보다는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둘째, 지역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역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역시 국가수준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각 지역마다 비슷한 지침을 마련해 주는 수준이었다. 각 학교현장마다 사정이 다르므로 각각의 학교가 속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도 및 지역교육청의 뚜렷한 특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지침을 정해주어야 하는데 실제는 국가수준의 지침을 준수하는 면에서는 전 지역 공통이었지만, 지역의 특색이 드러난 구체적인 지침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수준에서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운영부분에서는 국가수준과 지역수준에서 각각 하달된 지침을 기초로 학교수준에 맞게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학교수준에서는 편성단계에서는 어느 정도 국가수준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지침과 지역수준에서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지침을 맹목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듯 거의 비슷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급기관의 교육과정 편성지침은 반영을 하고 있지만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의도 및 취지'와 비교하여 볼 때, '재량활동'이 포함하고 있는 함의는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즉, 상급기관의 지침 상으로는 운영위원회를 구성,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기초조사에 맞추어 학교실정에 맞게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으나 계획서 상으로는 이를 구성해 놓고 실질적으로는 이를 실행에 옮기고 있는 학교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조사시에도 학교의 입장을 대변해 주는 교장, 교감 등 관리자 계층뿐만 아니라, 부장급 교사, 일반 교사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생,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이에 맞추어 운영하여야 하나 실질적으로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처음의 의도대로 실행되지 못하는 원인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그리고 학교에서의 부장급 이상 교사들 중 학교교육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부의 의견을 수렴한 정도를 가지고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고 인식하는 관리자도 있었다. 이는 국가, 지역, 학교, 교사 수준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문제(차이점)가 단위 학교 내에서의 행정가, 담당 부장교사, 일반 교사 사이에도 있음을 여실히 드러내 주는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교사수준에서는 국가수준에서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하여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6차에서의 학교재량시간과의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조차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현실적으로는 학교가 일방적으로 정해놓은 계획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경우도 많았다. 넷째, 국가수준에서의 재량활동에 대한 개입이다. 본 연구에서도 검토되었지만 국가에서는 ICT 활용교육, 통일교육, 성교육 등의 일정한 주제를 하달하고 이를 재량활동시간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전국적으로 혹은 시·도 교육청 별로 특색 있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아닌, 공통적인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밖에 없는 이유라 할 수 있다. 진정한 재량활동 교육과정이라면 국가수준에서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재량활동의 본 취지대로 단위 학교, 학생, 교사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의도와 실제의 차이의 원인(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사의 인식의 부족이다. 재량활동에 대한 이해와 지도 기능, 시간의 부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재량활동 편성·운영에 있어서의 교육적 요구의 조정의 문제이다. 셋째, 교육과정 실시 기반의 미약으로 자율권의 보장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넷째, 학습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이다. 다섯째, 재량활동 내용상의 문제이다.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재량활동 평가에 있어서 평가방법의 비 다양성과 학력관의 개선의 요구이다.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효율화 방안'은 「재량활동의 인식」, 「재량활동의 편성·운영」, 「재량활동의 내용(프로그램)」, 「재량활동의 평가」의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범교과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창의성과 자율성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근본 취지를 강조하여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시도이다. 그 동안 '재량활동'이라는 개념이 표면화되지 않았을 뿐이지 교수요목기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에 내포되어 있었음은 교과와 특별활동 영역의 편제와 강조사항을 살펴볼 때 자명하다. 중앙집권적인 성격이 강한 교과중심 교육과정이나 아동의 흥미·체험·관심·요구를 중시하는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장점을 살리려는 의도가 '재량활동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장의 교육은 근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교과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 주기만 한다면 '재량활동'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고 본다. 교사 대부분은 '재량활동'을 하나의 교육과정 영역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또 다른 '교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교과나 특별활동과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의 표현이기도 하다. 모든 교육이 다 그러하겠지만 재량활동 교육과정이 근본 취지에 맞게 잘 시행되기 위해서는 그 누구보다도 일선 교사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새로운 교육방향을 따르지 않고 간과하는 것은 교사로서의 책무성은 망각한 채 자신의 안위를 위한 이기적인 주장에 불과하다. 시대의 흐름과 국가의 시책에 함께 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을 갖추는 것이 현재 우리 나라의 교육실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결국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 현장에서 교사집단에 의하여 편성·운영 방안과 문제점들이 폭넓고 심도 있게 논의되어 모든 것이 학교자체에서 해결해야 할 몫으로 남는 것이다, 교사들의 교육관, 교사 개인의 관심과 능력 등 단위학교가 가지고 있는 모든 교육적 역량을 어우를 수 있는 제도적 기회가 바로 재량활동이다. 