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orea’s ODA policy pattern from 1960s to present

        정승은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Being an official member of DAC since 2010, Korea has been requir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its ODA growth in quality and quantity and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ther words, with economic development, Korea has been asked to assume more role and responsibility as a donor and accept international calls and demand. Most donor countries comply with ODA guidelines recommended by OECD/DAC. On the other hand, ODA from Korea fails to reach the satisfactory level. Still, Korean style ODA has a long way to meet the international ODA norms. As of 2009, Korea had only 0.09% of GNI, one of the lowest in DAC members. Despite the trend of increasing the untied aid ratio, it is painstakingly slow. Besides, Korea’s ODA heavily concentrates on lower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though its priority should have gone to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Concerned voices are raised that the Korea’s unique policy which is not in line with the global assistance trend may backfire, by ignoring international norms and recommendations (Kwon, 2006). Simply put, the problem is that Korea focuses on its own economic benefits from ODA, rather than poverty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recipient countri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DA is the global cooperation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nsensus in order to contribute to poverty elimin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advance of developing nations in the firm belief of common prosperity of human kind. In this regard, Korea’s ODA should rather accept the international demands and assistance norms than arguing for Korean style ODA. It is high time for Korea to adopt a new ODA paradigm for truly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study started off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forces affect the pattern of donor countries’ policy?”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changing Korea’s ODA policy pattern as a donor from 1960s to present. More specifically, the assumption is that Korea’s ODA policy has changed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different administration,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from home and abroad and demand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paper argues that each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a varie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to establish ODA policy. I also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ve changed from national interest oriented to accommodative to international demands, going in the direction of adhering to the international ODA norm and regime. In other words, Korea’s ODA policy has been weighed on by not only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but also various factors under the international regime. In this paper, through Korea’s ODA policy analysis, Korea’s shift in ODA policy from self interest oriented to ‘Good Samaritan’ will be identified. ODA policies of each Korean government adapted to changes in geopolitical circumstance of that time organically. Indeed, policies of each government did not fully reflect changes and development in international ODA regime. But, it is true tha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surely have impacted Korea’s foreign and ODA policies. In other words, the study on ODA policies of each government shows that there are factors influenced and not influenced by international ODA regime along with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Reasons vary. Yet, this study concludes change and duration in the pattern reflects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From perspectives of time,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factors rather than domestic ones has become large as time goes by. The purpose of aid has been changed from donor-oriented to development of recipient countries. This trend became apparent since Korea joined DAC after the Rho and Lee government. It is positive and outstanding achievement for Korea to adopted recommendations from DAC and made meaningful change in its ODA policies since 2006. Nonetheless, still more commitment is needed. For example, it was just recent that KOICA and EDCF reflected international consensus such as MDGs in their programs. But there are many positive signs. The past and present ODA policy patterns of Korea have showed that Korea has continued to respect and accept international ODA regime though at a gradual speed. It becomes a responsibl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ver turning blind eye to global causes and calls. Korea needs to take stock of its achievement and future policies to serve as exemplary role to acceptors. Therefore,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Korea’s ODA policy based on OECD/DAC guidelines. This paper aims to clearly set the basic direction and purpose of ODA policy and guide Korea’s policy toward international norm in an efficient way. 2010년 24번째 회원국이 된 한국의 OECD/DAC가입은 우리에게뿐만 아니라 많은 개발도상국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0년부터 DAC의 정식 회원국이 되면서 한국은 ODA의 양적 그리고 질적 성장을 통해 국제사회에 기여해야 하는 분명한 책임을 안게 되었다. 