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선Fin과 비틀린 Fin 의 삽입에 따른 열전달 촉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eat Transfer Enhancement using Straight and Twisted Internal Fin inserts

        정종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igh cost of energy and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use of heat exchangers have been the driving factors in improv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heat exchange systems. Heat transfer enhancement can be accomplished in two ways: passive and active techniques. The former includes extended surfaces, treated surfaces, swirl flow devices, and additives. It does not need an external power for the enhancement, while the active method requires an external power. Heat transfer augmentation by the passive method shows to be more advantageous economically, easier in construction, and simpler in design as compared to the active method. An internally-finned tub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assive methods especially in industrial applica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nal aluminum fins with a star shape cross section on the heat transfer enhancement and pressure drop in a counterflow heat exchanger. A concentric tube heat exchanger was used with water as the working fluid. The test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at transfer rate of tubes having star shape straight/twisted fin increased by 12-51% over the plain tube value, depending on the internal fin configuration used. However, the pressure drop also increased substantially by an average of 286-338%. The percentage increase in the pressure drop was larger than the percentage increase in the heat transfer. We believe that a better heat transfer enhancement and less pressure drop could be achieved by making the fin thickness smaller so as to allow less flow restriction while maintaining a large surface area.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for the three fin configurations which are straight fin, twisted fin(P=0.90m and 0.45m) in the present study were negligible.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straight fin is good enough to effectively enhance the heat transfer and that there is no further benefit by using twisted fins in the case of the counterflow heat exchanger.

      • Fe-Mn-C계 TWIP강의 기계적 성질과 지연파괴 특성

        정종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New design concepts for the construction of advanced light-weight and crash resistant transportation system require the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and supra-ductile steels combined with enhanced energy absorption and reduced specific weight. A variety of AHSS(advanced high strength steel) including DP, TRIP and TWIP steel have been used in automobile body. Among these high strength steels, TWIP steel containing 15∼20%Mn and additions of carbon and aluminum are regarded as much attractive one due to th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which result from high strain hardening due to the extensive twin formation during plastic deformation. The excellent ductility (over 50%) and the enhanced tensile strength (over 700MPa) enable complex deep drawing or stretch forming operations of sheets and the fabrication of crash absorbing frame structures. Mechanical twins, strain induced ɛ-martensite(hcp) or α' martensite(bct) may be formed depend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st temperatu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stable austenitic TWIP steel largely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deformation modes such as slip, deformation twinning, transformation to ɛ and/or α' martensite, which are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tacking fault energy (SFE) of austeni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loying elements on the phase transformation, deform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Fe-Mn-C hot rolled TWIP steels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 strength (over 800MPa) and large ductility (over 50%) steel sheets. In a second step,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ld rolled and annealed Fe-18Mn-0.6C TWIP steels with addition of Al, Ti and Ni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chanical properties on the annealing temperature and alloying elements in applications for car body part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lso,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layed fracture of high strength TRIP/TWIP steels with a tensile strength of 700MPa to 1000MPa grade using cathodically hydrogen charged specimens. The main results and conclusions from the work carried out are as follows : 1. The ductility of Fe-Mn-C TWIP steels with high manganese concentrations (12 to 18%) and additions of carbon (0.15 to 0.6%) and aluminum (0.5 to 1.5%) is decreased due to the strain induced transformation of metastable austenite to α' and/or ɛ martensite. However, the autenitic TWIP steels of the composition with C󰁅 0.45% and Mn 󰁅 18% shows high elongation (over 68%) due to the formations of mechanical twin during plastic deformation. 