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경영에 대한 연구

        정희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최근 마케팅 도구로 각광받고 있는 SNS에 주목하여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를 위하여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소 도출과정을 선행하였다. Churchill(1979)의 척도개발패러다임을 참고하여 진행하였으며, 문헌고찰과 전문가조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과정을 통하여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SNS 광고, SNS 구전, SNS 참여이벤트, SNS 정보제공의 4가지 요인의 하위요소와 39개의 측정문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로열티를 형성하는 과정을 검증하기 위하여 Homer & Kahle(1988)의 Value-Attitude-Behavior model에 따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가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 때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은 second-order로, 4가지의 하위요소는 first-order로 제시하였으며, 브랜드 가치도 second-order로,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가격 기능적 가치, 품질 기능적 가치의 4가지 하위요소를 first-order로 제시하였다. 또한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각각의 하위요소와 브랜드 가치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비교모형을 제시하여 연구모형과 비교모형 중 더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항공사 SNS 계정을 본 경험이 있거나 소식을 받아보는 SNS 이용자이며, 최근 1년 내 항공사 이용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의 패널을 활용하였으며, 400부의 유효 표본을 얻었다. 가설검증 과정에서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은 항공사 브랜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브랜드 가치는 항공사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브랜드 태도는 항공사 브랜드 로열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항공사 브랜드 로열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항공사 브랜드 가치와 항공사 브랜드 태도가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브랜드 경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항공업계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arketing communication effects of airlines’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by focusing on SNS that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as a marketing tool. For this, sub-factors of marketing communication were drawn from airlines’ SNS first by referring to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by Churchill (1979). Literature review, expert investig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tc. for marketing communication of airlines’ SNS developed 4 sub-factors including SNS advertising, SNS word of mouth, SNS events and SNS information provision, and 39 measurement questions. Moreover, a hypothesis was formulated according to the Value-Attitude-Behavior model by Homer & Kahle (1988) to verify the process that airlines’ SNS marketing communication forms brand loyalty. The hypothesis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marketing communication effects of airlines’ SNS on brand value; the effects of brand value on brand attitude; an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e marketing communication of airlines’ SNS was proposed as second-order, and the 4 sub-factors as first-order. Brand value was also suggested as second-order, and 4 sub-factors including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cost-functional value and quality-functional value as first-order. The research also presented a comparison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value and each sub-factor of marketing communication of airlines’ SNS and suggested a more proper model between the research model and comparison model.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over 20 who have visited or subscribed to airlines’ SNS page and used airline service in the recent 1 year. Using an online survey panel, 400 valid samples were obtained.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were employed,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etc.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keting communication of airlines’ SNS marketing communication had positive (+) effects on airline brand value. Second, airline brand value showed positive (+) effects on airline brand attitude. Third, airline brand attitude had positive (+) effects on airline brand loyalty.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airline brand value and brand attitude play a role of parameter in the process that marketing communication of airlines’ SNS forms brand loyalty. Such research results supports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presented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irline industr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brand management.

      • 국내산과 수입산 송이(Tricholoma matsutake), 능이(Sarcodon aspratus), 표고(Lentinula edodes)의 미네랄 함량 비교

        정희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ineral content of domestic and imported Tricholoma matsutake, Sarcodon aspratus, and Lentinula edodes was compared for potential use in determining their collected sites. The mineral content was analyzed with an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The potassium, magnesium, and copper content of domestic T. matsutake were 7,534.6±2,691.5 mg/kg, 218.5±105.4 mg/kg, and 105.4±33.0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 matsutake collected in Yanji, China were 1,439.2±311.0 mg/kg, 64.1±27.5 mg/kg, and 20.0±9.0 mg/kg, respectively. The potassium, magnesium, and copper content of T. matsutake collected in Yunnan, China were 1,446.3±126.3 mg/kg, 77.4±28.4 mg/kg, and 54.5±16.9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 matsutake collected in Tibet, China were 3,531.0±2,715.0 mg/kg, 124.6±50.2 mg/kg, and 64.8±23.0 mg/kg,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tassium, magnesium, and copper content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T. matsutake. The calcium, potassium, sodium, and magnesium content of domestic S. aspratus were 12.1±4.1 mg/kg, 1,123.8±274.3 mg/kg, 170.3±44.0 mg/kg, and 81.3±20.8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Chinese S. aspratus were 52.5±27.7mg/kg, 10,938.4±2,914.1 mg/kg, 112.2±40.8 mg/kg, and 297.8±20.9 mg/kg, respectively. Domestic and Chinese S. aspratu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macro mineral levels in this study. The potassium, sodium, magnesium, and chromium content of domestic L. edodes were 17,676.8±3,279.6 mg/kg, 161.3±44.3 mg/kg, 746.2±197.6 mg/kg, and 2.8±2.6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Chinese L. edodes were 11,182.0±2,446.4 mg/kg, 310.7±84.8 mg/kg, 318.5±45.1 mg/kg, and 13.0±10.1 mg/kg, respectively,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L. edodes. Levels of hazardous heavy metals such as lead and cadmium were negligible. For determining mushroom collected sites, analysis of macro and micro mineral content using a large number of T. matsutake, S. aspratus, and L. edodes is necessary.

