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炮製方法에 따른 天麻茶食의 品質特性

        정인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powder that was steaming, ginger juice and cheongju using Gastrodia elata Blume as a control group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acy of Gastrodia elata Blume and relieve discomfort when ingested. Afterward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 elata Blume Dasik were analyzed, including moisture content, Hunter's color value, pH, sugar degree,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by manufacturing Dasik. The results of proximate composi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by processing method, moisture contents were 5.65~8.02%, crude lipid contents were 0.11~0.32%, crude protein contents were 6.2 3~6.55% and crude ash contents were 2.44~2.75%.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of Hunter's color value of Gastrodia elata Blume by processing method, L value was the highest in steaming treatment with 85.74, and a and b values were the highest in ginger juice treatment. The results of pH level of Gastrodia elata Blume by processing method was the highest in steaming treatment 5.79 and the lowest in cheongju treatment 5.02. The sugar degree of Gastrodia elata Blume by processing method, the highest in ginger juice treatment 34.00°Brix.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Gastrodia elata Blume by processing method was the highest in ginger juice treatment 12.06 mgGAE/g and the lowest in steaming treatment 2.79 mgGAE/g. The result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astrodia elata Blume by processing method, it was the highest in ginger juice treatment 38.12%, and the lowest at the steaming treatment. The results of general ingredi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Dasik by processing method, the moisture contents were 14.48~14.56%, with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of Hunter's color value of Gastrodia elata Blume Dasik by processing method, L value was the highest in ginger juice treatment 70.75 and both L value, a and b values were the lowest in steaming treatment. The results of pH of Gastrodia elata Blume Dasik by processing method, steamed Gastrodia elata Blume Dasik was the highest at 6.15, compared with pH result of the end of Gastrodia elata Blume, and pH of steamed Gastrodia elata Blume Dasik was all increased, and pH was the highest at Gastrodia elata Blume Dasik and steamed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The results of sugar degree of Gastrodia elata Blume Dasik by processing method, it was the highest in ginger juice treatment 24.67°Brix, the lowest in cheongju treatment 21.17°Brix, with no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sugar degree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Gastrodia elata Blume Dasik was lower than that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The results of the texture of Gastrodia elata Blume Dasik by processing method, hardness was the highest in cheongju treatment and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were the highest in steamed Gastrodia elata Blume.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Dasik by processing method, acceptability for flavor and taste was high in cheongju and ginger juice treatments, and the lowest acceptability in control. Overall acceptability was shown high in ginger juice and cheongju treatments, which showed a high degree of taste and flavor.

      • 초급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정인경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요약 초급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 선문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정인경 지도교수 : 우인혜 어휘는 학습의 기초와 의사소통에 가장 필수적이고 기본이 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언어교육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어휘 교육이 시작되며, 어느 순간에도 끝이 없는 것이 어휘 교육의 특성이다. 단어를 안다는 것은 그 단어와 관련된 동사적 행동을 아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그것은 어휘 교육이 개별 단위의 의미 교육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알고 있는 절대 어휘의 양이 많은 사람은 어휘량이 부족한 사람에 비해 더욱 창조적이고 포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의사소통은 문법과 어휘의 적절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아직 문법에 익숙하지 않은 초급 학습자들은 알고 있는 어휘만으로 의사소통을 시작하게 된다. 말하자면 어휘는 언어 습득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데도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까지 어휘 교육에 대한 기능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어휘의 창조적이고 능동적인 기능에 맞춰 어휘 교육 또한 문법이나 기타 중요 기능들처럼 학습에 의해 교육되어질 수 있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어휘는 단순한 암기의 대상이므로 개별 어휘를 개별적인 암기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이 어휘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이었고, 지금까지의 주된 교육 방법 또한 그에 맞춰 진행되어 왔다. 어휘 능력은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과 더불어 그 단어와 함께 나타나는 단어의 종류와 그 단어에 관련된 다른 의미들을 아는 것까지도 포함된다. 문법 지식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어휘의 입력량이 많을수록 문장 이해력과 표현력에서 높은 수준을 보이면서 언어를 잘 구사함에도 불구하고, 어휘의 습득이 그리 쉽지만은 않다. 