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탁업의 VOC 배출계수 개발

        정선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not only harmful to the human body due to their toxicity, but also are known as ozone precursors. VOCs react with highly reactive substances such as ozone in the atmosphere and are converted into ultrafine dust, which seriously affects air pollution. According to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VOCs are indirect greenhouse gases that affect climate change. VOC emissions are mainly caused by human activities. In Korea, VOC emissions from organic solvents account for 61.5% of total emissions (as of 2013).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estimate of VOC emissions and emission factors in dry cleaning industry. Because, there is the small amount of VOC emissions in dry cleaning industry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Ship, and painting facilities that emit large amounts of VOC in the industries using organic solvents. However, the solvent used in the Dry cleaning industry is not only discharged into the air without a separate recovery device, but also has a large impact on the human body because it is mainly located in a densely populated city. In developed countries, VOC emission factor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emission conditions and activity level, but Korea presents only one of the business standard emission factors. The current emission factor (610.368 kg / yr) developed 14 years ago has been developed a long time ago and does not reflect the recent status of the dry cleaning industry. In order to estimate the correct emissions, a detailed emission factor should be developed for each emission condition. If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is different, the amount of VOC emissions from dry cleaning business also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into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s and then presents the emission factors for the categorized groups. The activity of the emission factor was developed based on the business like the current emission factor and the textile treated which is most used as an activity in the overseas emission factor. Data which is necessary for the emission factor development are obtained through the survey. Based on the obtained data, the emission factor is developed by the top-down metho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505 samples of the nationwide survey are conducted with the cooperation of Korea Federation of Laundry Service. Statistical programs R 3.4.0 and SPSS 21 a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 The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332.578~572.662 kg solvent consumption/business·yr. The average amount of solvent consumption is 443.001 kg solvent consumption/business·yr.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0.031~0.102 kg solvent consumption/kg textile treated. The average amount of textile treated and the emission factor are negatively correlated. To compare the two emission factors, the VOC emission quantity of the entire sample a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total VOC emissions of the sample,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the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223,668 kg/yr. The total VOC emission factor of that,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base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is 232,154 kg/yr. This corresponds to 99.98% and 103.77% of the actual VOC emissions of the sample, 223,715 kg/yr. Both emission factors show error rates of less than 5%. Various factors can be used for the activity of VOC emission factor for dry cleaning business.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btained data,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and business are statistically most significant as the activity. And also,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emission quantity of the sample in this research, the error rate of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is less than the error rate of the emission factor based the amount of textile treat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VOC emission quantity using the business base VOC emission factor is more reliable.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은 자체 독성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오존의 전구물질로서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하나이다. VOC는 대기 중에서 오존 등 반응성이 큰 물질과 반응하여 초미세먼지로 전환됨으로써 대기오염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또한, IPCC에 따르면 VOC는 간접온실가스로서 기후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VOC는 주로 산업 활동에 의해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용제 사용에 의한 VOC 배출이 전체의 61.5%(2013년 기준)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산업 중 VOC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건축 및 선박, 도장시설에 비해 세탁업에서 발생하는 VOC 배출량 산정 및 배출계수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하지만, 세탁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는 별도의 회수장치 없이 전량이 대기 중으로 배출될 뿐 아니라, 주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에 위치하고 있어 인체는 물론,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선진국의 경우, 배출 조건과 활동도에 따라 세탁업 VOC 배출계수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업소 기준 배출계수 한 가지만 제시하고 있다. 