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정선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내 인터넷 사용인구가 2003년 4월 현재 전체의 70.8%로 나타났다. 이를 인구수로 추산해 보면 2,473만 명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불과 몇 년 전에 비해 네티즌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정보화 사회는 그 어느 사회보다도 사용자 스스로 건전한 사이버 공간을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가 중요시 되는 사회이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에게 이익을 줄 수도 있고 피해를 줄 수도 있는 양날의 칼과 같다. 정보통신기술을 건전한 방향으로 사용한다면 우리는 정보화 사회의 장점인 편리함과 다양성, 자유로운 의사 표현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정보통신기술을 욕구의 해소를 위한 도구나 금전적인 이익만을 위한 도구가 되어 건전하지 못한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정보의 공유라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정보화 사회에서 건전한 사이버 공간의 형성과 다양한 정보의 활용을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의 확립이 중요할 것이다. 정보통신윤리는 사이버 공간에서 자신에게 유익한 정보를 검색·활용하고, 자신의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데 있어 지켜야 할 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가진 네티즌에 의해 사이버 공간은 올바른 정보 공유의 장소와 새로운 가상 공동체의 형성의 장소로 지켜져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네티즌에게 정보통신윤리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학교나 인터넷 사이트 내에서는 많은 정보통신윤리교육 자료와 프로그램을 제작·배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러한 자료들은 일회성의 교육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정보통신윤리교육과 관련이 깊은 도덕 교과나 컴퓨터 교과에서도 정보통신윤리교육에 관련된 내용은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은 학생과 교사, 성인을 위한 정보화 교육의 일부분으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요도 또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훨씬 적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 꼭 필요한 규범으로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정보통신윤리는 도덕교과에서 전통윤리나 시민윤리와 함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컴퓨터교과에서도 컴퓨터 사용 방법보다 기초의 부분으로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주의 깊게 정의되고 교육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도덕교과나 컴퓨터교과에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타 교과와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학교에서는 수행평가를 위해 많은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타 교과에서도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지켜야 할 윤리, 즉 저작권의 침해라든가 올바른 언어 사용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체계화 되어 있는 수업의 모습을 갖추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사의 신념과 열의가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학교만의 교육이 아닌 가정과 학교와의 연계를 통한 교육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네티즌은 컴퓨터 사용의 대부분을 가정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부모와의 연계가 크게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의 올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에서도 계속적으로 일반 성인들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빠르게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법률의 개정 역시 중요할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이다. 그 혜택을 더 많이 누리느냐, 누리지 못하느냐는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는 네티즌의 문제일 것이다. 네티즌이 올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사이버 공간은 우리에게 더 무한한 정보의 제공과 자유를 줄 수 있을 것이다. More than seventy percent of people in Korea are using the Interent as of April, 2003. That is, the users of the Internet are calculated at 25,000,000. And the number of netizens keep on growing rapidly, to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which we live puts a higher value on the importance of the strong will that every user should have in order to make the wholesome cyberspace than any other society.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oes us both good and harm. It depends on the way we us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f we use them wholesomely, we can take the benefit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uch as conveniences, diversities, and free expressions of ideas. On the other hand, if we use them unwholesomely, for example, as the means for satisfying our desires or just for financial advantages, many people can be hurt because the harmful information can be shared easily on the Internet. Therefore,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will be important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o build the wholesome cyberspace and use the diverse information.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s the rule we have to keep when we look for the useful information and use it, and when we share our information with others. The cyberspace should be maintained as the space to share the information rightly and build the new imaginary community by the netizens who have the consciousness of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o cultivate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of the netizens, a lot of data and programs about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have been made and distributed in the schools and Internet sites. But, in fact, those data have mostly been used as the means for education once for all. Also, even in the course of ethics or computer which is related to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t has almost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 has been just a part of the inform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teachers, and adults and it has been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houldn't be ignored because it's an essential rule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my opinion, in the moral education,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must take an important part with traditional ethics or citizen ethics and in the computer education, it needs to be defined and educated as a basic part more carefully than how to use the computer. Recently, students are given many assignments for evaluation and students have to use the computer frequently to do their assignments. Therefore, in other subjects, the education of the ethics they should observe-piracies, right uses of languages- to do student's assignments must be enforced, too. Because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e schools hasn't been systematized well, teachers' confidence and enthusiasm ar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lso, the educatio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homes will be needed. It will be more effective because most of the netizens use the computer at their homes. So it will be essential for parents to hav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lso, it will be important to revise the law which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is changing rapidly. The present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s the limitless possibilities to give us many benefits. It depends on the netizens whether they will have more benefits or not. If netizens have the right consciousness of ethics f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cyberspace will give us infinite informationn and freedom.