용어 그대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부터 누가 어느 학년, 반을 가르칠 것인가에 이르는 문제까지 모두 학교와 교사의 재량이다. 결국 재량활동의 성패는 단위학교와 그 구성원인 교사집단의 재량에 달려 있다고 본다. 그러나,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의 재량활동 실행과정상에 드러난 의도와 실제의 차이를 중심으로 재량활동 전반에 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의 교육과정 편제상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으로 되어 있는 체제를, 교과 교육과정과 특별활동 교육과정과의 통합적 교육과정으로서 2원 체제로 다시 환원하여야 할 지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이 추구하고자하는 인간상의 검토, 교육과정의 관점 및 철학적 수준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확대 실시되고 있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근본 취지에 맞게 각 수준별로 잘 편성·운영하여 교육력을 신장시켜 교육의 위상을 높이고자 함에 본 연구자의 의도가 있다 하겠다. The reformed 7th Curriculum has expanded the latitude of choice in the domain of discretionary activity for schools and teachers to make use of the leaner-centered instruction activity programs. In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education, it is clearly expressed that a student-oriented curriculum is pursued to increase the autonomy and creativity. And then school discretionary activity of 6th curriculum was strengthened to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However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7th curriculum has not been effectively utilized in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points of differences among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regional level, school level, teacher level.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what is the purpose of composition and a guideline of management like tha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Secondly, what is like a guideline of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regional education agency? Thirdly, what is like that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school level? (the school of an investigation, the school of a excellence, the school of a common ; the comparison of each 4 the schools management plan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Fourthly, what is like that the management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teacher level? Fifthly, how is the practice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each level? And then, what is differences between the purpose of composition and a real condition? and, what is the effective method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xamined precedent studies which is related discretionary activity, and interviewed 35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ly,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lead to wholly picture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Secondly,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regional level is similar to national level. Thirdly,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school level should be specialized by situation of regional school. B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school level is similar to regional level. In organizing the curriculum of discretionary activity, great parts of schools were seemed to make use of the assigned hours, not in a creative and flexible way. Fourthly, effectiv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is disturbed by national level. Although the assigned hours are implemented mainly as a part of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there are also many schools, in which the hours in question are included in a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y. Discretionary activity time is compelled to use ICT practice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sex education, etc. by National level. Generally speaking, the implementation plans of discretionary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s have not taken satisfactorily into consideration the elements necessary to organize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It is necessary that of the basic argument about the reduction of a system of the subject curriculum,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nd the special activity curriculum and of a duality system that the integration curriculum of the subject curriculum and the special activity curriculum. As it is called, it is necessary that an investigation of a human being's a conception,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and a philosophic level. Through this studies, it is identified that improve the ststus of education as upgrade power of education ;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at explore and operation to the 7th curriculum is corresponded with basic purpose as composition and management.