기존 배출계수(610.368 kg/업소·yr)는 14년 전에 개발되어 세탁업의 최근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배출 조건에 따라 세분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어렵다.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배출 조건별로 세분된 배출계수가 개발되어야 한다. 세탁량이 다르면 세탁업의 VOC 배출량도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세탁량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그룹으로 범주화한 후, 범주화한 그룹별로 배출계수를 개발하였다. 배출계수의 활동도로는 기존 VOC 배출계수의 활동도인 ‘업소’와 해외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세탁량’으로 하였다. 배출계수 개발에 필요한 유기용제 사용량 및 세탁량 등을 세탁업중앙회 의 협조를 얻어 전국의 505개 세탁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데이터 분석 및 세탁업 VOC 배출계수 개발에는 통계 프로그램 R 3.4.0과 SPSS 21을 사용하였다. 업소 기준 세탁업 VOC 배출계수는 ‘0 < 세탁량 ≤ 5,000 kg/yr’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332.578 kg/업소·yr’, ‘5,000 kg/yr < 세탁량’범주의 세탁업에서는 ‘470.833 kg/업소·yr’으로 개발되었다. 세탁량 기준 세탁업 VOC 배출계수는 ‘0 < 세탁량 ≤ 5,000 kg/yr’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102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 ‘5,000 kg/yr < 세탁량 ≤ 8,000 kg/yr’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063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 ‘8,000 kg/yr < 세탁량 ≤ 14,000 kg/yr’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045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 ‘ 14,000 kg/yr < 세탁량 ’범주의 세탁업에서는 ‘0.031 kg 용제 사용량/kg 세탁량’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배출계수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표본 전체의 VOC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업소 기준 VOC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총 VOC 배출량은 223,668 kg/yr이며, 세탁량 기준 VOC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총 VOC 배출량은 232,154 kg/yr이었다. 이는 표본의 VOC 총 배출량 223,715 kg/yr의 각각 99.98%와 103.77%로서 두 배출계수를 이용한 배출량 모두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환경오염 정보 수집을 위한 이동통신 전화기의 활용방안

        정선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제적으로 스톡홀름 선언, 쿄토의정서 등, 오염물질에 대한 관리‧규제방식의 선진화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총량관리, 배출부담금, 배출권거래제 등 새로운 제도도 모색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환경관리 방식이 사회적 효율성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정책의 집행과정을 지원하는 적절한 감시체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 전화기의 환경오염 관련 諸정보 수집 및 전송 단말장치 활용 상의 유리한 점을 살펴보고 이의 실적용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이동통신 전화기를 환경오염 정보 수집에 활용함에 있어서는, 위치정보 획득, 고속의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 그리고 임의의 프로그램을 탑재, 운용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이미 상당부분 마련, 검증되어 있어 환경오염 정보 수집 단말기로의 활용에 있어 매우 적절하다. 미래 세대로부터 빌려온 환경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심각한 훼손 없이 보전하여 물려주는 일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의 의무이다. 이동통신 전화기의 환경오염 위반상황 감시‧적발에의 활용은 직접적인 성과나 효용 이외에도 환경에 대한 주인정신의 강화가 바람직한 문화형성으로 이어져 그 어떤 정책개발이나 시설투자보다도 큰 의미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ernationally, there are new demands for improving of the polluta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to the advanced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 such as Stockholm Declaration, Kyoto Protocol, etc. Thereby new pollutant management system have been sought, such as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Emission charge system, Emission trading system and so forth. But, in order that these system may take a social efficiency, an appropriate monitoring system should be forth beforehand. In this study, several useful factors have been look around and the realizable pos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in the practical using of PCS Phone to a data terminal equipment as a monitor or telecommunication device in the various pollution situation. the using of PCS Phone for the data acquisition device in the area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very supposed to be reasonable, because the key technologi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and tested commercially, in the phase of gathering of a location data from the phone, delivering of the data in reliable high speed, and installing and operating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 in mobile condition. It is an obligation of our own in present generation that make use of the borrowed environment resources suitably and return to the future generation soundly. The using of PCS Phone for a monitoring and exposing of the environmental violation is not only significant to obtain a short term result or effect directly, but also meaningful to make good culture from the host mind of our environment indirectly. And this long term effect means more ultimate to us than any other state measure or facility investment.