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家庭環境이 兵士의 軍生活 適應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A family is first organization in which human being naturally participate. As a human being grows up, such a family is a place to teach a rule and courtesy for socialization. The Army, being separated from this family, is place that participates in the new organization. Because our country is in a divided situation, the youth of early twenties must join in the army. Owing to their different background , in the army, the youth differ from individual character. Therefore, military adaptation also has an individual differe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that a home background of many factors affects military adaptation. For this research, we made two assumptions such as ; Assumption 1. between a home background and army-life adaptation, there are something relation. Assumption 2. army-life adaptation will h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standard, academic background and religion. To prove these assumptions, we tested 240 soldiers in ○○ military unity. For analysis, we used like these things 1. To investigate confidence, we used crobach-α calculation. 2. To find the reasonability, we used factor analysis. 3. To find army adapt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ank, academic background and religion, we used analysis of variance. 4. To find range family between environment and army adaptation, we use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Family environment factor affect army adaptation, Especially, we have to pay attention that a little controlled living affects on army adaptation. Secondly, The rank, academic background and religion affect army adaptation because these have same difference. Through, this research, we find out changing army, in future, we have to try for more army environment changes, And thinking the recognition that we identify environment in army with environment in society than the recognition that Personal character of soldiers, family environment improve army adaptation can improve army adaptation. In this respect, we hope that this research result can work for understanding and teaching soldiers.
기둥의 주근과 복합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우석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국내 층간소음 해소를 위하여 최근 국내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기 위하여 유기 화합물인 고분자와 무기화합물인 세라믹의 물성을 동시에 가지는 소재가 개발되고 있고, 고분자소재의 가공성, 강인성 및 가격 등의 장점과 무기물의 내연성 산화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유·무기 복합재료(Organic -inorganic hybrid marerials)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층간소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보강재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이하, EVA)와 Expanded polystyrene(이하, EPS)는 우수한 단열성능과 흡음성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EVA, EPS를 첨가한 콘크리트는 내화성 및 물보다 비중이 낮은 성질로 인하여 균일한 설계 강도 실현에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어있다. Brown1)등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S(이하, POSS) 나노복합체는 무기재료와의 결합에서 강도저하 없이 기포발생 유도 및 내구성에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강재를 진보적인 성능 향상을 위하여 콘크리트와 EVA, EPS 및 POSS를 이용한 복합 콘크리트 개발을 위하여, 실제 건축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이형 철근간의 부착강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복합콘크리트와 이형 철근간의 부착성상에 관한 실험은 보강재와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유무와 현장적용의 가능성에 중요 지표가 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VA와 EPS로 보강된 실험체는 부착강도가 무보강 실험체보다 최대 45 % 감소하는 반면, POSS로 보강된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보다 부착강도가 최대 20 %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2) 주근이 3개인 실험체군에서 무보강 실험체 3N보다 실험체 3EVA와 3EPS의 부착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POSS 나노 복합체 0.3 %로 보강된 실험체 3POSS는 무보강된 실험체 3N보다 8 %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콘크리트 타설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인발한 O방향 부착강도는 콘크리트 타설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발한 S방향의 부착강도보다 12 % 높은 부착강도 를 나타냈고, EVA와 EPS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각각 24 %와 31 %의 차이를 나타냈다. POSS를 혼입한 실험체 보다 EVA와 EPS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S방향과 O방향과의 부착강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을 보아 POSS의 빠른 반응속도에 의해서 보강재가 균질하게 분포 시킨다고 볼 수 있다. 4) 실험값과 Fuji 제안식 값을 비교검토에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실험값은 계산값 보다 부착강도가 6 ∼ 8 % 높게 나타났고,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실험값은 계산값 보다 부착강도가 최대 18 % 낮은 실험값을 나타냈다. 이것으로부터, 복합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Fuji 제안식과 실험값이 다소 차이가 있다고 사료된다.