      •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언어와 가격인식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선영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With the rapid spread and diffusion of Internet, the electronic commerce market is actively developing. As mass media that can attract the public, Internet has its influences increase gradually and its commercial properties be reinforced; as a result, personal and corporate efforts continue to be made to use Internet to develop various profit-making models. With the development and changes in electronic commerce, Internet shopping malls became diversified, with goods as well as transaction modes diversified according to consumers' tastes and needs. Consequently, researches by analysis of trends and development of profit models to meet consumers' needs become important, with relevant researches under way. The increase of overseas trips due to changes in lifestyles of modern consumers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meet other races and cultures; popularization of overseas contents through such media as broadcasting and cable TVs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meet foreign cultures. In addition to American and Japanese soap operas, it became possible to meet various cultures through diverse show programs and have the globalized contemporary age.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demand for 'global shopping' due to popularized Internet, the number of consumers preferring rational middle- or low-priced foreign brand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niche' demand for pursuing unique, characteristic foreign-brand goods becomes generalized enough to form a cultural code, shopping malls providing buying service for relevant goods become very popular. This phenomenon of higher preference of consumers for foreign brands and of the rapid increase in the demand can be explained by cultural paradox, value-paradox hypothesis, product crossover, and so on. People rather prefer products or advertisements of other cultures and are more favorable to and curious about exotic things. That is, Koreans in the Oriental culture show more positive and favorable attitudes toward cultural clues speaking for Western culture rather than visual or linguistic clues expressing the same Oriental culture; Western culture and values have naturally been absorb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since the 20th century, forming the current Korean culture and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ee how consumers' attitudes (favorability, reliability, purchasing intention) vary by languages (Korean vs. English), which are a visual clue of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on the basis of these cultural-paradox phenomena. An attempt is also made to see how consumers' attitudes in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vary by languages and price perception. Second, it is to examine specialized service properties unique to overseas buying service and analyze the properties. Third, a direction is presented for reverse overseas buying service to export local brands abroad as well as import buying serv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nufactured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in two versions of Korean and English in terms of languages and conducted an experiment by putting them on an website so that they could be considered as actual cones. Each question in the questionnaire was ra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the analytic method is as follow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validity of questions and Cronbach′s α was carried out to 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T-test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onsumers' attitudes (favorability, reliability, purchasing intention, price perception) by languages and two-way ANOVA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onsumers' attitudes by languages and price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in the English version showed more positive consumers' attitudes than those in the Korean version. This demonstrates that Korean consumers are more favorable and positive toward the English version and show more reliability on the version and feel stronger purchasing intention from it. It implies that languages play a major role as a cultural clue and have great effects on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sites. As for consumers' attitudes toward overseas purchasing service shopping malls by languages and price perception,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standard deviation of middle and low price and getting the middle point to see price perception; only values differed, but results were identical, by languages. The higher the price of products in the English version was perceived, the stronger and more positive consumers' attitudes were. Likewise, the higher the price in the Korean version was perceived, the higher consumers' attitudes were. This demonstrates that irrespective of languages, there ar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higher price within a fixed range for middle and low price of imported products and there is sufficient purchasing intention even if the perceived price is hig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re are few researches on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or those on site attitudes by the cultural paradox hypothesis; improved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more diversified and concrete approaches in the future.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확산을 통해 전자상거래 시장이 활발히 발전하고 있다. 인터넷은 대중을 공략할 수 있는 매스미디어(mass media)로서 그 영향력이 점차 증대되고 있고 상업적 특성이 강화되면서,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수익 창출 모델로 개발하기 위한 개인과 기업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도 다변화되었는데, 상품거래방식 뿐만 아니라 소비자 취향과 욕구에 따라 취급상품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수익 모델 개발과 트렌드 분석에 따른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대 소비자들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더 똑똑해지고 있으며, 제품을 선택할 때 그 기능은 물론이고, 감성적인 측면까지 고려하며, 대중으로부터 자기를 표현하고자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타인종, 타문화에 대해 접할 기회가 확대되고, 공중파, 케이블TV 등의 매체를 통해서 해외 컨텐츠가 대중화 되면서, 해외 문화를 접할 기회가 높아졌다. 미국, 일본 드라마는 물론이고 다채로운 쇼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세계화 된 동시대를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의 대중화로 '글로벌 쇼핑'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합리적인 중, 저가 해외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독특하고 개성 있는 해외브랜드 제품을 찾는 '틈새' 수요가 하나의 문화적 코드를 형성할 정도로 일반화되면서 관련 제품 구매를 대행해주는 쇼핑몰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렇게 해외브랜드에 대해 소비자의 호감도가 높아지고 수요가 급증하는 현상은 문화역설(cultural paradox), 가치 패러독스(value-paradox hypothesis)가설, 제품 크로스오버(product crossover)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자신과 다른 문화의 제품이나 광고를 오히려 더 선호하며, 낯선 것, 이국적인 것에 더 호의적이며, 흔치 않은 것이라 더 예외적이고 호기심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양 문화권에 속하는 한국 사람들은 같은 동양문화를 표출하는 시각적, 언어적 단서보다는 서양문화를 대변하는 문화적 단서에 더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20세기 이후 근대화해야하는 과정에서 서양문화와 가치관이 자연스럽게 흡수되면서 현재 한국의 문화와 가치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했던 국가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문화 역설 현상이 특히나 더 민감하게 받아들여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러한 문화역설현상을 바탕으로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시각적 단서인 언어(한국어 대 영어)에 따라 소비자태도(호감도, 신뢰도, 구매의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언어와 가격인식에 따라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소비자태도는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의 틈새시장인 해외구매대행만의 특화된 서비스 속성을 파악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셋째, 국내로 수입되는 구매대행 서비스 뿐 아니라, 자국 브랜드를 해외로 수출하는 역해외구매대행에 대한 방향성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언어에 따라 한국어, 영어 총 두 가지 버전의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을 제작하였고, 실제 쇼핑몰처럼 느낄 수 있도록 웹사이트에 띄워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설문지의 각 문항을 점수화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설문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고,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α를 실시하였다. 