하지만 DAC Peer Review에서 지적했듯이 한국 ODA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대부분의 공여국이 OECD/DAC이 권고하는 ODA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는 반면 한국 ODA는 아직 국제사회의 가이드라인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원조현실은 2009년을 기준으로 GNI대비 0.09%, ODA공여국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고, 비구속성 원조의 비율도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빈국에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ODA가 하위중소득국에 몰려있고 지역적으로도 아시아에 편중되어 있다. ODA가 인류 공존공영을 토대로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국제합의를 거친 협력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원조를 통한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경제발전보다 오히려 공여에 따른 한국의 경제 파급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ODA는 한국의 독자적인 한국형ODA를 주장하기보다는 국제사회의 요구와 국제사회 규범(norm)을 수용하면서 선진원조의 방향과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은 개발도상국에게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그 동안 잘한 것과 앞으로 잘해나갈 것에 대한 반성과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ODA정책을 분석해서 이것을 OECD/DAC의 방향성과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반성을 통해 한국ODA가 근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를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원조정책의 기본방침과 정책목표를 명확히 정립하고 앞으로 국제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원조방향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기대도 있다. 본 논문은 ODA정책결정의 이면에는 다양한 원조목적이 있을 수 있음을 전제하며, 공여국이 원조를 통해 정치, 경제적 이익을 얻는 목적 그리고 수원국의 발전을 위한 수원국 중심의 인도적 목적 등이 있음을 문헌연구를 통해 뒷받침한다. 또한 정부의 원조정책은 다양한 원조의 목적과 국내외 여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본 논문은 국제사회의 변화와 국내의 경제, 정치적인 여건에 따라 ‘정권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ODA정책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ODA 정책분석을 통해 정권별 ODA정책이 이전에는 국익을 위한 경제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원조에서, 점차 국제사회의 규범(norm)과 ODA regime을 수용하는 연습을 통해 수원국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선한 의도로서의 원조로 변화하고 있는 과정임을 밝힌다. 결과적으로 한국 ODA정책은 국내외의 정치, 경제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경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부담해야 할 책임감을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점차 국제사회요구(international ODA regime)를 반영하여 원조정책을 세워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한국 ODA정책분석을 통해서, 점차적으로 한국이 International ODA Regime을 존중하고 수용하기 위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변화는 한국의 단독행동이 아니라 개도국 빈곤퇴치를 위해 국제사회와의 조화를 통해 한 목소리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전 지구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갈 국제사회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한국의 모습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녹비 혼입이 알타리 무의 생육과 체내성분함량 및 토양중 질산염 동태에 미치는 영향

        정승은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Dankook Univ. of Cheon-an in 2006 to find out how plant growth and components and soil nitrate dynamic is effected by green manure and different fertilization levels. Raphanus sativus L. var 'Altari' was cultivated in the field(1mx1m) to monitor nitrate, ascorbic acid, growth and yield of plant, nitrogen dynamics patterns in soil.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1. Yield of radish plant in compost plots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rates with 1.2 times more than those of chemical treatment. In addition, the yield of 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showed 3~2 times higher than those of none incorporation plots. 2. Green manure incorporation compost 100%treatment(Fresh weight of leaf 27.5g, Fresh weight of root 48.1g) were the best growth and fresh weight of root increasing rate was better than leaf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rate after harvest.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and width, and root length and width of 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were better than those of none incorpo-ration plots. 3. The SPAD-value (Chlorophyll contents) of 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was higher than none incorporation plots. Both chemical and compost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fertilization rate. 4. Vitamin C contents of radish pl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and other types of fertilizer. 5. The content of NO3- in radish plant of 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were 3 times higher than at none incorporation plots. Nitrate content was higher in Chemical treatments than compost treatments, as increasing fertilization rates at nitrate amounts. Especially, it of radish plant of above-ground part presented higher than underground part . 6. The content of NO3- in soil(0~20cm and 20~40cm soil depths) of 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showed higher than none incorporation plots. Generally, chemical treatments (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and none incorporation plots )were higher than compost treatments(Green manure incorporation plots and none incorporation plots) on the basis accumulation of NO3-. The plant grow up, the lower NO3- contents in topsoil(0~20cm soil depth), but higher it in 20~40cm soil depth. The highest content of NO3- was 12ppm in green manure incorporation chemical100% treatment on 16th Oct. 2006. 녹비작물을 재배하여 토양에 혼입하였을 때 후작물에 미치는 비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2006년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유기농업 연구소 실험실 및 실험농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인 일류 알타리 무의 생육과, 비타민, 엽록소 함량, 질산염 및 토양내 질산염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 후 알타리 무의 수확량은 모든 구간에서 시비량 증가에 따라 수확량도 증가하였으며, 화학구보다 퇴비구에서 1.2배 높았다. 녹 비 혼입구가 비혼입구에 비해 수확량이 1.3~2배 높게 나타났다. 2. 수확 후 알타리 무 잎의 엽록소 함량은 녹비 비 혼입구에 비해 녹비 혼입구에서 높았으며, 시비량 증가에 따른 엽록소 함량이나, 화학구와 퇴비구간에 일정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 3. 수확 후 알타리 무의 비타민C 함량은 녹비혼입의 유·무, 비료의 종류 및 시비량 등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 4. 무의 NO3- 함량은 지상부, 지하부 모두 녹비 혼입구가 비혼입구에 비해 3배가량 높았고, 화학구가 퇴비구보다 높았으며,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NO3-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근보다는 엽에서 질산염 집적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토심 0~20cm, 20~40cm모두 녹비 비혼입구에 비해 혼입구에서, 퇴비구보다는 화학구에서 질산염 집적이 높았다. 토심0~20cm의 질산염 집적량은 작물이 생육함에 따라 낮아졌지만, 0~40cm 에 서는 점차 높아져 10월16일 녹비혼입 화학100%구에서 12ppm으 로 가장 높았다..