Kitchen staff의 멘토 역량이 프로티제의 조직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특급 호텔을 대상으로
KITCHEN STAFF의 멘토역량이 프로티제의 조직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특급호텔을 대상으로 - 鄭 愚 錫 嶺南大學校 大學院 食品加工學科 外食産業學專攻 (指導敎授 卞 光 仁) 요 약 멘토역량에 따른 멘토링 관계는 기업에서 구성원의 성장과 개발을 위한 전략으로 회사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선배사원이 직접 후배사원을 지도하고 조언해주는 것으로, 조직에 있어서는 인재경쟁력을 확보하고 유기체 조직을 구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동시에 멘토나 프로티제 모두의 경력발전에 도움을 주는 제도이다. 이러한 멘토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호텔기업의 경우 공식적인 멘토링 관계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단지 비공식적인 멘토링 관계만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조리부서의 특성상 인적자원에 의존하고 있는 업무분야이기 때문에 식음료 부분의 좋은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과 기술을 보유한 조리 인력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여야 한다. 따라서 특급호텔의 kitchen staff를 대상으로 멘토 역량을 구체화 시키고, 멘토의 역량과 프로티제가 받는 멘토링 기능, 조직적 성과에 대한 관계 규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멘토역량의 구체화와 프로티제의 업무만족과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멘토링 기능의 중요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멘토역량을 인격, 업무스킬, 감수성으로 분류하였고, 멘토링 기능은 경력관련 기능, 심리사회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조직적 성과 요인으로 업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나누어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특급 호텔의 kitchen staff를 대상으로 설문 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본 추출 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방법인 할당표본추출방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였는데, 전국에 특급 호텔이 서울(17개 업체), 제주(11개 업체), 부산(5개 업체), 경주(5개 업체)로 밀집 되어 있다. 이에 서울지역 178부, 제주지역 116부, 부산지역 53부, 경주지역 53부로 특급호텔 수의 비율로 각각 설문지를 할당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sion 17.0 프로그램과 구조방정식 프로그램인 LISREL 8.80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선행연구에 따라 구성한 각 요인은 적절하게 분류 되었다. 둘째, 멘토 역량과 멘토링 기능에 관한 관계와 영향력에서 멘토 역량 중 인격과 업무스킬은 멘토링 기능에 모두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감수성은 경력관련 기능과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각되었고, 역할모형 기능에만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멘토링 기능인 경력관련 기능, 심리사회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은 업무만족에 모두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역할모형 기능만이 조직몰입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넷째, 업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관계와 영향력은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구성개념 신뢰도 검정을 하였는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다. Ph. D. Thesis A Study of the Effect of Mentor Competency of Kitchen Staff on Proteg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 Based on the First Class Hotels Jung, Woo-Seok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yun, Gwang-In) Summary The mentor relationship from the mentor competency is to provide instruction and counseling by senior members with more experience and 'know-hows' to juniors as a strategy to help corporate constituents grow and advance. In an organization, the mentor system is a very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hrough structuring the organization by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in talented human resources and helps mentor as well as protege advance in career. Notwithstanding such an importance on mentoring, there is almost no hotel enterprise that adopts the formal mentor system, but there exist only informal ones. In particular, the cooking department in hotels is a typical work field strongly depending on human resources in nature and it requir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cooking that needs substantial experience and technology to sell great food and beverage products. Accordingly, to materialize the mentor competency for the kitchen staffs in first class hotels, and to study o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on the mentoring function and organizational outcome for protege with the mentor capabilit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various important attributes of mentoring functions to heighten the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ncentration of protege in addition to solidifying mentor capability. For the data analysis of the empirical study, it used the SPSS for Windows Version 17.0 program and the structure formula program, LISREL 8.80.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ollowing research result is formulated.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 of first class hotels in Korea. Sampling method used the quota and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re are first class hotels in Seoul (17), Jeju (11), Busan (5), and Gyeongju (5). Therefore, the questionnaires are allocated with the ratio of the hotels with 178 copies in Seoul, 116 copies in Jeju, 53 copies in Busan and 53 copies in Gyeongju. First, the mentor capability is classified into personality, work skill, and sensitiv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n the mentor capability and mentoring function, both personality and work skill would have noticeability on the mentoring function. The sensitivity would have no influence on both career-related functions and psycho-social function. But it has noticeability only on the role model function. Third, as to the mentoring functions, the career-related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display relativity to the work satisfaction, and only the role model function displays the noticeability on the organizational concentration. Forth, the influence and the relationship of work satisfaction on the organizational concentration have been dismissed. Finall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configuration concept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to secure the feasibility have been made and the difference has been statistically noticeable.