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이 영유아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선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부모와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을 파악하여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 행동을 부모들에게 교육함으로써 자녀들에게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소재한 민간어린이집의 영, 유아반(만0세~5세)에 재원 중인 영유아의 어머니 23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사용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가지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장인숙(2001)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주리와 허경호(2004)가 사용한 ‘한국형 이동전화 중독척도’를 박용민(2011)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 여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 대응센터’의 스마트폰 중독 체크리스트로 측정해서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와 영유아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현황에 따라 양육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영유아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스마트폰 몰입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증과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을 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Scheffe의 사후검정을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 경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며,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과도 정적인 관계를 보여 세대 간 전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세대 간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광주(光州)지역 미술창작스튜디오의 활성화방안 연구

        정선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의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예술에 대한 지원의 당위성을 확보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단순한 작업 공간에 대한 지원에서 벗어나 국제교류를 통한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시작된 것은 1-2년에 불과하다. 미술창작스튜디오가 실험과 교류의 산실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창작환경 조성과 사회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창작기반이 서울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에서 창작환경에 맞는 지원시스템을 찾아보기는 매우 어렵다. 지역에서 원활한 창작여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인프라구축과 함께 사회적 지원이 동시에 요구되기 때문이다. 광주지역은 타 지역과는 구별되는 미술창작환경과 문화정책적 경향이 나타난다. 1995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광주에 팔각정창작스튜디오가 시의 지원 아래 설립되었고, 이를 시작으로 광주시는 지역의 젊은 작가들에게 작업실 제공과 함께 미술창작지원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동안 광주시는 6회에 걸친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국제적인 미술도시로 자리 잡았으며, 2006년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이 시행되고 있어 문화예술의 각계 분야에서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술창작환경은 광주지역이 창작활동의 새로운 근거지로 발전 할 수 있는 기반이 되며 미술창작스튜디오는 이를 위한 실천적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문화예술 환경의 발전으로 성장이 예고되어 있는 광주지역의 미술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점검과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국제적인 미술창작스튜디오로 성장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미술창작스튜디오는 현대미술의 자유로운 실험실로, 국제적인 교류의 산실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함과 동시에 문화예술에 대한 중앙편중현상을 해소하고 지역 작가와 지역 미술계에 새로운 활로를 제공하는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술창작스튜디오가 해외와 지역이 직접적으로 교류 할 수 있는 매개자 역할을 함으로써 광주가 국제적인 현대미술의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지금까지 미술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연구는 시설 및 운영에 대한 실태보고에 치중되어왔으나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광주지역 미술창작스튜디오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독서토론이 중학생 쓰기에 미치는 영향

        정선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독서토론 활동으로 중학생 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현대 사회는 갈수록 창의적이고 문제 해결력 등을 요구하는 고등 정신 기능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글쓰기에 관한 활동이 행해지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학생들이 ‘내용 생성’을 어려워하며, 쓰기 활동에 대해 심한 부담감을 갖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쓰기 능력 신장 방안으로 구체적이고 현실성이 있는 교수․학습안의 제시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학생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내용 생성하기’ 과정으로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독서토론 활동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내용 생성하기’ 과정인, 주어진 논제에 대한 토론 활동의 선행 작업으로 방과후학교 특기적성프로그램 등에서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을 통한 내용 생성으로 쓰기 능력 신장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독서토론과 글쓰기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우선 언어 영역들(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간의 통합적 교육의 중요성과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방법 가운데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독서토론에 대해 알아보고, 문학 작품 감상 방법(작품의 기본 내용 파악, 깊고 넓은 이해, 비판적인 생각, 자유로운 상상)을 활용한 독서토론과 글쓰기에 대해 각각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글쓰기의 실제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고, 제시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의거하여 실시된 학생 글을 분석해 보았다. 