      • TV홈쇼핑 화장품 구매자의 선택 결정 변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승은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화장품산업의 발달에 따라 화장품을 판매 하는 유통 경로도 다양화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TV홈쇼핑은 2000년대 초반 이후로 다양한 구성품, 홈쇼핑 전용 제품, 간편한 주문 및 빠른 배송, 쉬운 반품 절차 등의 장점을 내세우며 성장해왔다. 하지만 TV홈쇼핑 시장 전반의 매출이 감소하면서 고객층 확대 및 충성도 제고가 절실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TV홈쇼핑 화장품의 구매 선택 요소를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소비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좌우하는 결정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TV홈쇼핑 채널을 통한 화장품 제품의 성공적인 성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TV홈쇼핑으로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부하여 390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에서 응답이 부정확한 5부를 제외한 385부를 최종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정리와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홈쇼핑에서 화장품 구매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현황을 살펴보면, 화장품의 구매경험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대로서 대학교졸업의 최종학력인 기혼여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 소득별로는 200만원-400만원 미만의 수입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직업별로는 사무직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업주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이 TV홈쇼핑을 시청하는 횟수는 평균적으로 1주일에 2-3회, 평균 구매횟수는 한 달에 1회가 가장 많았으며, TV홈쇼핑 화장품의 월평균 구매금액은 5만원 이상-1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둘째, 본 연구의 변수인 화장품 제품 변인은 가격, 디자인, 제품효과정보, 품질, 브랜드로 요인화 되었고, TV홈쇼핑 변인은 편리성, 안전성, 신뢰성, 확신성으로 요인화 되었다. 쇼호스트 변인은 화법, 이미지, 시연으로 요인화 되었고, 구매 만족도와 구매 충성도는 단일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TV홈쇼핑 화장품의 제품 변인, TV홈쇼핑 변인, 쇼호스트 변인 중에서 TV홈쇼핑 화장품의 구매에 있어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품’ 변인의 품질과 가격, ‘TV홈쇼핑’ 변인의 신뢰성과 편리성, ‘쇼호스트’ 변인에서의 이미지와 시연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TV홈쇼핑 화장품의 제품 변인, TV홈쇼핑 변인, 쇼호스트 변인 중에서 TV홈쇼핑 화장품의 구매에 있어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품’ 변인에서는 디자인, 품질, 가격, 제품효과정보 요인으로, ‘TV홈쇼핑’ 변인에서는 확신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TV홈쇼핑에서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결혼유무, TV홈쇼핑 시청 횟수, TV홈쇼핑에서 제품을 구매한 횟수에 따라 화장품 제품 변인, TV홈쇼핑 변인, 쇼호스트 변인, TV홈쇼핑의 화장품 구매 만족도, TV홈쇼핑의 화장품 구매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TV홈쇼핑의 여러 가지 제품들 중에서도 화장품이라는 특정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만족도와 충성도가 발생하는 기준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들이 TV홈쇼핑에서 판매하는 화장품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A) study on how women portrayed in U.S. media affect adolescents to form a negative body image

        정승은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미국 미디어에 보여지는 여성이 청소년들의 부정적인 체형인식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북미학과 사회문화 전공 정승은 오늘날 미디어는 사실적이지 못한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 또한 우리는 날씬함에 미쳐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 성인들은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이미지, 즉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믿는 아름다움에 도전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청소년들 또한 이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앞으로 이들이 성장하면서 보여지는 날씬하고 완벽한 몸매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얼마나 더 어려워질 것인가? 청소년들은 인생에 있어서 아주 민감한 시기에 있다. 그들은 자신, 그리고 인생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하는 부담에 대면하게 된다.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는 이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시각에 큰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오늘날의 모델들은 심각하게 마르고 건강하지 않게 보이며 청소년들과 젊은 여성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지난 20년간 모델들의 체형은 더욱 말라졌다. 이전의 모델들은 평균 여성의 몸무게에 8% 적게 나간 반면, 현재 이 수치는 23%로 증가했다. 또한 2%에서 5%의 인구만이 이러한 몸무게에 도달할 수 있다. 미디어의 거대한 영향력은 청소년들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시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어린이들은 그들의 몸에 대한 삐뚤어지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자라고 있고 마르고 아름다운 여성들을 보며 그들을 떠받들고 있다. 하지만 비현실적인 이상으로 이들은 우울증과 자신감 저하에 시달리고 있으며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건강하지 않은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다. 오늘날 미에 대한 고정관념에 반응한 도브는 “Campaign for Real Beauty”로 이에 대응하고 있다. 도브는 firming cream과 로션 광고에 흰색 내의를 입고 포즈 하는 다양한 체형과 인종의 평범한 여성 6명을 사용한다. 이들은 오늘날의 빈약한 모델과는 달리 허리라인과 셀룰라이트도 있는 평범한 여성들이다. 도브는 미에 대한 틀에 맞추기 보다는 다양한 나이, 체형의 여성들을 배려하고, 미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하여 2004년에 세계적인 캠패인에 나섰다. 잡지에 실린 모습을 통해 본인의 자아를 의식하는 3/4의 정상적인 여성청소년들이 과체중이라고 믿는 것에 반발하기 위함이었다. 도브는 청소년들과 젊은 여성들이 미에 대한 기준을 더욱 넓히고 긍정적인 자아를 격려하여 더욱 많은 여성들이 매일 아름답게 느끼게 되기를 추구하고 있다.

