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커리어 구성 인터뷰 기반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이 진로 의사결정 유형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정문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진로 이론을 토대로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진로 의사결정능력과 자기효능감의 미치는 영향 및 참여자들의 진로 경험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후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규명하고, 이것이 고교학점제의 원활한 시행을 위한 진로 교육의 준비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이 진로 의사결정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 경험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Savickas의 커리어 구성 인터뷰와 Ellis와 Brewster의 이야기 모형을 접목한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인문계고등학교 1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을 배치해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Harren(1984)이 개발한 진로 의사결정 유형 검사를 고향자(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 보충한 진로 의사결정 유형 검사와 Sherer 등(1982)이 만든 검사지를 토대로 김아영․차정은(1996)이 재구성한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 실시한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은 1주일에 1회, 총 6회기에 걸쳐 회기 별 50~70분의 시간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진로 의사결정 유형 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해 SPSS 25.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연구의 가설 검증을 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공분산 분석(ANC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을 관찰하며 개별 질문을 통해 참여자들의 반응을 확인하고, 활동 평가지 및 자기 성장 점검 보고서를 받아 자료를 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리어 구성 인터뷰 기반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진로 의사결정 유형 검사 검증 결과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커리어 구성 인터뷰 기반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검사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중 실험집단의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영역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커리어 구성 인터뷰 기반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질적 연구를 통해 6가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1)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해 깊이 있는 사고를 하며 자기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2) 명언을 통해 자신의 힘든 상황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동기부여가 형성되었다. (3) 어린 시절 사진에서 초기기억을 떠올리며 재미를 느끼고 기분이 좋아지며 자신에 대해 다시 한번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자신의 의견을 친구들과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고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진로에 대한 불안감이 일부 해소되었다. (5) 이야기 활동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얻고, 다른 사람에게 진로에 대하여 얘기하는 거부감이 줄어들었다. (6)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그려보며 노력과 실천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이 자기에 대한 이야기를 생성하며 정체성을 발견하고, 자기성찰을 통한 자기를 파악해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가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실존주의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진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이 실존 치료의 주요 과제로서 내담자가 의미 있는 삶을 살도록 자신의 선택을 탐색하려는 의지를 촉진하고, 자신의 의도대로 삶을 설계해 자유를 깨닫게 하는 목표와 일맥상통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career storytelling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career construc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as well as to explore the career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For this purpose, a mixed research method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for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ositive research results of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and suggest that this can be a preparation method for career education fo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does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have o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Second, what effect does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have on self-efficacy? Third, what are the career experienc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In order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a career storytelling program was constructed that combined the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of Savickas and the story model of Ellis and Brewster. A pre-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as set up in which first year students from a humanities high school in City Y in Gyeonggi-do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irteen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he study used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ssessment which was adapted to fit the study by Ko (1992) based on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CDM) developed by Harren (1984) and the self-efficacy test that Kim and Cha (1996) reconstructed based on the assessment made by Sherer et al. (1982).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6 sessions, with a duration of 50 to 70 minutes per session.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he same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ssessment and self-efficacy test as in the pre-tes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observed during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and their responses were checked through individual questions, and the data were interpreted by receiving activity evaluation papers and self-growth examination repor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based career storytelling program, the students with rational and intuitive style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based on the career composition interview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six effects were confirmed. (1)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deep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oneself increased. (2) Through famous sayings. motivation to overcome one's own difficult situations was formed. (3) By recalling early memories from childhood photos, students had fun and felt better, and also reflected on themselves again. (4) In the process of sharing one's opinions with friends, students obtained various information, formed a consensus, and some anxiety about career was resolved. (5)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one's thoughts through storytelling activities, students gained confidence, and the feeling of reluctance to talk about career with others decreased. (6) Through the story of successful people, students envisioned their future and realized the importance of hard work and practi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is connected with existentialism in that it helps to create a story about oneself, discover identity, and actively live life through self-reflec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storytelling program, as the main task of existential therapy, is consistent with the goal of promoting the will of clients to explore their own choices to lead a meaningful life and realizing freedom by designing their own lives.