      •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음악성 관계

        정희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와 부모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 양육태도·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적합한 가정의 양육환경 및 음악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유아의 배경변인(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모의 취업)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3.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모의 취업)에 따라 가정의 음악적 환경(물리적 환경·음악적 분위기·음악적 흥미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4.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형과 통제형 모두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애정형 양육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통제형 양육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연령,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애정형과 통제형 양육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연령·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물리적 음악환경의 경우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소유하고 있는 악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음악기기와 악기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학력에 따라 물리적 음악환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물리적 음악환경도 차이가 있었다. 가정의 음악적 분위기는 부모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부모의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는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가족의 음악에 대한 흥미는 부모의 연령,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를 보면 애정형 양육태도는 가정의 물리적 음악환경과 관련이 없었으며, 음악적 분위기, 부모의 음악적 흥미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형 양육태도는 가정의 물리적 음악환경, 가족의 음악적 흥미와 관계가 없었으며, 음악적 분위기와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differences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Infants and paren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ultimately to create rearing environment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desirable for Infants' musical development.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Is mothers' rearing attitu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infants (gender, the order of birth)? 2. s mothers' rearing attitu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the mother' employment)? 3. Is musical environment at home (physical environment, music atmosphere, musical interest)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the mother' employment)? 4. In what relationship is mothers' rearing attitude with musical environment at h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mothers' rearing attitude, both the affection type and the control type appeared not different according to Infants' gende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ffectionate attitude and controll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order of birth of infants. Second,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rearing attitude of affection type and that of control typ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with the sub-factors of musical environment at home, the possession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was an element of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ther's age and musical equipment and the number of instru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her's age.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qualification but not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Musical atmosphere at hom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ge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Family's interest in music appeared not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ge and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ffectionate attitude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at home,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musical atmosphere and parents' musical interest. Controlling attitude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family's musical interest,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musical atmosphere.

      •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응답크기에 따른 고유진동수와 감쇠비 분석

        정희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mplitude dependence of the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ratio of tall RC building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long term measurement data. In order to verify the identified dynamic properties, the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methods are us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natural frequency decreases as the response increases clearly.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noticeable response dependancy of damping ratio even though the damping ratio increases slightly as the response increases.