2. The dominant deformation mode shifts from TRIP to TWIP mode as the amount of carbon, manganese and aluminum additions is increased. The addition of Al to Fe-Mn-C TWIP steels increases the stacking fault energy of the austenite and suppress the martensitic γ→ε transformation, this leads to enhance the ductility. Also, addition of 0.2 %Mo to TWIP steels shows that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 to 100MPa without sacrificing the ductility. Also, Cu (0.3 to 0.46%) added steels result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ductility due to the grain refining. 3. The chemical composition range exhibiting th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in Fe-Mn-C TWIP steels is 0.45∼0.6%C, 18%Mn and 1.0∼1.5%Al.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se hot rolled steel sheets exhibit about 800∼1000MPa and 60∼70%, respectively. 4. In Fe-18Mn-0.6C-1.5Al TWIP steel with 0.123%Ti content, the average recrystallized grain size was reduced to 2.5㎛ by cold rolled and annealed at 800℃ for 5 min, because of the pinning effect of the fine TiC carbides on grain coarsening. The tensile strength was decreased and the ductility was improved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However, the reversion of hardness and yield strength happened between 750℃ and 800℃ due to the TiC and M3C type precipitation. 5. The Fe-18Mn-0.6C TWIP steel with 0.56%Ni content exhibited relatively lower yield strength, because Ni precipitates were not formed during annealing process. However, when the specimen was annealed at 800℃ for 5min,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revealed 1096MPa and 61.8%, respectively. 6. The TWIP steel with the stable austenite structure shows a lower hydrogen content than that of TRIP steels. The uniform distribution of strong traps throughout the matrix as the austenite is considered beneficial to reduce the delayed fracture of TWIP steels. Moreover, austenite structure with very fine deformation twins formed during plastic deformation could also improve the ductility and reduce the notch sensitivity. In U-bend test and deep drawing cup test, TWIP steel shows a good resistance of delayed fracture compared with the TRIP steel.

      • ROM 데이터 추출을 통한 결함검출 시스템

        정종구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항공전자공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집적회로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회로카드의 구성품을 이루는 집적회로들 중에서 결함을 찾아내는 과정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결함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결함 진단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 ROM으로 구성된 회로카드에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다가 추출한 ROM 데이터와 양품의 데이터를 비교하여도 결함 식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ROM의 기능적인 측면의 시험보다는 ROM에 있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비공개된 ROM 데이터의 획득과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므로 결함이 있는 회로카드의 불량 여부를 쉽게 판정할 수 있었다. The complexity of digital circuit design is growing. If a digital circuit has a fault,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defects and It takes a long time to find a spot of defects at the physical level. But the digital circuit card can be easily tested and detected by Automatic Test Equipment using LASAR(Logic Automated Stimulus and Response) simulation program. But this software also has a little problem that has to contain the libraries need to compile the netlist in the LASAR simulation program. those libraries can purchase from the Teradyne. Inc. or we have to make by ourselves. but this is very difficult to make a libraries because of unknown chip data-sheets. so this paper is not using the LASAR simulation program. this paper, ROM data extracting algorithm, just considers the ROM(Read Only Memory). this algorithm which can get the data from the digital circuit card that consists usually ROMs. and the data from ROMs be compared with the original good data. We are implemented the proposed extracting algorithm program by LabWindows/CVI 8.5 and the digital automatic test instrument with Teradyne’s digital test instrument. We also make an interface circuit board connecting the digital test instrument and the digital circuit card. The extracting algorithm shows the good performance of getting the data from ROMs.

