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IP에 의한 TiN, TiAlN 박막의 물리적 특성 및 부식특성 연구

        정상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일반적으로 Ion-Plating법에 의해 형성된 경질 박막은 종래의 진공증착이나 습식 도금에 비하여 밀착력이 뛰어나며, glow discharge에 의한 활성화 효과로 균일한 화합물 막을 쉽게 얻을 수 있어 제품의 수명향상을 위한 표면처리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이캐스팅 금형에 많이 이용되는 STD61강은 고온에서의 변형 저항이 크고, 기계적 및 열충격에 강하며,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STD61강은 다이캐스팅시에 Al 및 Mg 용탕과 반응하여 금형표면이 침식되어 금형수명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금형표면에 소착이 발생하여 제품의 치수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밀착력이 매우 우수한 TiN, TiAlN 박막을 Ion-Plating법으로 증착하여 금형 수명을 연장시키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c Ion Plating을 이용하여 25.4㎜ 원판형 STD61모재 위에 TiN 및 TiAlN의 박막을 증착하였다. 박막의 조성 및 특성은 EPMA, XRD, SEM, Scratch Adhesion Tester, 미소 경도계, Nano-Indento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Potentiostat를 이용하여 NaCl 및 HCl 수용액에서의 박막의 표면 부식 특성을 조사하였다. TiN, TiAlN 박막의 모재와의 밀착력은 약 21N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미소 경도는 TiAlN, TiN 박막이 각각 2,266Hv, 1,000Hv으로 TiAlN이 TiN보다 높은 경도값을 나타냈다. NaCl, HCl 수용액에서의 내부식 특성의 경우 박막을 증착하지 않은 STD61강의 경우 TiN, TiAlN박막을 증착한 시편에 비해 모든 수용액에서의 부식특성이 현저히 저하하였다. 1mol의 HCl 수용액에서 Galvanic Corrosion법을 이용하여 Al 및 Mg에 대한 TiN, TiAlN 박막의 내부식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재인 STD61의 경우 Al 및 Mg에 대한 내부식 특성이 매우 나빴으나, 코팅을 함으로써 내부식 특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TiAlN이 TiN보다 조금 우수한 내부식 특성을 보였다 Al 용탕에 의한 침식 특성의 경우 일반 STD61 모재에서는 Al에 의한 침식이 TiN 및 TiAlN 박막을 증착하였을 경우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In general, thin films by ion-plating have a good property such as adhesion, hardness compared to other plasma and wet process. Thus the studies which are to enhance the lifetime of product have been progressed to achieve the uniform films using the active effect by glow discharge. STD61 is a versatile chromium-molybdenum hot work steel that is widely used in hot work and cold work tooling applications. The hot hardness of STD61 resists thermal fatigue cracking which occur as a result of cyclic heating and cooling cycles in hot work tooling applications. Because of its excellent combination of high tough and resistance to thermal fatigue cracking STD61 is used for more hot work tooling applications than any other tool steel. But in aluminium die casting, tools are exposed to erosion, corrosion and soldering due to the frequent contact of the tool surface to the casting alloy, to heat checking and gross cracking. The gradual destruction of die surfaces during service decreases casting piece quality and limits die lifetime. Hard coatings based on nitrides of transition metals may protect the steel surface from erosion and soldering of aluminium and improve the resistance against thermal cracking. In this study, TiN and TiAlN films are deposited onto STD61.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in film are examined by EPMA, XRD, SEM, Scratch Adhesion Tester, Micro-Vickers tester and Nano-Indentor. And surface corrosion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at NaCl, HCl solutions using Potentiostat. Adhesion of all films is about 21N, but micro-hardness value of TiN and TiAlN are 1000Hv, 2266Hv. There is little difference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films, but corrosion resistance of STD61 is poorer. Corrosion resistance of films for Al and Mg is examined in HCl solution(1mol) by Galvanic Corrosion Test. corrosion resistance of STD61 is very poor compared with STD61 coated TiN, TiAlN films. Erosion property of STD61 by molten Al was poor, but after coating of TiN and TiAlN film those were improved.

