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식관광객 유형별 특성 및 동기분석

        정두용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Motivation by the Types of Food Tourists Being aware of the problem the concern of academic circles on food tourism is very insufficient caused this study fulfilled, even though food tourism attracts attention largely as culture tourism. Until now, there was limits most studies on internal food tourism just dealt with 'Food Resourc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advanced in aspect of 'Food Tourism'. This study tried to systematically perform theoretical study on food tourism and analyze the type, characteristic and motivation of food tour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direction and strategy for food tourism vitalization by this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author conducted literature study and actual proof study side by side, and designed the study model and hypotheses on the basis of literature study. Literature study dealt with the relation of food and tourism and importance of food tourism first. Second, it dealt with the definition and type of food tourism and tourist theoretically. And,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e author gave a definition to food tourism, and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of firsthand purpose food tourists, secondhand purpose food tourists and potential food tourists by concern degree with food as tourism motivation. Third, this thesis analyzed preceding studies on food tourism by types and presented their limits. Fourth, the author designed the scale for measuring food tourism motivation because actual proof study on food tourism motivation has not been conducted. For actual proof study, the author conducted surveys targeting resident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region. By SPSS Window statistics package, overall 334 were analyzed, and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crosstabs analysis were conduc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basis of literature study and actual proof study, this thesis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food tourism products are needed to be functional as main tourism purpose like overseas wine tourism, beer tourism and so on. Second, internet is very effective marketing channel in food tourism marketing, and it is also important to raise the residents' awareness of local food product. Third,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evelop each region's own characteristic food as tourism product in food tourism motivation. Fourt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has to be conducted by food tourism market segmentation. Keyword Food Tourism, Food Tourist, Tourist Type, Tourist Characteristic, Tourism Motivation 음식관광객 유형별 특성 및 동기분석 본 연구는 음식관광이 문화관광과 특수목적관광으로 부상하며 큰 주목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식관광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매우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국내 음식관광 관련연구는 대부분 ‘음식자원’ 그 자체가 연구의 주된 대상으로 1차적인 연구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음식관광’의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관광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고, 음식관광객의 유형ㆍ특성ㆍ동기를 분석함으로써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고,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첫째, 기존에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던 음식과 관광의 관계, 음식관광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음식관광의 정의 및 유형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국내에서는 음식관광의 정의 및 유형이 정립되지 않은 실정으로 음식관광의 정위와 범위를 정리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음식관광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렸고, 관광동기로서 음식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직접목적 음식관광’, ‘간접목적 음식관광’, ‘잠재적 음식관광’이라는 유형별 명명을 하여 후속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국외 음식관광 관련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국내 음식관광 관련연구를 종류별로 분석하고 그 한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 음식관광 관련연구는 포괄적으로 망라하여 한 눈에 음식관광 연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관광 연구가 추후 활발히 수행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넷째, 음식관광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개발을 하였다. 기존에 관광동기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음식관광 동기에 관한 실증연구는 본 연구가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한 Kim 등(2009)의 관광지 지역음식 소비모델과 관광동기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음식관광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16개의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서는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였고, 광주ㆍ전남권에 거주하는 남녀를 대상으로 총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34부를 SPSS Window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객 유형에 대한 연구결과로서, 음식관광객 유형은 직접목적 음식관광객이 9.3%, 간접목적 음식관광객이 75.7%, 잠재적 음식관광객이 15.0%로 나타났다. 둘째, 음식정보 사전조사 여부 및 음식정보 경로에 대한 결과로서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의 답변을 합하면 총 73.6%로, 응답자들의 2/3 이상은 관광지를 방문하기 전 음식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 편이라고 나타났다. 또한 음식정보 경로에 관한 문항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응답은 인터넷으로 44.9%를 차지해 응답자의 거의 절반은 인터넷을 통해 음식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식관광 동기의 상위 7개 변수는 다양한 음식 경험, 행복 추구, 특정음식 체험, 가족이나 타인과 대화하는 좋은 기회, 새로운 음식 체험, 맛과 향 그리고 시각적 이미지 등을 통한 만족감, 색다른 음식을 통해 일상탈출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관광 동기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문화 동기, 행복 동기, 음식품질 동기, 고유음식 동기, 교류 동기의 5가지 음식관광 동기요인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본 논문의 연구모형에서는 음식관광객 유형별 특성과 동기차이를 검증하고자 4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식관광객 유형에 따라 연령, 월 평균소득,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음식관광객 유형에 따라 음식정보 경로에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음식관광객 유형에 따라 여행횟수, 선호 여행기간, 중요 관광매력, 1일 1인당 여행경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음식관광객 유형에 따라 음식품질과 고유음식 동기요인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국외의 와인관광ㆍ맥주관광 등과 같은 1차적 관광목적이 될 수 있는 음식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음식관광 마케팅에 있어 인터넷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마케팅 경로이고, 그와 더불어 지역음식에 대한 지역민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음식관광 동기에 있어서는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각 지역만의 고유한 음식을 관광 상품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음식관광시장 세분화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주요어 음식관광, 음식관광객, 관광객 유형, 관광객 특성, 관광동기

