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브루타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수학습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해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 수업을 활용한 지구과학Ⅰ ‘기후변화’ 단원의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2016)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교육부, 2018), 교과서를 분석하여 기후변화 단원의 각 차시별 학습 목표를 수립하였으며 적용할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자료를 구안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본 수업은 2019년 9월에 약 3주간 정규수업으로 실시하였고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하브루타 기후변화 교수학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브루타 기후변화 교수학습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 중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감정적 요소)’와 ‘과학 활동에의 참여(행동적 요소)’에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요인과 기후변화의 영향 및 대책에 대해 학습자 중심의 하브루타 교수학습이 이루어졌다. 하브루타 수업에서 학습자는 궁금한 내용을 스스로 질문을 만들고, 동료와 자유롭게 질문하고 토론함으로써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였고, 이는 과학과 과학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감정을 가지게 하였으며 과학 활동에의 참여도 이끌어냈다. 그러므로 지구과학 기후변화 단원에서 하브루타 수업은 전통적 교사 강의 위주 수업의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몸치장의 문학적 기능

        정해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ette étude a envisagé la fonction littéraire sur la toilette dans l’œuvre de Proust,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Influençant considérablement les romans modernes du XXe siècle, ce roman atypique montre des aspects divers et différents du roman traditionnel d’autrefois. Dans un premier temps, Proust développe le roman sans déroulement dramatique tout en décrivant des impressions du passé. Il expose les descriptions des personnages et de la vie mondaine tiennent une place importante dans son œuvre. Ainsi pour comprendre ce roman qui a un noyau dans la partie descriptive non pas dans le récit, il est inévitable de suivre ces descriptions vestimentaires. C’est à dire, il est indispensable de fouiller et examiner les descriptions dans ce roman afin de saisir l’intention de l’auteur. Proust décrit en détail tout au long de ses sept volumes le monde représenté par l’élégance et les toilettes des personnages principaux. Ainsi, il peut s’appeler analyste. Comme Balzac, Proust fait paraître nombreux personnages dans son roman mais une grande différence se présente dans la toilette des personnages entre les deux grands écrivains. Les toilettes des personnages proustiens sont équivoques, tandis que celles de balzaciens se lisent de façon univoque.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les personnages proustiens peuvent être analysés sous plusieurs perspectives. De plus, Proust s’intéresse à toute chose relative à l’habillement et de ce fait, il écrit in extenso le style vestimentaire en vogue et les réels couturiers de son époque. Dans Le temps retrouvé, le vol 7, le narrateur qui croit que la seule essence véritable est l’impression, décide d’être romancier, de créer une œuvre d’art de façon que cette vérité peut fuir à jamais. Le moyen de retrouver le temps perdu pour le narrateur, c’est d’écrire un roman et le remplir avec les impressions du fait passé. Et aussi le narrateur compare sa future créature à une robe. « Je bâtirais mon livre, je n’ose pas dire ambitieusement comme une cathédrale, mais tout simplement comme une robe. » raconte-il sur le roman qu’il veut écrire. Dans le sens dicionnarique du verbe ‘bâtir’ Proust l’emploie dans sa prose et même pour la robe. Ainsi, pour comprendre le roman de Proust, il est très important et significatif d’aviser les éléments concernant le vêtement. Cependant la fonction de la toilette a peu été étudiée dans un texte littéraire. Le roman de Proust n’est pas un cas exceptionnel. Cette étude traitant particulièrement en profondeur les quatre fonctions de la toilette(le signe social, la marque individuelle, la langue sentimentale, la marque artistique) est consacrée à la recherche de signification littéraire de la parure écrite par Marcel Proust. Au premier chapitre, on examine les célibataires de l'art qui ont réussi à attribuer de l'art à leurs vies, mais n'ont pas fait l'œvre d'art en réel. Et alors au deuxième chapitre, considérant que les parures deviennent des