      • 소아암 환아를 대상으로 한 병원학교 연극치료에 관한 연구

        정희경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acy of the drama therapy as an emotional support program in the hospital schools on the relief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parents' psychological discomfort. The patients diagnosed as the pediatric cancer should endure various side-effects of physical & emotional difficulties emerging in anti-cancer treatments including radiation treatment. Currently in Korea, thereare 33hospital schoolsoperated throughout the nation to help the pediatric cancer patients continue to learn, while being relievedoftheirpsychologicaland emotionaldifficulties. For this study, I operated a drama therapy program at a hospital school in person opened in the younger children ward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in an effort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rama therapy program on the pedia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 parents' emotional difficulties. In consideration of the hospitalized pediatric cancer patients' characteristics, it consisted of a single session and the researcher operated the group drama therapy program forthe pediatricpatient and motherora groupof 4 ormore pediatricpatients andtheirparents.Each session of the therapy was manipulated as a projection-oriented work, considering the pediatric patients' physical conditions. As a result, the drama therapy operated in the hospital schoolwas foundtohavethefollowingeffectsontheparticipants.First, the participants who had suffered from an anxiety would perceive the support required for their struggle with the disease. Namely, they would experience amusement and a sense of achievement,beinglessanxious. Secondly, the pediatric patients who had suppressed theiremotional expression could expose their fearful emotion candidly. Further, as they were treated together with their mothers, they would be able to reconfirm 'the love of the family' as an engine of power for their struggle with the disease and further, they could form an emotional connectedness.Thirdly, the pediatric patients who had been depressed much due to the disease would have their emotional difficulties relieved through the group mask play allowing them to be accommodated by other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mothers could be temporarily relieved of guilty conscience and inertia. Moreover, they would perceive that the negative emotion was not their own problem, and thereby, assisted eachother.Fourthly, the participants could express their fear, inertia and grief in the proces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cancer with the dramatic projection and physical experience. Namely, they could experience a catharsis of pouring out their emotion and thus, could clearly facetheircurrentsituation. Together with such case analysis,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and thereby, confirmed theefficacy ofthehospitalschooldramatherapyprogramasfollows; First, the drama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ief of pediatriccancerchildren'sand theirparents'emotionaldifficulties. Secondly, the drama therapy was found to enhance participants' emotional solidarity and form a positive emotion. In addition, the amusement and pleasure through the play would serve to relieve themmuchoftheirstress. In conclusion, the drama therapy would encourage the participants to personally experience the imaginative reality in the drama, and thus, a minimum movement would help them to be changed emotionally and cognitively. After all,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 86 -study that the drama therapy would provide the pediatric patients with a safe and stable environment, which proves the efficacy of the hospitalschoolarttherapy program. 본 연구는 병원학교의 정서 지원 예술치료 프로그램으로서 연극치료 가 소아암환아와부모의심리적 불편감을완화하여 심리적 안정에 기여 할수있는지에대하여 그효용성을살펴보는 데목적이 있다.소아암을 진단받은 환아는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 등 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각종 부작용과 신체적, 정서적 어려움을 감내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소아암 환아들의 학업의 결손과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돕기 위해 전국 33개의 병원학교가 운영되고 있 다. 이 연구의 사례는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 소아 청소년 병동에 개설 된 병원학교에서 연구자가 직접 진행한 내용으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소아암 환아와 부모의 특수한 정서적 어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입원 환아의 특성상 단 회기로 구성하였고, 환아와 어머니 한 가정 혹은 환아와 부모 4명 이상의 집단연극치료 형식으로 진행하였 다. 매 회기 프로그램은 소아암 환아들의 신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투사 중심의 작업으로 시작하였다. 본 작업의 결과 병원학교 연극치료 수업은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효과가 있음을알았다. 첫째,불안감을느끼던참여자는인형극활동을통해투병에필요한자신 의자원을인식했으며즐거움과성취감을 경험하고불안이 완화되었다. 둘째, 감정표현을 억압했던 환아는 즉흥극을 통해두려운감정을 솔직하 게노출할수있었고,어머니와함께함으로써‘가족의사랑’을투병의동력 으로재확인하고정서적 유대감을형성할 수있었다. 셋째,질병으로인해의기소침했던환아는집단가면작업을통해다른참 여자들에게수용되는경험을하여정서적 어려움에도움을 받았다.또한 환아 어머니들은 작업 안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공감하는 가운데 자책감과 무력감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었다. 또한 부정적인 정서가 자 신만이 문제가아님을인식하고서로에게 조력자가되었다. 넷째,참여자는질병진단과치료과정에대한두려움과막막함,슬픔등의 감정을극적투사와신체경험을통해표현하였다.즉,자신의감정을쏟아 내는카타르시스를 경험하고현재상황을 분명히인지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례 분석과 함께 병원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음과같이병원학교연극치료 프로그램의 효용성을도출하였 다.첫째,연극치료는소아암환아와부모가겪는정서적어려움완화에긍정 적으로 기능하였다.둘째,연극치료는참여자의정서적유대감을증진시키고긍정적인정서를 형성하도록하였다.또한놀이형식을통한즐거움과기쁨은그들의스트 레스해소에 큰도움이 되었다.결과적으로 연극치료는 참여자들에게 극 속 상상 현실 속에서 직접 몸으로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움직임만으로도 정서적·인지적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극치료는 면역력이 저하된 소아암 환아들에게 안전한 동시에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병 원학교 예술치료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朝鮮時代의 住居空間에 미친 儒敎의 影響에 관한 實證的 硏究