또한 언어에 따른 소비자태도(호감도, 신뢰도, 구매의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언어와 가격인식에 따른 소비자태도(호감도, 신뢰도, 구매의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 영어버전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이 한국어버전 해외구매대행쇼핑몰에 비해 더 긍정적인 소비자태도를 나타냈다. 한국 소비자는 영어버전에 대해 더욱 호의적이고 긍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고, 더 강한 구매의사를 느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가 문화단서로서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 대한 태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와 가격인식에 따른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소비자태도를 살펴보면, 가격인식 조사를 위해 중. 저가의 표준편차를 조사한 후 중간 값을 취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언어 버전에 따라 수치만 상이할 뿐 결과는 동일하게 나왔다. 영어버전의 제품 가격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소비자태도가 더욱 강하고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한국어버전 역시, 가격이 비싸다고 인지할수록 소비자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언어와는 상관없이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이 다루고 있는 해외에서 수입하는 중. 저가 제품가격에 대해, 해당 범위 내에서 가격이 높을수록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인지된 가격이 높더라도 충분히 구매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해외구매대행쇼핑몰에 대한 연구 및 문화역설 가설에 의한 사이트 태도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진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좀 더 다각화되고 구체화 된 접근 방식을 통해서 향후, 발전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문화역설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문화 단서인 ‘언어’만을 요인으로 사용하였기에 그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 단서를 대변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찾아내어 소비자태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국내에서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이 하나의 트렌드로 이슈화 되듯, 국내 브랜드의 해외 수출로 인해 역구매대행이 많이 발생하여 국내 산업에 큰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패션 AI 사이즈 추천 시스템을 위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 연구

        정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개인 소비자가 맞음새를 선호하는 패턴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신경망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을 구성하고, 성능 평가 및 비교를 통해 성능이 우수한 최종 모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3차원형상측정 사업에서 수집된 35세에서 39세 성인 남성 96명의 인체데이터와 인체측정을 마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데이터이다. 설문데이터는 피트성이 필요하지 않은 의류 4가지 복종에 대한 선호의류사이즈와 12항목의 신체 인식 정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학습의 신경망 알고리즘인 다층퍼셉트론을 활용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변수와 출력변수를 정의하였다. 입력변수는 기본신체치수, 인지체형, 실제체형, 인지체형과 실제체형의 차이로 설정하였다. 기본신체치수는 KS 규격에서 정의하는 의류사이즈 관련 신체 부위의 치수를 의미하며, 내의류 상의와 외의류 상의는 가슴둘레, 외의류 하의는 허리둘레, 내의류 하의는 엉덩이둘레이다. 인지체형은 설문 조사를 통해 측정된 신체 부위의 인식 정도 12항목이며, 실제체형은 인지체형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체형지수 12항목이다. 인지체형과 실제체형의 차이는 인지체형 구간에서 실제체형인 체형지수의 구간을 뺀 값으로 정의한 인지차이 12항목이다. 출력변수인 선호맞음새는 선호의류사이즈와 표준의류사이즈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선호의류사이즈는 설문을 통해 조사한 평소 착용 의류사이즈, 표준의류사이즈는 각 복종의 기본신체치수에 따라 권장되는 의류사이즈이다. 둘째, 출력변수인 선호맞음새에 대하여 선호의류사이즈와 입력변수의 하위항목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선호의류사이즈 구간별 선호맞음새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호맞음새와 선호의류사이즈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복종에서 평균의류사이즈 구간은 정사이즈를 착용하는 경우의 분포가 높았고, 평균사이즈보다 작은 의류사이즈 구간은 정사이즈보다 작게 착용하는 경우, 평균사이즈보다 큰 의류사이즈 구간은 정사이즈보다 크게 착용하는 경우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의 입력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선호맞음새와 각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내의류 상의는 인지체형 2항목, 체형지수 5항목, 인지차이 5항목, 내의류 하의는 인지체형 2항목, 체형지수 6항목, 인지차이 6항목이 관련성을 보였다. 외의류 상의는 인지체형 1항목, 체형지수 3항목, 인지차이 3항목, 외의류 하의는 인지체형 2항목, 체형지수 5항목, 인지차이 4항목이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복종별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을 단일요인 모형, 복합요인 모형, 중요요인 모형으로 구성하고 성능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또한 입력변수 37항목을 동시에 투입한 모형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단일요인 모형은 1가지 요인으로만 구성한 모형, 복합요인 모형은 기본신체치수로 구성한 기본모형과 다른 입력변수 요인을 결합한 모형, 중요요인 모형은 기본모형과 요인별 중요항목으로 구성한 모형이다. 모형은 복종별로 10가지씩, 총 40가지 모형을 구성하여 성능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모형의 성능평가지표는 검정데이터의 macro F1 점수와 선호맞음새 유형별 F1 점수로 그 값이 크고 균형적일수록 성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모형은 내의류 상의는 중요요인 모형인 모형 9(가슴둘레, 인지체형 복부비만도), 내의류 하의는 복합요인 모형인 모형 6(엉덩이둘레, 인지체형 복부비만도, 인지체형 복부비만도), 외의류 상의는 중요요인 모형인 모형 10(가슴둘레, 인지차이 복부비만도), 외의류 하의는 중요요인 모형인 모형 9(허리둘레, 인지체형 하체비만도)로 선정하였다. 동시투입 모형은 모든 복종에서 과적합 현상이 나타났으며, 내의류 하의와 외의류 상의에서는 분류가 누락되는 결과를 보임에 따라 모든 복종의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은 최종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최종 모형은 대체로 중요요인을 추출하여 적용한 모형의 성능이 우수하였다. 넷째, 최종 모형을 구성하는 변수들과 선호맞음새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속성에 따른 선호맞음새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내의류 상의는 복부, 내의류 하의는 복부와 전신, 외의류 상의는 복부에 대한 인지체형이 중요한 속성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부위에 대하여 뚱뚱하다고 인지하면 정사이즈보다 큰 사이즈, 마른 편으로 인지하면 정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외의류 하의는 하체의 인지정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하체를 보통이거나 마른 편으로 인지하면 정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를 착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 소비자가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체형을 보완하거나 표현할 수 있는 의류사이즈를 선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복부와 전신, 하체 등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개인의 인지정도는 기본신체치수를 기반으로 선호맞음새 예측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속성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층퍼셉트론을 활용하여 선호맞음새 예측을 위한 다양한 모형들을 구성하고, 모형 간 성능 비교를 통해 예측 성능을 향상시킨 속성을 찾아 복종별로 최종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의 성능은 투입되는 변수의 개수보다 변수의 특징에 영향을 받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추천시스템에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가공하여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활용도와 추천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정확도 향상을 위해 인체와 의류의 다양한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류사이즈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경우, 데이터의 수집 및 확보의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체형에 대한 간단한 설문과 최소한의 신체치수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높인 예측 모형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인터넷 환경에서 의류사이즈 선택이 쉽지 않은 소비자들을 위해 의류사이즈 추천을 위한 개인정보 제공의 절차를 간소화하고 선호맞음새에 적합한 선호의류사이즈를 추천할 수 있는 의류사이즈 추천 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y analyz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nsumers selecting clothing fit, this study constructs various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s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s and derives a final model with excellent performanc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The data used are body measurements of 96 men aged from 35 to 39 collected in “The 6th Korean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Project” and survey data of participants who have participated in such measurement. The