objets réflétants la caractère artistique, les toilettes féminines, objets d'art de la vie, s'éclairent sous cet angle divers. Au troisième chapitre, on a étudié la relation entre l'artisan qui dirige son apprentie pour se faire attribuer le caractère artistique à l'action de s'habiller et l'apprentie tout en recevant la leçon qui engendre activement le sens esthétique de son habillement. En dernier, au quatrième chapitre, explorant la liaison de bâtir un roman et une robe, on envisage la relativité entre le couturier qui donne le caractère artistique à sa robe et la narateur qui utilise l'écriture afin de créer de l'art. Chez Proust, la parure lie à les mémoires de faits importants et est disséminée tout au long du roman comme les motifs musicaux. En outre, dans la mesure où Proust compare un livre à une robe, on confirme que les toilettes entrent en liaison avec son œuvre très intimement. Quand Fortuny, couturier dans le roman, choisit de bâtir des robes pour s'inscrire la valeur de la beauté éternelle, cet écrivain choisit de 'bâtir' le roman pour graver le défini du temps existant dans l'indéfini. Donc approfondir la fonction littéraire sur la toilette dans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constitue une façon intéressante pour retrouver le temps perdu tel que l'écrivain l'avait voulu. 본 연구는 프루스트의 장편 소설『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에 나타난 몸치장의 문학적 기능을 고찰해 보았다. 20세기 현대 소설사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 독창적인 장편 소설은 이전의 전통 소설들과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극적인 전개 없이 화자가 과거에 받은 인상들을 묘사하며 소설은 전개되기에 인물들에 대한 묘사나 사교계의 모습 등은 그의 작품 속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서사가 아닌 묘사가 중심이 되는 소설을 이해하는데 있어 의복에 대한 묘사는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따라서 프루스트의 작품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묘사를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프루스트는 총 7권으로 이루어진 그의 작품 전반에 걸쳐 우아함으로 상징되는 사교계의 모습과 주요 등장인물들의 몸치장들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어 한 시대의 연대기적 작가라 불릴 수 있다. 발자크와 마찬가지로 프루스트 또한 소설 속에 엄청난 수의 인물을 등장시키지만 이들의 몸치장은 발자크의 인물들의 몸치장과 차이가 있다. 바로 발자크의 작품 속 인물들의 옷차림은 단선적이지만, 프루스트의 작품 속 인물들의 옷차림은 복선적이어서 인물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프루스트는 의상과 관련한 것들에 관심이 많았기에 자신의 작품 속에 실존하는 디자이너들에 대해 언급하고 유행하는 의복 스타일을 너무나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화자 마르셀의 지나간 시간에 대한 이야기면서도 동시에 프루스트가 쓰고자 하는 소설에 대한 설명이다. 제 7권 『되찾은 시간』에서 작가가 되기로 마음먹은 화자는 ‘인상’만이 참된 진수라고 생각하고 이러한 진리를 영원히 붙들어 놓기 위한 방법으로 예술, 다시 말해 소설을 창작하기를 결심한다.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방법은 바로 과거의 일들에 대한 인상을 소설에 쓰는 것이다. 화자는 자신이 창조해 낼 소설을 드레스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는 자신이 쓰고 싶은 소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나는 책을 쓸 것이다. 감히 야심차게 성당처럼은 아니더라도 아주 단순하게는 드레스처럼 말이다.” ‘짓다’(bâtir)라는 동사가 지니는 사전적 의미처럼, 프루스트도 글을 짓는 것을 성당을 짓고, 옷을 짓는 일에 견주는 것이다. 이처럼 프루스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의복과 관련한 요소들을 살펴보는 일은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하다. 하지만 문학적인 텍스트 안에서 의복의 기능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프루스트 작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는 몸치장의 4가지 기능(사회적인 기호, 개인적인 표시, 감정적인 언어, 예술의 표식)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프루스트가 작품 속에 만들어 낸 쓰여진 몸치장이 어떤 문학적인 의미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제1부에서는 자신들의 삶에 예술성을 부여하는 데에는 성공하지만 실제 예술작품을 만들지는 못하는 ‘예술의 독신자’들을 살펴보았고, 제2부에서는 몸치장이 예술성을 반영하는 대상이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삶의 예술품들인 여인들의 옷차림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했다. 제3장에서는 옷 입기라는 행위에 예술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장인과 그 가르침을 받아 능동적으로 자신의 옷차림에도 심미안을 발휘하는 도제의 관계를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제4부에서는 글쓰기와 드레스 짓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자신의 작품에 예술성을 반영하는 디자이너와 예술을 창조하는데 글쓰기를 이용하는 화자와의 연관성을 고찰했다. 프루스트의 작품에서 의복은 중요한 사건의 기억과 연결되어 있으며 음악적 모티브처럼 소설 곳곳에 산재하여 있다. 또한 책을 드레스에 비유하는 만큼 프루스트에게 몸치장이란 그의 작품과 너무나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설 속 디자이너인 포르튀니가 영원한 아름다움의 가치를 각인시킬 방법으로 드레스 ‘짓기’를 선택했다면, 작가는 무한함 속에 존재하는 시간의 유한성을 새겨놓을 방편으로 글 ‘짓기’를 선택한 것이다. 따라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드러나는 몸치장의 문학적 기능을 고찰하는 것은 작가가 그토록 원했던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흥미로운 방법이 될 것이다.