글쓰기에 있어 가장 중요하면서도 학생들이 제일 힘들어하는 내용 생성 과정에 문학 작품 감상을 활용한 독서토론 활동의 유의미성을 입증하기 위해 생각나누기 전과 생각나누기 후의 학생 글을 뉴웰의 반응 범주 체계를 활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독서토론 전에 쓴 작품보다 후에 쓴 작품에서 연합적, 해석적, 평가적 진술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문학 작품 감상 방법을 활용한 독서토론’ 활동은 특정의 몇몇 뛰어난 학생들에게만 적용 가능한 모형이 아닌 눈높이가 다양한 학생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실천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쓰기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내용 생성하기 단계에 도움을 주어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쓰기 태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 주요어 : 문학 작품 감상 방법, 작품의 기본 내용 파악, 깊고 넓은 이해, 비판적인 생각, 자유로운 상상

      • Zola의 『L' Assommoir』에 나타난 'TROU'의 상징적 의미 연구

        정선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Zola의 작품은 <실험 소설론(Le Roman Experimental)>에 입각한 자연주의 소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는 이와 같은 면모이외에 과학의 힘으로 누를 수 없는 상징적 · 시적 경향이 들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경향을 띠고 있는 Zola의 소설이 종종 다루는 폭력적 위협(violence)의 세계는 인간이 안고 있는 원형적 고통을 잘 나타내 준다. 『L'Assommoir』역시 이와 같은 인간의 고통과 갈등 양상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L'Assommoir』에 자주 등장하는 trou의 상징적 의미 변화를 통해 주인공 제르베즈(Gervaise)의 전락 과정을 살펴 보는 데에 있다. 제Ⅰ장에서는 제르베즈가 가지고 있는 'trou에 대한 소유 욕망'이 작품의 핵심적 틀이 됨을 밝히고 그녀가 꿈꾸는 이상적 trou가 무엇인지 밝힌다. 그것은 '안식'과 '보호'가 있는 지복의 상태를 지향하는 인간의 회귀 욕구로 설명할 수 있다. 제Ⅱ장에서는 현실 속에서의 trou를 규명함으로써 이상적 trou와 현실적 trou 사이의 간격을 살핀다. trou가 공간적 의미가 강한 단어임을 상기하고, '주거 공간'이라는 물리적 형태를 현실적 trou로 삼는다. 현실 속에는 제르베즈가 소망하는 trou가 존재하지 않으며 지복의 안식처가 아닌, 일시적인 도피처가 있을 뿐임을 알 수 있다. 제Ⅲ장에서는 제르베즈를 전락으로 이끄는 공격적 힘을 '집어 삼키기'의 메타포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설정 하에 살펴 본 trou는 제르베즈를 해치는 '함정'이 된다. '함정'이 가지고 있는 기만성과 폭력성이라는 특성을 근거로 하여 제르베즈의 전락을 살핀다. 제Ⅳ장에서는 제르베즈를 둘러싸고 있는 근원적 힘이 '죽음의 힘'이라는 것을 밝힌다. '죽음'은 『L'Assommoir』의 마지막 trou이며 그것은 제르베즈를 완전히 감싸고 있지만 안식처의 의미도 도피처의 의미도 가질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trou는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그것은 한가지 의미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점차 상징적 의미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trou는 '안식'과 '보호'가 있는 지복의 세계로 부터 적대적인 세계로 의미 변화를 보이며, 그 기저에는 '죽음'이라는 가장 큰 힘이 버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물리적 · 상징적 의미가 복합되어 있는 trou를 규명함으로써 제르베즈의 전락 과정과 더 나아가서 인간의 원형적 고통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Zola traite souvent dans ses romans d'un monde hostile qui montre la souffrance originelle des hommes. Gervaise, dans L'Assommoir, est une victime que de´vore une force hostile. Dans ce monde hostile, Gervaise se plote´ge elle-me^me par le de´sir d'avoir un trou a` elle, nous examinons donc L'Assommoir de Zola sous l'aspect du trou qui est bien l'une des cle´s de cet oeuvre. Le mot trou a paru a` plusieurs reprises dans ce texte. Il n'a pas une seule signification mais, peu a` peu, nous pouvons de´couvrir la diversite´ de ses significations symboliques at aussi, explorer l'ouvrage entier et le processus de la chute do Gervaise. Dans la premie`re partie, nous essayons mettle on e´vidence co qu'est le trou ide´al de Gervaise. Elle a toujours ls de´sir d'avoir un trou. Et ce de´sir s'exprime par celui du retour a` la me`re. Dans la deuxieme uartie nous examinons la difference entre le trou ide´al et le trou re´el. Trou est un mot qui a one signification spatiale. En tenant compte de ce fait, nous conside´rons l'habitation comme un trou re´el. Dans la re´alite´, ce n'est pas un trou que souhaite avoir Gervaise mais, seulement des refuges passagers. La troisie`me partie est consacre´e a` observer la force qui conduit Gervaise a` la chute. Pour cet e´tude nous employons la me´taphole de l'action de de´vorer. Dans le texte le trou re´el est un pie`ge qui nuit a` Gervaise. La caracte´ristique do pie`ge est la tromperie et la violence. C'est en conside´rant ce fait que nous adoptons la me´taphore de l'action de de´vorer. Ensuite nous examinons le texte entier. Dans la quatrie`me partie, nous pouvons relever que la force qui conduit Gervaise a` la chute, c'est la force de la mort. La mort est. le trou dernier do L'Assommoir. Ce trou entoure parfaitement Gervaise mais, ce n'est pas un refuge, ni un sein maternel. Le trou que Gervaise souhaite avoir existe seulement dans le monde ide´al, mais n'existe pas dans le re´el. Le trou re´el semble d'abord la plote´ger mais pee a` peu, il pre´sente l'aspect de l'emprisonnement. Gervaise posse`de donc le trou mais a` la fin, le trou la de´vore. C'est a` dire, le sujet de la possession est inverse´. A travers cet analyse, nous pouvons saisir que le trou est le monde hostile, qui repose sur la force de la mort et aussi que le trou est un symbole important qui de´voile la fatalite´ qui pe`se sur les homms.