이는 무엇보다도 어휘가 언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광범위하면서도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어휘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어떤 맥락 안에서 유의미하게 발현이 되어야 할 이들 어휘들을 개별적으로 외우기만 해서는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어휘교육의 방향을 잡아야 하는데, 연어를 활용하면 그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 학습자들이 의미 확장이나 의미 관계의 이해를 위한 의도적 어휘 학습을 통해 창의적이고 기능적으로 어휘를 습득할 수 있도록 초급 학습자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연어 학습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살피고 연어교육의 모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좀 더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어휘 학습을 하기 위한 연어 활용 방법으로, 먼저 연어의 개념과 범주를 이해하고, 연어 중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한 ‘체언 + 용언’형 연어를 선정해야 한다. 그리고 선정된 초급 학습자용 ‘체언 + 용언’형 연어 목록을 주제 항목별로 분류하여, 각 주제에서 배워야 할 초급 학습자용 ‘체언 + 용언’형 연어를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주제별로 제시된 ‘체언 + 용언’형 연어의 교육 모형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 문법적 연어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정인경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문법적 연어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정인경 한국학과 한국언어문화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이 연구는 <국립국어원 문어 말뭉치(2019)>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용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위계화하여, 효율적인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선정한 문법적 연어를 형태 초점 접근법의 여러 기법과 과제를 적용하여 효율적인 한국어 쓰기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쓰기는 대상 언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휘력과 문법 지식을 구조화하여 글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내용과 구성이 좋음에도 문장 구성의 뼈대에 해당하는 문법 항목 오류에 의해 어색한 문장을 생성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늦게 일어났는 바람에 기차를 놓쳤다‘에서 발생한 형태적 오류는 시상에 관여하는 문법적 연어의 특성인 제약 조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있었다면 피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어미적 연어인 ’-는 바람에‘에 다른 어휘요소나 문법요소가 첨가되었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제약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문장 구성에서 정확한 문법과 어휘를 사용했음에도 오류문이 발생하는 원인은 단일한 의미적 기능을 하는 문법적 결합 형태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 기인한다. 이런 현상은 어휘소와 문법소가 형태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문법적 연어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원 문어 말뭉치(2019)>를 대상으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결합 관계를 이루는 문법적 연어를 통계적이고 기계적인 방법으로 추출하고, 이론적 판별 과정을 거쳐 조사적 연어와 어미적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한 조사적, 어미적 연어 목록을 바탕으로 문법적 연어의 사용 빈도와 형태적 복잡성 등의 학습 난이도를 고려한 위계화 목록을 제시하였다. 학습의 난이도는 결합 구성의 형태적 복잡성과 의미적 투명성을 바탕으로 삼았다. 등급에 따라 제시된 문법적 연어를 목표 언어 형태에 집중하는 형태 초점 접근법의 다양한 기법과 과제에 적용하는 쓰기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급에서는 입력 강화 기법(input enhancement)을, 중급에서는 의식 상향 과제(Consciousness-raising tasks)를, 고급에서는 듣고 재구성하기 기법인 딕토글라스 기법(dictogloss)의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쓰기 교수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조사와 어미의 기능을 하는 조사적 연어와 어미적 연어를 한국어 쓰기에 적용하면 학습자의 문장 구성 능력에 대한 이해와 사용이 확장되고, 심도 있는 문장을 형성하여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태 초점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여 문법적 연어 구성을 학습하게 됨으로써 쓰기의 내용과 구성이 정밀해지고 표현력이 상승하는 교육적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주제어 : 문법적 연어, 조사적 연어, 어미적 연어, 한국어 쓰기, 형태 초점 접근법

      • 쌀 품종별 당화액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특성

        정인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Jeung-pyun, prepared from rice flour, is a type of traditional Korean steamed rice cake. The traditional way to make Jeung-pyun is to use Makgeolli (Rice wine). In this study, Jeung-pyun was prepared by making saccharified solution using rice koji and rice instead of Makgeolli . Jeung-pyun was prepared by adding saccharified solution of four varieties (Goami4, Saeilmi, Baekjinju and Baekokchal) to rice flou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ce used for the production of saccharified solution by variety, th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 of rice flour by variety used in the preparation of rice saccharified solution were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in Saeilmi, and the contents of crude lipid and crude ash were the lowest in Baekokchal. The moisture absorption index (WAI) was high in Goami4 and Saeilmi, and significantly (p<0.05) lower in Baekjinju and Baekokchal. As a result of amylogram properties analysis, the cooling viscosity and setback were the highest in Goami4, the lowest in Baekokchal, and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mylose content. As the saccharification time elapsed, the pH of the saccharified solution for each rice variety decreased and the sugar and reducing sugar content incr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saccharification (after 8 hours), the sugar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and free sugar content of Baekjinju were the highest. Hunter's color value of the saccharified solution, L value was highest in Goami4, a and b values were the highest in Baekjinju, and turbidity was highest in Baekjinju, and lowest in Goami4. The volume of Jeung-pyun batter added with saccharified solution for each rice variety increased with the passage of fermentation time, and decreased as the amount of saccharified solution increased. I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50% added group, and increased the most in Saeilmi. The volume of Jeung-pyun was higher in the group containing 50% saccharified solution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containing 100% saccharified solution. In comparison between rice varieties,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higher in Saeilmi and lower in Goami4. The sugar content of Jeung-pyun was high in Baekjinju in all additives, and both the sugar content and reducing sugar content were high in Baekjinju. As for Hunter's color value of Jeung-pyun, the L value, a value and b value all increased as the amount of saccharified solution increas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exture of Jeung-pyun, the hardness and adhesiveness increased as the amount of saccharified solution increased, and the hardness of Baekjinju was high, and the adhesiveness of Baekokchal was high. Springiness was high in Goami4 and Saeilmi .