      • 실시간 원격화상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수업의 상호작용유형과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종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상회의 시스템은 80년대 회의를 목적으로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수업은 열린교육, 평생교육의 실현이라는 교육적 대 전제와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이 접목되어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원격 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90년대와 2000년 초반에 그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기존의 전통적 수업방식에 단순히 화상시스템을 연결하는 방식의 원격화상수업은 실제로는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원격화상수업 학습자는 수업의 참관자적인 수동적 자세를 나타내며, 이로 인해 수업의 만족도 및 성취도가 높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방안으로 다양한 상호작용의 제공과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보조교사의 배치와 안정적인 시스템의 구축 등을 공통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사례의 제안사항 등을 고려하여 원격화상수업을 진행하였다. 원격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방식과 인터넷을 활용한 비실시간 방식의 다양한 상호작용 환경의 제공하고, 화상강의실에 보조교사를 배치하였다. 그에 따라 대면수업의 학습자와 원격화상수업의 학습자의 상호작용유형과 학습만족도 및 원격화상수업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의교기기 기업 ‘ㅇ’사의 국내 19개의 지역에 원격화상회의 시스템이 구축된 'A' 연수기관의 사례를 바탕으로 원격화상장비를 활용한 4개의 교육과정을 통해 총 115명 (대면수업 70명, 화상수업 45명)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은 참여관찰과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첫 번째, 실시간 상호작용의 빈도는 화상수업의 학습자가 대면수업의 학습자에 비해 절반 정도의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학습자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황에서 시스템적인 환경이 주어지더라도 먼저 자신의 의문사항을 발언하기 보다는 교사가 의문사항을 물어보았을 때 발언하는 수동적인 태도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쉬는시간 등 비교적 제한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대면수업과 유사한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원격화상수업에서 화상강의실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화상강의실 학습자 별도의 상호작용 시간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인터넷을 이용한 비실시간 상호작용에서는 화상강의실의 학습자가 대면수업의 학습자보다 전반적인 부분에서 다양하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며, 교수자 및 전체적인 학습자와의 교류에 있어서도 더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실시간으로 부족한 상호작용을 비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서 보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수업의 만족도에서는 상호작용의 여부를 떠나 대면수업과 화상수업의 학습자가 유사한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지방에서 유명교수의 강의를 수강하고 실습이 가능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는 것이 전반적인 학습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격화상수업이 충분한 교육기회를 제공받지 못하는 학습자 집단에게 상당히 의미있는 방식의 수업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원격화상수업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안사항을 제시한다. 첫째, 원격화상수업 운영시 다양한 상호작용과 학습활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을 이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방식의 학습방법이 성과를 얻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원격화상수업을 단순히 대면수업과 화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아닌 다양한 부분에서 충분히 고려된 과정을 구성해야 한다고 보여진다. 주교수가 과정초기에 1~2회 정도 원격강의실에서 강의를 하여 교수자가 화상수업의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관계를 충분히 하거나, 원격화상 수업시간은 5시간 이내로 구성하고, 화상수업 별도의 수업지도시간을 배정하는 것 등이 그 방법들 중 하나라고 보여진다. 셋째, 원격화상수업을 개설시 그 교육환경에 대한 충분한 조사와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은 실습을 동반해야하는 과정이었으며 수업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자의 수가 적고 그 역량의 차이가 크므로, 지방의 학습자에게는 학습기회가 충분치 못하였다. 이러한 교육환경에서 지방의 학습자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전체적인 학습의 만족도와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여 물리적인 교실과 화상시스템이 준비되어 교육기회가 충분치 못한 학습자들에게 교육의 기회가 제공된다면 새로운 원격수업의 방식으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Video conference system was widely used in companies for conferences during the 1980s. Later on, distance education using the technologies of video conference system was an appropriate distance education method suitable for information era; a way to realize open and life-time education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active studies on how to utilize it as educational means during the 90s and the early 2000s. However, when we look into preceding studies, the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es which merely connecte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ith the video system was reported to have low interactions in practice. The learner from this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es show passive attitudes with low participation, leading to lack of satisfaction in class and performance. For this, many have proposed common solutions such as providing various interactions, learner-oriented self-led learning, posting assisting teachers, and building stabilized systems. This thesis has implemented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es