      • 중국의 음식 풍속에 대하여

        정해림 계명대학교 통·번역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na has a long history about the food customs. This is the book which deals with the food customs related to the chinese national holiday and a marriage and a childbirth based on the long history and a cultural tradition. In addition, this book deals with the various food customs related to religion and faith for example tea and alcoholic drink. This book totally consists of 11 chapters ; however, I translated a few of parts of the chapters. I chose to translate Chapter 2: the food custom of Chinese national holiday, Chapter 3 : the food custom of chinese wedding, Chapter 4 the food customs of delivery. Chapter 2 introduces the food custom of Chinese holiday, and it contains the story about the food custom of a chinese national holiday and the food custom of the 4 seasons which are the foods of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Before I translated this part, I just knew about it vaguely. But, after I translated this part, I could understand more clearly and learned more knowledges about the food customs and the history. Chapter 3 introduces the food custom of a chinese wedding. This chapter treats the story about minority more than the chinese, so we can obtain the knowledges concerned with the wedding customs of minorities in china and the food customs. We usually don't have the opportunity to see the story about the minorities in china; however, we can get more exciting things through this book. Chapter 4 introduces the food customs of delivery. In china, there are also the food which promote to eat after delivery and the food which forbid to eat after delivery as in korea, so if we compare a chinese food customs with a korean food customs, it will help us to understand about the food customs of delivery in china. The food customs in a country is one of the tradition which harmonize a life, culture, and history of the country. China has thought of etiquette about the foods very importantly since an ancient times. According to precedent, when the king of Han dynasty gave a food to his subjects, they thought that the king gave them a life. Like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the food customs in a chinese culture. So, after you read this book, it can give you a big help. I truly realized that what we translate needs not only the language ability but also many knowledges around the story which we translate. When we translate, we absolutely need our mother language ability. Besides, we have to learn the background and the plenty of knowledge around the story what we translate. Specially, except for the technique of translation, we have to acquire a plenty of knowledge related to many fields, and if we translate it with these things very well, we can get a great piece of translated work. Also, I realized that we hav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n, we won't mistranslate it. May be, I can misunderstand this book, but I confirmed that I learned more things through the time I translated this book. 중국의 음식 풍속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飮食風俗≫은 이런 유구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바탕으로 세시명절과 결혼 풍속 및 출산에 관련된 음식 풍속들과, 그밖에 종교와 신앙에 관련된 음식 풍속 및 차와 술 등 여러 음식 풍속 분야에 대해 다루고 있는 책으로, 전문은 총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인은 그중에서 2장 세시명절의 음식 풍속, 3장 혼례의 음식 풍속, 4장 출산의 음식 풍속을 선정하여 번역하였다. 2장은 세시명절의 음식 풍속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에 해당하는 절기와 명절의 음식 풍속들과 그 유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부분을 번역하면서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유래에 대해 조금 더 명확하게 알 수 있었고, 또 처음 접하게 된 중국의 음식 풍속 유래도 있어서 많이 배우게 된 부분들도 있었다. 그리고 3장은 결혼의 음식 풍속으로 이 장은 한족보다 오히려 소수민족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담고 있어서, 중국 소수민족들의 결혼 풍속과 아울러 그에 관련된 음식 풍속들에 대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평소에 소수민족에 대한 내용들은 접할 기회가 별로 없는데, 이 책에서 이렇게 접하게 되어 새롭고 재미있었다. 4장은 출산에 관련된 음식 풍속을 다루고 있다. 중국에서도 임신을 하면 장려하는 음식들과 금기하는 음식들이 있는데, 한국에도 고대로부터 임신 시기에 장려하고 금기하는 음식들이 있었다. 중국과 한국을 비교해 본다면 중국의 출산에 관련된 음식 풍속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한 나라의 음식 풍속은 그 나라의 생활과 문화, 역사가 융합되어 있는 전통문화이다. 중국은 고대로부터 음식에 대한 예절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여, 고대 한(漢)대에는 황제가 신하에게 음식을 내리는 것은 생명을 주는 것으로 여겨질 만큼 중국 문화에서 음식 풍속은 굉장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飮食風俗≫에는 이렇게 중요한 중국의 음식 풍속이 그대로 녹아 있어 중국의 음식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논문을 통해서 번역이란 단순한 언어 능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절실히 느꼈다. 번역이란 모국어 실력을 바탕으로 탄탄한 외국어 실력으로 틀을 세우고, 거기에 관련 배경지식과 폭넓은 학식으로 살을 덧붙여 완성하는 것이다. 특별한 번역 테크닉 이외에도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지식들을 쌓고, 그 지식들을 훌륭하게 잘 이용했을 때 훌륭한 번역이 나오는 것이다. 또한 한문은 표의문자로서 그 외면적인 것보다 내면적인 부분을 더 잘 이해해야 잘못된 번역이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도 이번 작업을 통해서 절실히 깨닫게 되었다. 특히 ≪飮食風俗≫과 같은 책은 중국의 고대 문헌과 역사 자료 및 중국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과 기본 바탕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잘못된 번역이나 매끄럽지 못한 번역이 나올 수도 있다. 본인은 이번 텍스트를 번역하고 수정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음식 풍속에 대한 이해의 폭을 한층 더 넓히고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확신한다.

