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간호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임상의사결정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해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강한 강도의 외상환자를 간호하면서 생기는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간호사에게 필수역량인 임상의사결정능력,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300병상 이상 상급 병원 및 종합 병원의 7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181명을 임의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3년 7월 4일부터 2023 10월 31일까지 자가보고식 온라인설문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도구는 환자안전간호활동 34문항,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17문항, 임상의사결정능력 40문항, 의사소통능력 30문항, 일반적 특성 9문항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자,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156명(86.2%), 연령은 평균 31.45(±5.75)점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 졸업 이상이 155명(85.6%), 임상 경력은 5년 이상~10년 미만이 70명(38.7%) 응급실 경력은 6개월 이상~ 3년 미만 94명(51.9%)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 형태는 지역응급의료센터 100명(55.2%), 환자 안전 교육 경험 횟수는 5~10회 54명(29.8%), 환자 안전 정기 교육 횟수는 6개월마다 교육 104명(57.5%),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은 1~2회 71명(39.2%)가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62(±0.78)점, 임상의사결정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29(±0.23)점,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37(±0.51)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12(±0.46)점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분석한 결과, 연령(F=10.13, p<.001), 최종학력(F=4.03, p=.018), 임상 경력(F=3.21, p=.024), 환자 안전 교육 경험 횟수(F=6.85,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임상의사결정능력, 의사소통능력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임상의사결정능력(r=.43, p<.001), 의사소통능력(r=.16, p<.035)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상의사결정능력은 의사소통능력(r=.2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임상의사결정능력(r=-.30, p<.001), 의사소통능력(r=-.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통계처리를 실시한 결과, 임상의사결정능력과 환자안전교육 경험 횟수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27.1% (R2=.324, adj.R2=.271, F=6.15,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환자안전교육 경험 횟수와 임상의사결정능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이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임상의사결정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환자안전교육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emergency room nurses’secondary traumatic stress that occurs while caring for patients with severe trauma in a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linical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essential competencies in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181 emergency room nurses working in 7 hospitals, including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Data was collected based on a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 from July 4, 2023, to October 31, 2023. The questionnaire contained 34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questions, 17 secondary traumatic stress questions, 40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questions, 30 communication competence questions, and 9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s. Data were subjected t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articipants were 156 female nurses (86.2%) with the average age of 31.45±5.75.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as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155 people, 85.6%), clinical careers were between 5 and 10 years (70 people, 38.7%), and emergency room careers were between 6 months and less than 3 years (94 people, 51.9%). The most common type of emergency room was a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100 people, 55.2%), and the most frequent patient-safety education experience was 5–10 times that of 54 people (29.8%). The most frequent number of regular patient-safety trainings was every six months (104 people, 57.5%), and patient-safety accident was one to two times (71 people, 39.2%). 2. Participants’average secondary traumatic stress,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was 2.62±0.78, 3.29±0.23, 3.37±0.51, and 4.12±0.46 out of 5, respectively. 3. Analysis of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ge (F=10.13, p<.001), highest level of education (F=4.03, p=.018), clinical experience (F=3.21, p=.024), and number of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s (F=6.85, p<.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r=.43, p<.001)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r=.16, p<.035).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r=.26, p<.001). Moreover, secondary traumatic stres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30, p<.001)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r=-.34, p<.001). 5.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β=.40, p=<.001), and 3-4 (β=.23, p=.011), 5-10 (β=.25, p=.010), 11 or more (β=.20, p=.033) patient-safety education experiences wer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Furthermore, emergency room nurse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explained 32.7% of the variance (R2=.327, adj.R2=.274, F=6.23, p<.001). Results confirm that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emergency room nurses is a factor that affects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Therefore, interventions and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emergency room nurses are necessary to improve patient-safety nursing activities.