      • 자색당근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조미라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를 추정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자색당근 분말을 0%, 5%, 10%,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다음 반죽의 밀도, 반죽의 pH, 수분함량, 경도,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 색도, 총 폴리페놀 함량, 기호도조사,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반죽의 밀도와 pH는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함량은 자색당근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자색당근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퍼짐성은 자색당근 분말을 첨가할수록 대체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손실률은 대조군이 첨가군 보다 높은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팽창률은 첨가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색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자색당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자색당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10% 첨가군과 15% 첨가군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자색당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otal polyphenol 함량은 24~103.5 mg GAE/100 g의 범위로 자색당근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9.11~88.79%의 범위로 자색당근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조사 결과 색은 대조군, 10% 첨가군 및 15% 첨가군이 유의적인 차이 없이 5점 이상의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냄새,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는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대부분 5점 이상의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색당근 분말을 15%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하여도 기호도면과 기능적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prepared with black carrot powder (0%, 5%, 10%, 15%). The density and pH of cookie dough, moisture content, hardness, spread factor, loss rate, leavening rate, Hunter's color valu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were evaluated. The density and pH of cookie doug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s and the added group.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okies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s and it became increased as the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The hardness increased as the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The spread factor decreased as the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The loss r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s and the added group. The leavening rat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5% and 10% and 15% added group. The lightness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s and it became decreased as the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The redness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s and it became increased as the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The yellowness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s and it became decreased as the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0% and 15% added group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ition of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measur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ecame higher as the black carrot powder increased. The result of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there was the lowest in the 5% added group in colo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s and the added group in smell,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 초등학생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또래관계, 자존감의 차이 분석

        조미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처럼 예쁜 얼굴, 날씬한 몸매, 매력적인 외모를 강조하는 사회․문화 풍토에서는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또래관계, 자존감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이끌어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에 따라 또래관계와 자기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라 또래관계와 자기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 자기존중감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남양주시 동부지역 소재 1개 초등학교 5학년 32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지도교수의 지도 조언을 받아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하였다. 이후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또래관계, 자기존중감의 측정 도구로 조사하였다. 본 검사는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의 질문지를 제외한 212명의 자료로 통계처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외모만족도 수준과 또래관계 및 자기존중감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남녀의 외모만족도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와 자기존중감은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 및 자기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영역의 하위변인을 나누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하위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에 따라 또래관계와 자기존중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모만족도에 따른 또래관계 차이의 분산분석 결과 또래관계의 요인 중 도움, 배타성, 인정, 자기표현, 또래관계 전체는 외모만족도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갈등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외모만족도에 따른 자기존중감 차이의 분산분석 결과 자기존중감의 요인 중 일반적 자기존중감, 가정적 자기존중감, 사회적 자기존중감, 자기존중감 전체는 외모만족도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교 자기존중감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라 또래관계와 자기존중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와 남녀 외모만족도에 따른 자기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녀(성별)와 외모만족도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 자기존중감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의 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외모만족도는 또래관계의 요인 중 도움, 배타성, 인정, 자기표현, 갈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관계의 요인 중 인정 요인이 외모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갈등 요인은 외모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모만족도와 자기존중감의 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외모만족도는 자기존중감의 요인 중 일반적 자기존중감, 가정적 자기존중감, 사회적 자기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학교 자기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속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만족도에 대해 초, 중, 고 학교급간의 차이에 관련된 연구를 실시한다면 학생에 대한 이해와 학생 상담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배경변인으로 성별과 5학년만을 다루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외모만족도 형성의 중요 요인인 아동의 가정환경, 지역, 부모, 교사, 대중매체에 따른 관계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아동의 자기보고식 측정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아동이 자신이 검사에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하면, 그 인식 때문에 변수가 생길 수 있으므로 부모, 교사, 아동 자신의 지각을 종합한 검사를 실시한다면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will increasingly influence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since our society today has social, cultural environment, intensifying pretty face, slim shape, attractive appear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based on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econ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based on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Third, Second,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based on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To identify these research questions, 32 students of 5th grade, located in the city of Namyangju,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pilot test. And then,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to meet the level of elementary 5th grade by the help of academic advisor and colleagues. Afterwards, appearance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targeting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212 students' data, except insincer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see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appearance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And then, two-way ANOVA was operat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Lastly,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ubordinate factors. Lastly,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ubordinat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based on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eer relationship based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help, exclusiveness, recognition, self-expression which were the factors of peer relationshi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onflict'.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elf-esteem relationship based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general self-esteem, home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total self-esteem which were the factors of self-esteem,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chool self-esteem. Second,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based on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no meaning statistically.Third,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appearance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help, exclusiveness, recognition, self-expression, conflict which were the factors of peer relationship. In the factors of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had highest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conflict and appearance satisfaction was not high. And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general self-esteem, home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on the contrary, no statistical meaning with school self-esteem.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for figuring out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will provide the tru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basic data for consultation. Second, this study dealt with sex and 5th grade for students' background, therefore, future study ne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ased on home environment, region, parents, teachers, mass media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building appearance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used self-reported method by students. If students perceive that they participate in the test, they may have some change because of the perception. Therefore, a comprehensive test including the acknowledgement of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will be more meaningful.