survey data are the materials that investigate the preferred clothing size and the level of body recognition of 12 items for four types of clothing that do not require a tight fit. The details of the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re defined to implement a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which is a neural network algorithm. The input variables were set as basic body measurement, perceived body shape, actual body shape, and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body shape. The basic body measurement refers to the body part measurement related to the clothing size defined in the KS standard with the chest circumference for upper innerwear and outerwear, waist circumference for lower outerwear, and hip circumference for lower innerwear. The perceived body shape consists of 12 items on the level of body part recognition measurement performed through the survey, and the actual body shape consists of 12 items of the body shape index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of the perceived body shap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and the actual body shape are 12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s defined a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tion of the actual body shape index from the perceived body shape section. The output variable that is the preferred fit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of the preferred from the standard clothing size. The former is that of cloth worn normally according to the survey, and the latter is that recommended according to each type of clothing’s basic body measurement. Second, the correlation to the sub-item of preferred clothing size and input variabl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output variable of preferred fit. Firs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red fit and preference of clothing for each preferred section of clothing size revealed that distribution in cases of wearing smaller than correct size was high in the section of clothing size smaller than average clothing size. The distribution in cases of wearing larger than correct size was high in the section of clothing size larger than average clothing size. Nex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ferred fit and each factor to select the input variable of the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upper inn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two items of perceived body shape, five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five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Lower inn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two items of perceived body shape, six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six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Upper out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one item of perceived body shape, three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three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Lower out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two items of perceived body type, five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four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Third, the preferred fit prediction per type of clothing was composed of a single-, a multi-, and a major-factor model, and their performanc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a model which inserted 37 input variable items simultaneously was compared. The single-factor model is composed of just a single factor, the multi-factor model consists of a basic model composed of basic body measurements combined with other input variable factors, and the important factor model is composed of the basic model and important items per each factor. The performance of a model was evaluated and compared by constructing a total of 40 models made up of 10 for each type of cloth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the model consists of test data of the macro F1 score and the F1 score per preferred fit type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larger and balanced the value, the better the performance. Major-factor Model 9 for upper innerwear, Model 6 for lower innerwear, Model 10 for upper outerwear, and Model 9 for lower outerwear were selected as the final models. The simultaneous input model exhibited overfitting in all types of clothing while a result was shown where classification was omitted for lower innerwear and upper outerwear, and it was therefore evaluated that the final model was excellent in terms of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in all types of clothing. The model that implemented extraction of major factors generally exhibited outstanding performance as the final model. Fourth, the inclination of preferred fit according to each attribute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forming the final model and the preferred fit. The abdomen for upper innerwear, abdomen and the entire body for lower innerwear, and abdomen for upper outerwear were determined as the important attributes, while it was shown that those perceived as “fat” in each body part preferred larger than correct size, and those perceived as “slim” in each body part preferred smaller than correct size. Perceived level of the lower body affected lower outerwear, and behavior of wearing smaller than correct size was exhibited when the lower body was perceived as average or sli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 consumers choose clothing sizes that can supplement or express the body shape that they perceive. Therefore, when predicting preferred match according to the basic body measurement, personal level of perception in terms of specific body parts such as the abdomen, entire body, or lower body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constructed various models for predicting preferred fit utilizing multi-layered perceptron, which is a type of neural network, and suggested final models for each type of clothing by finding the attribute that improved the prediction performance through comparing each model’s performances. In addition, it was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is affected more by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than the number thereof. Determining how to collect and fabricate as well as which data to use is of utmost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utilization of the system. However, difficulties arise in data collection and acquisition when constructing a clothing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lothing and body measurement data to increase the accuracy.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result lies in that a prediction model with enhanced accuracy was deduced through utilizing just a simple survey on perceived body shape, and a minimal amount of body measure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erve as the basis of the clothing size recommendation system capable of recommending preferred size of clothing according to preferred match, as well as simplifying the procedure of providing and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clothing sizes to consumers experiencing challenges in choosing the right size in an online environment.

