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대5종 선수의 자기효능감 검증

        정동국 한국체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근대 5종 선수들의 종목별 자기효능감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선수들의 종목별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근대 5종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7년 대한근대5종연맹에 등록된 전국 시도 근대5종 선수선수 171명을 집락표집방법(cluster random sampling)에 의해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종목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레이저런, 수영 종목에서 남자선수가 여성선수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이에 따른 종목별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 승마 종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에서는 ‘20-25세 이하’ 집단과 ‘26세 이상’ 집단이 ‘19세 이하’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속에 따른 종목별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 레이저런, 수영, 승마 종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에서는 레이저런 종목에서는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영 종목에서는 ‘대학’ 집단이 ‘고등’ 집단과 ‘실업’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승마 종목에서는 ‘대학’ 집단과 ‘실업’이 ‘고등’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력에 따른 종목별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 수영 종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에서는 ‘5-9년 이하’ 집단이 ‘4년 이하’ 집단과 ‘10년 이상’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수문기상변화에 따른 유출변화에 관한 연구

        정동국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 충주댐 유역의 4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들의 변화추세를 분석하고 충주댐에 유입하는 유량과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충주댐에 유입하는 유량과 강우량이 가장 상관성이 높았으며 이슬점온도와 증기압, 기온, 지면온도 등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충주댐 상류유역의 기상자료의 변화추세를 분석한 결과 습도와 기압은 모든 관측소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강수량과 풍속 그리고 기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우리나라의 온난화현상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의 추세를 종합하여 판단해 볼 때 충주댐 상류유역이 습도는 낮아지고 온도와 강수량은 증가하는 기후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충주댐 유입량에 가장 상관성이 높은 것은 제천 관측소의 강우량이 충주댐 유입량과 0.912 라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어 충주댐 상류유역의 강수가 충주댐 유입량과 가장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충주댐 상류유역의 기후변화 추세를 제시하고 유입량과 기후자료와의 상관성을 규명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범지구적인 기후변화 속에 실제 유출량에 영향을 미치고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지적인 기후변화가 수문기상과 하천유출량과의 상관성을 보다 심도 있게 규명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weather data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runoff into Chungju Dam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four weather stations around Chungju Dam. As a result, the runoff into Chungju Dam and the amount of rainfall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dew point, vapor pressure,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also showed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hanges in weather data of the upper reaches showed that humidity and air pressure were decreasing in every weather station, whereas the amount of rainfall, wind velocity and temperature were increasing. This seems to be to do with th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warming phenomenon in Korea. Considering the trend of climate change, it could be seen that the upper reaches of Chungju Dam showed a weather wherein humidity was decreasing while temperature and rainfall were increasing. The rainfall at the Jecheon Observator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of 0.912 with the inflow into Chungju Dam, which means that the rainfall in the upper reaches of Chungju Dam showed a pattern that was most close to that of the inflow into Chungju Dam. By proposing the trend of climate change in the upper reaches of Chungju Dam and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low and weather data, this study showed that the local weather chang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our life, can provide basic data fo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ydrometeorology and river runoff, under the environment of global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