      • 항공물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방 중소형 공항 화물운송 활성화 방안 연구

        정두용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지방공항들은 화물 이용객의 부족으로 10년 이상 계속되는 적자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또한 인천공항으로 화물 이용이 집중되면서 인천공항은 2017년경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천공항은 현재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3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인천공항의 복잡도는 계속 올라가게 될 것이며, 복잡도가 높을수록 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높아진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지방공항을 이용하여 인천공항의 과부화를 막아주고 이를 통해 지방공항의 적자상황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지방공항의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공항공사의 항공통계 자료를 이용, Net Miner 4 Ver.4.2.1을 이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운항 편 수 와 여객, 화물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지방공항들은 기존의 논문들에서 지적한 운항 편 수와 노선 수의 부족보다는 현재 운항되고 있는 노선과 운항 편 자체도 화물운송부분에서는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항들은 주변에 산업단지들도 많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후 화물운송 활성화에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여건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공항공사의 협력을 통해 지방공항과 산업단지가 연계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현재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차후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지방공항 활성화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원죄에 관한 논쟁 연구

        정두용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cal point of Pelagian controversy is the one on the original sin. Thus, my concern in this study is not with the whole range of the Pelagian controversy but with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of Augustine and Pelagius. Augustine who was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Neoplatonic philosophy thought that Adam's sin has been propagated among all man, and will always be propagated. As a consequence of this original sin, our possibility of free will became slave of the evil because the sin was the punishment of the sin. Augustine claimed that original sin is an infection which propagates itself from father to son through the act of generation. He emphasizes the necessity of humility because men by themselves are unable to accomplish anything good without God's grace. Augustine's such a doctrine of Grace and predestination seems to be formulated by the passage Rome 9;21, where there is the comparison of the potter who has power over the clay. In contrast, Pelagius claimed each of us comes to the world with complete freedom to sin, or not to sin. There is no such thing as original sin, nor a corruption of human nature that forces us to sin. Children have no sin until they, out of their own free will, decide to sin. According to pelagius, all human beings will be able to join Adam in sin or Christ in righteousness by choice. Pelagius taught that Christ not only provides an example of righteousness, but also has the power to forgive past sin(Rome 5;16) while Adam destroyed the righteousness by his example of 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interpretation of Pelagius' idea and theology particularly on Original Sin. He continued his vigorous campaign to reform the moral standards of Christians in Rome in the beginning of the middle age. We know that Pelagius was no less important person than Augustine understanding the controversy on original sin and free will. However, while we have sufficient resources about Augustine's theology, we have been in difficulties to reach Pelagius' idea so far because there were not so many remaining works done by him. Fortunately, some of his letters, Letter to Demetrias for example, escaped destruction by the churches because it was long believed to be the work of Saint Jerome. Truly speaking, Pelagius was the most maligned theologian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What we have learned about Pelagius is merely the quotations done by Augustine in his work, which were chosen intentionally to denounce Pelagius and his followers. I wish to know what actually pelagius and his followers said at the time of controversy and what actually happened at the time of their trial. Recently I have found some English versions of Pelagius' letters and trial records of the synods, which haven't been published yet but translated by Rev. Daniel R. Jennings, who has spent years researching ancient Christian texts and distributed them freely via the internet. I translated them into Korean. During this study, I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Pelagius and his followers were mostly right theologically because I couldn't find any of their claim false based on Scripture. In conclusion, I don't believe either the transmission of Sin or doctrine of predestination. However, I am not saying Pelagius was hundred percent right because in that case Jesus' crucifixion has no effect. How could we deny the Redemption through God's Grace?