      • Tunneling Transport in a Tunnel Junction with Evanescent States Window at a Junction Interface : 접합 계면에 Evanescent States Window가 있는 터널 접합에서의 터널링 전송에 대한 연구

        정정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접합계면에 evanescent states 가 형성되어 있는 터널 접합들에서의 터널링 전송에 대한 연구이다. 전송행렬과 Simmon의 터널링 전류 모델에 기초하여 터널링 I – V 특성들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Image force 보정 또한 고려되었다. 모델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근사화된 모델과 Al/AlOx/Al 그리고 Al/AlOx/Nb 소자들로부터 얻어진 실험 데이터와 비교되었다. Evanescent states의 깊이와 에너지 위치가 변함에 따라 터널링 전류는 의미있게 변화하는 특성을 보이며 터널링 전류의 크기는 evanescent states의 깊이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비대칭 특성은 evanescent states의 에너지적 위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의 결과들은 evanescent states가 얇은 유전체 층이 있는 터널 접합을 가지는 나노전자 소자들의 터널링 전송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We have investigated tunneling transport in tunnel junctions that have evanescent states formed at the junction interfaces. We simulate the tunneling I – V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ransfer matrix technique and Simmons’ tunneling current formula. The image force correction is also considered he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vanescent-states window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approximated potential models and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Al/AlOx/Al and Al/AlOx/Nb devices. As the depth and the location of the evanescent states are changed, the tunneling current changes significantly. The amplitude of the tunneling current is more affected by the depth of the evanescent states rather than the width of the states in energy. And the asymmetric characteristic of the tunneling current depends on the width of the evanescent states rather than the depth of the states. Our results show that the evanescent sta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tunneling transport in nanoelectronic devices containing tunnel junctions with a thin insulating layer.

      • 환율변동이 자본시장 수익률 및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주식시장을 중심으로

        정정문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글로벌 통합이 추진되면서 중국은 개방에 맞춘 체계적 개혁을 단행하였다. 2005년 위안화 환율 개혁 이후 중국 환율의 변동 탄력성이 커졌고, 투자자들은 외환 사용에 대해 더 큰 자율권을 가지게 되었다. QFII, QDII및 RQFII 등의 제도 시행으로 투자자와 투자 대상 모두 중국 본토에 국한되지 않게 됐다. 후강통(滬港通), 선강통(深港通), 후룬통(滬倫通)의 개통으로 중국 주식시장의 대외 개방도가 높아졌고, 중국 중앙정부도 시장 진입을 대폭 완화하여 중국과 해외 금융시장 협력 규모를 늘리겠다고 여러 차례 발표했다. 이는 증시를 환율과 긴밀하게 연결했으며, 중국의 경제적 위상을 점차 높여 위안화의 위상 또한 상승시켰다. 이에 따라 위안화 환율이 주식시장에 서로 영향 관계가 존재하는지, 환율시장의 변동성과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이 존재하는지를 탐구한다. 본 논문은 2010년 6월터 2022년 3월까지 상하이종합지수, 선전종합지수, 차스닥지수를 지표로 선택하고, 회전율과 미국 주식 나스닥지수를 통제변수로 삼아, 주식시장 변동성, 수익률과 환율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본문은 두 가지 모델을 통해 분석한다. 먼저 VAR모델을 통해 환율과 각 주가지수 사이의 단기관계를 연구해 결론을 내고 세 주가지수 사이의 결과를 비교한 뒤 GARCH-X모델을 통해 환율과 각 주가지수 수익률과 변동성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해 비교한다. VAR 모델의 지연 계수를 각각 지연 5기와 지연 20기로 설정한다. 이 중 5기는 환율변동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주간 영향, 20기는 환율변동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월간 영향 효과를 반영한다. GARCH-X 모델은 세 가지 종류로 실행한다. 첫째는 평균방정식에만 환율변수를 포함시키고, 둘째는 분산방정식에만 환율변수를 포함하며, 셋째는 동시에 평균방정식과 분산방정식에 환율변수를 포함시킨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상하이종합지수와 환율, 선전종합지수와 환율 및 차스닥지수와 환율 사이에는 장기적인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상하이종합지수와 환율, 선전종합지수와 환율, 차스닥지수와 환율의 VAR모델을 만들어 실증한 결과 전기의 환율변동을 금기의 화율변동에 영향을 준다. 반면 금기의 주식수익률 연향을 준다는 통계적 근거을 나타나지 않는다. 주식수익률은 금기의 주식주익률 뿐만 아니라 금기의 환율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결과가 제시한다. 셋째, 주식시장의 고주파 금융시간열이 존재할 수 있는 ARCH효과를 고려하여, 본연구은 GARCH-X모델을 사용해서 환율변동이 상하이종합지수, 선전종합지수 및 차스닥지수에 미치는 영향효과를 더욱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환율 변화는 상하이종합지수 일수익률, 선전종합지수 일수익률 평균방정식 설명할 수 있지만 분산방정식을 설명할 수 없다. 이는 환율변동이 중국 상하이와 선전 주식 시장의 수익률에 대해 마이너스(-)인 예측 작용을 가지고 있다. 즉 환율 상승이(위안화 절하) 상하이종합지수, 선전종합지수, 일수익률 수준이 낮아지는 것이다. 차스닥시장을 보면 환율 변동는 차스닥지수 일수익률 평균방정식과 변동성 분산방정식 모두 유의하지 않는다. 즉 환율이 차스닥 시장의 변동성과 수익률 모두 설명할 수 없다. 통제변수를 보면 중국 3대 지수의 회전율, 미국 주식 나스탁 수익률, 3대 지수의 지연향이 모두 중국 3대지수 수익률 영향을 준다. 이는 중국 3대지수는 자신과 자신 회전율 영향뿐만 아니라 미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수사학적 토론교육