      • 濟州島 濕地의 水棲昆虫 群集 特性 : 分布 樣相과 高度에 따른 種 多樣性

        정상배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wenty-four wetlands including crater lakes of Jeju Island were surveyed from 2004-2008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indigenous aquatic insects, examine the dynamics of species diversity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and test the Rapoport' rule on the aquatic insects commun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below. 1. Overall, 3327 individuals comprising seven orders, 31 families, 68 genera, and 92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24 surveyed sites. The site with the most varied number of species(n=50) was Dongbaekdongsanmot. Saraak displayed the most abundant number of individuals(n=534). Generally, the lowlands and midlands contained many species, with few in the highlands. 2. One species of the genus Ephemeloptera, 23 of the Odonata, one of the Plecoptera, 21 of the Hemiptera, 41 of the Coleoptera, three of the Trichoptera, and two of the Diptera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3. Lyriothemis pachygastra was found in 19 sites, and the most widely distributed species in 24 sites, followed by Ischnura asiatica, and Sigara substriata(n=18 sites for both), and Anax parthenope, Orthetrum albistylum and Anisops ogasawarensis(n=17 sites for both) and Plea (Paraplea) indistinguenda(n=16 sites). In the 7 orders identified, the aquatic insects in the orders Hemiptera and Odonata were most widely distributed, perhaps reflecting their capability of flight and superior adaptation behaviors. 4. Eighteen species including Gynacantha japonica were found only in one site, 14 species including Platycnemis phillopoda were resent in two sites, and five species including Epophthalmia elegans were detected in three sites. 5. Lethocerus deyrollei, the largest aquatic insect inland and an endangered species, was found in 16 lowlands, indicating that Jeju Island wetlands remain a suitable habitat for aquatic insect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such habitats from destruction and pollution-related degradation. 6. Order Coleoptera family Hydrochidae, Hydrochus japonicus Sharp, and the sole species of the order Hemiptera, family Omaniidae, genus Corallocoris, which have not been hitherto reported in Korea were detected in one site. 7. Within 92 species, 71(77.2%) were carnivore, 14(15.2%) were herbivore, 5 (5.4%) were omnivore, and 2(2.2%) were detritivore. 8. The mean value of the dominance index(DI) was 0.245; the highest value was acquired from Muljangol with 0.772. In general, the DI was high in wetlands located in highlands. The mean value of the diversity index(H') was 3.647, with Dongbaekdongsanmot showing the highest value(4.971). Generally, H' of wetlands located in lowlands and midland were high, but those of highlands was relatively low. The mean value of the R' was 5.094, and Dongbaekdongsanmot showed the highest value(9.156). Like the H', the richness index(R') of the lowlands and midland were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those of the highlands. 9. The mean value of the relative density(RD) was 0.673, with the highest value in Mulyeongari(0.906). Generally, the RD values from the midland wetlands were relatively high. The mean value of the evenness index(EI) was 1.165, with the highest value displayed by Suworimot(1.364). 10. Relative abundance(RA) analysis revealed abundant species twice in six sites including Dongbaekdongsanmot, and once in nine sites including Eouksaemimot. Rare species were found 15 times in Muljangol, seven times in Eoseungsaengak, four times in Baengnokdam, three times in Dongsuak, and one in Saraak. Rare species were found only in the sites at higher altitude than the Dongsuak. 11. Abundant species were found four times in Guignotus japonicus, three times in 3 three including Gerris (Gerris) latiabdominis, once in six species including Cloeon dipterum. Rare species were detected twice in six species including Ischnura asiatica and one in 20 species including Ceragrion melanurum. 12. Analysis of Similarity Index(SI) within 24 sites revealed that Saraak and Baengnokdam were similar with a values of 0.19. Within the value 1, 12 major communities were distinguished, and communities of a similar altitude closely grouped together. In contrast, five sites including Geolworimot revealed values that were distant from other sites, showing unique and independent characteristics of aquatic insect community. 13. Species richness of aquatic insects monotonic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 showing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r=-0.64). However, the pattern of species richness with altitude showed a hump-shaped relationship, with a peak in species richness at intermediate elevations when the effects of area were removed. 14. Altitudinal range of specie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ltitud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ltitudinal range size and the midpoint of the range size(Median) except of Hemiptera. 15. The extent of average altitudinal range of high-altitude species was 904.3m, and it was significantly wider than a 469.5m of low-altitude species. Consequently, the species richness of aquatic insects in wetland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strongly supports the Rapoport' rule.