      • 서식지 유형에 따른 무미목 양서류 분포에 관한 연구

        정해인 한세대학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gricultural areas such as rice fields and fields, and forest areas such as coniferous and broad-leaved forests are important habitats for wild animals as well as amphibians. However, recent rapid development has resulted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and ecological disconnection, threatening the survival of many wild animals, including amphibians. Such indiscriminate decline must be prevente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mphibian habitat types and species distribution, which are involved in high species diversity. and is deeply related to improvement. In addition, even in a narrow environment where the three conditions assumed in the introduction, ‘habitat area’, ‘sustainability of the aquatic environment’, and ‘possibility of habitat and breeding’ were not met, amphibians were easily introduced if only some conditions were met. Introduced individuals form a group, and the group quickly adapt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habits and reproduces, forming and maintaining a relatively simple but ‘small ecosystem’ in the cit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rvival of anura amphibian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not establishing a buffer space Second, the effect o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around the habitat during the rainy season in summer Third, the impact on the disconnected ecological environment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key to survival identified through the study is an unfragmented environment, that is, ecological connectivity, which is largely due to the species diversity of amphibia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protecting and restoring the habitat of amphibians, as well as the need for awareness and value of amphibian habitats, precise and continuous investigations. 논, 밭 등의 농업지역과 침엽수림, 활엽수림 등 산림지역은 양서류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의 중요한 서식공간이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개발로 생태 변형과 생태단절이 발생하면서 양서류를 포함해 많은 야생동물의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 때문에, 높은 종 다양성에 관여하는 양서류 서식지 유형과 종 분포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이 같은 무분별한 감소를 막아야 하며, 양서류 서식지를 보존하는 것이 양서류 생존뿐만 아니라, 곤충, 포유류 등과 같은 야생동물의 생존과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며 개선하는 것에도 깊이 관련되어있다. 또한, 서론에서 가정하였던 ‘서식지 면적’, ‘수 환경의 지속성’, ‘서식⸱번식의 가능성’ 3가지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협소한 환경에서도 일부 조건만 일치하면 양서류는 쉽게 유입되었다. 유입된 개체들이 무리를 이루고, 그 집단이 주변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며, 서식하여 번식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하지만 도심 속 ‘작은 생태계’가 형성되어 유지해 온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무미목 양서류의 생존에 있어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완충공간 미수립으로 인한 영향 두 번째, 여름철 우기 시 서식지 주변 생태 변형에 대한 영향 세 번째, 단절된 생태환경에 대한 영향 고로, 연구를 통해 확인된 생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파편화되지 않은 환경, 즉 생태 연결성이 양서류의 종 다양성에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양서류 서식지에 대한 인식과 가치, 정밀하고 지속적인 조사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양서류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복원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청소년의 부모화 및 과보호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정해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녀가 부모를 돌보는 부모화와 부모가 자녀에게 필요이상으로 개입하는 과보호는 상반된 개념의 부모-자녀관계이다. 그러나 이 둘의 공통점은 부모와 자녀가 정서적으로 융합되어 있어 자녀가 독립된 개체로서 기능하기 어렵게 한다는 점이다. 특히, 한국문화는 어른스러운 자녀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부모의 과도한 통제를 당연시 여기기 때문에 부모화와 과보호된 자녀들의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부모화와 과보호된 자녀들의 문제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정서조절양식이 이러한 영향력의 관계에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 첫째, 부모화와 과보호 및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고 둘째, 부모화와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과보호와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5개의 중학교 2~3학년, 고등학교 1~2학년 남녀학생 550명 대상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 4월 4일부터 4월 15일까지 약 2주간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시간은 15분 내외로 소요되었다. 배부된 설문지 550부 중 53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정보를 누락한 설문지를 제외한 504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는 부모화 척도 FRS-Y(Filial Responsibility Scale-Youth), 과보호척도, 대인관계 문제 척도 단축형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KIIP), 정서조절양식 척 도가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부모화와 과보호가 대인관계 문제 및 정서조절양식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부모화와 과보호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화와 과보호가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분석 단계에 따른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 중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부모화, 과보호, 능동적 정서조절양식 순으로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부모화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만이 부분매개 하였고 마지막으로, 과보호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만이 부분매개 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경우 감정을 표현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이, 부모들의 경우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인식의 변화와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following two concepts, parentification of children caring their parents and overprotectiveness of parents intervening children more than needs, are the directly-opposed ideas of parent-children relation. However, both concepts lead to the malfunction of children as dependent individuals due to emotional fus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particular, there is no serious attention toward the problems from parentification and overprotectiveness in Korean culture, since mature behaviors of children are usually praised and excessive controlling behaviors of parents are taken for granted. Thu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interpersonal problems, one of children’s issues under these conditions, and to investigate their relations to emotional regulation styl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parentification, overprotectiveness, interpersonal problem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gender, school year, the experience of single parent) were confirmed. Seco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parentification, overprotectiveness,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interpersonal problem were explored.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fication/overprotect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 were tested. First, the comparative influences of parentification and overprotectiveness on interpersonal problem were explor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 between overprotect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targeting 55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2-3th graders in 5 middle schools and students in the 1-2nd graders in high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period of the survey was approximately 2weeks from April4 ,2016 to April 15, 2016. The time of survey was approximately 15minutes. 5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550copies. Except for the responses within sincere answers or lost information, total 50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research, parentificationscale FRS-Y(Filial Responsibility Scale-Youth), overprotectiveness scale, the simplified version of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KIIP), emotional regulation style scale were applied. The analysis methods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overprotect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Seco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bles. Third, multi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overprotectiveness,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interpersonal problem. Fourth, hierarchical leaner regression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were performed according to mediator analysis phase by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search variables, it was found that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parentification, overprotectiveness,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listed order. Second, only a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parti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Finally,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overprotective and interpersonal problem, only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had mediating effects. First, in terms of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male students tended to have higher parentification experience compared to female students. With the absence of parents,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found to be much experienced.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 among parentification, overprotectiveness, interpersonal problem.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study suggests that consultative intervention is required for young people expressing their emotions and dealing with their problems in active ways and parent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for parents changing their awareness.