        정정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수사학적 토론양식이 토론활성화를 위한 의사소통행위임을 밝히고 사회과의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의 토론은 논리적인 이성만이 합리적인 의사소통행위로서 강조되었고 경험과 감성을 사용하는 수사학은 비논리적이며 일시적인 것으로서 비하되어왔다. 이것은 소크라테스가 이성만이 인간에게 보편적이며 진리의 길을 제공한다는 이성우위에 공식을 성립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니체는 소크라테스가 최하의 신분층에 못생긴 혼혈아로서 발육부진의 얼굴도 정신도 괴물이라는 감성적 비하를 퍼붓는다. 즉, 논리적인 이성만이 진리라는 보편성을 격렬하게 비판하는 것이다. 그는 이성에 의해 삶이 고정되고 획일화되고 도식화되면서 삶의 심층성과 다양성이 억압되고 은폐된다고 지적한다. 이것은 이성이 합법적인 차별적 도구로서 존재함을 통찰한 것이다. 뒤를 이은 하이데거도 감성이 존재자의 존재를 일깨워주는 것으로서 중요성을 언급하며 이성을 초 감성으로서 이성과 감성의 이분법적 구분을 탈피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행위에서 중시되어온 이성우위는 파괴되고 이성과 감성이 동등하게 실천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것이 수사학적 토론양식이다. 고대부터 경험적인 수사학의 감성양식과 논리적인 이성의 토론양식은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들에 의한 활발한 논쟁의 대상이었다. 이것은 수사학과 토론이 지니는 의사소통의 한계와도 밀접하다. John B. Hoben의 정의에 따르면 “의사소통은 한 사고 혹은 아이디어의 구두적인 상호교환”이다. 그러나 수사학은 다수의 청중을 두고 한명의 화자가 설득을 통해 이뤄지는 단일방향의 소통양식으로서 상호공유성을 확보하지 못한다. 반면에 토론은 이성의 대가인 소크라테스도 논리적인 오류를 범할 수밖에 없다는 것과 이성의 설득이 상호이해성을 제한시키며 결론을 위해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서로의 한계를 보완시켜 주며 민주주의의 합의를 실천하는 기제로서 수사학적 토론양식이 요구된다. 사회과에서 토론교육은 논쟁문제학습으로 가치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제기되는 것이 가치분석접근법인데 이것은 인간의 보편적․기본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을 최고의 가치로 전제한 후 가치의 서열을 매겨 우선적인 가치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치들은 어떠한 단일의 위계적일 수 없는 복합적이고 다양하다는 다원주의 입장에 비춰볼 때에 가치분석 접근법은 한계가 있다. 이에 개인의 상대적인 가치와 표현을 확인시켜 주는 가치명료화 접근법이 보완되어 가치갈등의 문제가 다뤄져야 한다. 이런 실천을 위해 제기되는 것이 수사학적 토론양식이며 이것은 가치갈등을 합의의 지향으로 도울 것이다. 왜냐하면 합의추구의 기본조건은 ‘합당성’이 전제된 것으로서 상호신뢰의 기반을 지닌 것이다. 그런데 수사학적 토론이 자유롭고 개방적인 소통양식으로서 자신의 가치를 솔직하게 표현하며 신뢰성을 중시 여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사학적 토론양식은 가치갈등을 합의지향을 위한 가치 교육이 되도록 도와주는 교육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 웨슬리의 신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성결교회의 성령세례 이해