        정희경 朝鮮大學校 環境保健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rm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ing was decid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ts form and the ideas and philosophy such as folk belief,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geomancy, astronomical theory,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had much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 Confucianism which was the principle of government in the age of Chosun Dynasty has a great influence on all part of economy and culture as the principle of social life as well as domestic life and it also affected the residential space. This study approaches the essential problem of Confucianism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space and confucian idea of Chosun Dynasty and investigates the process of introducing Confucianism, settling it to the national ideas and its roles in daily life. And it compares and analyzes 8 private houses designated as the cultural property of Nakan Folk Village centering around 19 noble houses which were designated as the cultural property of Chonnam province as the construction factor which expressed the Confucianism to the residential space. The effects of the Confucianism on the constructional space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the shrine where is the space of worship of ancestors as the practice item of filial piety. Second, there are main building and guest room a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vision of man and woman. Third, it has the hierarchical division of main building and guest room as the expression of the idea that the younger should give precedence to the elder. Fourth, there is hierarchy with the spatial composition of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in the residential space. Fifth, the division of man and woman is shown obviously through the social and domestic roles based on the division of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social roles of man and woman.

      • 사회적 지지와 재활동기와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의 매개효과: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정희경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뇌졸중은 발병 후 회복이 되었다 하더라도 후유증이 남는 질환으로 장기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재활과정동안 환자의 적극적 참여는 질병회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뇌졸중 환자 간호에서 환자의 재활동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재활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불확실성이 사회적 지지와 재활동기의 관계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울산광역시 1개 종합병원에서 뇌졸중을 진단받은 117명의 성인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9월1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시행되었다. 불확실성 측정도구는 MUIS(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을 국문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뇌졸중 환자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가족 지지와 의료인지지 도구를 각각 사용하였다. 재활동기는 장애인의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정, Pearson's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남, 여 비율은 비슷하였고, 평균나이는 64세였다. 고졸 이상이 60명으로51.3%를 차지하였고, 기혼인 자가 98명(83.8%), 의료보험에 가입한 자가 94명(80.3%)으로 나타났다. 주 돌봄 제공자는 배우자가 85명(72.6%)으로 자녀 23명(19.7)보다 많았으며, 마비 부위는 좌측이 69명(59%)으로 우측 마비인 48명(41%)보다 많았고, 진단 시기는 6개월 이내가 96명(82.1%)으로 가장 많았다. 재활치료 횟수는 주 5회 이상이 73명(62.4%)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불확실성 측정점수는 평균 92.38±9.67점이었다. 사회적 지지 점수 중 가족 지지는 34.68±4.83점, 의료진 지지는 28.41±5.89점이었고, 재활동기 점수는 평균 100.89±8.61점으로 중간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은 진단 시기가 6개월~18개월인 그룹이 99.08점으로 불확실성이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3.773, p=.026).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 지지는 65세 이상인 그룹이 35.51점으로 65세 미만인 그룹보다 높은 가족 지지를 보였고(t=-2.228, p=.028), 의료보험에 가입된 경우 35.55점, 의료보호인 경우 31.13점으로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그룹이 가족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4.208, p<.001). 주 돌봄 제공자가 배우자인 경우 35.24점, 자녀인 경우 34.04점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 비가족인 경우 31.11점으로 주 돌봄 제공자가 가족인 경우, 비가족인 경우보다 가족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345, p=.039). 5.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의료인 지지는 65세 이상인 그룹이 29.29점으로 65세 미만인 그룹보다 높은 의료인 지지를 보였고(t=-2.031, p=.045), 기혼이 29.02점으로 의료인 지지 점수가 높았으며(t=-2.606, p=.010), 의료보험에 가입된 경우 29.34점, 의료보호인 경우 24.61점으로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그룹이 의료인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627, p<.001). 6. 대상자의 재활동기는 65세 이상인 그룹이 103. 25점으로 65세 미만보다 재활동기가 높게 나타났고(t=-3.680, p<.001), 기혼인 경우 102.12점으로 재활동기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t=-3.709, p<.001). 의료보험에 가입한 그룹의 재활동기 평균은 102.08점으로 의료보호인 그룹보다 재활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973, p=.004). 주 돌봄 제공자가 배우자인 경우 재활동기 평균이 101.75점, 자녀인 경우 101.91점, 비가족인 경우 90.11점으로, 돌봄 제공자가 가족 그룹인 경우 비가족인 경우보다 재활동기 높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8.657, p<.001) 7. 재활동기는 불확실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299, p=.001), 재활동기와 가족지지, 의료진 지지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530, p<.001, r=.387, p<.001). 불확실성은 가족지지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36, p=.010). 8. 가족 지지는 재활동기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β=-.285, t=-2.303, p=.023), 불확실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Sobel test결과 유의하지 않았다(Z=-1.75,p=.079). 한편, 불확실성은 독립적으로 재활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β=-.204, t=-2.720, p=.008). 의료인 지지의 경우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가 아니었으므로 불확실성의 매개효과는 성립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불확실성은 가족 지지와 재활동기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최종 회귀분석 모델에서 가족 지지와 불확실성은 각각 독립적으로 재활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가족지지를 강화시키면 재활동기가 향상되어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 "케이프타운 서약"과 "함께 생명을 향하여(TTL)" 문서 비교연구 : 글로벌 남반구적(global south) 관점에서