      • 회화에 나타난 농민상 연구 : 밀레와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밀레와 본인의 작품에 나타난 농민상에 대한 회화적 연구이다. <만종>이나 <이삭 줍는 여인들>로 일반인에게 잘 알려진 밀레는 19세기 중반부터 농민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하여 농민화가라는 애칭이 붙을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본인도 밀레와 같이 농민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작품을 제작하고 있으므로, 밀레의 회화세계를 탐구하고 본인의 작품과 비교, 분석하면서 작품에 표현하고자 했던 농민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서구의 회화사에서 농민을 주제로 한 그림은 중세에 귀족들의 달력에 삽화형식으로 그려진 세밀화를 시작으로 16~17세기에는 플랑드르나 네덜란드의 풍속화에서 그 전형을 찾아 볼 수 있으나, 하층민을 표현한 풍속화에는 등장인물의 세속적 면을 주로 묘사하여 감상자의 우월감을 만족시켜주려는 저의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서구의 사회가 근대화하여 가던 1830년대와 40년대에는 농촌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상당히 많이 제작하였다. 대부분의 작품들이 농촌의 지형적 특징이나 풍습, 농민들의 옷차림에 세밀한 관심을 두는 종류의 그림들이었거나, 또는 전원적 분위기에 농민들을 하나의 소도구로 등장시키는 그림들이었다. 그러나 밀레는 이런 분위기와는 다른 새로운 농민상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작품에서 일하는 농민은 장엄하게 펼쳐진 배경 속에서 소도구가 아니라 전면에 주제로 부상하였고, 비록 몰골은 누추하지만 엄숙하고 숭고하게 표현하여 한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기념비적인 인간의 전형으로 창출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노동의 가치를 인식시키려는 듯, 농부들에게 단순히 묘사적인 현실성을 넘어 연민의 정과 고귀함을 부여하고 있다. 우리는 과거 오랜 세월 농업을 기반으로 살았지만 밀레와 같은 농민화의 전통을 갖고 있지 못한다. 그것은 노동을 천시했던 경향과 서구미술의 유입단계에서부터 사실주의(事實主義)의 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사회 환경적 요인에서 비롯한 것일 터이다. 본인의 작품에 등장한 농민상은 단순한 노동의 현장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땅에 대한 깊은 애착을 가지고 살아가는 농민들의 의식을 담아내고자 한 것이다. 기계화 문명으로 비인간화의 절정을 달리는 사회 현실 속에서, 아직도 농촌은 땅을 생명의 젖줄로 생각하고 서로간의 공동체적 의식과 신뢰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정이 흐르는 소박한 삶의 현장이다. 여기에서 느끼는 삶에 대한 진정성과 암울한 농촌의 현실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땅을 지켜내려는 의지, 아직도 남아있는 공동체적 미풍양속을 표현의 모티프로 삼았다. 밀레와 본인의 작품에서 보이는 공통점은 경험적 삶에 근거한 현실의 재현이며, 농민의 애환이나 생활상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고 예술로서 동참하고자한 것이다. 이 논문으로, 밀레가 시류에 영합하지 않고 일관한 주제로 자신의 예술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을 거울삼아 본인의 작품이 더 나아진 방향으로 상승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conducted on the peasant life appearing in the works of Jean Francois Millet as well as my own paintings. Millet, well known even to the general public for "The Angelus" and "The Gleaners," painted a series of peasant-themed pictures from the mid-19th century and enjoyed popularity under the nickname of 'a painter of peasants.' I, who, just like Millet, have worked on paintings representing realistic peasant life conducted research on the peasant life represented in the works by studying and analyzing Millet's paintings and comparing them with mine. Throughout the Western history of art, the stereotypes of paintings representing peasants were seen at first in the Middle Ages in the form of illustrations drawn for the calendars of the nobility as well as during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 the genre painting of Flanders or Netherlands. However, most genre paintings depicting the lower class were drawn to satisfy the audience's superiority by showing mainly the scummy side of the subjects. In the 1830s and 1840s when Western society was being industrialized, a lot of paintings depicting farming towns were made, most of which reflected the interests in the geographical features or customs of the farming towns, or the apparel of the farmers, or used farmers as a prop to endow those paintings with a rural atmosphere. In contrast, Millet suggested a whole new concept of peasant paintings. In his works, working peasants were represented as a main theme up front against magnificent surroundings, not a prop, and so they were transformed into a type of monumental human being solemn and sublime in spite of their ugly appearances. It seems like he wanted to heighten the value of labor through his work by granting pity and nobleness to the farmers beyond mere representative reality. We don't possess the tradition of peasant painting like Millet even though our society had long existed based on farming. Our tendency to disregard labor, and our social-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the failure of the settlement of realism right from the stage of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rt. contributed to this. Through my paintings I tried to present not simple labor done by farmers but the awareness of the farmers who have deep affection toward the land. In this world mechanized and falling into decay, farming areas are still the scene of simple life where land is regarded as the lifeline and where there is basic affection based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rust for each other. I chose as the theme of my work the sincerity toward life, the will to keep the land against the grim reality of rural life, and the remaining public morals of the community. What the works of Millet and mine have in common is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based on empirical life,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peasants' life through art with an affectionate look at their joys or sorrows and lifestyle. Thanks to this paper, I would like to take Millet, who did not jump on the bandwagon but instead tried to build his own art world consistently, as an example to help my work for the better.

      • 한국 단청의 꽃문양을 응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trend of the fashion in global village is to endeavor to develop local culture and tradition in contemporary way. It is significant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patterns, giving important effect on the trend in the world fashion by Oriental colors and patterns due to convergence of the East and the West in globalized modern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publicity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 style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t the time of the opening of international events frequently and the increase of Koreans’ wedding abroad. Considering such points,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pattern style to reinterpret the tradition combined with modern techniques, by selecting wedding dress in the fashion having traditional Korean properties and appropriate to such events and applying floral patterns in various colors to laser cutting technique. The conclusion from manufacturing the work is stated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hapes of floral patterns in various colors, which had the original Korean symbolism, unlimited possibility to create pattern design in modern sense could be found by stylizing simple image delicately. Second, by applying aesthetic formality of Korean floral patterns in various colors to wedding dress through contemporary re-composition, the availability for wedding dress design in modern image could be found. Third, simple floral patterns could be expressed in modern sense delicately and elaborately by laser cutting technique used for main expression technique for the patterns, showing pattern effect in combination of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Last, by introducing laser cutting technique to artificial leather material, perspective effect was expressed showing transparent through the cutting section, and the emphasis on motive and pattern effect were maximiz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study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would be competitiveness to create new beauty in contemporary fashion. Traditional beauty of various colors was composed again in modern way by utilizing floral patterns of various colors and applying laser cutting technique to wedding dress. Traditional and modern dresses and laser cutting technique that were utilized to this study would be acceptable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as a moment to accord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raditional image by a new sight in combination of traditional Korean cultural elements and wedding dress. 