      • a100야드 이내에서 어프로치 타구 시 프로골퍼와 아마추어골퍼의 거리조절 방법에 관한 운동역학적 요인 분석

        정승은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55

        국 문 초 록 100야드 이내에서 어프로치 타구 시 프로골퍼와 아마추어골퍼의 거리조절 방법에 관한 운동역학적 요인 분석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정 승 은 이 연구의 목적은 100야드 이내에서 어프로치동작 시 거리조절에 관한 운동역학적 변인을 분석하여 거리조절에 관한 운동역학적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골퍼 10명과 아마추어골퍼 10명을 선정하여 샌드웨지 풀스윙의 거리의 100%거리, 75%거리, 50%거리, 25% 거리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들의 운동역학적 변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 분석, 족저압력 분석, 근전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4가지 목표 거리와 숙련도에 대한 운동역학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은 Tukey로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어드레스 자세에서 스탠스 폭은 100%, 75% 거리에서 50%, 25% 거리에서 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왼발 정렬은 25% 거리에서 다른 목표 거리에 비하여 왼발을 뒤쪽으로 가장 많이 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왼발 오픈각은 목표 거리가 짧아질수록 더 크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마추어 골퍼는 프로 골퍼에 비하여 왼발을 더 많이 오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구간별 소요시간은 백스윙(P1)시 25% 거리에서 다른 목표 거리에 비하여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동작 시간은 100% 거리에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추어 골퍼는 백스윙 구간에서 프로 골퍼에 비하여 동작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폴로스루 구간과 전체 구간에서 프로 골퍼에 비하여 동작 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클럽헤드와 손의 최대속도는 100%, 75%, 50%, 25% 거리 순으로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 골퍼는 아마추어 골퍼에 비하여 클럽헤드 속도와 손의 최대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4) 백스윙 탑(E2)에서 머리 이동, 신체 중심 이동, 왼팔 회전각도, 클럽 회전각도, 어깨 회전각도 및 어깨와 힙 회전각도 편차는 100%, 75%, 50%, 25% 거리 순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킹각도는 100%, 75%, 50%, 25% 거리 순으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힙 회전각은 100%, 75% 거리에서 25% 거리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75% 거리에서 50% 거리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임팩트(E3)에서 머리 이동은 100% 거리에서 다른 목표 거리에 비하여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게 중심 이동은 25% 거리에서 다른 목표 거리에 비하여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와 힙의 회전각도 편차는 25% 거리에서 100%, 75%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추어 골퍼는 프로 골퍼에 비하여 어깨 회전각, 어깨와 힙 회전각도의 편차 및 코킹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6) 피니시(E4)에서 머리 이동은 100%, 75% 거리에서 25% 거리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 중심 이동은 100% 거리에서 다른 거리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왼팔 회전각도와 클럽헤드 회전각도는 100%, 75%, 50%, 25% 거리 순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회전각은 100%, 75% 거리에서 50%, 25% 거리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킹각은 100%, 75% 거리에서 50%, 25% 거리에서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 골퍼는 아마추어 골퍼에 비하여 왼팔 회전각도, 클럽헤드 각도, 어깨 회전각 및 힙 회전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왼팔 회전각도, 클럽 회전각도에서 프로 골퍼는 목표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피니시에서 백스윙을 뺀 차이(E4-E2)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반면에 아마추어 골퍼는 목표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피니시에서 백스윙을 뺀 차이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7) 백스윙 탑(E2)에서 오른발의 평균 압력 비율은 프로 골퍼의 경우 목표 거리에 대하여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발의 최대 힘의 비율은 프로 골퍼의 경우 목표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팩트(E3)에서 왼발의 평균 압력 비율은 50%, 25% 거리에서 75% 거리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왼발의 최대 힘의 비율은 25%, 50% 거리에서 100%, 75% 거리에서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피니시(E4)에서 왼발의 최대 힘의 비율은 프로 골퍼의 경우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100%, 75%, 50% 까지는 일정하게 증가하다 25%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8) 백스윙구간(P1)에서 좌측 요측수군굴근의 %RVC는 100% 거리에서 50%, 25% 거리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추어 골퍼는 프로 골퍼보다 우측 상완이두근의 %RVC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9) 다운스윙구간(P2)에서 좌측 요측수근굴근의 %RVC는 100% 거리에서 25% 거리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으며, 좌측 요축수근신근의 %RVC는 100%, 75% 거리에서 50%, 25% 거리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좌측 상완이두근과 좌측 상완삼두근의 %RVC는 25% 거리에서 다른 거리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측 상완이두근의 %RVC는 프로 골퍼의 경우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적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거리 변화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추어 골퍼는 프로 골퍼에 비하여 좌측 요축수근굴근, 우측 요측수신근, 우측 상완이두근에서 %RVC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0) 팔로스루구간(P3)에서 좌측 요측수근굴근, 우측 요측수근굴근, 우측 상완이두근의 %RVC는 100% 거리에서 25% 거리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으며, 좌측 상완이두근의 %RVC는 100% 거리에서 75%, 50%, 25% 거리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75% 거리에서 25% 거리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측 상완삼두근의 %RVC는 25% 거리에서 100%, 75% 거리에서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좌측 상완이두근과 좌측 상완삼두근의 %RVC는 25% 거리에서 다른 거리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측 상완이두근의 %RVC는 프로 골퍼의 경우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적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거리 변화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추어 골퍼는 프로 골퍼에 비하여 좌측 우측 요측수근신근, 우측 상완이두근에서 %RVC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골프, 어프로치, 운동역학적 분석, 거리조절, 근전도, 압력분포 ABSTRACT Biomechanical Factors Analysis of Distance Adjustment during the Approach Shot within 100Yards between Professional and Amateur Golfers Seung - Eun Ju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ang-Yeon W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iomechanical factors about controlling distance by analyzing the biomechanical variable of approach shots within 100 yards. For the study, each of the subjects who are the 10 professionals and 10 amateurs were picked out to measure distances of 100%, 75%, 50%, and 25% of sand wedge full-swing. To analyze the biomechanical variables of the subjects, I took the scene analysis, foot-pressure analysis, and electromyography analysis. In order to check the biomechanical difference in 4 target distances and proficiency, I carried out th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Turkey's method was used to prove the results and the study was experimented within the statistical level of p<.05.