무선 네트워크는 공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았던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의 단점을 해소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무선 네트워크의 수요와 비중이 날로 커져가면서 네트워크에서의 경로설정 이나 자원 관리, 단위가격 설정 등 네트워크 관리 기법들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서 자원에 대한 단위가격 설정에 관한 문제는 네트워크가 운영자와 사용자가 존재하는 하나의 시장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제시되어 있는 많은 가격 결정 기법들은 대부분 운영자의 입장 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가격을 결정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운영자와 사용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가격 결정 기법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운영자와 사용자를 함께 고려한 가격 결정 기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운영자와 사용자를 함께 고려하기 위해 게임이론의 일종인 슈타켈버그 게임을 사용하여 둘 사이에 게임을 통해 서로가 만족할 수 있는 가격을 찾아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제학의 수요-공급 곡선과 유사한 수요-효율 곡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이익과 사회적 편익을 만족시키는 가격을 계산하고 가중치법을 사용하여 두 가격 사이에서 네트워크 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가격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법이 기존에 제안된 기법보다 사회적 편익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자의 수가 늘어나고 네트워크의 부하가 커짐에 따라 본 논문의 기법이 더욱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네트워크가 처한 상황에 적합한 가격을 탄력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BCAA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피로물질, 근 손상물질 및 에너지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crease rate of utilization of branched-chain amino acids(BCAA) by muscle is reduced to its plasma concentration during prolonged exercise leading to glycogen. BCAA supplementation would reduce the serum activities of intramuscular enzymes associated with muscle damage. To examine the effects of BCAA administration on fatigue substances(serotonin, ammonia and lactate), muscle damage substances(CK and LDH) and energy metabolism substances (FFA and glucose) after endurance exercise. Subjects(n=26, college-aged m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n=13, EXP) and a placebo(n=13, CON) group. Subjects both EXP and CON performed a bout of cycle training(70% VO2max intensity) to exhaustion. Subject in the EXP were administrated BCAA(78ml/kg․w) prior to the bout of cycle exercise. Fatigue substances, muscle damage substances and energy metabolism substances were measured before administration, 10 min before exercise, 30 min into exercis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repeated measure ANCOVA,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In the change of fatigue substances : Serotonin in the EXP tended to decreased at the 10 min before exercise, 30 min into exercis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Serotonin in the CON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EXP at the10 min before exercise and recovery 30. Ammonia in the EXP was increased at the 10 min before exercise, 30 min into exercise, and post exercise,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recovery 30min(p<0.05). Ammonia in the C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XP at the 10 min before exercise, 30 min into exercise, and post exercise(p<0.05). Lactate in the EX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30 min into exercis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Lactate in the C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XP at the post exercise(p<0.05). 2. In the change of muscle damage substances : CK in the EXP was decreased at the 10 min before exercise and increased at the 30 min into exercise and then decreased at th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CK in the CON was greater than the EXP. LDH in the EXP was decreased at the 10 min before exercise and increased at the 30 min into exercise and then decreased at th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LDH in the CON was higher than the EXP. 3. In the change of energy metabolism substances : Glucose in the EXP tended to decrease at the 10 min before exercise, 30 min into