      • 화학적 처리에 의한 남극크릴의 불소 저감 효과

        정해림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Decreasing effect of fluoride contents in Antarctic krill (Eupgausia superba) as affected by chemical treatments with and without heating were investigated. The used chemicals were NaOH, Na2CO3, Na2SO3, citric acid, acetic acid, phosphoric acid, HCl, ethanol, lysine, aminoguanidine, arginine, carnitine, betaine and creatine. Fluoride contents per dry weight were 788 ±10 mg/kg in the whole body of krill (WBK) and 294±4 mg/kg in the peeled krill meat (PKM), respectively. In the whole body weight of krill, the head represented highest proportion of 37%, and the meat, body shell, leg and tail occupied 33%, 20%, 7% and 3% respectively. The fluoride content per the unit weight was represented highest in the body shell as it was measured as 1,397±10 mg/kg. When WBK was treated with chemicals with and without heating or thawed, fluoride was not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KM was treated with chemicals without heating was remarkably decreased to less than 100 mg/kg which is the criteria recommended by FDA. Particularly, the treatment of betaine without heating showed the best reduction effect of 30±6 mg/kg, followed by carnitine (38±17 mg/kg), acetic acid (52±1 mg/kg), phosphoric acid (67±2 mg/kg) and hydrochloric acid (68±1 mg/kg).

      • 성인의 주관적 치주상태와 객관적 치주지수와의 관련성

        정해림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aim ofthestudywastoconfirm therelation ofsubjectiveperiodontal symptomstoobjectiveperiodontalindexbycomparingpersonalperiodontal evaluationandactualoralhealthexamedinthedentaloffice. Two hundred and fifteen outpatie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confirmed byInstitutionalReview Board in Ajou UniversityHospital.They were surveyed by confirmed questionnaire and examined forcommunity periodontalindex(CPI). In thestudy,theindependentvariablesincludegeneraldemographicdata, oralhealth behaviors,subjectiveperceptions,and experienceswith treating a systematic or periodontal disease, and the dependent ones include subjective periodontal symptoms and objective periodontal index.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questionnaire wasconfirmed forreliability and validity. Statistical treatment methods employed in the study were descriptivestatisticsforeach variable,cross-tabulation to check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simple correlation analysis for relation between subjective periodontal symptoms and objective periodontal index, and simple linearregression analysisto check the effectsofthe independent variablesonthedependentones. The high age group and the dentaltreatment group showed common symptoms,"food impaction"and "toothmobility".Theloweragegroup,no recent treatment group(1year), no scaling group, and the no regular check-upgroupwereallawareof"presenceofcalculus"insidethemouth. CPIwasrelativelyhigh in thehigh agegroup and tooth extraction group. Noscalinggroup recorded arelativelyhigherCPIthan scalinggroup.CPI wasrelatively high among those who had hypertension ordiabetes.The morenegativeperceptionsthey had oftheirtoothbrushing,thelowertheir CPIwas. CPIhadpositive(+)correlationswithsubjectiveperiodontalstatusessuchas bleeding on toothbrushing,food impaction,gingivalpain,tooth mobility, gingivalswelling,andthedegreeoftoothmalposition(p<.05,p<.01). Conclusively,there were many corresponding butnotthe same aspects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objective periodontal index, which necessitatesaadequateoralhealtheducation