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in Baekjinju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 The overall acceptance of Jeung-pyun, was high among all cultivars in the 75% addition group, and the lowest in Baekokchal, which is glutinous, an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75% addition group of Baekjinju and Goami4.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of Jeung-pyun, the rate constant (k) increased and the time constant (1/k) decreased as the amount of saccharified solution increased.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saccharified solution by rice variety affected the volume and texture of Jeung-pyun. In addition, saccharified solution by rice variety affec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hich can be important factors in manufacturing processed foods. Rice consumption is declining in modern society. More research is needed to produce rice varieties suitable for processing aptitude and to develop processed foods using various types of rice. 본 연구에서는 쌀 가공식품 생산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4 품종의 쌀, 즉 고아미4호, 새일미, 백진주 및 백옥찰을 선택하여 당화액 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쌀 품종별 당화액 첨가량 에 따라 증편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노화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쌀 당화액 제조에 이용된 품종별 쌀가루의 조단백, 조회분 함량은 새일 미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백옥찰에서 가장 낮았다. 수분흡수지수는 고아미4호와 새일미에서 높았고, 백진주와 백옥찰 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아밀로그램의 호화 양상은 고아미4호에서 냉각 점도와 setback이 가장 높았고, 백옥찰에서 냉각점도와 setback이 가장 낮게 나타나 노화도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쌀 품종별 당화액의 pH는 당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졌으나, 쌀 품종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당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였고, 당화 종료 시점인 8시간에서 백진 주의 당도 및 환원당 함량 모두 가장 높았으며, 유리당 함량은 모든 시료 에서 glucose 함량이 높았고, 총 유리당 함량은 백진주에서 가장 높았다. 색도는 L값이 고아미4호에서, a값과 b값이 백진주에서 가장 높았고, 탁 도는 백진주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아미4호에서 가장 낮았다. 쌀 품종별 당화액을 첨가한 증편 반죽의 부피는 발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당화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부피는 감소하였으며, 50% 첨가구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새일미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증 편 반죽의 점도는 당화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아밀로오스 함량 이 높은 고아미4호와 새일미에서 높았다. 증편의 부피는 쌀 당화액 50% 첨가구에서 높았고, 100%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품종간 비교에서는 부피 및 비용적이 새일미에서 높 았고, 고아미4호에서 낮았다. 증편의 당도는 모든 첨가구에서 백진주의 당 도가 높았는데, 당화액의 당도뿐만 아니라 환원당 및 증편의 당도 모두 백진주에서 높았다. 증편의 색도는 당화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 a 값 및 b값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증편의 물성 측정 결과, 경도 및 부착성은 당화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는데, 백진주에서는 경도가 높았고, 백옥찰에서는 부착성이 높았으며, 고아미4호와 새일미에서는 탄력성이 높았다. 백진주에서는 부착성, 탄력성 및 씹힘성이 당화액 첨가량 증가에 따라 전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증편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75% 첨가구에서 모든 품종간에 높았는데, 백진주와 고아미4호의 75% 첨가구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가 장 높았고, 찰성인 백옥찰에서 가장 낮았다. 증편의 노화도 측정 결과, 당화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속도상수(k) 는 높아졌고, 시간상수(1/k)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당화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편의 노화 지연에 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쌀 품종별 당화액의 첨가는 증편의 부피 및 물성 에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쌀 품종에 따라 맛이나 질감 등의 기호도에도 차이가 나타나 증편 제조시 쌀 품종별 당화액의 첨가는 증편의 품질특성 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쌀의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가공적성에 맞는 품종의 쌀 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증편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자기주도학습지도사의 일터 무형식학습 질적 사례 연구 :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정인경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tuation, process and results ofworkplace intangi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at A self-directedlearning support center. The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five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at the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Center, which wa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to provide local-basedpublic education services. As an important method of data collection, in-depth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two to fourtimes per person. In addition, the literature and data on the A Self-directedLearning Support Center, the website, the operation results report, andself-directed learning guides specifically examined the data collected, stored, andutilized by individuals. Self-directed learning guides sought to discover specificcontexts such as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ir workplace intangible learningby exploring changes in the workplace's situation, experience, feeling, perceptionand attitude from the beginning of the organization's establishment to thepresent.