exercis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Glucose in the CON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EXP at the recovery 30 min(p<.05). FFA in both EXP and CON was increased at th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 increase for FFA in the EXP was greater than the CON at the post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4. The relationship of the fatigue substances, muscle damage substances and energy metabolism substances after endurance exercise indicated strongly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DH and ammonia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DH and FFA in the EXP. Also, there were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lucose and FFA a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lucose and serotonin in the EXP. There wa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K and LDH and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FFA and glucose in the CON. 5. In the analyzing of the effects of variances that affect fatigue substances, muscle damage substances and energy metabolism substances after endurance exercise showed tendencies as : In the EXP, the higher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lower concentration of serotonin have influences on CK.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mmonia and lower concentration of serotonin and FFA have effects on LDH. The lower concentration of FFA and high concentration of serotonin and CK affect glucose. The lower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LDH has effects on FFA. Also, the higher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ammonia and low concentration of LDH and lactate have influences on serotoni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LDH and serotonin affects ammonia. In the CO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LDH & FFA has effects on CK. The lower concentration of FFA and higher concentration CK affect LDH. The lower concentration of FFA and higher concentration serotonin has influences on glucose. The lower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higher concentration of serotonin have effects on FF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ry BCAA decreased serum concentrations of the intramuscular enzymes as CK and LDH following exhaustive exercise.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BCAA supplementation may reduce the muscle damage associated with endurance exercise.
2000년대 시에 나타난 자의식 연구 : 허연, 이영주, 황병승을 중심으로
2000년대에 들어 시인들의 시 속에 자의식의 문제가 크게 나타나 있다는 사실은 그들의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동안 현대시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시 속에 드러난 자의식이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다루고자 하는 시도가 거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시들에 나타난 자의식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 문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2000년대에 등장하게 된 시적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고, 그들의 시에 나타난 특징을 강한 자의식의 표출로 인식하였다. 2000년대 시와 그 이전 시의 경향을 비교하고, 이 시기 시적 경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000년대부터 주로 활동해 왔으며 그러한 특징을 시 속에 주로 담아내고 있는 시인으로 허연, 이영주, 황병승이라는 세 명의 시인을 선정하고, 이들의 시를 살펴봄으로써 2000년대 시에 나타난 자의식 표출의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세 시인의 시를 부정성의 측면에서 검토해 봄으로써, 2000년대 시의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는 자의식의 문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드러나 있는지 탐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세 시인의 시에 드러나 있는 자의식의 문제를 각각 두 개의 항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그 항에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각 시인의 시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시세계를 개괄적으로 살펴본 다음, 결론에서는 이들 세 시인의 자의식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려고 하였다. 서정시가 우리 시단을 이끌어 가는 데 문제를 노출함에 따라, 새로운 시적 경향에 대한 움직임이 2000년대 새로운 시인들로 하여금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은 시 속에 자의식의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인간 의식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앞서 제시한 시인들 역시 자신의 시 속에서 그러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허연의 시를 자의식의 문제로 접근해 볼 때, 그의 시에 ‘단절’과 ‘절망’이라는 두 가지 심리가 강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단절’이라는 심리적 측면이 드러나 있는 부분은 스스로를 세상과 고립시키려 하는 화자의 모습을 통해 나타난다. 