현대사회가 국제화되면서 세계 패션경향은 지역 문화나 전통을 재해석하여 현대적으로 이를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디자인 산업에서도 전통문화를 현대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재해석함으로써 실용적이고 독창성을 갖는 디자인의 개발과 차별화를 추구하였다. 우리의 전통문양은 민족의 정서와 얼이 깃들어 있는 아름다운 미술자료이며 다채로운 색상의 장식성과 고유의 상징성이 있다. 그러므로 전통문양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은 우리문화의 주체성을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소재와 기법을 통해 시대적 흐름에 따른 현대적 감각을 새롭게 조명하고 발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단청은 2천년 이전부터 고분, 공예품, 건축물 등에 다양하게 그려졌으며 회화와 같이 시대적 변천 과정을 거치며 예술적 창조력을 발휘해온 중요한 전통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웨딩드레스 디자인의 모티브로 한국단청의 꽃 문양을 선정하였다. 단청 꽃 문양을 주된 요소로 사용하여 단청 꽃 문양의 미적 조형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고, 모티브를 레이저 컷팅 기법에 적용하여 현대적 기술을 접목시켜 작품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웨딩드레스 디자인에 있어 우리 민족의 정서와 미의식이 반영된 현대적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창출하고 이 디자인이 국내외 예식, 행사 때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전통미를 나타내는 패션의 표현 방식의 확대를 도모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으로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단청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단청의 꽃 문양 대해 살펴보았다. 단청의 꽃 문양의 형태와 구성방식을 조형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디자이너의 작품사례를 통해 전통미를 표현고찰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기법으로 사용된 레이저 기법을 조사하여 레이저의 개념과 특성, 레이저의 응용분야, 레이저 컷팅 기법의 특성 및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웨딩드레스의 정의와 역사를 알아보고 인터넷 정보 사이트 및 국내, 국외문헌 패션 컬렉션 자료를 통하여 단청문양을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과 꽃 문양을 응용한 웨딩드레스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한국단청 꽃 문양의 이미지를 창작하여 새로운 모티브를 재구성하고 레이저 컷팅 기법을 이용하여 총 8벌의 웨딩드레스를 디자인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고유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단청 꽃 문양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단순하고 간결한 이미지를 현대적 감각의 문양디자인의 무한한 창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 단청 꽃 문양의 미적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웨딩드레스에 응용함으로써 모던한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디자인에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문양의 주된 표현기법으로 사용된 레이저 컷팅 기법은 단청의 간결한 꽃 문양을 현대감각으로 섬세하고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었으며 전통미와 현대 미가 결합된 문양효과를 나 타 낼 수 있었다. 넷째, 레이저 컷팅 기법을 인조가죽 소재에 도입함으로써 컷팅 된 부분을 통하여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여 투시성의 효과를 표현할 수 있었으며, 또한 모티브 강조와 문양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고유의 문화적 요소와 현대적 디자인 요소가 결합하여 전통이미지를 새로운 시각으로 표현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전통요소에 첨단의 기술과 독특한 소재를 접목한 본 연구는 패션분야에서 새로운 시도로 주목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단청이라는 전통적인 요소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여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예술적 가치가 높은 오트쿠트루적인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 전남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 상자는 1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육아휴직 후 복직하여 1년 이하로 근무하는 간호사이다. 자료수집은 G 광역시와 J도의 상급종합병원 3곳, 종합병원 6곳에서 2023년 7월 7일부터 8월 7일까지 총 156부 자료를 수집하였고, 14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직무 및 육아 관련 특성,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 직무배태성의 도구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평점 5점 만점 3.61±0.65점이었으며, 일과 삶의 균형 점수는 평균 평점 6점 만점 2.29±0.96점이었고, 그릿 점수 는 평균 평점 5점 만점 2.94±0.38점이었으며, 대상자의 직무배태성 점수는 평균 평점 5점 만점 3.15±0.43점이었다. 2. 본 연구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와 육아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배태 성의 차이를 확인해 보면 임상 경력(t=-2.09, p=.039), 육아휴직 사용이 삶 의 도움(t=-2,62, p=.010), 사직충동 빈도(t=2.59,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 직무배태성 간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일과 삶의 균형(r=.27, p=.001), 그릿(r=.27, p=.001)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스트레스(r=-.18, p=.033)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그릿(β=.19 p=.017)로 나 타났으며, 이 요인은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15.7% 설명 하였다(Adj.R²= .157, F = 4.45, p<.001).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그릿으로 확인되 었다. 따라서 간호조직은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사의 열정과 지속적인 노력이 포기하지 않도록 임상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배태성 향상을 위해 복직 전 업무환경에 대한 교육과 적응을 위한 정책적, 조직적 지원이 필요하다. 주요어 : 직무배태성,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

      • 식생활을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정선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식생활을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과 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식생활과 관계있는 환경교육 지도요소를 이용한 환경프로그램을 개발, 둘째, 식생활을 이용한 환경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수원시 H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58명이다. 3학년 2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개 학급과 비교집단 1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먼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환경소양 검사지를 통해 환경소양 정도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아무런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고 두 집단의 환경소양 측정을 위하여 환경소양 검사지를 통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과 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식생활과 관계있는 환경교육 지도요소를 이용하여 식생활을 이용한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식생활을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환경소양 전체에 있어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식생활을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환경소양에 대한 지식, 정서, 행동영역의 향상을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식생활을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환경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가 확인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 어린이의 환경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dietary life. On this study,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upon dietary life have been applied to third graders to see how they affects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and specific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nvironment and dietary life shall be clearly defined. Also, an environment program us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aching elements related with dietary life shall be developed. Second, such program shall be applied to elementary students to research on its influence. Total of 58 students with the third grade of H elementary school in Suwon, Geonggi Province attended this program. These students were in two different classes. A class was chosen as a control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chosen as a test group. Before applying the programs, environmental literacy surveys were handed out to both groups to check their general environmental literacy status. Then, as for the test group, the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applied, and for the control group, test procedure was not applied. Later, another environmental literacy inquiries were surveyed on both groups to compare results.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of all, we could define a relationship between an environment and dietary life as well as use environment educational teaching elements related to dietary life to develop the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dietary lif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environmental recognit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est group. Third, the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dietary life could enhance knowledge, emotion and activity about an environment. As a conclusion, the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 could confirm its value as an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and it could bring out positive influence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third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 알콜중독 치유를 위한 목회적 돌봄