      • 디브리핑기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보건 계열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지식 및 수행술기에 미치는 영향

        정해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debriefing on learning ability of basic CPR and process of problem solving among some students in health-related departmenths. Methods: Subjects are selected 48 students of health departme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Experiment and data collection had conducted between Oct. 15, 2012 and Nov. 3, 2012. The differences of CPR knowledge and performance skill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assessed with t-test. Resul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t=8.95, <00.01) between experimental group (18.70±0.9) and control group (15.5±1.5) in Basic Life Support(BLS) knowledge score.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19.45±1.35 )and control group (9.33±1.43) in Basic Life Support(BLS) performance skill scor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debriefing simulation training is more effective than simulation training in Basic Life Support(BLS) preformance skill and knowledge improvement.

      • 대학 아카이브의 참여전시 활성화 방향 연구

        정해인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university conducts educational work for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who have undergone the university curriculum go to society and become members of the society's composition and development. However, theoretical education alone cannot be a talent who performs social virtues. Based on theoretical higher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can develop various skills such as teamwork, creativity, and sociality by performing numerous activities such as student autonomy, clubs, and small groups in the department over the years. In addition, universities are located in one area for a long time, and each university has its own history and culture, and promotes universities based on them. In addition, they try to perform the tasks of the institution by conducting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in connection with the region, away from targeting students. These phenomena suggest that universities should not only carry out educational tasks, but also create a continuous communication posture for internal members of the university, especially students and even local residents, and create a communication venue for this. However, due to COVID-19, universities did not conduct or conduct non-face-to-face classes and internal programs of universities for about two years from 2019 to 2021. This led to a break in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ies,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students and professors, and students. In addition, as non-face-to-face classes led to fewer visits to universities, students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and history of the university, and student autonomy activities also decreased, and the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and belonging in the school was also reduced. The university archive can actively utilize the recording service sector, which has been sluggish so far, especially exhibitions that can be easily interested by many users, to solve the problems and tasks of the parent institution, and play the role of the institution. However, traditional wall exhibitions in the form of one-sided information transmission cannot solve university tasks such as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deterioration of community cohesion. In order to give the members of the school a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increase solidarity, and create a place of communication, the university archive should now hold a participatory exhibition involving users. In the overall process of the exhibition, cooperation with the student community can further maximize th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effects of the existing exhibition, increase interest in records and record management as students face-to-face with records, and improve their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through participation due to participation exhibition with the student community, university archives can reach students by familiarizing the image of the institution, and students can recognize that university archives are essential for record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 exhibition of particip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students develops and strengthens students' creativity,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enables them to seek a new career path through job experience. This effect is not limited to the student community. The university archive can show this attitude of communication to the local community, further establish the regional identity and culture of the institution through connection with local residents, and become an institution necessary for external members, not internal members of the university. 