      • 대학생의 색채선호와 우울·불안과의 관계

        조미라 광주여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 불안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색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ㆍ전남지역의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검사와 색채 선호도 조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되는 설문지 7부를 제외한 24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 카이스케어 검정(), Cronbach's ɑ의 계수를 통해 검정하였고, 또한 연구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색채 선호도에 대한 경향성’을 제외한 결과를 색의 온도감에 따라 난색(빨강, 주황, 노랑, 마젠타), 한색(파랑), 중성색(청록, 초록, 보라), 무채색(흰색, 검정, 회색)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색채 선호도에 대한 경향성의 결과로는 가장 선호하는 색으로 ‘파랑’이 27.2%였고 혐오하는 색은 ‘마젠타’로 37%로 나타났다. 색상에 대한 경향성에선 본인과 가장 닮은 색으로 ‘파랑’ 본인과 가장 닮지 않은 색으로 ‘마젠타’ 가장 편안하게 만드는 색으로 ‘초록’ 본인이 생각하는 우울한 색으로는 ‘회색’ 본인이 생각하는 불안한 색으로는 ‘빨강’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활기찬 색은 ‘노랑’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선호도부터의 결과는 색의 온도감으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남성 ‘무채색’, 여성 ‘난색’이었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 혐오하는 색으로는 ‘난색’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우울·불안과 색채 선호도의 관계에 대한 결과로는 우울집단이 선호하는 색으로는 ‘무채색’ 우울이 낮은 집단은 ‘난색’과 ‘중성색’이 뒤를 이었으며, 불안이 높은 집단에서 선호하는 색으로는 ‘난색’ 불안이 낮은 집단에서 선호하는 색은 ‘무채색’이 가장 높았다. 셋째, 우울·불안과 색채선호와의 상관관계의 결과로는 우울과 불안이 모두 높은 집단은 ‘한색’, 우울이 높고 불안이 낮은 집단은 ‘무채색’, 우울이 낮고 불안이 높은 집단은 ‘난색’, 우울이 낮고 불안 또한 낮은 집단은 ‘중성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색채 선호와 우울·불안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색채 프로그램 제작 및 색채심리 진단법에 적용하여 미술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심리치료분야에 적용하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스피닝과 줌바 복합운동이 직장인 여성들의 α-아밀라아제와 HRV 및 APG에 미치는 영향

        조미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changes in α-amylase, HRV (heart rate variability), and APG (vascular age) through spinning exercise and Zumba dance for working women, and how they show stress and physical changes through exercise.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mpound exercise of spinning and Zumba for 8 weeks, the change in α-amyl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01),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eriod × group (p<.05). 2. HRV (heart rate variability) chan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00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period (p<.001), a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eriod × group. (p<.01). 3. APG (vascular age) chan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05),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5), and a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the time × groups. (p<.05).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pinning exercise and Zumba dance for a total of 8 weeks, the stress index, α-amylase, HRV (heart rate variability), and APG (vascular age) were reduc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one of the positive exercise programs in the social structure where working women can not improve and maintain their health on a regular basis.

      • 도시재생 거점 공간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연구 -광주 동구 도시재생 선도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조미라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Korea is being promoted as a new typ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method that was biased toward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hanging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foundation for the city's self-sustaining growth and community.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was selected as a lead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 after the enact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established three base spaces: the Green Village Community Center, Miro Center, and Chungjang 22 through this project. There, cultural programs reflecting its purpose and characteristics are being oper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ated precedent studies, studies on the necessity of base space and operation plans in urban regener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re has been no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 or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operation, so this was analyzed with focus. In particular, in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oject, cultural program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o restore local communities by creating new social values based on local resources, historical values, and ident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sider the effective cultural program operation plan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Looking at the cases of Changwon and Suncheon, which promo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Changwon, a new vision was presented by observing the changing local situation and preparing the foundation through ordinances so that local residents can lead the project independently. Suncheon prepared a cultural program containing the identity of the region by using the opinions of the civic community as the basis for space management from the planning stage of operation and by inviting local artists to move in. One of the overseas cases, Koganecho Street in Japan, established an art community in a specific place based on a representative program, and secured its