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separately by the situation, process,and results required by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at the A Self-directedLearning Support Center, and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guideslooked at the situation in which workplace intangibles were required over time,so they looked at the situation separately by time. The self-directed learningsupport center 'Initial of establishment' required workplace intangible learningdue to the absence of details of the new organization and external expectationsand evaluations, and 'middle term' evaluated itself as a self-directed learninginstructor and increased the desire for growth. As ‘Recently’ changed its statusto a commissioned instructor rather than a member of the A Self-directedLearning Support Center, intangible learning at work was actively carried outwith the desire to establish identity and expand its scope of activities.Second, the process of workplace intangible learning by self-directed learninginstructors was presented separately by methods and influencing factors.Self-directed learning guides' workplace intangibles were using "learning inrelationships" of study, feedback time, monitoring, and "learning throughexperience," such as daily conversations they observed or shared with other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in the field, using their own data and practice,organization's learning resources, and learning strategy daily life.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workplace intangibles learning, workplaceintangibles learning was facilitated when the learner's leading and activeattitude and many past experiences related to the present work. A self-directedlearning support center systematically guarantees feedback time and preparationtime outside the working hours of self-directed learning consulting and provideslearning resources such as various educational equipment and educationalmaterials related to work.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for thecreation of such an organization's learning culture also promoted workplaceintangible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misunderstandingscaused by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self-directed study guides, which formeda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o were notclose. In addition, the atmosphere of an organization that is not free tocommunicate or reflect opinions has hindered workplace intangibles.Third, the results of workplace intangible learning by self-directed learninginstructors we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He acquired knowledge related to "Understanding Children," "LearningStrategies," and "Understanding Organizations," developed "How to ProduceDocuments and Classes" and "Leading Children" skills, and changed attitudestoward "A sense of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a attitude toward others," "aattitude of learning," and "an identity of a professional."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presented case studies on the situation,process and results of workplace intangible learning by non-regular organizationmembers who joined the new organization early in its establishment.Self-directed learners were accepting the changes in the organization'soperational direction and system at a time when the foundation for handlingtasks in the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 self-directed learningsupport center was insufficient. Rather, they were using workplace intangiblesto actively and proactively cope with such situations, and they were moreimmersed in their work than in anxiety over non-regular workers with thepride of being "self-directed study guides" who were not present at existing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centerpreferre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intangibles in the workplace, and led tothe promotion and prefer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factors at the individuallevel, organizational factors, and the work itself of "self-directed learningconsulting."However, self-directed study guides were not able to properly form arelationship of trust and encouragement to each other without introductorytraining for understanding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members.Workplace intangible learning and formal learning need to be providedcomplementaryly in order for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to firstunderstand their peers and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their jobs while adapting to the organization.Self-directed learning guides became 'alone'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as commissioned instructors, not members of the A Self-directed LearningSupport Center. They felt the need to establish "identity" as self-directedlearning guides, not as "alone," and took priority in improving relations betweenself-directed learning guides. It is a voluntary learning organization that can bejoined together by emphasizing "we" and "organization" and is seeking to growas a self-directed and professional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 breakingaway from the reliance of the organization. This growth requires the courageand challenge of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to do what they think. Inaddi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center should pay attention to thecourage and challenges of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and providecontinued support.