      • 『가시나무새』의 영한 번역시 문장부호 처리 연구 : Colon, Dash, Semicolon을 중심으로

        정상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정보의 홍수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매 순간 정보를 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번역물을 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번역의 전문성을 요하는 것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특히 문학작품의 번역은 표현 과정에서 입체적인 작업을 요하므로 원문과 번역문 사이의 언어적인 차이를 비롯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 중 취약한 영역 중의 하나가 영어와 한국어의 문장부호 처리로서, 언어 체계 간의 차이가 크고 현실적으로 제약이 있으므로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처리방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영어와 한국어의 문장부호를 비교할 때 형태가 비슷하지만 기능과 용법 차원에서는 차이가 있다. 특히 콜론(:), 대시(―), 세미콜론(;)은 처리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은 영역중의 하나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중심 연구대상으로 택하였다. 논문의 전개는 번역의 정의와 Catford의 등가구현 이론을 살펴본 후 문장부호 처리를 대상으로 삼아 영어의 문장부호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발생하는 문제들을 다루고 이에 대한 대안과 유의점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olleen McCullough의『가시나무새』(The Thorn Birds)를 텍스트로 택하여 이 작품의 문장부호처리가 어떠한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문장부호 중 콜론(:), 대시(―), 세미콜론(;)의 기능과 용법이 잘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연구방법을 제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번역의 정의와 영어문장부호의 기능 및 용법을 Catford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영어 문장부호 중 콜론(:), 대시(―), 세미콜론(;) 처리의 실례로 『가시나무새』(The Thorn Birds)의 우리말 번역본들이 문장부호처리를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영어의 문장부호를 우리말로 옮기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을 가지는 문장부호인 콜론(:), 대시(―), 세미콜론(;)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As it is difficult to translate all punctuation marks in English-Korean, this research sets a limit: the colon(:), dash(─), semicolon(;) of The Thorn Bird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the punctuation marks in ST of The Thorn Birds are translated in TT; and what study can be employed to translate the ST punctuation marks. This research was applied by the author to The Thorn Birds, after finding the pertinent data: colon, dash, semicolon. To help the translation in English-Korean of punctuation marks, the study will carefully examine translation processing. In order to understand work translation, chapter 1 will deal with getting to the research on punctuation marks, chapter 2 briefly rebuilds the concept of punctuation function: colon(:), dash(─), semicolon(;), so that it is basic Research. The colon carry out various functions: illustration, enumeration, apposition, emphasis, supplement, amplification and quotation. The dash also performs many functions: sharp severance, supplementation, amplification, apposition, emphasis, illustration, omission of words, expressive function for an incomplete sentence, stuttering and hesitating. The semicolon may exercise these functions: causal relationship, linking of sentences with a close connection, blocking the confusion of using an other sentence, expressing time passing and using conjunctive adverbs. Chapter 3 deals with how to carry out functions well of punctuation marks: colon(:), dash(─), semicolon(;). The author hopes th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 practical discussion of the translation of punctuation and will offer guidelines for the translation.

      • 각국 군대의 재난지원 실태분석과 한국군의 과제 : 국제재난지원 체제를 중심으로

        정상배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designed to device ways of utilizing the ROK army in response to large-scale disasters. As the underlying environment including scientific development and global warming changes, disasters become so complex and diverse that they inflict on unpredictable and massive damage. Also, inhumane acts such as 9.11 attack, collisions among ethnic groups and religious factions, and international conflict over the natural disasters onto mankind. These arising menaces of local and global terrorist attacks, undermining each nation's pursuit of democracy, stability and social welfare are also considered as disasters and many countries prepare themselves against the man-made disasters. These large-scale disasters, both natural and man-made, require not only restoration efforts of a single nation but also a coordinated response of global community. Futhermore, military support often plays a key role in recovery efforts whose requirements cannot be satisfied by governmental or military support in each country and its actual conduct and the role of military support in cases of disasters. Korea's increased national strength, owing to its skyrocketing economic growth, also begot increased demand from international society of participation in humanitarian assistance, and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how the ROK army should respond and prepare for such a growing voice of aid request. In order to do so, the recent cases of military coordination discussions among the Pacific and far each countries, combined military exercises, and the ROK army support of overseas disasters are analysed. Also, utilization of PKO task forces, enabled by peacetime organization of PKO units into disaster response and restoration is also considered. Korea's heightened national esteem from economic growth and diffusion of Han-Ryu culture syndrome, enable as to play a central role not only in far east but also in the ethic globe. We in the past were much more used to taking than giving, but now it is time for us to look around and fulfill our duty to contribute to world peace. Likewise, it is time for the ROK army to contribute to maintain peace of mankind.