        정선영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가 사는 지구촌은 국제화를 넘어 세계화를 향해 나가고 있다. 지구촌은 하나의 거대한 시장이 되고 있고 국가와 단체와 개인은 무한경쟁 시대 속에 살고 있다.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나 약육강식의 힘의 논리가 적용되는 정글과 같다. 있는 자는 더욱 부와 힘이 강해지고 없는 자는 있는 것 마저 잃게 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런 시대 상황 가운데서 경제 위기와 맞물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가정은 무너져 내리고 있고 상처 입은 심령들은 알콜, 도박, 게임, 경마 등으로 어두운 뒷골목을 방황하고 있다. 수많은 중독자가 급증하는 시대에 의학과 교회는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의 교회는 양적으로 성장하고 건물은 높아지고 있다. 예배는 거룩해 보이고 은혜가 있어 보이지만, 그 곳에서 예배드리는 사람의 마음과 영혼은 황폐해지고 있고 인격과 삶이 변하지 않고 있다. 아픈 마음을 달래기 위해 찾은 알콜과 도박과 게임 등이 그들을 중독으로 내몰아 벼랑에 세우곤 한다. 앞으로의 사회는 각양의 중독의 모습이 현저히 드러나게 될 터인데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중독의 원인과 진행과정, 그리고 그 결과와 더불어 여러 가지 치유법을 찾도록 노력하였다. 특별히 중독은 질병이면서도 역기능적 심리사회적 체계에서 비롯된 징후이기도 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독은 인간의 타락한 본성에서 비롯된 죄의 역동성이 그 안에 숨어있다. 영적 교만에 기인한 하나님과의 관계 단절로 시작된다. 따라서 알콜 중독의 치료와 회복은 궁극적으로 영적회복을 뜻하며 이것은 기독교 사역자가 알콜 중독사역에 임해야 하는 절대적 이유이다. 알콜 중독은 개인을 황폐케 할 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실로 막대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사회경제적 여건의 발달과 서구화 되어가는 현상으로 인하여 알콜 소비량과 알콜 중독의 발생률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알콜 중독자의 발생 범위도 청소년들과 여성들에게까지 확장되는 실정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치료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접근방법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시급하다 할 수 있다. 알콜 중독을 치료하는데 있어 영적 접근은 종교와 의학은 분리될 수 없으며 함께 조화를 이뤄 도와야하는 진정한 통합 치료법이다. 이것은 현재 이뤄지고 있는 치료법들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온전한 영혼육의 치유를 꾀하여 평생 지속되는 단주의 삶이 곧 그리스도에게로 가는 성화의 길로 변화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목회상담이 중독을 치유할 수 있는 한 분야이다. 궁극적으로 목회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하나님과의 화해(고후 5:20)를 목표로 내담자의 내면의 정서적 삶과 외부의 생활을 하나님과의 화해 속에서 조명해 볼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이것이 곧 상담자의 역할이며 또한 상담의 목표인 관계회복을 통한 자아발견의 영적 성숙으로 나아가는 길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이들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하며 회복과 치유를 통한 구원 역사를 이루는 일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런 목적으로 미미하나마 알콜 중독 접근에 관한 성경적 개념 정립과 중독의 치유에 대한 두 가지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즉, 목회상담과 내적치유이다. 알콜 중독자의 치유 방법으로써 입원치료나 단주친목(A.A)을 살펴보았으나, 이 방법들을 통해 완치가 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습관적인 음주에 대한 단주를 했다 할지라도 마음 깊은 곳에 남아있는 상처와 부패한 죄성 때문이다. 목회상담이 가지고 있는 독특하고 매우 중요한 자원을 두 가지 꼽으라면 치유 공동체로서 교회와 성경이다. 정기적인 기도와 말씀 읽기와 성령을 더 사모하고 내 속에 하나님의 임재하심을 믿는 것이다. 예배와 말씀과 기도를 통해 성령님의 만지심으로 치유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내적치유를 통해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도록 하여 지속적인 돌봄을 통해 굳건히 세워나감이 필요하다. 하나님을 믿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주 안에 사는 삶이 가장 최상의 치료법이라고 믿는다. 전도서를 보면,「저는 그 생명의 날을 깊이 관념치 아니하리니 이는 하나님이 저의 마음의 기뻐하는 것으로 응하심이니라(전 5:20)」하였다. 곧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는 선하신 하나님이 가장 복된 길로 인도하실 것을 믿기에 실패했던 삶, 가슴 아픈 삶을 마음에 두지 않고 일어설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길만이 중독의 늪에서 빠져 나올 수 있는 지름길이다. 역대하 16장 9절 상반절을 보면, 하나님은 전적으로 의지하는 자를 찾아 “능력을 베풀어 주신다”고 했다. 이 말은 강하게 하신다, 또는 돕는다는 의미를 갖는다.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자는 하나님이 강하게 하심으로 중독에서 빠져 나올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중독자는 습관과 어떤 권세에 잡혀 있는 자이고 영적으로 눌려있는 상태이다. 스스로의 힘으로 그 늪지대를 빠져 나올 수 없다. 인간의 도움, 과학, 상담이 약간의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완벽하게 꺼내 주지는 못한다. 붙잡고 있는 권세와 가두고 있은 옥문을 부숴버릴 수 있는 강력한 권세와 능력의 도움을

      • 중환자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discriptive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as well 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erformanc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21 nurses with over 6 months of experience working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measur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6th to 16th, 2021.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ost-hoc tests were performed using Scheffé's test.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n self-leadership was 3.66±0.40 (perfect scores=5). The average scores on the sub-areas of self-leadership were, 3.93±0.58, 3.79±0.69, 3.62±0.50, 3.62±0.50, 3.59.±0.85, 3.52±0.68, and 3.48±0.61 for self-reward, rehearsal, self-expectation, self-criticism, self-goal setting, and constructive thinking, respectively.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5.06±0.62 (perfect scores=7) on an average. The average scores on the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5.31±0.75, 5.21±0.82, 4.89±0.85, and 4.83±1.01 for other’s emotion appraisal, self-emotion appraisal, use of emotion,and regulation of emotion, respectively.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59±0.37 (perfect scores=5) on an average. The average scores on the sub-areas of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4.35±0.82, 3.83±0.54, 3.68±0.51, 3.66±0.39, and 3.05±0.65 for nursing independence, role of nursing profession, nursing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ocial awareness,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on the nursing performance was 3.11±0.29 (perfect scores=4). The average scores on the sub-areas of nursing performance were, 3.17±0.32, 3.12±0.37, 3.04±0.35, and 3.03±0.39 for nursing ability, nursing process application, nursing attitude, and nursing improvement, respectively. 2.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leadership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2.64, p=.009). Regarding emotional intelligence, none of the ite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t=3.22, p=.002), and age (F=3.79, p=.025). Nursing perform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t=2.39, p=.018), age (F=20.62, p<.001), marital status (t=-2.94, p=.004), educational background (t=-4.05, p<.001), total experience (F=11.95, p<.001), ICU experience (F=12.44, p<.001), and work department (F=3.33, p=.026). 3. In this study,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rsing performance. Self-leadership (r=.41, p<.001), emotional intelligence (r=.31,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4, p=.007)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erformance. 4.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were ICU experience (β=-.418, p<.001), self-leadership (β=.297, p=.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β=.173, p =.046), with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34%.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degree of ICU career,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ICU nurses, the higher the nursing performance. To effectively improve nursing performance and manage nursing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organizational measures to maintain the career of nurses in the ICU.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and coaching program that improve the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es in the ICU and train them to exercise in nursing cas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of nurses in the ICU, which have not been studied previ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line for constructing efficient measures to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the ICU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성과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상급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21명이다.