        정정문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consider the theology of Wesley for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Holy Spirit Movement which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church in korea in a situation of the loss of spiritual power by paying no attention to the spiritual and holy life in an advanced scientific age. Wesley emphasized the momentary experience in a gradual sanctification.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lso emphasize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n the same view. The process of holiness is realized instantly by belief in God and the grace of God. Wesley also asserted that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come true by not action or contribution of a person, but only belief in God and the grace of God. In accordance with the idea of holiness of Wesley,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campaigned the holiness movement. However, it will not talk about holiness anymore. It got into danger of secularization because it would neither preach holiness nor show the experience of holiness anymore.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restore the original object. For this restoration, a theological policy for teaching holiness is above all very important. Based on it,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preach holiness and so make believers holy. Therefore, It should advocate a holy revival movement more powerful in our secularized society, put spurs to missionary work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sanctification in our daily lives. And furthermore, this Holy Spirit Movement will progress to a campaign to advocate a new hope and responsibility of believers. The idea of holiness of Wesley striked at the heart of British society. The church can be a true church at last when it carries out the mission of sanctification as yeast.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첨단과학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 참된 영적 생활과 거룩한 삶을 소홀히 함으로써 영적 능력을 상실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교회의 성장에 많은 영향을 끼친 성령운동을 통한 성령세례에 대한 웨슬리의 신학적 이해를 소개하고 숙고해보는 데 한다. 웨슬리는 점진적인 성화에 순간적인 체험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국성결교회에서도 동일한 견해를 가지고 성령세례를 강조한다. 성결에 대한 과정은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 웨슬리도 성결의 과정에 대하여 사람의 행위나 공로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의 성결의 도리의 정신을 이어 받아 성결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데 최근에는 한국성결교회는 성결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 성결을 설교하지도 않고, 성결의 체험도 나타나지 않고, 그 결과 성결교회는 세속화의 위험에 빠지게 되었다. 한국성결교회는 다시 초기 본래의 목적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학정책이 성결을 가르쳐야 하고, 그로 인해 설교로 이어지고, 성결한 신자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세속화되어가는 사회 속에서 성결부흥운동을 더욱 힘 있게 주창하여 선교와 전도에 박차를 가해야 하며, 삶의 현장에서 성결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전개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이 성령운동을 통해 신자의 봉사의 책임과 새 희망을 주장하는 운동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웨슬리는 성결의 도리는 영국사회를 개혁시켰다. 교회는 성결의 누룩으로서의 사명을 다할 때 비로소 교회일 수 있는 것이다.