      •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 모의고사와 국가영어능력평가 2급 비교 연구

        정선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영어능력평가 2급 시험을 비교,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며 그 상관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점수와 국가영어능력평가 점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각 시험에서 보여준 학생들의 점수 분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영어능력평가의 각 영역별 상관 정도 및 분포를 파악하고, 두 시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한다면 그 원인으로는 무엇을 규명할 수 있는지 고찰한다. 셋째, 두 시험의 백분율을 비교하고 분포도를 통해 관계를 분석한다. 넷째, 학생들의 각 시험에 대한 체감 난이도를 살펴본 후 이를 실제 결과와 비교 분석하고, 일치하지 않는 결과가 나온다면 그 원인을 규명해본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유형의 모의고사와 국가영어능력평가 2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고사와 NEAT 시험 점수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시험의 각 영역별 비교를 시행한 결과, 듣기와 읽기에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나 말하기와 쓰기 영역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고사 듣기의 경우 간접 말하기를 포함했을 때 NEAT 듣기와의 상관관계가 높아진 반면, 읽기의 경우에는 간접 쓰기를 포함했을 때 NEAT 쓰기와의 상관관계가 낮아졌다는 점으로 미루어 한 영역을 간접적으로 측정한 경우에는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모의고사와 NEAT 시험의 백분율을 비교해본 결과 두 시험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은 다른 영역에 비해 말하기를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쓰기 영역은 학생들이 실제 성적에 비해 그 중요성 및 난이도를 쉽게 인지하고 있었다. 상기한 연구 결과는 새롭게 도입되는 NEAT 시험에 맞춘 한국의 영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시사해 준다. 우선 앞으로의 영어 교육에서는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회화 수업, 작문 수업에 대한 교재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모든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말하고 쓸 수 있는 기회를 최대로 부여하는 방향으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회화수업, 작문 수업에 대한 교재연구도 이러한 방향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듣기와 읽기에 대한 수업도 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듣기의 경우 문항 수가 증가하였고 지문이 길어졌으며, 일상적인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고, 보기 문항은 영어로 변화하였다. 읽기의 경우도 전반적인 난이도가 상승하였으며, 주제, 요지 등을 물어보는 문항과 함께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문제들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에 대비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컴퓨터 기반의 국가영어능력평가에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응시할 수 있도록 학교 교실의 불충분한 시설을 보완하여 교수활동에 적합한 양질의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교육청과 학교가 체계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역시 학생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새로운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교수방법을 부단히 개발해야 할 것이다. 현재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새롭게 도입되는 국가영어능력평가는 상당 부분 유사한 양태를 보이지만 듣기, 읽기 영역과는 달리 말하기와 쓰기 영역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시험의 유형이 교육에 미치는 환류효과를 고려해서 언어의 네 가지 측면 모두가 골고루 발달될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최대한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새로운 국가영어평가시험이 기존의 대학수학능력시험보다 학생들의 외국어 능력을 보다 잘 측정하는 시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교육적 연구와 사회적 관심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선희 건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parental rising attitude and its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EQ of children and analyzed the stronger influences between the mother and the father on the EQ of children. Hence, the objective was to assist the children to be competent individuals in a home, a school and a society.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developed to achieve above-mentioned objective. First, how was the rising attitude of parents, and was it different by the age and the gender of children? Second, how was the EQ of children and was it different by the age and the gender of children? Third, what was the effect of maternal rising attitude on the EQ of children? Forth, what was the effect of fatherly rising attitude on the EQ of children? Fifth, between the maternal and the fatherly rising attitude, which one gave more effects on the EQ of children? To solve above-listed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Among the data collected, the final three hundreds were selected as a sample, rating by parents. For the tool study, a part of the rising attitude scale by Schaefer (1961) was used after the modification and the revision and the EQ test,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rimary model of EQ by Moon, Yong Lin (1996) was also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the reliability, X2 test,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8.0. Analyzing the questions, addressed in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of children, both parents raised the children with love and care. Second, the female children showed higher EQ in the recognition, the expression and the control of EQ than the male children. Third, the maternal rising attitude influenced the EQ of children. When the mothers raised the children affectingly and independently, children's ability to recognize, express and control EQ and the empathy increased. Forth, the fatherly rising attitude influenced the EQ of children. When the fathers raised the children affectingly and independently, the ability to recognize, express and control EQ and the empathy increased. Fifth, the maternal rising attitude gave greate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Q of children than the fatherly rising attitude.