대학은 고등교육기관으로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대학의 교육과정을 거친 학생들은 사회로 나아가 사회를 구성하고 발전을 도모하는 일원이 된다. 하지만 이론적인 교육만으로는 사회적인 덕목을 수행하는 인재가 될 수 없다. 이론적인 고등교육을 바탕으로 대학의 학생들은 수년간 학생자치, 동아리, 과 내 소모임 등 수많은 활동들을 수행하며 팀워크, 창의성, 사회성 등 여러 가지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대학은 한 지역에 오랫동안 위치하여 각 대학들만의 역사와 문화성을 가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을 홍보한다. 그리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벗어나 지역과도 연계하여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기관의 업무를 수행하려 한다. 이런 현상들은 대학은 교육의 업무만 수행할 것이 아니라 대학 내부 구성원들, 특히 대다수 구성원인 학생들과 나아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소통의 자세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자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약 2년의 시간동안 비대면 수업을 비롯하여 대학 내부 프로그램들까지 비대면으로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았다. 이는 대학과 내부 및 외부 구성원들, 학생과 교수, 학생들 간의 소통의 단절을 불러왔다. 또한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대학으로 향하는 발길이 뜸해지면서 학생들은 대학의 정체성 및 역사성에 주목하지 않고 학생자치활동 또한 줄어들며 학내 공동체 결속력과 소속감 또한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대학 아카이브는 그동안 부진했던 기록서비스 분야, 특히 많은 이용자들이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전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모기관인 대학의 문제와 과제를 해결하고 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방적인 정보전달 형식의 전통적 벽면전시로는 현실적으로 당면한 소통의 단절 및 공동체 결속력 저하 등 대학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학내 구성원들의 공동체 소속감을 부여하고 결속력을 높이고, 소통의 장을 만들기 위해서 대학 아카이브는 이제 이용자들이 참여하는 참여전시를 진행해야 한다. 전시의 전체적인 과정에서 학생 공동체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것은 기존 전시의 교육, 홍보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고 학생들이 직접 기록물을 마주하고 다루게 되면서 기록물 및 기록관리에 대한 관심 증진이 가능하고 제일 중요한 적극적 소통과 공동체 소속감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대학 아카이브는 학생 공동체와의 참여 전시로 인해 참여를 매개로 하여 일어나는 소통 및 교류의 과정에서 대학 아카이브는 기관의 이미지를 친숙하게 하여 학생들에게 다가갈 수 있고, 학생들은 기록 활동을 하는데 있어 대학 아카이브가 꼭 필요한 기관이라고 인식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과의 협력을 통한 참여 전시는 학생들의 창의성, 팀워크, 의사소통능력을 개발 및 강화시켜주며 직업체험을 통한 새로운 진로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효과는 학생 공동체에게 국한되어 있지 않다. 대학 아카이브는 지역 공동체에도 이와 같은 소통의 자세를 보여줄 수 있고, 지역주민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기관의 지역정체성과 문화성을 더욱 확립하고 대학 내부구성원이 아닌 외부 구성원에게도 필요한 기관이 될 수 있다.

      • 20~30대 직장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 직업소명과 직무재창조의 매개효과

        정해인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직업소명과 직무재창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국에 거주하는 20~30대 연령의 직장인들 중 현 직장에 6개월 이상 근속중인 직장인 254명을 대상으로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 직업소명, 직무재창조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27, AMO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경쟁모형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업소명 및 직무재창조와는 부적 상관, 직무소진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직업소명은 직무재창조와 정적 상관, 직무소진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직무재창조는 직무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직업소명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직업소명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직업소명과 직무재창조는 순차적인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직무스트레스, 직업소명, 직무재창조, 직무소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상담현장에서 직무소진을 호소하는 20~30대 직장인 내담자들과의 효과적인 상담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and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Among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nationwide, a survey was conducted on 254 office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at the current workplace for more than 6 month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model and rival model were establish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7 and AMOS 26 programs for data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 As a result of model verification, the rival model was the most suitable,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calling and job crafting,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burnout. In addition, carrer call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crafting, positive correlation, and job burnout, and job craft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burnou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carrer calling and job crafting showed significant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to establish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with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 job burnout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arrer calling, job crafting, and job burnou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discussed.

