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접전단시험을 통한 무근콘크리트에 매입된 다월 철근 거동 연구

        정의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 세계에서 고속철도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속철도 이용 증가의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많은 국가에서 고속철도의 효율성(속도) 및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철도기술원에서 철도 교량과 장대 레일(CWR)간의 상호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존의 하중 전달을 감소시켜주는 상호작용 저감형 콘크리트 궤도(슬라이딩 궤도, Sliding slab track)를 제안하였다. 궤도 슬래브와 교량 바닥판 사이에 부직포와 PE 시트로 구성된 슬라이드 층을 추가함으로써, 상호작용 저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장대 레일의 좌굴 방지 및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횡방향 구속을 할 수 있는 횡방향 지지블록이 필요하다. 횡방향 지지블록은 시공의 효율성을 위해 하부의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이후 횡방향 지지블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과정에서 구콘크리트(교량 바닥판)과 신콘크리트(횡방향 지지블록) 사이에 콘크리트 접합면이 발생한다. 구콘크리트와 신콘크리트는 다월 철근으로 연결한다. 이에 매입될 철근의 다월 거동에 대한 실험적 평가를 본 연구에서 진행하였다. 실험은 재료시험과 다월 거동을 판단하기 위한 직접전단시험 두 가지로 진행하였다. 직접전단시험은 무근 콘크리트에 매입된 철근을 분당 1 mm의 속도로 변위제어 실험을 통해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Soroushian et al. (1986, 1987), fib Model Code (2010), Nobert Randl (2007)에서 제시한 예측식의 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재료시험결과와 직접전단실험결과를 기반으로 ABAQUS를 이용한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고, 직접전단시험에서 확인한 철근의 다월 거동을 수치해석결과와 비교하여 수치해석 모델의 검증 후 실제 실험에서 진행하지 않은 철근 범위에 대한 추가적인 해석을 진행하였다. 이 후, 최대전단저항력과 전단 미끄러짐을 모두 예측하는 기존 fib Model Code (2010)의 예측식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확인한 철근 직경에 대한 영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고 철근과 콘크리트 강도조합에 따른 개별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최대전단저항력과 전단 미끄러짐을 포함하는 다월 거동 예측식을 개선하였다. The demand of high-speed railways increase in the world. Furthermore, this trend of increasing demand of high-speed railways is expected to continue. Many countries have interest in the efficiency (speed) and stability of high-speed railways. Therefore,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designed and suggested Reduced rail-structure interaction type track (sliding track) which reduces the existing load transfer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railway bridge and continuous welded rail (CWR). This novel design have purpose to reduce the interaction with adding slide layers composed of geotextile and PE sheet between the track slab and the bridge deck. However, lateral supporting blocks which roles lateral restraint of rails are needed to prevent CWRs buckling and the safety of express train passenger. Lateral supporting blocks are casted for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on the bridge deck after casting bridge deck. In this proceeding, concrete contact surfaces are made between the existing concrete (bridge deck) and the new concrete (lateral supporting block). To compensate separating concrete, reinforcing bars will be embedded in the lateral supporting block. Dowel action of rebar that will be embedded in lateral supporting block was evaluated experimentally in this study. The tests carried out both material test and direct shear test to determine the behavior of the dowel. Direct shear tests of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plain concrete were performed in static experiment with displacement control at speed of 1 mm per minut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dictive equation proposed by Soroushian et al. (1986, 1987), fib Model Code (2010) and Nobert Randl (2007). Finite element model (FE model) using ABAQU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from material test and direct shear test. FE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dowel actions are obtained from direct shear test and FE model. We carried out further FE analysis with new parameter variables what was not performed in existing experiment. After further analysis, the predictive equation of the existing fib Model Code (2010), which predicts both the maximum shear resistance and the shear slip, considers additionally effects of the reinforcing bar diameter as confirmed by the experiment. Thus, developed predictive equation for dowel action was improved.