      •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노인전문병원의 실내디자인을 위한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정선희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 : 현대 사회는 경제성장과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자녀수 감소, 그리고 노인들의 수명 연장 등으로 인해 196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여 현재 전체인구의 9.1%에 달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06년 유엔이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보건복지부에서 분석한 노령화 지수추이에 따르면 2050년에는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37.3%에 달할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선진국에 반해 매우 빠른 속도로 급변하는 것이며, 우리나라는 노인문화가 정착하기도 전에 고령사회에서 고령화 사회, 고령화 사회에서 초 고령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노인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그동안 많은 노인전용시설이 증가되어 왔으나,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기존의 노인전용시설에서 행하던 노인의료서비스의 한계를 인식, 노인전문병원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노인전용시설이 생기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전문병원은 다른 노인전용시설에 반해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며,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였다기보다는 노인을 부양하는 자녀의 시설 선택이 대부분이므로 색채 환경 또한 부양하는 자녀의 관점에 맞춘 경우가 대다수이다. 하지만 노인전문병원은 노년기가 되면서 감각기관의 퇴화, 환경지각반응의 둔화로 활동이 약화되어 휠체어로만 이동이 가능해지며, 노인성질환자인 경우 인지능력 저하로 같은 곳을 배회하는 등 간병인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노인전문병원은 노인들의 생활터전으로서 노인들에게 정서적인 안정을 주어야하고, 신체적 감각기관의 퇴화를 고려해 공간의 조직 및 기능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신체적ㆍ심리적 변화와 특성을 고려한 노인전문병원의 색채계획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노인들이 느끼는 사회와 가정으로부터의 소외감을 감소시키고 행복한 노년과 삶에 대한 의욕을 불어넣어줌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노인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노인전문병원의 개념과 색채 환경을 조사할 공간을 선정하여 문제점을 연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대상공간의 색채를 계획하였다. 사례조사 분석결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공간에서 벽, 천정, 바닥의 색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대부분의 복도 공간에서 동선을 유도하는 표시선이 없었고 있다고 하더라도 인지하기엔 색이 옅었다. 또한 복도와 출입구의 색을 비슷한 색으로 사용한 경우가 많 았으며 긴 복도인 경우 복도의 끝을 인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공간에서 가구는 벽 또는 바닥과 비슷한 계열의 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공간상에서 구분하기가 어려웠고 테이블과 의자 또한 같은 색을 사용하거나 비슷한 계열의 색을 사용해 구분하기 어려웠다. 넷째, 대부분의 노인공간에서는 이동시 편리함을 위해 핸드레일을 설치하는데 조사결과 복도의 핸드레일은 구분이 용이한 경우가 많았지만 화장실, 계단, 침대의 손잡이, 운동기구의 손잡이부분은 구분하기 어려운 곳이 많았다.다섯째, 노인공간에서 표지판은 위험요소를 알리고 길을 안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조사결과 일반 공간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으며 글씨를 인식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따라서 노인 공간의 색채 계획을 할 때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하는데 이론적 고찰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노인은 황변화 현상으로 인해 일반인들과 다르게 인식하므로 색채계획에서 색을 선택할 때 이런 노인들의 시지각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였다. 또한 색채계획에서 일반인들이 보기에 색을 조금 많이 사용한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노인공간에서는 이러한 계획이 공간감과 장애물을 인식하기에 좋았다. 색채계획의 결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입원실은 노인이 주로 거주 하는 공간이므로 색채계획에서 편안함이 우선시 되어야하기 때문에 자연의 느낌이 나는 색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계획공간에서 돌출된 부분은 포인트 색을 사용해 부딪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계획하였다. 둘째, 로비공간은 공간의 이동이 많고 규모가 커서 중정이나 기둥 등이 설치되어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로비공간에서는 위험요소가 많고 동선이 복잡하기 때문에 바닥에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경계가 뚜렷한 색상을 선택하였고 또한 넓은 공간의 바닥은 동선을 표시하는 유도 선을 색채계획을 할 때 함께 고려하고 길 안내를 하는 표지판은 일반 시설에 반해 크게 설치하였다. 만약 이러한 것이 힘들 경우를 대비해 기둥이 표지판 기능을 하도록 계획하였다.셋째, 식당 공간은 대부분 구석진 곳이나 지하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어두운 관계로 벽의 색채 선택은 밝은 색을 택하였고 식탁과 의자의 색이 동일하면 어두운 공간에서 인지하기가 어려운 점을 고려해 식탁 상판의 색상을 다르게 배색하였다.넷째, 화장실은 대부분 간병인과 다니는 경우가 많지만 혼자 사용하는 노인을 고려해 벽, 천정, 바닥의 색감을 뚜렷하게 하여서 공간을 인식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칸막이벽과 문손잡이의 색을 다르게 하여 인식하기 편하게 계획하였다. 또한 바닥과 변기의 색을 달리 해주는 것이 좋지만 그것이 안 될 경우 변기의 상판의 색을 다르게 해주어야하며 세면기 또한 인접하는 벽과 다른 색을 사용해야 한다.