own placeness by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the community to continue participating even after the project was closed. In Germany, a social enterprise called Erlebe Was Geht prevented the outflow of population through a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project, suggesting that the power of social solidarity of the commun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urban regeneration. In Chapter 4,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urban regeneration base space a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progra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a total of four problems of program contents, program participants, resident participation, and sustainability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As the first improvement pla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operating cultural programs unique to each base space that reflects the current status of the region, residents' opinions, and unique local resources in order to create a symbolic program. In order for the proposed operational direction to be effectively promoted, cooperative governance among administrative entities that operate and manage each base space must be well established. Second, a plan to expand the target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hich was concentrated on one side, to local residents and people living in the area was proposed. Thirdly, as a way to actively change the passiv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the purposeful operation of local community vitalization programs was suggested. Finally, in order to escape from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in operating cultural programs, a plan to support new regional-based organizations to develop profit model programs was propos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problems and suggesting improvement plans, the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involved in each base space cultural program were used as a basi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base space cultural program created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initiative was analyzed and a plan for improvement was suggested. However, during this analysis period, the program did not run smoothl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For this reason, follow-up studie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nvestigation, and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he cultural program has potential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region that leads to the recovery of the local community, so it is worth researching. 우리나라의 도시재생사업은 물리적 환경개선에 치우쳤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도시의 자생적 성장 기반과 공동체 회복을 목적으로 변화하며 새로운 형태의 도시재생사업으로 추진된다. 도시재생법 제정 이후 추진된 도시재생 선도사업에 선정된 광주광역시 동구는 이 사업을 통해 푸른마을공동체센터, 미로센터, 충장22라는 3개소의 거점 공간을 설립하여 그 목적과 특성을 반영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관련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시재생에서 거점 공간의 필요성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뤄졌지만, 프로그램에 관한 현황분석이나 운영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은 이뤄진 바 없어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에서 문화프로그램은 지역자원과 역사적 가치, 정체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조하며, 지역공동체 회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효과적인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다. 같은 시기에 도시재생 선도사업을 추진했던 창원과 순천의 사례를 살펴보면, 창원의 경우 지역민들이 주체적으로 사업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조례를 통해 그 기반을 마련하고 변화하는 지역의 상황을 관찰하여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순천은 운영 기획 단계에서부터 시민공동체의 의견을 공간 운영의 근거로 삼고 지역 출신의 작가를 입주시킴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담은 문화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국외 사례인 일본 코가네초 거리는 대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특정 장소에 예술 커뮤니티를 형성, 사업 종료 후에도 그 커뮤니티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 그곳만의 장소성을 확보했다. 독일은 에어레베 바스겟이라는 사회적 기업이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통해 지역의 인구 유출을 막은 사례로 공동체가 가진 사회적 연대의 힘이 도시재생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제4장에서는 각 도시재생 거점 공간의 공간적 특성과 문화프로그램 현황조사 및 분석을 진행해 프로그램의 내용, 프로그램 참여 대상, 주민참여, 지속성의 총 네 가지의 문제점을 도출해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첫 번째 개선방안으로 상징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지역 현황, 주민의 의견, 지역 고유 자원을 반영한 각 거점 공간만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향 수립을 제안했다. 제시한 운영 방향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각 거점 공간을 운영 관리하는 행정주체들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잘 이뤄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한쪽에 치중된 프로그램 참여 대상을 지역주민과 생활권자 중심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세 번째로 수동적인 지역공동체의 참여를 능동적으로 바꾸는 방안으로 목적성 있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지자체의 재정적 지원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지역 기반의 조직이 수익모델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문제의 도출과 개선방안 제시 과정에서 각 거점 공간 문화프로그램 관계자와의 심층 면담 내용이 근거로 활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선도사업을 통해 조성된 거점 공간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했으나, 이 분석 기간은 COVID-19라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던 시기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조사, 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문화프로그램은 지역공동체의 회복을 끌어내는,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그 연구 가치가 있다.