      • 창작무용에서 남성무용수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정의석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예술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정서나 시대적, 정치적 이슈 등을 작품의 소재나 주제로 하는 창작활동이다. 그 중 무용예술은 무용수의 육체를 매개로 표현하는 예술임에도 불구하고 관객에게 보여주기 위한 공연예술로서의 아름답고, 우아하고, 섬세한 움직임만을 추구하는 풍조가 만연하게 되었다. 그 결과 무용에서 여성무용수의 역할 만이 강조되고 상대적으로 남성무용수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는, 여성 무용수의 보조역할 정도로만 인식되는 분위기가 나타났다. 그러나 현대사회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장르별, 유형별 경계의 파괴와 융복합적 예술활동이 확대되고, 일상 속에서의 미디어 컨버전스(Media convergence) 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현대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예술형식 속에서 오늘날 예술적으로 장르 구분이나 경계를 고수하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인식이 생겨날 정도이다. 무용이라는 예술적 매체는 끝없는 변화를 요구받고 또한 그렇게 발전되어 왔다는 점을 직시할 때, 남성무용수만의 정체성의 새로운 재획득과 정형화 되지 않은 표현으로 그들의 역할을 새롭게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새로운 남성무용수의 재인식을 통한 흥미 유발과 공감대를 형성을 통해 창작무용의 작품이 구성된다면 남성무용수의 역할 증진을 이루어내고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작무용 카롤린 칼송의 ‘블루레이디’와 매튜 본의‘백조의 호수’공연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남성무용수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과 남성의 구분 없이 대중들이 공감하고 이해 할 수 있는 작품을 구성하였다. 둘째, 창작무용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하는데 있어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접목시켜 관객들에게 신선하게 다가갔다. 셋째, 무용에서의 성 정체성을 극복하고 남성무용수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를 종합하여 남성무용수의 활성화 방안에 힘쓴다면 무용 작품 속 남성무용수를 역할 증진과 활성화는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위의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창작무용 속 컨템포러리 무용 장르 ‘만남’을 기획․제작 하였다. ‘만남’은 사랑이라는 주제 속에서 남성무용수만의 섬세한 내․외적 표현과 역동성 있는 테크닉을 보여주어 창작무용을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이루어 냄으로서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작품을 기점으로 남성무용수의 중요성이 인식된 작품들이 기획․제작되어 남성무용수의 역할 증진과 활성화에 기여하기 바란다. 주제어 : 남성무용수, 창작무용, 컨템포러리, 무용, 예술 An art of is a creative activity handling the content and subject of the works containing emotion and political issues of people living in this age. Though dance art is performance art to be seen to audience through medium of a male dancer's body. The pursuit of only beautiful, decent, and delicate movement of a dancer is prevalent in the present day. As a result, only the role of a female dancer is emphasized but a male dancer does not receive attention from audience relatively. The role of a male dancer is only that of a female dancer's assistant. There is an awareness that as media convergence emerges, classification of gender and sticking to boundaries in art area are anachronistic in everyday life of modern society. The medium of art called dance is required constant change by mass people and developed so. If the work of creative dance is planned to draw a male dancer's role as non-standardized form, to interest audience, to form emphasis, then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and activation of a male dancer will be mad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o draw the role and activation of a male dancer by examples like Carolyn Carson's "Blue Lady" and Matthew Vaughn's "Swan Lake" of creative dance. First, this study is composed of works that mass people can understand and emphasize regardless of gender. Second, this study is approached to audience freshly by combining various elements to transmit the stories through creative dance. Third, this study makes a strong impression on audience that a male dancer is essential to performance with overcoming the gender identity in dance. Finally, an activating plan of a male dancer must be emphasi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a male dancer's role is recognized in works. This performance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a male dancer's role and activation from this performance on. Key words : a male dancer, creative dance, comtemporary, dance, art

      • 모바일 스트리밍 환경에 적합한 전력인식 패칭 기법

        정의석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의 전력소모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일반 PC와 달리 모바일 기기는 제한적인 배터리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서 무선 네트워크 카드가 소모하는 전력량은 매우 높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Sleep-mode로 동작하게 하여 전력소모를 줄인다. 하지만 VOD 서비스는 서비스의 시작부터 끝까지 무선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카드는 Sleep-mode로 동작할 수 없고 전력소모는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묶음단위로 통신을 하는 Bursty Communications 기법이 제안 되었다. 하지만 Bursty Communications 기법은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전력인식 패칭 기법(Power-Aware Patching)은 VOD 서비스 중 모바일 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고, 네트워크가 혼잡상태로 빠질 확률을 줄이기 위해 제안되었다. 즉, 클라이언트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Bursty Communications 기법을 사용한다. Bursty Communications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면 클라이언트의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Sleep-mode 동작시간을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전력소모량은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Bursty Communications 기법을 사용하게 되면 서버의 전송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네트워크 혼잡상태가 유발 된다. 이러한 서버의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네트워크의 혼잡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패칭 기법을 함께 적용시킨다. 패칭 기법을 사용하게 되면 서버의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혼잡상태를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전력인식 패칭 기법은 일반적인 VOD 서비스에 비해 무선 네트워크 카드 소모 전력의 50~80%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의 전송량을 일반적인 Bursty Communications 기법에 비해 5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Energy conservation is a key problem in mobile streaming environments, because the availability of mobile devices depends greatly on battery capacity. One significant source of consumed energy on such devices is the WNI (Wireless Network Interface). In mobile streaming service, power consumption of client device is more critical, since WNI can not act by sleep mode for receiving data continuously.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w transmission scheme, called Power-Aware Patching,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mobile streaming devices. The proposed scheme is based on the simple bursty communic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technique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for mobile streaming systems. But the bursty communication causes network conges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combine the busty communication with the patching scheme, in which a group of mobile devices shares one server transmission channel. Therefore, the required number of the server channels decreases and the network congestion is reduced. In the performance study, we show that our scheme can reduce the server bandwidth requirements compared with the existing bursty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also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devices compared with traditional streaming system.