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learning activities of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s will be a solid foundation for minimizing trialand error in the early stage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 self-directedlearning support center and growing into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thatprovides professional and high-quality public education services in the region.Alth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case studies on thesituation, process, and results of workplace intangibles of non-regularorganization members who have joined the new organization, it may be difficultto study and generalize them around specific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hopedthat various studies on workplace intangible learning will be conducted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organization, and the statu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members. Thiswill soon be an important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circumstances of adult learners who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at work andfor laying out the foundation and alternatives to grow into active and leadinglifelong learners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이 연구의 목적은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에서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의 일터무형식학습의 상황, 과정 및 결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지자체에서지역기반 공적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설된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의자기주도학습지도사 5명을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중요한 자료 수집방법으로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과 개인별 2~4회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외에도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에 대한 문헌 및 자료, 홈페이지, 운영결과보고서,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이 개인별 수집‧보관‧활용 자료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이 조직의 설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일터의 상황, 경험, 느낌, 인식과 태도 등의 변화를 탐색하며 그들의 일터 무형식학습의 과정과결과 등 구체적인 맥락을 발견하고자 하였다.연구결과는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에서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의 무형식학습이 요구되어지는 상황, 과정, 결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은 시간에 흐름에 따라 일터 무형식학습이 요구되는 상황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설립 초기’는 신설 조직의 세부사항 부재 및 외부의 기대와 평가로 인해 일터무형식학습이 요구되었으며 ‘중기’는 자기주도학습지도사로서 스스로 평가하고성장의 욕구가 고조되었다. ‘최근’은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소속이 아닌 위촉강사로 신분 변경되면서 정체성 확립과 활동영역 확장 욕구로 일터 무형식학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둘째,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의 일터 무형식학습의 과정은 방법과 영향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의 일터 무형식학습 방법은 스터디, 피드백시간, 모니터링의 ‘관계 속 학습’, 현장에서 부딪치며 다른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을 관찰하거나 일터에서 오고가며 나눈 일상대화와 같이 ‘경험을 통한 학습’, 나만의 자료와 연습, 조직의 학습자원 활용, 학습전략 생활화처럼 ‘자기주도학습’을 활용하고 있었다.일터 무형식학습의 영향요인 중 학습자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 현재업무와 관련한 과거의 많은 경험을 가진 경우 일터 무형식학습이 촉진되었다.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는 제도적으로 자기주도학습컨설팅 근무시간 외 피드백시간과 준비시간을 보장하고 있으며 업무와 관련한 다양한 교육 기자재와 교육재료 등 학습 자원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조직의 학습문화 조성을 위한 조직의 환경적 요인 또한 일터 무형식학습을 촉진하였다. 반면, 자기주도학습지도사간의 개인차로 인하여 오해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친밀하지 못한 조직 구성원의 대인관계를 형성하였다. 또 자유롭지 못한 의사소통, 의견 반영이 되지않는 조직의 분위기는 일터 무형식학습을 저해하였다.셋째,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의 일터 무형식학습의 결과를 지식, 기술, 태도로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아동의 이해’, ‘학습전략’, ‘조직의 이해’와 관련한 지식을습득하였으며 ‘문서 및 수업자료 제작법’, ‘아동의 지도법’ 기술을 함양하였고‘조직의 소속감’, ‘타인을 대하는 자세’, ‘학습의 자세’, ‘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한태도가 변화하게 되었다.이 연구는 신설 조직에 설립 초기에 입사한 비정규직 조직 구성원들의 일터무형식학습의 상황과 과정, 결과에 대한 사례 연구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자기주도학습자들은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설립 초기 업무 처리 기반이부족한 상황에서 조직의 운영방향과 체계가 변화하는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오히려 그러한 상황을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일터무형식학습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들은 기존 공공기관에 없던 ‘자기주도학습지도사’라는 자부심으로 비정규직에 대한 불안감보다 자신의 업무에 더 빠져들고있었다. 특히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는 일터 무형식학습 중 ‘자기주도학습’을선호하고 있었으며 개인적 차원의 요인과 조직적 차원의 요인,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컨설팅’이라는 업무 자체가 자기주도학습을 촉진하고 선호하게 만들었다.하지만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은 조직과 구성원 간의 이해를 위한 입문교육없이 바로 일터로 투입되어 서로 신뢰하고 격려하는 관계를 제대로 형성하지못하고 있었다. 조직의 입사자들이 우선 동료와 조직을 이해하고 조직에 적응하여 업무를 수행하면서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터 무형식학습과 형식학습이 상호보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은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의 소속이 아닌 위촉 강사로서 ‘홀로’ 자기주도학습지도사가 되었다. 