      • 아나운서는 왜 TV 매체에 머무르기를 바라는가? :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비정규직 아나운서를 중심으로

        정해인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지역 지상파 방송사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아나운서를 심층 인터뷰 하여, 이들의 정체성과 노동의 가치를 알아보고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산업 내에서의 미래 대응 전략에 대해 주목하고자 하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시장에서 지역 방송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아나운서의 근무 환경 변화와 노동 실태를 파악해, 이들의 현재와 미래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방송진행자 집단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지역 지상파에서 방송하는 비정규직 아나운서들을 연구집단으로 설정하고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비수도권, 비정규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방송진행을 위해 낯선 곳으로의 이동도 마다하지 않는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문화 산업에 존재하는 창의노동(creative labor)의 특수성과 양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좋아하는 일을 하며 돈을 버는 것에 대해 동의했지만, 방송을 하면서 동반되는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열악한 처우, 지속되는 경쟁과 같은 상황들을 감수하며 일하고 있었다. 다매체다채널로 인한 미디어 환경 변화와 모바일 중심 플랫폼이 등장했지만, 아나운서는 다양한 뉴미디어 플랫폼의 등장을 기회로 생각하지 않았다. 먼저 비정규직이라는 특수한 고용관계로 인해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아나운서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새로운 기회로 받아들일 수 없는 위치에 있었다. 방송사에서는 비정규직 아나운서에게 건당 출연료를 지급해야하기 때문에 방송사의 SNS 채널에 아나운서 활용을 활발히 하지 않았다. 또한 비정규직이기 때문에 조금 더 어릴 때 영향력이 더 큰 TV 매체로 상향 이동하려는 욕구가 존재했는데, 이는 경쟁이 심한 뉴미디어에서 인간적이고 다소 파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에 부담감으로 작용했다. 현재 방송사에서는 아나운서를 방송사의 얼굴로 인식하여 품위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한다는 이유로 이들이 타 방송사와 플랫폼에 출연하는 것을 제한하는 모습도 존재했다. 지역 지상파 방송사 아나운서에게는 뉴스를 보도 하는 것이 중요했고, 이들은 본인의 방송 진행 능력을 레거시 미디어에서 더 잘 발휘할 수 있다고 받아들이고 있었다. 지역 지상파 아나운서의 정체성을 파악해보면 이들에게 우선순위는 TV 매체에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역 방송에 대한 애정과 아나운서로서의 영향력을 고려했을 때 여전히 지역 방송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그동안 제대로 논의되지 않았던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시장에서 방송업계의 모습, 특히, 지역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는 아나운서들에 주목해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고교생 농촌생활 체험학습과 인성 함양에 관한 연구: 농촌 생활 체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정해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in the rapidly changing age of knowledge-information, people tend to value materials higher than morality, suffering from fierce competition, achievement-oriented heartless life environment, the flood of information, and the shock of heterogeneous culture. Thus education efforts are required to help students to know the preciousness of labor and to develop public spirit, qualities and characters required for mentally and physically healthy democratic citizens through various field activities and volunteering service activities, escaping from theoretical and knowledge-based class in gray concrete buildings in the big city and from the realities lacking in the sense of community with the prevalence of selfishness. Thus, this study purposes to present exemplary cases and desirable methods of rural life field learning activity through analyzing rural life learning activities, which the school I am working for has been executing every year as a part of field education, and demonstratively examining change in students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having the field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data on field learning and character building from cases of rural life field activities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03, and from 28 students (22 male and 6 femal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rural life field activity in 2003.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ross analysis (test) program in SPSS WIN 10, a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between before and after having the field activity.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activity understood by participating students were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having the activity. Before the activity the students regarded it as a perfunctory process but after the activity they came to have a voluntary and active attitude toward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This suggests that the activity was effective in development the sense of community in students.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tudents' perception on the realities of rural communities and rural problems. Before the activity, students learned of rural life indirectly through various mass media but after the activity their perception on rural communities changed in positive direction.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tudents' perception on the value of labor and authentic public spirit before and after having volunteering activities to provide a helping hand to farmers. Fourth, during the activity, participating students solved the problem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by themselves through camping-out an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tudents' appreciation of their family and parents and their percep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Fifth, as I have experienced while executing the activities since 1998, factors that hindered rural life field activity most were lack of time for students of field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curriculum, lack of relevance of field learning activities to school curriculum, and difficulties for leading teachers to help farming works due to lack of prior knowledge of agri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materials so that various filed learning activities may be utilized in building desirable characters and sound value systems and developing healthy body and mind in growing you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