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obtained by the experiments: 1) In case of the address poses, the stance width in distances of 100% and 75% is larger than of 50% and 25%. And the players pull back their left foot most at the distance of 25% as compared with other target distances when arranging left foot. The shorter the target distances are, the bigger left foot open angle becomes. And the amateurs tend to open their left foot more than the professionals. 2) On the back swing(P1), the run-time at the distance of 25% is the shortest comparing the other target distances and whole movement time is the longest at the 100%. The unskilled golfer's movement time is longer than the skilled's in a back swing section, but shorter in a follow through and the whole section. 3) The maximum speed of club head and the hands become slower in order of the distances of 100%, 75%, 50%, and 25%. The professional's maximum speed of club head and the hands is faster than the amateur's. 4) In the case of back swing top(E2), the head movement, center of body movement, turning angle of left arm ․ club ․ shoulder, and the gap between turning angle of shoulder and hip get smaller in order of the distances of 100%, 75%, 50%, 25%, however, the angle of cocking gets bigger. The turning angle of hip is larger at the distances of 100%, 75% than of 25%, and the angle at the distance of 75% is bigger than of 50%. 5) The head movement at the distance of 100% is the smallest compared to the other target distances on the precision of the impact(E3). On the other hand, the center of body movement at the distance of 25% is the smallest compared with the other distances. The gap between the turning angle of shoulder and hip at the distance of 25% is smaller than of 100%, 75%. The turning angle of shoulder, the gap between the turning angle of shoulder and hip, and the angle of cocking of the unskilled golfers were larger than the skilled. 6) The head movement at the distance of 100%, 75% is bigger than of 25% on the finish(E4) and the physical balance movement at the distance of 100% is the largest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distances. The turning angle of left arm and club head became smaller in the order of distances of 100%, 75%, 50%, and 25%. The turning angle of shoulder is bigger at the distances of 100%, 75% than of 50%, 25%, while the angle of cocking is smaller. The professional's turning angle of left arm, club head angle, turning angle of shoulder and hip are bigger than the amateur's. In the turning angle of left arm and club, the difference when taking back swing from finish of the skilled subjects decreases gradually as the target distance declines. On the other hand, the unskilled subjects show a tendency that the difference in taking back swing from finish increases little by little as the target distance declines. 7) When the professionals do the back swing top(E2), they have no change for the average pressure rate of right foot per the target distance. However, the average pressure rate of the amateurs sharply diminishes as the distance decreases. In case of the professionals, the maximum force rate of right foot grows down gently as the target distance declines. But in case of the amateurs, it drops rapidly as the distance goes down. The average pressure proportion of left foot is bigger at the distance of 75% than of 50% and 25% on the impact(E3). And the maximum force rate of left foot is heavier at the distances of 25%, 50% than of 100%, 75%. For the precision of the finish(E4), the maximum force rate of left foot has a trend that it remains constant as the distance declines in case of the skilled golfers. But the unskilled show a tendency that the maximum rate increases consistently up to 100%, 75%, 50% and decreases again at 25%. 8) The %RVC of left flexor carpi raidialis at the distance of 100% is bigger than of 50%, 25% on the back swing section(P1). The unskilled subject's %RVC of right biceps brachii is bigger than the skilled subject's. 9) On the down swing section(P2), the %RVC of left flexor carpi raidialis is larger at the distance of 100% than of 25%, and the %RVC of left extensor carpi raidialis at the distances of 100%, 75% is bigger compared to the distances of 50%, 25%. The %RVCs of left biceps brachii and left triceps brachii are smaller at the distance of 25%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distances. While the professional's %RVC of right biceps brachii has a downward tendency as the distance declines, the amateur's h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distance change. The unskilled golfers has bigger %RVCs in left flexor carpi raidialis, right extensor carpi raidialis, and right biceps brachii than the skilled. 10) The %RVC of left flexor carpi raidialis, right flexor carpi raidialis, and right biceps brachii become bigger at the distance of 100% than of 25% for the precision of the follow through section. Also, the %RVC of left biceps brachii at the distance of 100% is larger than of 75%, 50%, 25% and it is bigger at the distance of 75% as compared with the distance of 25%. The %RVC of right triceps brachii at the distance of 25% is more likely than of 100%, 75% to be smaller and the %RVCs of left biceps brachii and left triceps brachii at the distance of 25% is most likely to be smaller than the other distances. The professional golfers have a decreasing tendency toward the %RVC of right biceps brachii as the distance diminishe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change in case of the amateurs. The unskilled subjects had bigger %RVCs than the skilled subjects' in both extensor carpi raidialis and right biceps brachii. Key words : Golf, approach, distance controlling, biomechanical factor