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성과는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2021년 12월 6일부터 2021년 12월 16일까지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성과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é’s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성과 정도 본 연구에서 셀프리더십 정도는 평균 3.66±0.40점(5점 만점)이었고 셀프리더십 하위영역의 평균은 자기보상 3.93±0.58점, 리허설 3.79±0.69점, 자기기대 3.62±0.50점, 자기비판 3.59±0.85점, 자기목표설정 3.52±0.68점, 건설적 사고 3.48±0.61점 순이었다. 감성지능 정도는 평균 5.06±0.62점(7점 만점)이었고 타인감성인식 5.31±0.75점, 자기감성인식 5.21±0.82점, 감성활용 4.89±0.85점, 감성조절 4.83±1.01점 순이었다.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평균 3.59±0.37점(5점 만점)이었고 간호 독자성 4.35±0.82점, 간호계 역할 3.83±0.54점, 간호 전문성 3.68±0.51점, 전문직 자아개념 3.66±0.39점, 사회적 인식 3.05±0.65점 순이었다. 간호업무성과 정도는 3.11±0.29점(4점 만점)이었고 간호업무능력 3.17±0.32점, 간호과정적용 3.12±0.37점, 간호업무수행태도 3.04±0.35점, 간호업무수준향상 3.03±0.39점 순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성과의 차이 본 연구에서 셀프리더십은 학력(t=-2.64, p=.00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전문직관은 성별(t=3.22, p=.002), 나이(F=3.79,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성과는 성별(t=2.39, p=.018), 나이(F=20.62, p<.001), 결혼 여부(t=-2.94, p=.004), 학력(t=-4.05, p<.001), 총 경력(F=11.95, p<.001), 중환자실 경력(F=12.44, p<.001)과 근무 부서(F=3.33, p=.02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은 모두 간호업무성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r=.41, p<.001), 감성지능(r=.31, p<.001), 간호전문직관(r=.24, p=.007)은 간호업무성과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인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중환자실 경력(β=-.418, p<.001), 셀프리더십(β=.297, p=.001), 감성지능(β=.173, p=.046)으로 확인되었고 총 설명력은 34%이었다. 본 연구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경력,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의 정도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았다.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조직 관리를 위해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력 유지를 위한 조직적 차원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감성지능을 발달시키고 간호 상황에서 발휘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교육 및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중환자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를 규명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추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병원간호사의 감염예방행위 중 손위생에 관한 구조모형

        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손위생 이행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로 이루어진 가설적 모형이 손위생 이행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병원간호사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12월부터 2011년 1월까지였다.본 모형에서 사용된 요인은 계획된 행위 이론을 구성하는 행위신념, 규범신념, 통제신념과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 손위생 이행 의도, 손위생 이행 행위 등 총 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SAS PROC CALIS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통계량(X2), 적합지수(GFI), 조정적합지수(AGFI), 표준적합지수(NFI), 비교적합지수(CFI) 등의 전반적인 적합지수를 기준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임상 경력은 83.25개월(약 6.9년)이었고 90.1%가 일반간호사였다. 손위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2점 만점에 평균 8.18점이었다. 2. 신념 요인의 평균평점은 규범신념 2.46점, 행위신념 2.27점, 통제신념은 -0.72점 순이었다. 핵심 요인의 평균평점은 주관적 규범 2.38점, 행위에 대한 태도 1.42점, 지각된 행위 통제 1.17점 순이었고 손위생 이행 의도는 5.63점이었다. 대상자의 손위생 이행률은 74.89%이었다. 3. 연령(F=5.62, p=.004)과 임상경력(F=3.01, p=.002)에 따라 행위신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임간호사(t=4.50, p=<.001), 수간호사(t=2.63, p=.009)와 동료간호사((t=3.08, p=.002)가 손위생 규정을 지키는 편이라 인식한 군에서 행위신념이 높았고, 주임간호사(t=2.27, p=.024), 의사(t=2.05, p=.042)와 동료간호사(t=2.54, p=.015)가 손위생 규정을 지키는 편이라 인식한 군에서 규범신념이 높았다. 4. 본 연구변수의 적합도 지수는 X2은 57.81 (p< .001), GFI는 .999, AGFI는 .999, NFI는 .933, CFI는 .947로 가설적 모형과 실제 자료가 전반적으로 적합하였다. 모형 내 예측 변수들에 의한 손위생 이행 의도에 대한 설명력은53.5%, 손위생 이행 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11%이었다. 행위신념이 긍정적일수록(β=.922, t=13.186, p< .001) 행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규범신념이 강할수록(β=.593, t=10.405, p< .001) 주관적 규범의 정도가 높고, 통제신념이 강할수록(β=.834, t=11.583, p< .001) 지각된 행위 통제의 정도가 높았다. 행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β=.316, t=3.083, p= .004), 주관적 규범(β=.118, t=2.257, p= .028)과 지각된 행위 통제(β=.414, t=5.319, p< .001)의 정도가 높을수록 손위생 이행 의도가 강하였고, 손위생 이행 의도가 강할수록(β=.237, t=3.269, p< .001) 손위생 이행 행위의 정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사의 손위생 증진 전략을 구상할 때 간호사의 손위생에 대한 행위신념, 규범신념, 통제신념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손위생 이행도를 높이고 손위생 증진 전략의 효과를 지속시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implementation of hand hygiene behavior,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clinical nurses, establish a hypothetical model consisting of such factors and verify whether it is suitable to predict and explain hand hygiene behaviors of a clinical n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253 clinical nurses who were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Chungcheong-Do, Jeonla-Do and Jeju-Do from December 2010 to January 2011. Eight facto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ehavioral beliefs, normative beliefs, control belief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sion and implementation of hand hygiene behavior, which are all element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Fitness of the study model was verified with SAS PROC CALIS, based on overall goodness of fit index such as X2, GFI, AGFI, CFI and NFI.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s of belief factors were 2.46 for normative beliefs, 2. 27 for behavioral beliefs and -0.72 for control beliefs. The mean scores of key elements were 2.38 for subjective norm, 1.42 for attitude and 1.17 for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mean score of intention was 5.63 while hand hygiene compliance rate was 74.89%.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beliefs according to age (F=5.62, p=.004) and clinical experience (F=3.01, p=.02) of participants. The strength of behavioral beliefs in the group which recognized that charge nurse (t=4.50, p=<.001), head nurse (t=2.63, p=.009) and peer nurses (t=3.08, p=.002) well followed hand hygiene policies was high. 3. The overall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good in general. The fitness of indices were X2 = 57.81(df=13, p<.001), GFI = .999, AGFI = .999, CFI = .947, NFI = .933. The variance of intention of hand hygiene by predictor variables was 53.6%, the variance of actual implementation of hand hygiene was 11%. Attitude was affected by behavioral beliefs (β=.922, t=13.186, p< .001), subjective norm was affected by normative beliefs (β=.593, t=10.405, p< .001)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was affected by control beliefs (β=.834, t=11.583, p< .001). Intention of hand hygiene was affected by attitude (β=.316, t=3.083, p= .004), subjective norm (β=.118, t=2.257, p= .028)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β=.414, t=5.319, p< .001). Hand hygiene implementation was affected by the intention of hand hygiene (β=.237, t=3.269, p< .001). In conclusion, measures to strengthen behavioral beliefs, normative beliefs and control belief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hand hygiene improvement strategy. Continual efforts on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by improving hand hygiene compliance and keeping the effects of hand hygiene improvement strategy should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