considering the suggestions made from the preceding studies, by providing real-time video conference system and non real-time internet visual teaching system, with posting assisting teachers in visual classes. Accordingly, several suggestions and alternatives were researched including interacting ways and learning satisfactionof face-to-face class learners and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 learners, with recognition and alternatives for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es. The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on the basis of in-service training institute ‘A’ for a pharmaceutical company called ‘O’ which had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built in 19 areas in Korea. Through 4 curriculums which utilized the video conference system equipments, a total of 115 learners(70 face-to-face class learners and 45 visual class learners) were sampled, wit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There were 3 results for this study. First, the frequency of real-time interaction for visual class learners showed low results, about half of the face-to-face class learners. This was shown with the passive attitude which the learners spoke when teachers asked them questions, rather than the learner’s active questioning, despite the given systematic environment where learners are separated in space with teachers. However, during unlimited situations such as break times, it showed similar results with face-to-face class learners. Thus, in order to promote real-time interaction in visual class rooms for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es, it seems that an additional time for interaction is needed for learners in visual class rooms. Second, for non real-time interactions utilizing the internet, the learner in visual class rooms showed various and active interaction in general compared to face-to-face class learners, with high participation rate in exchange between the teacher and learners. This seems that non real-time interaction was complimenting the lack of interaction during real-time learning. Third, in terms of class satisfaction, both learners showed similar satisfaction levels regardless of interactions, with results proving that learners studying in rural areas showed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towards classes which provide famous professors’lectures, with the opportunity of actual practice. This can be concluded that the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 can be a significantly meaningful learning method for learners who cannot receive sufficient educational opportunities. After examining the recogni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as a whole, this study has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First, when implementing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es, the Blended Learning method which utilizes on- and off-line tool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nterac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can be an effective measure to gain performance. Second, it seems that the distance education by Real-time video conference system curriculumsshould be consisted of not just mere connections with face-to-face class and visual aids, but also in various perspectives. Some suggestions include assistant professors’lecturing in distance education rooms for one or two times during the early periods of curriculum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ors and learners in the visual class. Or, by consisting the class hours of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 within 5 hours, additional class guiding time can be provided. Third, when opening a distance education by video conference system class, a full research and consideration for that kind of educational environment must be mad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is study was a curriculum implemented along with actual practice, and since there were only few professors who were able to guide the class with different abilities, learning opportunitiesfor learners living in rural areas were not sufficient. In light of this educational background, it was shown that general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performance was high when learners living in rural areas were provided with this learning opportunity. When educational environment is fully considered, with physical class rooms and visual systems equipped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receiving those opportunities, the distance education will have plenty of possibilities to revitalize itself as a new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 신라 화랑도 활동의 체육사적 의의