      • 중학생의 집단따돌림 가해와 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정승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 가해와 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W중학교 2, 3학년 남, 여 학생 307명이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집단따돌림 행동검사, 부적응 행동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성별, 학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따돌림 가해가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집단따돌림 가해 수준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아지고, 그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집단따돌림 가해 수준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아지고, 그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학교 현장에서 집단따돌림 가해학생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하고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하여 자아탄력성을 높이는데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 between bullying and maladjustment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7 boys and girls who were the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of W middle school located in Daegu. The measures used for this study were Bullying Behavior Scale, Korean-The Youth Self Report, and Ego-Resilien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distribution of gender and grade, and Cronbach’s α was produc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sca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in the process of bullying influenc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tudents bullied others, the more they tended to show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tudents’ ego-resilienc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bullying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Second, the more students bullied others, the more they tended to show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tudents’ ego-resiliency didn’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bullying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more efforts to enhance ego-resiliency of students, in order to protect their maladjustment behaviors and to enhance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s in schools.

      •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비만도, 혈액성상 및 심리건강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정승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177명을 대상으로 체중조절 실태, 식습관과 심리적인 상태를 조사한 후 여대생들의 체중조절관련 문제해결을 기반으로 하여 체중조절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체중조절프로그램은 식이요법, 인지행동기법 및 운동요법을 포함하여 8주로 구성되었다. 체중조절프로그램은 35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비만도, 혈액성상,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요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여대생들이 체중조절을 하는 주된 이유는 '외모'였으며 이상적인 체형은 '마른체형'으로 나타났다. 체중조절을 할 때 정확한 정보나 전문가의 도움 없이 단기간으로 체중조절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여대생들은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았으며,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 우울 점수는 약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8주 체중조절프로그램 실시한 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참가자의 체중이 59.89kg에서 프로그램 이후 58.58kg으로 감소하였고(P<0.001), BMI가 22.9kg/m²에서 22.48kg/m²으로 감소하였다(P<0.001).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p<0.01)하였으나 허리둘레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허리-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한 결과가 나타났다.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9가지 검사항목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고, 공복혈당을 제외한 모든 항목의 평균이 감소하였음으로 중성지방은 프로그램 이전 114.59mg/dl에서 99.71mg/dl로 유의적인 감소(p<0.05)를 보였다. 참가자들의 식습관과 영양지식의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 수준은 프로그램 이전 27.07점에서 17.30점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불안 수준은 11.93점에서 6.63점으로 유의한 감소(p<0.01)와 우울 수준이 19.52점에서 12.22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심리요법으로 구성된 체중조절 프로그램은 여대생들의 체중조절에 효과적이며 특히 심리상태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8주의 단기프로그램으로는 여대생들의 식습관을 지속적으로 수정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 awareness of body types, weight control behaviors, lifestyle, eating habits, nutrition knowledge, food frequency, obesity stress,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of 177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weight control progra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at the most respondents think ideal body type is 'skinny' and the main reason for the weight loss has selected 'appearance'. In addition, it appears that they repeated short-term weight loss without accurate information or without help of a specialist to weight control. Most respondents weren’t exercising regularly, and their undesirable eating habit score and depression score were slightly higher than others’ scores. The results of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al education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8 weeks are following: the BMI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01) and hip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1), but because of increased waist size, total hip-waist size was slightly increased (p<0.001). Analysis of biochemical test on blood resulted 9 test subjects were in normal range, and because the average of all subject but fast blood glucose were decreased,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fter completion of weight control program. In addition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nd anxiety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1) and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but the eating habits, nutrition knowledge, obesity stress scores were not change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female students with diet therapy, exercise therapy, 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and psychotherpay was effectively used to improve weight reduction and especially for mental state. However, there was a constraint that 8 week short-term program was not enough to fix subject’s eating habit consistently.