그의 시에서 또 하나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절망’에 대한 시인의 태도이다. 이는 화자가 어떤 사물을 보면서 느끼는 인상이라든지, 어떤 다른 장르에서 끌어온 소재를 이용한다든지, 아니면 시에서 화자로 나타나 있는 시인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드러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 속에 나타나고 있다. 이영주의 시를 자의식의 문제로 접근해 보면, ‘죽음’과 ‘고독’의 문제가 그녀의 시에 주로 나타나 있다. 꿈은 인간이 아직도 명확하게 해석해 내지 못하는 미지의 영역이다. 사람들은 무의식 속에서 일어나는 ‘꿈’을 오래 전부터 신비의 대상으로 여겨 왔다. 이영주는 이러한 꿈의 세계를 시 속에 자주 등장시키는데, 이를 주로 ‘죽음’이라는 개념과 연결시켜 표현하고 있다. 고독의 문제는 일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타인과의 교류가 오랫동안 끊겨 있는 상황에 처한 인물이 느끼는 심정, 또 자신이 피할 수 없는 어떠한 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타인과의 교류를 끊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인물의 심정 등을 통해 사람의 마음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고독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황병승의 시에는 ‘억압’과 ‘결핍’에 대한 내용이 주로 나타나 있다. 물질적 빈곤은 ‘억압’의 정서와 관련을 맺으며, 정신적 빈곤은 결핍의 정서와 관련된다. 빈곤이 기본적인 삶조차도 영위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할 정도에 이르면, 그러한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까운 미래마저 부정하는 데에 이르게 하며, 그들로 하여금 삶의 의욕을 꺾어 버리고 절망에 빠지게 한다. 정신적인 빈곤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이는 시인의 시 속에서 아직 세상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어린아이의 시선을 통해 나타나거나, 또는 이미 어른이 된 화자가 과거를 회상하며 어른들의 문제에 대해 비판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탄성파(SAW)를 이용한 센서들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표면탄성파를 이용하여 액체상에서 표적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표면탄성파의 특성과 탄성표면파의 수학적인 해석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중심주파수가 30, 50과 100 MHz에서 작동이 가능한 센서의 제작과정과 증폭기와 믹서 회로의 제작과정을 나타내었다. 2장에서는 바이오센서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박막과 압전 재료의 결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면처리공정은 습식처리와 가열처리공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압전 재료의 표면처리공정에서는 습식처리공정보다 건식처리공정을 하였을 때 표면의 친수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계면에 있는 증류수 분자의 제거를 위한 공정으로는 마이크로파와 레이저의 조사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자기조립단분자층형성방법 (self assembled monolayer process, SAM)을 이용하여 PMMA 기판위에 NTA와 Ni-NTA를 고정화 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EDC 용액을 촉매제로 사용하여 NTA에 MutS를 고정화 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이중 지연 구조를 가지는 표면탄성파 센서를 제작하여 글리세롤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100 MHz에서 작동하는 센서에 글리세롤 용액을 올려놓고 위상변화, 삽입 손실, 주파수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점도 변화에 따른 위상 값 차이는 증류수와 100% 글리세롤 용액의 차이는 약 45o의 위상 차이와, 약 9 dB의 삽입 손실과, 약 5.9 MHz의 주파수 변화를 보였다. 5장에서는 SH-SAW 센서를 이용하여 액체 환경에서 특정 단백질을 검출 할 수 있는 센서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센서는 두 개의 delay lin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한쪽은 기준 채널(reference channel)다른 한 쪽은 측정 채널(sensing channel)로 구성하였다. 측정 채널에는 표면탄성파 전달면에 특정 단백질을 고정할 수 있도록 Ti/Au을 사용하여 단백질 고정면을 제작하였다. 단백질 고정면에 anti-mouse IgG conjugate를 증착하고 mouse IgG(M-IgG)만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 결과 PBS 용액에 녹아 있는 5 μg 의 M-IgG를 주입 했을 때 약 90분에 걸쳐서 4,500 Hz 변화를 나타내었다.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문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하고자 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변인을 살펴보고,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문화 정도를 연구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및 전남․전북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직무만족도, 이직의도를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이 20대인 경우가 30대와 40대인 유아교사보다 교사 개인에 대한 교육방법, 대우, 유아지도 등의 만족도인 직무만족도의 내적요인에 더 긍정적이었으며, 유아교사의 학력의 경우 3, 4년제의 경우 2년제 교사보다 직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2년제, 4년제 이상의 유아교사가 3년제의 교사보다 이직의도가 높았다. 