        정종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played by Hwarangdo education in unifying the Three Kingdoms, and to study the nature of their education in the Hwarangdo organization. In other words, the treatise aims to examine how Hwarangdo, which united the Three Kingdoms, was taught, to study the related physical activities, to identify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athletics, and by considering Hwarangdo as an ideology that was unique to Korea and an example of a whole system of education, to derive its educational meaning for modern times. The other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present an index for physical activities that can support the health and fitness of today’s youth, and to derive important lessons for current phys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s described above, the author has studied the origin,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of Hwarangdo, and has conducted an in-depth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manner in which its physical ideology could be used to for teaching today.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Hwarangdo were to nurture warriors that were beneficial to the nation, who had refined tastes, and who adhered to principles such as faith in the nation and to one’s parents, credit, courage, beauty and belief. The ideal men aspiring to the principles of Hwarang pursued a great deal of both physical and mental education to develop their strength, which reveals the respect for physical beauty in the Shilla dynasty. Secondly, all of the Hwarang training courses were basically about morality, and the physical ideology of Hwarangdo was to complete a perfect personality by training a sound body and a sound mind. Thirdly, in Hwarangd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one in which the teachers take care of their beloved students while the students trust and respect their teachers, which stresses a meeting of pers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Finally, the lessons that such Hwarangdo activities hold for modern education and their meanings in the history of athletics are as follows. Hwarangdo activities must not be separated from daily life; in other words, life and activities, education and athletics must all be considered in the same context. Hwarangdo athletics directs those of Korea to the future and reflects it more clearly in the history of world athletics, giving us a lesson in modern times. That is, Hwarang athletics is historically in the past, but its value and perspective are meaningful not for the past but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times. From this perspective, going back to the physical activities of Shilla Hwarangdo to restore mental elements, such as original militarism and amusements, could form a framework for modern physical activities. As a form of physical exercise that is unique to Korea, Hwarang exercise is also unique in the whole history of Korean athletics. As such, Hwarang athletics represent the pure origin of our traditional ideology and spirit. Shilla Hwarangdo established and moved the tradition of our national athletics. Shilla Hwarangdo is great because it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our unique physical exercise that could be named 'Hwarangdo-like,' and shows us an ideological index to move us forward. The precedent example of Korean athletics should be found in the physical activities of Hwarang in the Shilla dynasty. While the physical activities of Hwarang were not able to display its real value because of historical and generational hurt, its buds did not wither. We still have the taste, savor and romance of Hwarang in our blood, as well as amusements to enjoy lmountains and waters. The Korean people’s enjoyment of martial arts, sporting activities and beautiful landscapes are due to the powerful and affluent influence of Hwarangdo.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athletics in an ancient nation and the systemic training of Hwarangdo are valuable in Korean athletics today, as an unbreakable chain. 이 연구의 목적은 신라의 삼국통일에 큰 역할을 한 화랑도의 교육이 어떠한 것이었으며, 화랑도 조직에 있어서 교육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되짚어 보고자 하였다. 