다섯째, 엘리베이터 홀의 경우는 잠시 대기하는 공간이 필요한데 벽과 대기용 의자의 색을 달리해야하며 계단에서는 핸드레일은 인지하기에 좋은 색을 택하고 발디딤판 과 발 디딤판의 인지가 가능하게 논슬립과 디딤판의 색을 달리 해주어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처럼 노인 공간의 색채계획은 공간을 설계할 당시 체계적으로 하여야하고 노인마다 노화의 정도와 성별ㆍ개인의 취향에 따라 인지가 가능한 색과 좋아하는 색이 다르므로 어떤 색이 좋다 나쁘다 규정지을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일반시설에 반해 많은 색을 사용하여야 하고 색상의 선택에 제약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배색에 신경을 써야 한다 영문초록 : The average age of the current population has increased due to many factors such as economic growth, increased life expectancy, having a small family,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women. As a result, the number of old people, whose age is 65 or older, has reached 9.1% of tot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UN’s research, the total percentage of group aged 65 or older, in Korea is about 37.3% of the total population. The percentage of the aged in Korea is increasing much faster than other advanced nations. However, this country is not prepared for these rapid changes, and this change is becoming a new problem to solve. We have some facilities for aged people, but this isn’t enough to handle the increasing number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정선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re we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depression? Secon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self esteem? Thir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effects on married 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grant women who were taking Korean language program and Korean culture program designed specially for married migrant women in M city, 14 migran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even wome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took place from July to October in 2009, consisting of eighteen week group art therapy sessions. Any treatment was not given to the control group.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compar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creased depression of married migrant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n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self-esteem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in post-test than pre-test. Thir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lso had an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Fourth, married migrant women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at they felt happier in spite of no changes in their lives during the program. Also, they became more positive and confident to deal with any possible problems in current and future marriage. Thus, it was found out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Also,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xpected to help married migrant women learn and adap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교육청 평생학습과에서 실시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글교육과 문화적응 프로그램학습자 1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7명으로 무작위배치하여 실험집단 7명에게 2009년 6월부터 10월까지 주1회 18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실시하지 않았으며, 자료분석은 미술치료 실시 전, 후의 우울,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단계, 중기단계, 종결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18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인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인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회기별 활동에서도 중기부터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은 그대로 인데 지금 예전과 다른 행복감을 느끼는 것에 대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피드백 하였고, 어떠한 어려움이 있을 지라도 최선을 다할 것이며 자신이 마음먹기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질 수 있다고 현재와 미래의 결혼생활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문화적응과 부부 및 부모자녀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한글교육에서의 표현, 어휘, 말하기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