그들은 ‘홀로’가 아닌 자기주도학습지도사로서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을 느끼며 자기주도학습지도사 간의 관계 개선을우선으로 여겼다. ‘우리’, ‘조직’을 강조하며 함께할 수 있는 자발적 학습 조직으로 조직의 의존에서 벗어나 주체적이고 전문성 있는 자기주도학습지도사로서성장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을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이 생각하는바를 실행할 수 있는 용기와 도전이 필요하다. 또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는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의 용기와 도전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자기주도학습지도사들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습활동은 A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의 설립 초기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지역 내 전문적이고 질 높은공적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 기관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될 것이다.이 연구는 신설 조직에 입사한 비정규직 조직 구성원들의 일터 무형식학습의상황과 과정, 결과에 대한 사례 연구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지만 특정기관을중심으로 연구하여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조직의 규모, 조직의 설립근거, 조직 구성원의 신분 등에 따라 일터 무형식학습에 대한 다양한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이는 곧 일터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특성과 상황을 파악하고 평생학습사회에서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평생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과 대안 마련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초등학교 도덕과 수행평가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정인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과가 국가적인 강조점에서 출발하여 지금까지 오고 있는 과정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도덕과 수행평가의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을 찾아보고, 나아가 보다 바람직한 도덕과 수행평가 체제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일반적인 수행평가와 더불어 도덕과 수행평가의 특징과 도덕과 수행평가의 운영 방향 및 절차에 대하여 알아보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교사들의 도덕과 수행 평가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도덕과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도덕과 수행평가의 문제점으로 도덕과 수행평가가 최소한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는 점, 기존의 도덕과 수행평가 자료에 의존하는 점, 도덕과 수행평가 방법이 관찰법이나 서술형 평가에 치중하고 있는 점, 도덕과 수행평가의 결과 처리가 성적표 작성에 치중되어 있는 것, 교사들이 도덕과의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점, 도덕과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교사의 태도가 수동적인 점, 도덕교과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지식이 부족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수업 속에 일반화된 도덕과 수행평가의 운영, 도덕과 수행평가를 위한 평가 자료의 개발, 다양한 도덕과 수행평가 방법과 학습자 중심 채점기준표의 활용, 다양한 도덕과 수행평가의 결과 처리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사의 이해력이 필요, 도덕 교과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도덕교과에 대한 전문성의 요구 및 잡무 경감 등의 내용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도덕과 수행평가의 방법, 자료, 결과처리 등 운영적인 내용에 있어서 교사와 교육 기관의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평가 자료의 개발, 도덕과 수행평가의 방법의 활용, 학습자 중심의 채점 기준표의 개발 등을 통해 더 나은 도덕과 수행평가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도덕과 수행평가를 수행하는 교사들의 인식과 자세를 지금보다 더 변화시켜야 한다. 가르치는 교사가 도덕 교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성을 길러 도덕과 수행평가를 실시해야만 도덕과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of this is to understand both the present actual condition of performance-Valuation assessment of elementary moral study and fixing degree of actual state and to show the basic data reqired in bulding more desirable system of Performance-Valuation Ways in the Moral Course by analysing teacher's cognizance of it as an executor of it, the tendency of its execution and the moot point indwelling in the course of execution, with the course that starts from an nationals emphatic point of it and has been so far in the center. Under these purpose, this study was examined characters, function,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valuation, and operational direction, operational process of performance-valuation in the moral course of elementary school,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sides in performance-valuation. A question was couducted for teacher to analyze problems of performance-valuation in the moral course of elementary according to Research Analyst, problems of performance-valuation in the moral course of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 execution to a minimum, performance-valuation systems to put special stress on observations and predicative tests, attaching on the product performance-valuation for report cards, taking too seriously Affective domain, passive attitudes of operation Moral performance-valuation , equipment of teacher's concern and knowledge for the moral course and so on. These potential problem can be improve as follows ; keeping pace with the moral course, development of valuation datas and systems, student-generated rubrics, the multiplicity of products performance-valuation, comprehension and specificity for Affective doma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development of more diverse and effective instructional materials, reducing routine works and so on. This result come to a conclusion as following: 1. Teachers and educational organs must make the grade for operation performance-valuation in the moral course. better performance-valuation have need the development of valuational datas, systems, student-generated rubrics and so on. 2. Recognitions and attitudes of Teachers must change into the better performance-valuati on in the moral course from now on. If teacher who teach performance-valuation take cognizance of importance cf moral course and improve specificity, something must be done about it, the goal of Mo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