      • 지식공유관점으로 바라본 과학데이터 공개·공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출연(연) 연구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정상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적자금이 투입되어 발생한 과학데이터에 한해서 공공기관 연구자들이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 견해와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시도하였다. 지식공유 이론의 선행연구를 통해 데이터 공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학데이터를 제공하는 입장과 공유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용자 입장 등 두 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지식공유의 요인들을 구조적 요인·관계적 요인·지식특성 요인으로 나누어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연구주체인 출연(연) 소속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데이터 제공자·사용자 관점에 따른 결정요인을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질문구성은 해당요인들이 연구자들의 데이터 공유·활용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하는지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으며, 추가적으로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과학데이터 공유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나 연구기관의 차원에서 추진해야할 방향에 대해서 검토했다. 제공자·사용자 각 관점에서 바라보는 과학데이터 공개·공유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제공자의 경우에는 데이터 공유의 편의성과 수월성, 그리고 데이터 소유권 등이 최소한의 필요조건이었다. 데이터 제공 시 제공자에게 보상 혹은 인센티브가 주어지면 유인책으로 적절할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경우는 데이터의 정확성, 접근성, 사용 시 수월성이 주를 이루었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는 국가차원에서 과학데이터 공유 장려를 위한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용매와 후처리 공정이 SiO_(2) 에어로겔 박막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상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공성에 의한 저유전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에서 층간절연막으로의 응용이 논의되고 있는 물질인 SiO_(2) 에어로겔 박막은 스핀 코팅시에 급격한 용매의 증발로 인하여 공정상의 문제점과 물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며 에어로겔 제조 후에도 잔류하는 수산기에 의해 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상압 건조 SiO_(2) 에어로겔 제조시 널리 사용하고 있는 ethanol 대신 2-methoxyethanol을 사용하여 에어로겔 박막을 제조하여 그 물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초임계건조 후 박막 내에 존재하는 수산기를 제거할 수 있는 공정으로서 silylation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methoxyethanol을 사용하여 박막을 제조하였을 때 점도가 10∼20 cP인 ethanol과는 달리 40∼50 cP 영역에서 코팅이 이루어졌고 스핀 코팅시간을 달리하였을 경우 20초에서 30초 동안에는 표면 형상 및 기공율, 두께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반면에 ethanol을 사용하였을 경우 20초 이후 물성에 크게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20초 동안 스핀 코팅된 SiO_(2) 에어로겔 박막경우에 있어서 RBS 및 FT-IR과 ERD 분석을 통해 2-methoxyethanol을 사용하였을 경우 잔류 유기물과 수산기가 적게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IS 구조에 측정된 유전상수도 1.6으로서 ethanol을 사용하여 제조한 SiO_(2) 에어로겔 박막의 유전 상수인 2.2보다 낮게 측정됨을 알 수 있었다. TMCS (trimethylchlorosilane)와 HMDS (hexamethyldisilazane)을 사용하여 에어로겔의 silylation 거동을 관찰한 결과 n-hexane과의 부피비가 6 vol. %의 TMCS와 12 vol. %의 HMDS 일 때 수산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ilylation 후에 대기 중 수분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ilylation 후 유전 상수가 2.2에서 1.93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대기 중 노출에 따라 관찰되었던 유전 상수의 증가가 silylation 후에는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누설 전류 특성에서도 TMCS나 HMDS로 silylation 처리를 했을 경우에 10^(-2)A/㎠ 정도 감소하였다. SiO_(2) aerogel film has a promising property as intermetal dielectrics (IMD) for its low dielectric constant. However, there are some restricts for its application. A stable and porous SiO_(2) aerogel film was not properly synthesized due to the rapid evaporation of the ethanol(EtOH) during spin coating. So an introduction of stable solvent, 2-methoxyethanol(2MeEtOH) was done to prevent the evaporation of solvent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film. Futhermore, residual hydroxyl group induces the moisture adsorption through hydrogen bonding, which increases the dielectric constant of film. So, silylation using TMCS(trimethylchlorosilane) and HMDS(hexamethyldisilazane) was performed to remove the hydroxyl group. It was revealed that 40∼50 cP was the optimized viscosity range for 2MeEtOH-based aerogel. And from the observation of surface morphology, film thickness and porosity of the film, 2MeEtOH-based aerogel shows a stable property until spin-coating of 30 sec., while EtOH-based aerogel exhibited abrupt property changes. Due to higher coating sol viscosity, 2MeEtOH-based aerogel had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idual -OR, and -OH group. As a result, dielectric constant of 2MeEtOH-based aerogel was lowered due to porosity and small amount of residual group. Effective volumetric ratio of silylation agent with n-hexane was required to maximize the amount of Si-C bonding. Hydrophobic aerogel film can be obtained after silylation with 6vol.% TMCS. And this preserve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aerogel film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to air. Futhermore, leakage current density was lowered about 10^(-2) A/㎠.