      • 초등사회과 정치 교육 내용에 관한 분석

        정두용 부산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7차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정치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밝혀보는 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정치교육의 개념과 주요내용 등 7차 교육과정 사회과 정치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해 관계 문헌과 선행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둘째, 정치교육 내용 분석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자가 제시한 모형을 근거로 하여 분석틀을 정립하였다. 셋째, 사회과 교과서의 개괄적인 내용 고찰, 주제별 정치 교육, 주제 내용별 정치교육의 주요 용어 빈도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사회교과서의 정치 교육 내용을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 정치형태, 정치과정, 정치제도, 정치문화, 정치발달, 국제정치, 한국정치의 특수성의 영역과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 정치 형태, 정치과정, 정치제도, 정치문화, 정치발달, 국제정치, 한국정치의 특수성 등 영역에 따른 정치교육의 주요 용어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정치교육의 개념, 정치교육의 시기와 방법, 정치교육의 기능, 초등학교 7차 교육과정 사회과 목표와 정치교육의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7차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4학년 1학기 교과서와 6학년 1,2학기 교과서의 정치교육을 다루고 있다. 이것은 교육과정이 연계되지 않고 단절되어 있는 것으로 보완이 요구된다. 둘째, 초등학교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에서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을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 영역은 사회과의 궁극적인 목적인 민주시민의 자질함양을 위한 것이다. 7차 교과서에서는 6학년 과정에서만 서술되고 있다. 민주시민의 자질함양을 위해 4학년 에서부터 균형적이고 체계적인 서술이 요구 된다 셋째, 정치과정에서는 선거와 시민단체 정치교육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정당이라는 용어는 없다. 시민단체의 서술에 있어서는 시민단체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학생이 받아들 수 있도록 내용 서술과 용어 선택에 신중함이 요구된다. 현대정치에 있어 정당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정당의 역할이 한 번도 다루어지지 않은 것은 보완이 요구된다. 넷째. 국제정치영역에서는 6학년 2학기 교과서에서만 언급되고 있다. 4,5학년 교과서에서는 정치교육 용어 빈도가 한 번도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세계화 시대에 맞게 학년 간 균형성과 계열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정치의 특수성에서는 분단의 현실을 통일로 나아가자는 교육을 담고 있다. 통일 교육은 정치교육의 시작부터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남북의 현실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서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politics education which appears in the social affairs division in the 7th elementary educational process and give suggestion point.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ed. First, I researched related documents and analyzed preceding studies in order to present the problem of the concept of the politics education and main contents and show how to improve it. Second, I have take a triangular position an analysis frame by the model that the preceding researcher has made in order to build an analysis frame for politics education. Third, I've analyzed the followings and try to figure out what this result meant. The general contents of the social study textbooks, politics education by topics, and frequently used terminologies in politics education by subject contents. I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politics education by drawing out the main terminologies of politics education by regions as followed. The basis and essence of citizenship, form and process of politics, politics system, culture of politics, progress of politics,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special area of Korean politics. I have looked around the concept of politics education, the timing and method of politics education, the function of politics educ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purpose of the 7th social division and the politics education as an abstract backgrou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politics education in 7th edition of the social study textbook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are politics educational content in the first semester of 4th grade and in the 6th grade at the elementary social division text. This means the educational process isn't continuous but disconnected, so it needs to be complimented. Second, The contents of politics education in elementary textbook are dealing the basis and essence of citizenship very importantly. The field of the basis and essence of citizenship is to develop the quality of democracy citizen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This is only described in the 6th grade in the 7th version curriculum. To maintain the disposition of the democracy citizenship, it needs to be described balanced and organized. Third, there are a lot of terminologies about election and civic-group used in the process of politics, but not about political parties. When describing civic-groups, there should be a careful choice of terminologies and contents description in order to let students accept the activities of civic-groups objectively. The roles of political parties are very important in modern politics. However there isn't a single sentence about it and this should be complemented. Forth, the field of international politics are only mentioned in the 2nd semester of the 6th grade. There is nothing about it in the 4th and 5th grade textbooks. To follow up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e balance and coherence between grades should be concerned. Fifth, there is a concept that we have to make progress toward unification from the divided reality in the particularity of Korean politics.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started and strengthen in the beginning of politics education. Moreover, the reality of South and North should be described more objectively and accurately.

      • 지방의회 입법기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두용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지방자치는 1961년 중단되었다가 1991년 30년 만에 부활되어 자치시대가 도래한지 19년에 이르고 있다. 사회가 발전하여 다원·고도화됨에 따라, 과거의 중앙집권적인 시대와 달리 변화된 행정수요에 대응하여 지역특색에 알맞은 행정서비스를 요구하는 주민의 욕구는 날로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의회 또한 지역주민의 욕구와 의사를 대변하고 결정해야 할 의무가 산적해 있으며, 그중에서도 핵심적인 기능이 자치 입법기능이라 볼 수 있다. 국회가 법률제정권을 고유권한으로 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지방의회는 자치법규인 조례를 제정하고 개·폐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주민의 의사를 인식하고, 올바르게 주민의사를 대변해야 하는 책임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전국 지방의원들의 1인당 평균 조례제정 발의실적은 매우 저조하고, 또한 대부분 조례가 집행기관에 의해 발의되고 의회는 이를 통과시키는 역할에 충실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지방의회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의회 입법기능을 다각도로 고찰하여 파생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안·개선시켜 지방의회 입법기능의 활성화를 도모해, 향후 자치입법 및 지방 자치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첫째, 지방의회의 기능 중 입법기능의 범위와 한계를 고찰했고, 특히 자치사무와 국가사무의 구분, 법령우위원칙과 법률유보원칙에 의한 조례제정권의 제한, 상급단체, 법령에 의한 조례제정의 통제와 한계를 논했다. 둘째, 지방의회 입법기능의 실태 현황을 조사·분석했고, 국가와 지방사무 배분의 모호성과 부적절, 입법에 대한 전문성 등 이에 따른 문제점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셋째, 지방의회 입법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국가사무를 지방사무로 이양하는 방안, 의회직원의 인사권 독립을 위해 전문위원 인적구성 및 직종별 현황을 분석했고, 지방 의회직 신설방안을 논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