      • 鐵道交通 管制士의 CRM 導入을 위한 非技術的 力量(Non Technical Skill) 識別 및 分析에 關한 硏究

        정의석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도사고 대부분이 철도 종사자의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철도 안전과 직결되는 철도교통 관제사와 관련된 철도사고들은 철도교통 관제사의 의사결정, 상황판단, 의사소통 등에서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철도와 유사한 고위험 산업인 항공분야에서는 이러한 인적오류를 저감하기 위해 CRM(Crew Resource Management)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항공의 CRM을 철도교통 관제사의 업무환경에 맞게 도입하여 철도교통 관제사의 인적오류를 저감하기 위하여 CRM의 교육 내용이며 평가요소가 되는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을 식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을 식별하기 위하여 철도교통 관제사의 직무와 사고에 대한 분석을 통해 48개의 행동지표들을 도출하고 요소로 단순화 하였다. 상호연관성이 있는 요소별로 그룹화 하여 8개의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을 식별하였으며, 유럽의 NOTECHS와 호주 철도 RRM의 비기술적 역량 체계를 토대로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체계를 제시하였다. 관제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검증을 시행한 결과,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과 역량 체계, 세부항목별 분류 및 식별은 타당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행동지표별 우선순위에서는 열차의 통제, 절차의 준수 등과 같은 철도교통 관제사의 본연의 임무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동지표별 중요도를 토대로 과업관리, 의사소통, 상황인식 및 의사결정, 비상상황 관리, 위험관리, 리더십과 팀워크 순서로 철도교통 관제사의 비기술적 역량별 교육의 우선순위를 정립하였다. Most of railroad accidents are caused by human errors of railroad workers, and railroad accidents related to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railroad safety, are caused by errors in decision-making, situation judgment, and communication by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In the aviation sector, a high-risk industry similar to railroads, Crew Resource Management (CRM) training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to reduce such human errors.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non-technical skills for rail traffic controllers that are the content and evaluation factor of CRM training in order to reduce human errors of rail traffic controllers by introducing aviation CRM training to suit the work environment of rail traffic controllers. In order to identify the non-technical skills of the rail traffic controller, 48 behavior markers were derived and simplified into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ail traffic controller's job and accident. The 8 non-technical skills of rail traffic controllers were identified by grouping them by interrelated elements, and the non-technical skill system of rail traffic controllers was presented based on the non-technical skill system of NOTECHS in Europe and RRM of Australia railroa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the non technical skills and skills system of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suggested,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are found to be reasonable, and in the priority of behavioural markers, the nature duty of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such as train control and compliance with procedures is analyzed as important.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behavioural markers, the priority of training by non technical skills of railroad traffic controllers is established in the order of Task Management, Communication, Situational awareness and Decision-making, Emergency management, Risk Management, Leadership and Teamwork.

      • 병원 외 심정지에서 체외막산소화장치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결과 : 성향점수 짝짓기 법