      • 풍화대지반에 근입된 헬리컬파일의 연직하중지지개념 및 수치해석결과를 활용한 연직하중지지거동에 관한 연구

        정상배 경성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대형에 따라 구조물 기초도 대형화 되었으며, 최근 많이 시공되고 있는 깊은기초는 현장타설말뚝과 매입공법을 통한 기성말뚝(PHC말뚝 또는 강관말뚝 등)의 시공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장타설말뚝과 PHC말뚝, 강관말뚝 등은 대형 기초이므로 시공장비도 대형화 되었다. 도심지내의 협소공간의 개발이나, 현재 사용 중인 구조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개발에는 대형장비를 이용한 기초의 시공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협소 공간의 개발을 위해 소구경 말뚝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소구경 말뚝 공법의 적용으로 2000년대 후반 한 자리 수에 불과하던 전문시공업체는 2018년 1월을 기준으로 최소 25개 이상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헬리컬 파일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국내에서는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 발현에서 선단부에 장착되어있는 나선형판(Helix)이 역학적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나선형판의 형상 요소들(판의 직경, 피치, 개수, 판 간의 간격 등)이 지지력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헬리컬 파일의 시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현장에서 대두되었던 문제점들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있었고 근래에는 공법의 시공성 향상과 안정적인 지지력확보를 위한 공법의 개선방안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풍화대 지반에 근입된 3개의 파일에 대한 하중전이측정이 수반된 정재하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하여 개별지지방식와 원통형전단방식의 두 가지 거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치해석을 통하여 헬리컬 파일의 거동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샤프트와 헬릭스의 하중분담을 분석하였다. 헬리컬파일을 시공 후 중공부를 통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한 파일(TP-2(g))과 그라우팅을 실시하지 않은 파일(TP-3)의 지지력을 분석한 결과 헬리컬파일 주변부지반의 그라우팅 실시 여부에 따라 그라우팅을 실시한 헬리컬파일의 지지력은 약 1.6배 높은 지지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P-2(g)의 경우 개별지지방식에서는 헬리컬 파일의 머리에 작용하는 총하중의 13%를 샤프트 구간에서 분담하였으며, 원통형전단방식에서는 헬리컬 파일의 머리에 작용하는 총하중의 64%를 샤프트의 구간에서 분담하였다. TP-3의 경우 개별지지방식에서는 헬리컬 파일의 머리에 작용하는 총하중의 0%를 샤프트의 구간에서 분담하였으며, 원통형전단방식에서는 헬리컬 파일의 머리에 작용하는 총하중의 5%를 샤프트의 구간에서 분담하였다. As the sizes of buildings and the structures have become bigger, foundation method also have become grand. Currently, the use of existing piling (PHC pile or steel pipe pile) through case-in-pile and augered piling method are increasing. However, PHC pile or steel pipe pile are large scale construction so they need big piling equipments, hence, constructions are only limited to big areas. In need of tackling dense urban areas and remodelling of currently-in-use buildings, small-diameter piling method have been developed. Since applying small-diameter piling, the number of companies specialized in this area have increased to more than 25 (January, 2018) compared to year 2000 when there were only less then 10, resulting in increasing the studies on helical piles. Nationally, the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mechanical effectiveness of helix in bearing capacity and how its shape(diameter, pitch, number and space between the helix) is correlated to bearing capacity. As the use of helical piles have increased, the focus has shift to fixing problems faced in construction process so at present, construction method is focusing on increasing contractibility and bearing capacity. With the aim of proving load bearing behavior of 3 helical piles instilled in weathered zone, Individual bearing method and Cylindrical sheer-method based on static load test and numerical analysis are analyzed. Then helical piles behaviors and load distribution of shaft, helix a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The test showed that the pile with grouting inside(TP-2(g)) after instillation showed more bearing than piles without grouting(TP-3) by 1.6 times. For Individual bearing method, TP-2(g) had 13% of its total bearing on the shaft which is the head of the helical pile, whereas in Cylindrical sheer-method, shaft beared 64% of its total weight. TP-3, with Individual bearing method had 0% of bearing on the shaft whereas in Cylindrical method, 5% of its total weight was beared on the sha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