      • 학교체육수업 활동에 따른 운동상해 발생에 관한 조사 연구 : 중학교 체육수업을 중심으로

        정해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 체육 활동에서 안전한 체육 활동을 위하여 운동 상해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현재까지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는 선수들의 부상(상해)과 교과 외 활동시의 상해 빈도 수를 조사한 것뿐이었다. 그러나 상해의 내용과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의 목적은 학생들의 체육 수업 동안에 발생되는 운동상해의 종류와 빈도 수를 조사하고 처치방법을 분석하고 일원변량분석을 수단으로 부상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소재 M중학교, C중학교 그리고 S중학교 학생들이 설문을 작성하고 그중 신뢰성이 부족한 39개의 자료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411개의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시킨 후 SPSS WIN 7.5를 이용하여 부상의 빈도 수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위에서 언급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신체 부위별 상해에 대한 조사 결과는 "팔 부분"에 상해를 제일 많이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해를 입은 시간은 "오후"가 가장 많으며, "수업시간 11분에서 30분 사이"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절 별 상해 시기는 "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상해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는 "본인 부주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성격에 따른 운동성향에서,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성향이 많이 나타났다. 5. 응급처치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 응급처치를 받은 학생이 54.5%로 나타났으며, 받은 학생이 받지 않은 학생보다 9%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응급처치에서, "파스종류를 부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료는 "교사의 치료"가 가장 높고, "스스로 치료"가 다음으로 높았다. This study is examined injury of player to secure physical activities in school. Up to the present, the study of injury is only about player's injury and injury frequency in extra curricula activities. Bu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auses and effects of injur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thods of treatment, and to make an alternative plan by use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Samples of this study are 450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volved in Seoul area, 411 data was used in this study. And, by use of SPSS WIN 7.5, the frequency analysis was don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clusion about each part of injury came out "arms" as the most happened injury part. The most injuried body part was "arms". 2. Time of injury happened in the afternoon, between 11 minutes and 30 minutes in the class and season of injury came out spring as the most happened. 3. Reasons of injury came out "the personal carelessness" as the highest happened thing. 4. In activity inclination, it came out "introspective and passive." 5. Upon investigation about first-aid treatment, it came out 54.5% given first-aid students and it came out 9% higher than other people. 6. In first-aid treatment, it came out Irapplying a pass" and teacher's treatment was the first and person himself treatment was the second .

      • 인공지능 기반 대출심사에 따른 법률문제 : 차주의 정보에 관한 권리의 관점에서

        정해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에 기반한 대출심사 기술이 나날이 고도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IT 기술의 발전으로부터 시작되어 규제샌드박스를 도입한 금융혁신법의 제정과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신용정보법의 개정 등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규제 완화에 의해 가속화되었다. 본 논문은 본격화된 인공지능 기반의 대출심사가 차주의 정보에 관한 권리와 일으키는 긴장관계에 따라 새롭게 발생하는 법적 문제에 대해 검토한다. 첫 번째로, 인공지능의 학습을 위한 빅데이터 수집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명정보 거래, 본인신용정보관리업자로서의 데이터 수집, 공개된 정보에 대한 자연어 처리가 적법한지, 만일 불법적인 빅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면 차주는 어떻게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두 번째로, 자동화평가와 관련하여 이에 활용된 알고리즘에 대한 차주의 설명요구권의 범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또한 이에 따라 도입할 수 있는 차별적 취급 금지 규제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신용정보의 공유가 결국 차주의 정보에 관한 권리도 완결시키는바 이를 위한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야 함을 강조한다. The AI-based Lending is rapidly progressing. These changes started with development of fintech and was driven by financial authorities’ efforts such as the Special Act on Supprot for Financial Innovation and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issues that arise when AI-based lending collides with the borrower's right to information. First, this paper review ‘Pseudonymous Data’, ‘Comparability Rule’ and ‘Published Data’ that are being used as a method of big data collection, and then review how the borrower's right to information can be remedied if it has been infringed. Second, what is the specific scope of the data subjects' right to request explanation for decision based solely on automated processing, and what is the direction of the Financial AI guidelines to prevent bias in the algorithm are examined. In conclusion, it is emphasized that an appropriate balance must be found because proper sharing of credit information ultimately completes the borrower's right to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