      • IRT 모형 선택, 표본크기, 척도변환방법이 IRT 척도변환에 미치는 영향

        정승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나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와 같은 대규모 검사에서는 검사의 보안이나 다른 실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공통문항 비동등 집단 설계를 활용한 동등화가 주로 사용된다. 공통문항 비동등 집단 설계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반응이론을 기반으로 동등화를 시행할 경우, 다른 검사 유형들에서 구해진 문항 모수 추정치를 척도변환을 통해 공통척도 상에 놓아야 한다. 이 연구는 공통문항 비동등 집단 설계에서 특정 문항반응모형의 선택이 문항반응이론 척도변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IRT 모형 선택과 함께 표본 크기, 척도변환 방법이 문항반응이론 척도변환 결과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는 크게 3개로 구성되었다. 첫째, IRT 자료생성 모형과 모수 추정 모형의 일치와 불일치에 따라 IRT 척도 변환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IRT 자료생성 모형과 모수 추정 모형이 불일치 할 때, 상대적으로 적합한 IRT 척도변환 결과를 산출하는 추정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피험자 수에 따라 IRT 자료생성 모형과 모수 추정 모형의 일치 정도가 IRT 척도변환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모의실험 연구를 설계하였다. 1-모수, 2-모수, 3-모수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각각 적용하여 자료를 생성하였고, 검사는 공통문항 10문항을 포함하여 총 5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표본크기는 500명, 1,500명, 3,000명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자료에 각각 1-모수, 2-모수, 3-모수 모형을 적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고 분리추정과 동시추정 방법을 적용하여 척도변환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생성모형과 모수추정모형이 일치할 때, 각각의 조건에서 RMSE 값이 낮았으며, 이는 모형이 일치할 때 척도변환의 추정오차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2-모수로 자료를 생성했을 때는 이러한 일반화가 적용되지 않고, 오히려 1-모수 모형이 2-모수 모형보다 작은 RMSE 값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고, 같은 패턴이 BIAS 분석에서도 나타났다. SEE 값에서는 1-모수 모형을 적용하여 추정할 때 각각의 조건에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료생성모형과 모수추정모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를 살펴보면, 1-모수나 2-모수 모수추정모형보다 3-모수 모수추정모형이 상대적으로 큰 RMSE 값과 BIAS 값을 보였다. 특히, 3-모수 자료생성모형의 경우, 1-모수 모수추정모형과 2-모수 모수추정모형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RMSE 값과 BIAS 값을 보였다. 즉, 3-모수 모형이 적합할 때는 3-모수 모수추정모형을 적용하여 척도변환을 하여야 하고, 1-모수나 2-모수 모수추정모형을 잘 못 적용하면 척도변환 과정에 큰 편의가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피험자 수에 따른 척도변환 오차는 피험자 수가 많을수록, 작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1-모수와 2-모수 모수추정모형이 대체적으로 모든 피험자 수 조건에서 낮은 RMSE 값과 BIAS 값을 보였고, 둘 사이의 차이도 크지 않았다. 연구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현장의 연구자를 위한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반응이론 자료생성모형과 모수추정모형이 일치할 경우, 상대적으로 피험자 수가 적고 1-모수 모형을 적용할 경우, 분리추정 척도변환방법이 더 나은 선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피험자 수가 충분할 경우 2-모수나 3-모수 모형의 적용이 가능하고, 분리추정 척도변환방법 중에서도 평균-표준편차 방법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원래 자료가 3-모수에 적합한 경우가 아니라면, 1-모수 모형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문항반응이론 척도변환에 있어서 자료생성모형과 모수추정모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1-모수 보다는 2-모수가, 2-모수 보다는 3-모수 모수추정모형이 더 큰 오차를 보였다. 이는 문항반응이론 모형일치도를 연구한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도 보고되었던 결과이며,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 수가 적은 경우와 피험자 수가 많은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피험자 수가 많은 경우에는 3-모수 문항반응모형 모수추정이 더 정확한 척도변환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척도변환 방법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험자 수가 충분할 때에는 자료에 적합하다면 3-모수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문항 모수를 추정하고 척도변환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좋은 척도변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large scale test such as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or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PISA), equating using common item non-dynamic group design is mainly used due to security of inspection or other practical reasons. Collecting data through non-equivalent group design with common items and performing equalization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the item parameter estimates obtained from other types of tests should be placed on a common scale through scale trans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oice of the item response model on the item response theory scale conversion in non-equivalent group design with common items. To compare the effect of sample size and scale conversion method on the accuracy of item response theoretical scale conversion with IRT model selection is the aim of this study. To this end, there are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IRT data generation model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model on the accuracy of IRT scale conversion according to the agreement and inconsistency? Second, what is the estimation method that yields a relatively suitable IRT scale conversion result when the IRT data generation model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model are inconsisten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IRT data generation model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model on the IRT scale convers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bjects? A