      • 소듐브로메이트 함유 화장품이 피부 미백에 미치는 영향

        조미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인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 가치관의 변화, 대중매체의 발달, 수명의 연장 등에 따라 미적가치와 관심도가 크게 변화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듯 화장품이란, 피부에 도움을 주는 단순한 개념에서 진화하여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 자리 잡아서 아름다움을 유지하고 노화를 늦추고자하는 계층이 크게 확대 되어 그에 맞는 방법론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흰 얼굴을 가장 중요시하는 동양 여성들을 기준으로 미백에 관한 여러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소재의 원료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종류의 미백 화장품이 꾸준히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화장품 신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천연물 뿐 만 아니라 합성 신소재 개발, 바이오 유래의 신소재 개발 등 고부 가치가 우수한 효능의 화장품 신소재를 탐색해야 하며 다양한 원료가 최적화된 상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안정적인 기술과 함께 신 기능성 신제품 개발 즉, 원료의 개발이 무엇보다 화장품 산업에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백 효능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성분으로 소듐브로메이트를 선정하였으며 소듐브로메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제 1제와 제 2제인 유액을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기존에 생성된 멜라닌 분자와 결합하여 색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20~40대 남성과 여성 9명을 대상으로 소듐브로메이트 함유 성분의 함량이 각기 다른(3%, 5%, 7%, 15%) 제 1제와 유액 제 2제를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아침저녁 12시간 간격을 유지하여 팔 안쪽 부위(3%, 5%, 7%)와 팔 뒤꿈치(15%)를 하루에 2회씩 총 28회를 도포 하고 도포 전, 도포 1회 후, 도포 10일 후, 도포 2주 후 총 4회의 각 결과를 도출하였다. 피부 밝기 개선도를 통계 분석한 결과 3%에서는 1회 사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1), 7%에서는 14일 사용할 때에 유의한 값을 보였다(p<.05). 또한 15%군에서는 10일 사용, 14일 사용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밝기 개선은 함량이 높을수록 점차적으로 피부 밝기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부 홍반(진정) 개선도를 통계 분석한 결과 15%군에서 1회 사용, 10일 사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듐브로메이트를 함유한 화장품이 피부 밝기 개선과 홍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내지는 못했으나, 함량에 따라 상이하게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소듐브로메이트 성분이 피부의 밝기를 높여주고 홍반을 감소시켜 주는 등 피부개선 도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2주간 사용한 실험자들에게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실험자들의 대부분이 만족감을 느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향후 다양하고 구체적인 임상실험과 재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듐브로메이트 함유 화장품의 안정성과 새로운 미백 원료로서의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는데 의미가 있고 미백 화장품 성분으로서 연구의 가치가 있는 원료중 하나라고 사료된다. As the modern civilized have different standard of values, developed mass media, medical treatment, and ultimately extension of life span, cosmetics have become a part of the cultural product beyo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kin treatment. Since more age stratum want to slow their skin aging, the individual methodologies for each stratums are progressively being developed. By reason of the Asian females beauty standard is white skin color, more and more newly developed skin whitening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and appear to be on the market but the actual effect is disappointingly the effect is inadequate.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new cosmetics material, more than natural substances will be needed and new composite material, and biological new material will be needed. In order to bring out the best optimized effect from the newly developed materials, new optimization technology has to be developed. In other words, developing base material is critical in cosmetics business area. Thus, for the purpose of the whitening skin, this research has chosen a material called Sodium Bromate. We have combined A and B milky lotion of cosmetic products that contain Sodium Bromate. And, we have applied the combination onto the skin in order to discover the possible materials for helping emitting melanin by chemical fusion. For the subject of research, we have chosen 9 males age between 20’s to 40’s. We have made 3%, 5%, 7%, 15% Sodium Bromate solution of A with B milky lotion by 2:1 ratio. Test subjects applied 3%, 5%, 7% solution mixture onto their inner arm and 15% solution mixture onto their elbow for 2 times a day, 1 time per 12 hours. We have took the result before, after 1 time, 10 day, and 2 weeks of use. After analysing the result by comparing the skin brightness, 3% solution mixture result was visible on 1 time use, 7% result was visible on 2 weeks of use, and 15% result was visible on 10 days and 2 weeks of use. Skin brightness has better results of higher Sodium Bromate content with longer time of usage. 15% solution mixture had the best skin erythema improvement with 1 time use and 10 days of use.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Sodium Bromate is not the best material for whitening skin but it still shows that Sodium Bromate still gives better effect on whitening and erythema with more of amount of use. It also shows that test subjects didn’t have prior problems and most of them felt satisfaction. Which confirms me that Sodium Bromate has possibility to be a cosmetics material with stability. This test is meaningful where it proves that Sodium Bromate has whitening effect and it needs more test results and clinical results to be use as cosmetics base material. I consider that Sodium Bromate is a one of the materials have great value on researching for skin whiten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