        정의석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Incidence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is not rare. Main cause of OHCA is cardiac problem. In spite of convention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CPR), its mortality is very high. Extracorporeal CPR(E-CPR) wa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selective cardiac arrest patients. We tried the E-CPR on the OHCA patients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at of the C-CPR group which was performed in the same period. Method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4, 582 OHCA patients visited the Sanggye Paik hospital emergency room. Among them, 126 patients who visited cardiovascular causes(M: F = 90: 36 Mean age = 65.8 ± 14.6 years) wer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eports of 119 rescue team, retrospectively. We divided them into E-CPR group and the C-CPR group (C-CPR: E-CPR = 97: 29) were analyzed. In addition, we selected 23 cases, each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mE-CPR = 23, mC-CPR = 23, Mean age 59.2 ± 12.6 years, M: F = 40: 6), and re-analyzed them. Results In the basic characteristics, the mean age, sex, and the ECG patterns were different(p<0.05). Cardiac arrest and CPR-related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p>0.05). Hospital CPR, coronary angiography, and coronary re-vascularization were performed and could be more aggressive in the E-CPR group. ROSC; survival discharge; and Cerebral Performance Categories Scale 1, 2, and 30 day survival was superior in the E-CPR group(p<0.05). Even afte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ggressive treatment could be performed on the mE-CPR group and showed a survival advantage in the mE-CPR group(p<0.05).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aggressive treatment with E-CPR for OHCA patients could improve their survival rates. In the future, this seems to require a long-term observation and appropriate clinical applications.

      •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완벽성향의 통제 및 조절효과

        정의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s a controlling and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 between stressors and youths’ suicide ideation. The followings are the purposes of the study: First, how does stressors relate to youths's suicide ideation? Second, how much do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control the relations between stressors and youths suicide ideation? Third, how do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stressors and youths suicide ideation? 483 high school students as subjects in Gangwon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to this study. Beck's Scale for Suicide Ideation(SSI) translated by Park, Gwang Bae and Shin, Min Seop(1991) into Korean was used to measure youths suicide ideation. To measure stressors, 'Daily Hassles Scale for Children in Korea' developed by Han, Mi Hyun and Yoo, An Jin(1995) was us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developed by Frost, Marten, Lahart and Rosenblate(1990) was administered to measure youths perfectionism. Some parts of these scales have been modified for this study. First,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used to test relationships among youths suicide ideation, stressors, and perfectionism. Second,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controlling and moderating have the relations between stressors and youths suicide ide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stressor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youths suicide ide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stressors such as teachers and school stressors, studies stressors, friends stressors, parents stressors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youths suicide ideation. Among perfectionism tendencies, however, maladaptive perfectionism only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youths suicide ideation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rfectionism controls approximately 64.3% of variance of youths suicide ideation, which is explained by stressors. On the other h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is significant and positive in moderating relationships between overall stressors and studies stressors. However, adaptive perfectionism is not the same as maladaptive one.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d that we need to recognize youths suicidal problem correctly and to have desirable educational ways to prevent youths suicide. Moreover, teachers as well as parents need to overcome their prejudices against youths, and this can lead to prevent and solve youths suicidal problem as a current outstanding social problem.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그 전조변인이라 가정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더불어 완벽성향이라는 인지적 요인이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얼마나 통제하고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완벽성향이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얼마나 통제하는가? 셋째, 완벽성향이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가?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 48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Beck 등(1979)이 제작한 자살생각 척도(SSI: Scale for Suicide Ideation)를 박광배와 신민섭(1990)이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미현과 유안진(1995)이 개발한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수정하여 활용하였으며, 완벽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Frost 등(1990)이 개발한 다차원적 완벽성향 척도를 번안하여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자료처리는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완벽성향은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했다. 둘째,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와 완벽성향의 관계를 파악하고, 완벽성향이 자살생각에 대해 스트레스가 가지는 설명력을 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일련의 위계적 회귀분석(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완벽성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변수와 완벽성향 변수의 상호작용항을 독립변수로 투입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분석에서는 스트레스 전체와 완벽성향 전체가 자살생각과 의의 있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독립변수별 중다회귀분석에서는 스트레스는 교사 및 학교관련 스트레스, 학업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부모관련 스트레스순으로 자살생각과 의의 있는 정적 관련이 있었고, 완벽성향은 부적응적 완벽성향만이 자살생각과 의의 있는 정적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완벽성향 변수군이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 변수군의 효과를 64.3% 가량 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완벽성향 중 부적응적 완벽성향은 스트레스 전체 및 학업관련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정적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적응적 완벽성향은 의의 있는 조절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살 방지를 위한 바람직한 교육방법에 대해 논의되었으며, 청소년 자살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가정, 학교에서 부모, 교사의 청소년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전환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 지식 증류 기법과 시청각적 동기화된 특성 벡터를 이용한 인간 감성 판단 딥러닝 네트워크 모델