simulation study was design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e data were generated by applying 1-parameter, 2-parameter, and 3-parameter item response theory models, and the test consisted of 50 items including 10 items of common items. Sample sizes were set at 500, 1,500 and 3,000. The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applying 1 - parameter, 2 - parameter, and 3 - parameter models to th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the data generation model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model are matched, the RMSE value is low in each condi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estimation error of the scale conversion is small when the model is matched. However, when the data were generated with the 2-parameter, this generalization was not applied. Instead, the 1-parameter model showed a smaller RMSE value than the 2-parameter model, and the same pattern was also found in the BIAS analysis. SEE values ​​were lower in each condition when estimating 1 - parameter mod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data generation model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model do not coincide, the 3-parameter model shows a relatively larger RMSE value and BIAS value than the 1-parameter or 2-parameter model. In particular, for the 3-parameter data generation model, the 1-parameter model and the 2-parameter model showed relatively large RMSE and BIAS values. In other words, when the 3-parameter model is suitable, the 3-parameter model should be used to convert the scale. If the 1-parameter or 2-parameter model is applied incorrectly, Finally, the scale conversion err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jects was smaller as the number of subjects increased, resulting in similar results to the previous studies. The 1-parameter and 2-parameter models showed lower RMSE and BIAS values ​​in all subject condi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not significant.

      • 감성기반의 웹 그래픽 디자인 모형에 관한 연구 : 웹 사이트 초기 화면을 중심으로

        정승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고객의 요구와 감성이 중요시되는 고도의 정보 시대를 맞아 웹 디자인 분야에서도 '사용자의 감성적 니즈(need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성정보사회에서는 모든 가치판단이 개개인의 직관적 감성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의 니즈 역시 감성적, 심리적 만족감이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우리는 첫 화면을 보고 웹 사이트의 수준을 가늠하곤 한다. 사실 첫 페이지만 보고서 그 사이트의 좋고 나쁨을 말하기 어려운 것을 잘 알면서도 말이다. 첫 인상을 결정하는 홈페이지의 디자인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아무리 멋지게 디자인을 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감성에 부합될 때에만 원하는 공감이나 애착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과 이에 관련되는 조형적 특성을 알아야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사이트 홈페이지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추출하고, 이 감성에 부합되는 조형요소들의 특징을 정리함으로서, 사용자의 감성을 웹 사이트의 디자인 과정에 반영시키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범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내용 및 범위를 규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감성에 대한 개념 정의와 감성공학을 응용한 여러 감성디자인 사례를 고찰하고 이번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웹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요소들을 선정하고, 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기법적 사례를 찾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감성차원과 이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이미지를 추출하였으며, 감성별로 추출된 대표적 웹사이트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평가하여 각 감성에 따른 웹 그래픽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제한점을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대표적인 감성과 그 감성을 나타내는 웹 그래픽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들의 웹사이트에 대한 감성차원은 '화려한', '재미있는', '편리한', '안정된'의 형용사로 대표되었으며, 각각 조형적 특징이 분석되었다. 이들은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대표적인 감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웹 그래픽 디자인 과정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2. 어떤 감성요소와 어떤 형태의 조형요소 간에는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 사물의 인터페이스는 디자인되는 순간부터 감성을 발생시키며 개인의 사고, 사회.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수신자들의 해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해석 역시 각 감성마다 어느 정도 공통된 속성을 가진다. 즉, 각 감성에 대해 포지셔닝 된 대상 사이트들은 조형의 공통적 속성을 가지고 있어, 그 대표적 형태를 분석할 수 있었다. 3. 조형의 특징적 표현에 따라 목적한 감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감성과 조형 요소간에 어떤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디자인 과정에서 어떤 감성에 대한 특징적인 조형속성을 적용했을 때 목적한 감성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조사가 행해진 네 가지 감성 외에 다른 감성에 대해서도 특징적인 형태의 분석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목적하는 감성을 표현하는 객관적 기준점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성을 단일한 형태로 개념화 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혹은 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객관적인 감성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얻어진 객관적 이미지는 디자인 작업의 진행에서 더욱 신속하고 설득력을 가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