        정희경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급변하는 세계 선교 지형 속에 개신교 선교 운동의 두 축인 로잔운동과 세계교회협의회의 중요한 문서인 “케이프타운 서약(Cape Town Committment, 이하 CC)”과 “함께 생명을 향하여(Together Towards Life, 이하 TTL)” 문서를 글로벌 남반구적 관점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잔운동의 최근 문서인 케이프타운 서약(2010)을 비롯하여 이전에 발표된 로잔언약(1974), 마닐라 선언문(1989)을 통하여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 ‘전도를 위한 협력’, ‘전도와 문화’ 등의 영역에서 글로벌 남반구 신학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또한, 세계교회협의회(WCC) 의 선교 문서인 “선교와 전도: 에큐메니컬 확언(1982)”과 “일치를 통한 오늘날의 선교와 전도(2000)”에서부터 TTL문서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생명 신학과 주변부 신학의 강조를 통해 글로벌 남반구 신학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글로벌 남반구에 대한 정의 및 남반구 신학의 발전 역사와 특징들을 살펴보고, 글로벌 남반구 관점에서 바라보는 선교운동의 전망을 보여준다. 로잔운동과 WCC의 수렴되는 선교 신학적 특징들은 ‘복음과 사회적 책임의 균형’, ‘성령의 강조’, ‘주변성 신학’, ‘창조 신학’으로 요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남반구 교회에 대한 도전들을 통하여 한국 교회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미래 선교 운동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주제어 로잔운동, 케이프타운 서약, 세계교회협의회(WCC), 함께 생명을 향하여, 글로벌 남반구 A Comparative Study on Cape Town Commitment(CC) and Together Towards Life(TTL) - From Global South Perspective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important documents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e two pillars of the Protestant mission movement,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mission landscap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bal southern hemisphere, "Capetown Committment(CC)" and "Together Towards Life(TTL)".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Collaboration with Evangelists," "Evangelism and Culture" through the recently published Lausanne Covenant (1974) and Manila Manifesto (1989), as well as the Cape Town Commitment (2010) The impact of global Southern Hemisphere theology is prominen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ife theology and the marginal theology, which are continuing from the WCC mission document "Mission and Evangelism: Ecumenical Verification (1982)" to "Today's Missions and Evangelism through Consensus", emphasis can be placed on the possibility of global theology of the Southern Hemisphere. It examin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 of the Global South and the development of the theology in the Global South and shows the prospect of the mission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bal South. The convergent missionary theological features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WCC can be summarized as 'balance of gospel and social responsibility', 'emphasis on the Holy Spirit', 'peripheral theology', and 'creation theology'. Finally, this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missionary movement by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Korean churches through challenges to the Global Southern Hemisphere church. Keyword Lausanne Movement, Capetown Commitment, World Council of Churches, Together Towards Life, Global S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