        정의석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감성 컴퓨팅은 인간의 감성을 인지, 해석,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및 시스템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가 인간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더 유익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최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성 컴퓨팅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는 세가지 한계점이 있다. 첫째, 성능이 낮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분류 문제는 인간의 인식 능력을 넘어선지 몇 년이 지났지만 감성 판단 측면에서는 여전히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둘째, 복잡한 인간 감성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감성은 매우 복잡하며 한가지의 지표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다. 대표적인 인간 감성 지표인 유인성-각성도, 범주형 감정, 액션 유닛 등을 동시에 판단하는 모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셋째, 불완전한 데이터셋이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인간의 감성은 복잡하며 이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는 한가지가 아니다. 하지만 인간의 여러가지 감성 지표를 동시에 라벨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셋의 수는 매우 적다. 전통적인 지도학습의 방법으로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동일 입력에 대해 모든 감성 라벨을 갖고 있는 데이터셋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동기화된 특성 벡터와 지식 증류 기법을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멀티모달-멀티태스크 감성 판단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감성 판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지와 오디오 모달리티 사이의 동기화를 달성하고자 하였으며, 정확한 인간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대표적인 감정 지표인 유인성과 각성도, 범주형 감정, 액션 유닛을 동시에 예측하는 멀티태스크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불완전한 데이터셋을 보완하기 위해 지식 증류 기법을 활용하여 라벨이 없는 상황에서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 모델의 실험 결과, 시청각적 동기화된 특성 벡터를 활용했을 때, 시각과 청각 유니모달로 예측했을 때에 비해 각각 10.74%, 338.71% 향상되었으며, 지식 증류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적용하지 않은 모델 대비 8.96% 향상되었다. 제안 모델을 활용하여 Competition on Affective Behavior Analysis in-the-wild(ABAW)에 참여하여 멀티태스크 러닝 챌린지에서 2위에 올라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Affective computing refers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ystem devices that can recognize, interpret, and process human emotions. If computers can understand human affects, they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beneficial services to users.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search on ㅁaffective computing technology using neural networks is actively taking place. However, there are three limitations to existing research. First, the performance is low. The general classification problem already exceeded human cognitive ability in 2015, but it still does not exceed human ability in terms of affect judgment. Second, it does not fully express complex human affects. Human affect is very complex and cannot be expressed by just one indicato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 model that simultaneously predicts the representative human affect indicators such as valence-arousal, categorical expression, and action unit. Third, the dataset is incomplete. As mentioned above, human affects are complex, and there is not one indicator that can express them. However, the number of datasets that have multiple human affect indicators at the same time is very small. In order to train neural networks by traditional supervised learning methods, a dataset with all affective labels for the same input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modal-multitask affect prediction model that improves performance by utilizing synchronized representation vectors and knowledge distillation techniques to solve the above limitations. The proposed model aims to achieve synchronization between image and audio modalit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ffect prediction, and a multi-task model to simultaneously predict representative affect indicators such as valence-arousal, categorical expression, and action unit to express accurate human affect. In addi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ncomplete datasets, knowledge distillation techniques were used to enable learning even in the absence of labels. Experiments of the proposed model show 10.74% and 338.71%, respectively, improvements over visual and auditory unimodal predictions, and 8.96% improvements over non-applied models when applying knowledge distillation techniques. Using the proposed model, we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on Affective Behavior Analysis in the wild (ABAW) and ranked second in the multi-task learning challenge, confirming excellent performance.