      • 세로 비디오에 대한 광고효과 연구 : 현장감의 매개효과 및 광고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정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 is increasing as well. In a general way, the smartphone users use smartphones vertically, and they also generating a lot of vertically formatted content. As the result, SNS platforms offered a convenient function that could watch the video vertically according to smartphone users’ preference. However, as the vertical video is becoming a trend, the question which worth thinking about is whether the vertical video advertising is effectiv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give an answer to this question.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vertical video’s advertising effect by comparing the advertising effect of vertical ad with horizontal ad. In addition, I also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sence (both psychological immersion and social pres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dvertisement types (entertainment vs. informational).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vertical vide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psychological immersion and social presence, and the presence (psychological immersion and social presence) give a positive impact on advertising effects further. Nevertheless, neither the informational advertisement nor entertainment advertisement give a moderating effect cause the impact of video format on presence has not changed after adding advertisement type as the moderator variable. Thus, the moderating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could not be verified. 모바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의 보급율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수직적으로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세로 포맷의 컨텐츠도 많이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는 모두 세로 바라고 있다. SNS 플랫폼도 사용자의 선호에 맞춰 세로 비디오를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세로 비디오는 현재 가로 비디오보다 더 많이 생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세로 비디오가 트렌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로 비디오 광고가 실제적으로 효과적인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로 비디오와 가로 비디오의 광고효과를 비교하는 분석을 통해 세로 비디오 광고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모바일 세로 비디오에 대해 마케팅 분야에서의 연구는 최근에 시작하여 매우 적었으며,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수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습관이고 스마트폰을 수평으로 회전하는 것이 불편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세로 비디오를 더 선호하다고 강조하는 학자가 많았다. 하지만 과거 세로 비디오에 대해 예술분야에서의 연구에서 주로 세로 비디오가 수직적인 피사체에 더 어울리며 시청자에게 시각적, 미학적인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했다. 따라서 세로 비디오에 대해 예술분야에서 강조된 소비자의 시각적인 체험을 고려하여 편리성이 말고 다른 요소를 통해 세로 비디오의 광고효과를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세로 비디오에 대한 예술분야 연구 및 광고효과 연구에서 많이 고려하는 현장감인 심리적 몰입과 사회적 현장감을 매개변수로 세로 미디오의 광고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세로 비디오의 훌륭함은 특정 정보 전달이나 피사체 전시에 제한되어 있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많이 고려해 온 광고의 오락성 및 정보성을 고려하여 광고 유형을 정보성 광고 및 오락성 광고로 나눠 광고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법을 실시하여 응답자를 세로 비디오 그룹 및 가로 비디오 그룹으로 나눠 설문을 진행했다. 결론적으로 세로 비디오가 현장감인 심리적 몰입과 사회적 현장감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일어난 현장감은 광고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되었음으로 현장감의 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그리고 광고유형에 따른 비디오 포맷이 현장감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로 정보성 광고이든 오락성 광고이든 비디오 포맷이 현장감에 끼치는 영향이 변화가 없음으로 광고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세로 비디오의 광고효과가 매우 파워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붙어 소비자가 세로 비디오에 대한 선호는 편리성을 제외한 다른 요소도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광고효과에 영향을 끼치는 다른 요소를 매개변수로 고려하여 세로 비디오와 가로 비디오의 광고효과 연구를 할 수 있다.

      • Bayesian Analysis for a Constrain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kew Normal Error Term

        정정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에서는 치우친 정규 오차항하에 제약을 가진 다중회귀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이 연구되었다. 자료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제약이 있다면 제약을 고려해서 분석해야한다. 뿐만아니라 오늘날 오차항에 대한 정규분포 가정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정규분포 보다 더 포괄적인 분포가 필요하다. 그래서 정규분포를 포함하면서 왜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치우진 정규 분포를 이용했다. 우리는 베이지안분석과 관련된 적분을 해결하기 위해서 MCMC를 사용했다. 베이지안분석에서 마코프 체인 몬테카를로를 이용하는 것은 제약문제을 해결하는데적합하다는 것을 보였고, 겔만-루빈 축소 인자 (Gelman-Rubin Shrinkage factor)를 이용해서 모수의 수렴성을 확인했다. 그리고 정규 오차항과 치우친 정규 오차항의 모델 비교를 DIC를 기준으로 했다. 마지막으로 베이즈인자 (Bayes factor)를 이용해서 왜도와 관련된 영향력 관측치 찾는 문제를 고려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