즉 삼국을 통일한 화랑도 교육이 어떻게 행하여졌고, 신체활동은 어떤 것이 있었으며, 그러한 화랑도 활동의 체육사적 의의는 어떠한 것인지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유의 사상이자 최초의 전인교육의 표본인 화랑도의 체육활동과 사상사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신라 화랑도의 체육활동이 현대 체육활동에 주는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체력적으로 나약해져 있는 현대의 청소년들에게 체육활동이 나아가야 할 훌륭한 지표를 제시해주고 오늘날의 체육교육의 중요성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화랑의 연원과 화랑도 교육, 화랑의 신체활동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신라 화랑도의 체육사상이 현대 체육활동에 주는 시사점과 체육사적 의의 등을 신라 화랑도 활동에 관한 문헌과 원 자료, 선행연구물을 활용하여 심도 있게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화랑도의 교육적 인간상은 국가적으로 유용한 실천적 인물의 양성과 충, 효, 신, 용, 미와 신앙심을 겸비한 풍류적 인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인간상으로서의 화랑이 형성되기 위한 화랑교육은 정신적 교육뿐만 아니라 신체교육을 매우 중요시하였는데, 이점에서 신체의 강인함에 더하여 신체의 아름다움까지 포함한 신라의 신체미 존중사상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화랑도의 수련과정은 어떠한 행동을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도의의 연마라고 할 수 있으며, 화랑도의 체육 사상은 활동적 수양생활을 통하여 건전한 정신과 신체를 연마하여 전인적 인격체의 완성을 꾀하는데 목적을 둔 체육 사상이라 하겠다. 셋째, 화랑도에서 보는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는, 교사는 학생을 사랑스러운 마음으로 보살피고, 학생은 교사를 신뢰하고 존경하는 태도를 간직하여 교육의 장에서 실현되어야 하는 인격체간의 만남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화랑도 활동이 현대 체육에 대한 시사점과 체육사적 의의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화랑도 활동은 현실과 유리가 되지 않은 활동 즉, 삶과 활동과 교육과 체육이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진 활동이었다. 이러한 화랑체육은 앞으로 우리나라 체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 설정과 세계 체육사 속에서 한국 체육을 보다 명백히 조명할 수 있는 시각을 주는 것과 동시에 화랑 체육의 현대적 의의를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화랑체육은 역사적으로 생성된 살아 있는 과거이지만 그것은 과거를 위해서가 아니라 현대의 체육적 가치와 미래 체육의 전망을 위해서만 의의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라시대의 화랑도의 체육활동으로 되돌아가서 원초적인 상무, 유희 등의 정신적 요소가 회복될 적에 오히려 현대적인 체육활동의 한 틀이 형성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한다. 화랑의 신체운동은 우리 민족 고유의 체육방식일 뿐만 아니라 한국체육사 전체의 면에서도 우리 민족 특유의 체육방식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화랑체육은 우리 고유의 전통과 이념의 발로(發露)인 만큼 순수한 우리 체육정신이요, 체육사상이라 하겠다. 신라의 화랑도는 우리 민족의 체육전통을 확립하고 움직여 왔다. 신라의 화랑도가 위대한 것은 체육에 관한 사상을 지니고 화랑도적이라 할 우리 민족 특유의 체육방식의 전통을 보여 주었고, 우리의 체육전통을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사상적 지표였던 것이다. 한국체육의 전범(典範)은 신라시대의 화랑신체운동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화랑신체운동은 다만 역사적, 시대적 상처에 의하여 멍들고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을 뿐 그 싹이 시들어 버린 것은 아니라고 본다. 아직도 우리의 혈맥(血脈)속에는 화랑의 풍류와 멋과 낭만이 깃들어있으며 산수를 즐기는 유희적 특성이 면면히 이어져 흐르고 있는 것이다. 한국인의 무술과 스포츠활동 그리고 유오산수의 풍습은 화랑도의 수련과정에 의해서 강하고 풍부하게 영향받았다 할 것이다. 즉, 화랑도의 체계적 수련방식은 고대국가에 있어서 체육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오늘날의 한국체육에 이어주는 끊을 수 없는 고리로서 그 존재가치가 있다 하겠다.

      • 종업원지주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종구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업원이 자기회사의 주식을 취득하여 주주로서의 역할이 가능한 종업원지주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지주제도를 도입한 기업과 도입하지 않은 기업의 기업 가치와 경영성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종업원지주제도를 도입하였다면 종업원지분율이 높을수록 기업 가치와 경영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하여 지분율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기간은 연구목적에 따라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유구조가 우리사주제도의 결정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대상 기간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설정하였으며 5대 주주지분율이 공시되어 추출 가능한 기업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한 우리사주제도 관련 자료는 한국증권금융(주)에서 수집하였으며, 기타 우리사주조합의 지분율 등 재무관련 변수는 KIS-VALUE에서 추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지주제도의 유무에 따른 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업 가치를 분석한 결과 경영성과에서 우리사주조합 미보유 기업의 경영성과가 보유한 기업의 경영성과보다 평균값을 기준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매출액 성장률의 경우에만 보유기업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본래의 연구 취지에서 보유기업의 경영성과가 더욱 클 것이라는 결과와는 반대로 나타난 것이다. 둘째, 우리사주조합지분율과 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업가치에 대한 결과에서도 기업가치에는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결과였으나 지분율이 높은 기업의 경영성과가 낮은 기업의 경영성과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연구에서 살펴보면 종업원지주제도의 여부는 어느 정도 경영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종업원 지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경영성과에도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at employee stock ownerships affects firm’s performance and valuation. To find how well the functions of employee stock ownerships work, I classified the companies which are enable to export from KIS-VALUE between 2007 and 2011 by establishing the employee stock ownerships or no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does not have effects on the firm’s valuation, however, I found that the higher ratio of the ownership of company, the higher performance reaches. Moreover, I found that the higher of the ESOP, the higher performance reaches, which is as same result as the employee stock ownerships. In conclusion, the performance is improved when the company use the employee stock ownerships to make loyalty from the employees , futhermore, the ratio of the ownerships increased, the performance gets better than the lower ratio of the ownerships.