      • 마음의 상처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정서와의 관계

        정의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마음의 상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사건과 대상 그리고 상처에 나타나는 기본정서들이 무엇인가를 밝혀보았다. 또한 귀인과 지각된 통제 불가능성 등의 인지적 평가와 상처정도 및 기본정서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대처방식과 상처정도와의 관계, 상처정도와 당사자와의 대인관계의 부정적 영향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연구대상은 대학생들(N=305)이었으며, 이들로 하여금 연구자가 개발한 '마음의 상처 관련 척도' 설문지에 응답토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상처시기는 중·고등학교, 대학교, 초등학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상처 빈도가 많은 대상은 친구, 부모/가족, 애인 등의 순서였으며 상처 정도가 높은 대상은 선후배와 부모/가족 등의 순서였다. 상처빈도가 많은 사건은 무시, 외면/거부, 평가/비교, 배반 등의 순서였으며 상처정도가 높은 사건은 조롱, 의심, 배반, 외면/거부 등의 순서였다. 둘째, 상처정도는 슬픔, 놀람, 자신에 대한 분노, 타인에 대한 분노 등의 순서로 유의미하게 설명되었다. 즉 상처는 슬픔, 놀람,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분노 등이 조합된 정서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인지적 평가인 책임소재에 대한 귀인에 따라서 상처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놀람, 자신에 대한 분노, 타인에 대한 분노 등의 기본정서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대방의 의도에 대한 귀인에 따라서도 상처정도, 그리고 슬픔, 놀람, 타인에 대한 분노 등의 기본정서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상대방의 인지에 대한 귀인에 따라서는 상처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슬픔, 놀람, 타인에 대한 분노 등의 기본정서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처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상처정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임을 의미한다. 상처사건에 대한 지각된 통제 불가능성의 정도는 상처정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대처방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상처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통제 불가능성은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처사건을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지각할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넷째, 두 가지 대처방식 모두 상처정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는데 이는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이 상처정도를 완화시키는데 적절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상처정도는 당사자와의 대인관계에 대한 부정적 영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인지적 평가가 대인관계에 대한 부정적 영향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마음의 상처를 보다 정확한 의미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상처로 인한 다양한 정신적 문제에 대한 예방과 치료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는 한국인의 심정대화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국내에서 심정에 대한 연구들은 심정이 한국인에게 중요한 소통양상이라고 주장하고 있을 뿐, 심정적 의사소통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인지, 존재한다면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보여준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심정대화가 지니는 특성을 경험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I은 심정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표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8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정의 속성에 대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사람들은 심정을 속마음이나 생각으로 표상하고 있으며, 생각·마음이 통할 때 그리고 같은 처지에 있을 때 심정이 통하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심정이 통하는 대상은 외집단 사람보다는 내집단 사람이었다. 심정을 전달하려는 경우는 기쁨 등의 긍정적 감정표현을 하려는 상황보다는 힘들고 어려운 경우였다. 그리고 심정표현은 언어적, 비언어적 통로를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연구 I은 심정 대화가 한국인의 중요한 의사소통 양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 II는 일상의 대화상황에서 사람들이 심정대화로 여기는 대화가 구분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심정대화와 사리대화를 구분하기 위한 대화재료를 구하기 위해 예비연구가 수행되었다. TV 드라마의 방영내용들에서 50개의 대화토막을 끌어내어 10명의 대학생 평정자들로 하여금 대화가 심정대화인지 사리대화인지를 판단하게 하였다. 50개의 대화토막 중에서 평정자간 일치율이 높은 대화토막은 36개가 선택되었는데, 36개에서 18개가 심정대화, 12개가 사리대화 그리고 6개가 일반대화였다. 이들 대화토막은 내/외집단 관계유형으로 구분된 대화들이다. 82명의 대학생들은 여섯 대화토막(심정 3개, 사리 2개, 일반 1개)을 포함하는 질문지를 받고, 대화토막이 심정적인지, 사리적인지 아니면 둘다 아닌지를 판단하였고 그 판단근거를 기록하였다. 심정대화로 판단되는 특성으로는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서로의 관계('우리 사이')를 언급하거나 자신의 어려운 처지를 호소하여 측은지심을 불러일으켜 정에 호소, 속마음을 전달, 상대입장을 무시한 자기식대로 해석 표현 그리고 감정 표현 등으로 나타났다. 사리대화로 판단되는 특성으로는 합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대화, 객관적 사실(근거)을 바탕으로 한 대화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내집단 심정대화에서 높은 판단 일치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들은 심정적 의사소통 양식을 사용하고 있고, 아울러 심정적 의사소통이 다른 의사소통 양식과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앵커 인장력 손실에 따른 사면 안정성 분석

        정의석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서 사면보강공법으로 빈번히 적용되고 있는 공법은 영구앵커 공법이다. 앵커공법은 적용사례가 많고 타 공법에 비하여 사면 형상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아 신뢰성이 높은 공법이다. 앵커공법은 장기적으로 방치할 경우 인장력 손실이 발생 되어 확인시험을 통하여 잔존축력을 확인하고 재인장을 실시하여 인장력을 유지한다. 그러나 몇 년 주기로 실시되어 방치기간에 인장력 손실이 발생이 될 수 있다. 인장력 손실은 사면의 안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앵커 인장력 손실 시 앵커 보강 사면의 안정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두 현장에 시공된 영구앵커 4,181개소의 시험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손실정도에 따라 안정성의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임의사면을 모델링하여 손실단계별 안정성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90%이상의 신뢰성 있는 로그함수곡선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토질의 강성(내부마찰각, 점착력)과 지하수위적용, 지진여부 등의 영향요인에 의해 정확한 수식을 도출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지진의 영향까지 고려한다면 최소 초기인장력의 80%이상의 잔존축력이 유지되어야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