근무경력에 있어서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칭리더십,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유아교사가 기혼인 경우 미혼인 경우보다 조직문화 전체와 조직문화 하위요인인 협동적 지도, 동료지원, 학습동반자 조직문화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인 외적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근무 시설유형에 있어서는 유치원 교사의 경우 어린이집 교사보다 코칭리더십 하위요인 방향제시, 개발, 수행평가, 관계, 조직문화 하위요인 협동적지도, 교사의 협동, 동료지원, 학습동반자,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인 외적요인과 내적요인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직의도의 경우 유치원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가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문화를 높게 인식할수록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이직에 대한 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도 전체에는 원장의 코칭리더십 하위요인인 ‘개발과 관계’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도 중 교직상황에서 겪게 되는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인 외적요인과 교사 개인에 대한 교육방법, 대우, 유아지도 등의 만족도 등의 내적요인에 있어서는 원장의 코칭리더십의 격려와 지지의 내용인 ‘관계’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는 원장의 코칭리더십 하위요인인 ‘개발’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원장의 코칭리더십 중 격려와지지, 교육기회, 정보와 자료제공이 많을수록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원장이 교육기회, 정보와 자료제공을 할수록 이직의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도 전체에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하위요인인 ‘협동적 지도성, 교사의 협동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도 중 교직상황에서 겪게 되는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인 외적요인에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하위요인인 ‘교사의 협동성’, 교사 개인에 대한 교육방법, 대우, 유아지도 등의 만족도 등의 내적요인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하위요인인 ‘협동적 지도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하위요인인 ‘협동적 지도성, 학습동반자’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중 유아교사 간 교육활동계획 수립 및 수업활동에 대한 협동문화인 교사의 협동성이 높을수록 교직상황에서 겪게 되는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인 외적요인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유아관리 및 계획수립을 위한 의견존중 문화의 협동적 지도성이 높을수록 교사 개인에 대한 교육방법, 대우, 유아지도 등의 만족도 등의 내적요인이 높았으며, 유아관리 및 계획수립을 위한 의견존중 문화인 협동적 지도성이 높고, 교사-유아-부모의 의사소통 문화인 학습동반자의 조직문화가 형성될수록 유아교사의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원장의 코칭리더십을 높이고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가 긍정화 될 수 있는 방안마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주제어 :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제어시스템 네트워크 통신의 행위분석을 위한 Structured ACL 모델에 관한 연구
현대 산업 기반 시설의 복잡화 및 인터넷 사용자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한 인터넷 트래픽 급증과 더불어 네트워크 자원 관리를 위한 인터넷 트래픽 분석과 이상 징후 감시의 중요성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제어시스템은 비즈니스 시스템과의 통합으로 인해 네트워크가 확산됨에 따라 폐쇄망과 업무망 그리고 인터넷망 간의 연결이 증가하였으며, 외부 협력업체와의 협업으로 인한 연결성과 다양한 매체의 이용 등으로 인한 보안상 취약점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글로벌 기업의 비효율성을 줄여 국가 경쟁력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이트리스트 보안기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리소스가 적고 시스템 동작 패턴 또는 네트워크 통신 트래픽이 규칙적인 제어시스템 환경에서 보안을 담보할 수 있는 화이트리스트 보안 기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제어시스템 및 네트워크 관련 지식을 활용하여 제어기기, 제어서비스 간의 연관관계를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자동차 구매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내 중형 자동차 브랜드, 기업, 자동차 속성을 중심으로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들은 IT기술의 발달로 수많은 매체를 통해 다양한 상품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소비자가 짧은 시간에 많은 제품을 비교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것도 같은 의미이다. 이런 동시 다발적인 상품비교를 통해 소비자들은 제품의 속성뿐 아니라,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이미지까지 고려하는 성향을 가지게 되고, 이들이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한번 형성된 이미지는 쉽게 변하지 않는다. 또한 형성된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들은 자사의 표적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기호, 그리고 구매의도 등을 파악하여 브랜드를 개발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와 구매의사결정 요소들을 분석하여 기업의 올바른 투자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될 수 있다. 국내 중형자동차 4개의 브랜드와 기업을 중점으로 연구조사 되었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이미지는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동차의 속성 모두가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안정성만이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론들은 기업들의 긍정적 이미지의 강화와 새로운 브랜드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