      • 인공지능 언어모델에 대한 규범적 연구 : 일반 대화형 챗봇에 대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정종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공지능은 기존의 기술발전보다 급격하고 근본적인 사회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하지만 기존 국내외 정책당국의 대응은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했던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 활용에 있어 실제로 문제되는 위해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문제의 원인을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 그 대응방안이 달라질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사회에서 일반 대화형 챗봇을 둘러싸고 2021년 동안 전개되었던 실제 사건을 토대로 확보한 데이터에서 경험적으로 발현된 위해를 기존 인공지능 윤리담론에서 사변적으로 전제하였던 위해와 비교·대조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2장 기존 인공지능 윤리담론의 분석적 정리에서는 연구대상인 인공지능 언어모델과 챗봇에 대한 기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언어모델에서 제기되었던 규범적 문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규범적인 논의는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윤리의 문제로 언급되어 오던 공정성, 투명성, 책무성,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소개하였다. 단순히 추상적인 윤리담론을 열거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해당 영역에서 먼저 도입되었던 실정법이 있다면 그와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살펴보았고, 관련된 기술적 쟁점이 있다면 필요한 만큼 언급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3장 실제 데이터에 기초한 검증 및 평가에서는 기존에 전개되었던 인공지능 윤리담론을 실제 사건을 토대로 확보한 9,747 건의 데이터에 비추어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기존의 추상적인 관념과 단편적인 사례 위주로 이론화되어 전개되었던 인공지능 윤리담론이 전제했던 위해의 범주와 비중이 실제 사안에서는 그대로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인공지능 윤리담론은 공정성-투명성-책무성-식별성 침해라는 위해를 고르게 전제하고 있었고 실제 법정책에도 그러한 내용이 반영되고 있는 반면, 실제 챗봇으로부터 발생한 위해는 주로 책무성 측면에 치우쳐 있었다. 이러한 위해는 결정적이지 않고 확률적이었으며,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염두에 두어야 비로소 온전히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었다. 앞으로 더 많은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어떠한 위해를 새로이 유발하게 될지는 아무도 모르며 단일한 기술을 전제하더라도 개별 응용프로그램 단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해의 양상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편익이 비용을 상회하는 이상 실제 경험적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해를 측량하고 이를 규명한 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피드백 루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이용자의 행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개별 인공지능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인공지능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 내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용자의 전략적인 행동과 이용자 상호간 정보교류를 통한 위해의 심화 내지 완화를 충분히 고민한 실증적인 윤리담론과 그에 기초한 법·정책이 필요하다.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ring about radical and fundamental social changes than existing technological developments. However, the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policy authorities do not appear to have been based on empirical and objective data.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s the risks that are actually problematic i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pending on how we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our response will be different. Using data based on actual events in 2021, we compare and contrast the empirically expressed harm with the theoretically assumed harm. In Chapter 2, we first introduced the technical background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anguage model and chatbot, which are the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is, the normative problems rais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anguage model are systematically arranged. The normative discussion is introduced by classifying it in terms of fairness,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hich have been generally mentioned as iss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The normative discussion did not stop at the level of simply enumerating abstract ethical discourse. If there are any regulations that are introduced first in the relevant area, the relationship with them is examined in detail. If there are related technical issues, they are mentioned as much as necessar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is way, a theoretical foundation is laid for critical review based on empirical studies. In Chapter 3, the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discourse is empirically reviewed according to 9,747 data points based on actual ev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egory and weight of harm presupposed by the existing theorize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discourse may not be valid as it is in actual cases. The ethical discour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venly presupposes the harm of fairness-transparency-accountability-identity infringement, and such content is reflected in actual legal policy. On the other hand, the harm caused by the actual chatbot is mainly biased towards accountability. These risks are stochastic, not deterministic, and could only be fully understood and dealt with only when interaction with users is in mind.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No one knows what kind of harm will be caused as a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dvances. Even if a single technology is assumed, the aspect of harm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how it is used in the individual application level. As long as the benefits outweigh the costs, it is necessary to build a feedback loop that measures the risks based on actual empirical data, identifies them, and finds ways to deal with them appropriately. Also,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behavi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users. This is becaus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not only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humans, but also human-artificial intelligence or human-human interactions may be important. Research is needed to empirically consider the deepening or mitigation of harm through strategic actions and interactions of users. Also, laws and policies should be based 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