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무원 행동강령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윤리적 공직가치와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정영오 목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무원 행동강령을 실천하는데 공무원의 윤리적 공직가치와 조직시민행동의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무원 행동강령의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찾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Literature Review)와 실증분석(Empirical Analysis)을 병행하였다.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이론을 정립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연구모형과 조사 설계를 수립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에 필요한 종속변수는 공무원 행동강령 3가지 요소, 독립변수는 윤리적 공직가치 4가지 요소, 매개변수는 조직시민행동 5가지 요소로 각각 설정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는 전라남도 서부지역의 4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 4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에 실시한 후 SPSS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모형의 각 변수를 측정하는 척도들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Cronbach Alpha 값을 구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응답자의 공무원 행동강령, 윤리적 공직가치, 조직시민행동의 요소 및 측정지표에 대한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을 알아보는 기술적 분석(describ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응답자의 공무원 행동강령, 윤리적 공지가치, 조직시민행동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도출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공직가치의 요소들이 조직시민행동의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자들이 주로 사용한 Organ의 조직시민행동 구성요소와 윤리적 공직가치 요소들이 상호 인과관계에 있음을 규명하였다. 즉 공직가치의 요소인 청렴성, 도덕성, 공익성, 성실성이 조직시민행동의 요소인 이타적 행동, 양심적 행동, 예의적 행동, 신사적 행동, 참여적 행동과 모두 뚜렷한 양(+)의 관계로 서로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둘째, 조직시민행동의 요소들이 공무원 행동강령 실천 요소들과 상호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타적 행동, 양심적 행동, 예의적 행동, 신사적 행동, 참여적 행동이 공무원 행동강령의 실천 요소인 공정한 직무수행, 부당이득 수수금지, 건전한 공직풍토를 조성과 전반적으로 뚜렷한 양(+)의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어 상호 상관 및 인과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윤리적 공직가치의 요소들이 공무원 행동강령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청렴성, 도덕성, 공익성, 성실성이 공정한 직무수행, 부당이득 수수금지, 건전한 공직풍토 조성에 뚜렷한 양(+)의 방향으로 상관 및 인과관계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들 각 요소들의 상관 및 인과관계의 방향은 모두 양(+)의 방향으로 작용 하지만, 그 크기의 정도는 각각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 요소들 간 상호작용의 크기에 따라 공무원 행동강령, 조직시민행동, 윤리적 공직가치의 실천을 위한 각각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윤리적 공직가치 및 조직시민행동 함양과 공무원 행동강령 실천 촉진 및 반부패·청렴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청렴문화 실천운동을 확산시키고 지방자치행정의 본질인 주민참여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기업, 시민사회, 유관기관단체 등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파트너십을 발휘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반부패 신거버넌스(anti-corruption new governance)가 필요하다. 둘째,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 촉진을 위하여 공무원들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자원봉사 활동 장려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수행 및 공공서비스 전달과정에서 고객이 지각하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등의 확보 대책이 필요하다. 넷째, 조직 구성원의 승진, 보직, 교육훈련, 직무평가, 보수, 상벌 등 인사 운영의 공정성과 합법성 확보 대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조직 및 조직구성원 사이에 내재된 가까움의 정도, 애정, 규범의 유대감, 비슷한 가치관, 상호부조, 응집성 등 결속력 강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자율과 참여에 기반을 둔 청렴교육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일곱째, 정치 지도자로서 공직자 행동강령 실천에 솔선수범해야 할 국회의원과 국회 소속 공무원에 대한 공무원 행동강령 제정이 필요하다. 여덟째, 2016년 9월 28일 시행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과 ‘공무원 행동강령’이 일치되는 행위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which factors of public servants'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would influence the inducement and facilitation of practice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and propose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the practice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based on them.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bot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Literature materials and previous studies home and abroad were examined to establish concerned theories. For empirical research, research models were established along with research designs to set a hypothesis. In empirical research, dependent variables include three elements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Independent variables contained four elements of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Parameter variables did five elements of OCB. In an effort to test the hypothe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400 public servants from four basic local governments in western Joellanam Province in October, 201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technique as follows: First, Cronbach Alpha was obtain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scales to measure each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Seco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ird,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of elements and measuring indexes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and OCB.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validity of correlations and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and OCB of respondents. The analysis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First, the elements of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operated as OCB factors. The study tried to demonstrate mutual correlations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OCB by Organ, which were usually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elements of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That is, it found clear positive(+) linear relations between the elements of public service values, which include integrity, morality, public interest, and sincerity, and elements of OCB, which include altruism, conscientiousness, courtesy, sportsmanship, and civic virtu. Tho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elements of public service values are new OCB factors, which grants huge significance to the present study. Second, the elements of OCB turned out to have mutual correlations with the practice elements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Include altruism, conscientiousness, courtesy, sportsmanship, and civic virtu, were in a clear positive(+) influential direction in general to the practice elements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which include fair job performance, preven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sound public service climate, which proves close mutual correlations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rd, the elements of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were in mutual correlations and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practice elements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as OCB factors. In other words, integrity, morality, public interest, and sincerity had clear positive(+) linear relations with fair job performance, preven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sound public service climate. Fourt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nd causal relationship among all those elements with the scale of correlation varying, which means that different countermeasures will be needed for the practice and facilitation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OCB and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according to the scale of interactions among the elements. Based on tho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offer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the ethical public service values and OCB, facilitate the practice of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and advocate for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First, local governments, corporations, civil society, and concerned agencies and organizations need to establish a network, form a partnership, and thus implement anti-corruption new governance for active participation in order to spread the movement of integrity culture practice in the communities and vitalize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is the essence of administration in local autonomy. Second, there should be policies to promote ongoing voluntary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mong public servants, who swear to serve the entire nation, to facilitate their OCB. Third, there should be measures to ensure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ve justice perceived by clients in job performance and delivery process of public service. Fourth, there should be measures to guarantee fairness and legality in personnel management including promotion, appointment, training and education, job evaluation, wage, and reward and punishment for the organizational members. Fifth, it is needed to reinforce solidarity including the degree of closeness, affection, connectedness of norms, similar values, mutual aid, and cohesion inherent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Six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integrity education based on autonomy and participation. Seventh, it is required to enact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for the members and public servants of National Assembly that are asked to lead by example in the practice of such Code of Conduct as political leaders. Finally, there is a need for criteria of action based on the agreement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which came into effect on September 28, 2016, and "Code of Conduct for Public Serv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