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손룡의 정명론 : 제자백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단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87

        During the last century, research on the philosophy of Gongsun Long has centered mostly on whether his most famous sophistry, “White Horse is Not a Horse 白馬非馬”, is a proclam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a theory of universals.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Gongsun Long’s sophistries by analyzing all six chapters of his eponymous book, Gongsun Longzi, and comparing them to the terms and metaphors often used by Gongsun Long's contemporaries. There is no scholar of the Spring and Autumn or the Warring States era who has been known to write a purely academic or logical dissertation, with no interest in the human nature or the ideal state. Rectification of names, or the relation between names and realities in ancient Chinese philosophy always signify much more than philosophy of language. A theory of language is always an extension of their theories of how a person should behave or how a society should function. Should Gongsun Long be the only exception? Contemporaries of Gongsun Long, namely Xunzi, the latter Mohists and Zhuangzi, had an active discussion on how to change human behavior in order to make society a better place. This dissertation is an effort to prove that Gongsun Long, albeit through different vocabulary, shared this interest and expressed it through analogies. For example in the Zhiwulun 指物論, Gongsun Long claims that zhi 指 may signify two different things - zhi before and after its addition to external things. This dual-definition of key terms in human nature is found in both Xunzi and the later Mohists; a single character is used to signify human faculty before and after its contact with external stimulus. For example, the ability to see is called ‘to see’, and when the ability is actually focused on an external thing it is also called ‘to see.’ This pattern is repeated in the Baimalun -‘Horse’ may be used to refer to a horse of a certain color in some cases, while its essential meaning is horse in general with no decided color. The addition of external stimulus to human faculty of awareness and the addition of the color white to the form horse is both expressed with the term 與. In the chapters 通變論 and 堅白論 the pattern can also be seen to repeat itself. Finally it is recapped in the last chapter, 名實論, with a new theory of rectifying names - that a correct 位 is necessary in order to complete the correct name-reality relation. 位 is a term that may mean many different levels of significance in a vocabulary, which in this instance indicates the dual meaning of the thing itself, and its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stimulus. While Xunzi or the later Mohists stop at pointing out the dual meaning of the key terms, embracing its ambiguity and even incorporating it in their theories, Gongsun Long strongly argues against this ambiguity - therefore "white horse is not horse". His inclination to emphasize the non-identity of the thing itself and the combination of it with an outside influence/factor may provide a valuable clue to Gongsun Long's true agenda hidden behind his sophistries. By claiming that terms such as xing 性 or zhi 知 may be ambiguous, Xunzi or the later Mohists seem to have concluded that a person may dramatically change from being completely devoid of morals to becoming a perfect sage – as humankind itself and humankind in combination with education can both be called humankind. On the other hand, Gongsun Long, when insisting that the person before and after an outside stimulus are completely different beings and that one should stick to the self before the stimulus, may be implying that an incommunicative, unresponsive and enigmatic leader is the ‘leader itself’, or a correct, ideal leader. This theory is quite close to that of Hanfeizi, who was influenced by Laozi. Hanfeizi believed in a strong ruler who did not share power, show his feelings or compromise his orders, all three conditions befitting Gongsun Long’s description of the ‘leader itself’. Gongsun Long's justification of the enigmatic, uncompromising leader may have been the political theory all the new self-crowned kings of the late Warring States era might have been waiting for. His dogmas, although too cryptic to be deciphers by the laymen, were reflected in the doctrines of Hanfeizi, thus indirectly contributing to uniting all under Heaven. 본 논문은 궤변처럼 보이는 『공손룡자』의 주장 이면에 깔려있는 공손룡의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정명론을 탐구하려한다. 공손룡은 다른 제자백가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내면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었으며, 당대의 담론 위에 자신의 정명론을 발전시켰다. 『공손룡자』의 여러 편들은 白과 馬, 指와 物, 一과 一, 羊과 牛, 靑과 白 등이 서로 결합하여 함께하게 되면 변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마치 서로 관련 없는 내용들이 전개되는 듯 보이지만 각각 성질-사물, 인간-사물, 인간-인간이라는 세 가지 관계에서 서로 더해지고(與), 더해진 것과 더해지지 않은 것은 서로 다르며(非), 그중 분리된 그 자체(自)부터 그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 분리되어 있는 상태만이 올바르다(正)는 네 가지 키워드가 반복되고 있다. 「백마론」을 예로 들었을 때, 馬라는 이름으로 부를 수 있는 것은 말이라는 종 전체일 수도, 白 등의 특징과 결합한 한정된 말일 수도 있지만, 비록 같은 명칭으로 불린다고 해도 특정 성질과 더해져서 한정된 것은 한정되기 이전의 분리된 것과 서로 다르며, 그중 馬 그 자체가 우선적이고 올바르다는 것이다. 공손룡은 이를 특유의 정명론으로 풀어내어 한정된 것과 한정되지 않은 것은 하나의 이름이 가진 두 개의 층위(位)로 보고, 그중 한정되지 않은 층위만이 정명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인 수양론이나 처세술에 이러한 정명론을 적용하였을 경우, 인간은 특정한 역할이나 관계에 한정되지 않은 채 내면의 모습을 최대한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공손룡자』의 이러한 내용은 제자백가의 담론 내에서 형성된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후기묵가, 순자와 장자 등은 모두 외부 사물에 반응하여 변화하는 인간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고, 知나 性 등 인간 내면에 연관된 용어들이 이질적인 무엇인가와 결합하기 이전과 이후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 두 의미를 구분할 수 있었으나, 하나의 단어로 두 가지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여기지는 않았다. 공손룡은 이러한 점을 지적하고 비판하려고 한 듯하다. 공손룡과 마찬가지로 이질적인 외부 자극에 의한 내면의 변화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로는 노자와 한비자를 꼽을 수 있다. 노자는 어디에나 통용될 수 있으려면 하나의 모습으로 고정되어서는 안 됨을 강조했다. 또한 한비자는 신하들과 견해를 나누거나 호오를 드러내지 않으며 하나의 역할에 고정되지 않는 군주야말로 자신의 지위를 최대한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정 성질에 한정되거나 외부 자극에 대한 호오를 드러내는 것은 모두 공손룡에서 이질적인 무엇인가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반응에 해당한다. 이러한 유사점을 토대로 판단하자면, 공손룡 또한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덕성이나 정통성보다는 권력의 독점이 더욱 중요하다는 처세술을 전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비록 복잡한 문답의 형태로 적혀 있어서 그의 진의를 알아보는 이가 많지 않았던 것이 아쉽지만, 당대의 학자들은 그의 정명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그와 비판을 주고받은 것으로 보인다. 공손룡은 당대의 담론 위에 자신의 주장을 쌓고, 또 이를 통해 제자백가의 학자들에게 영향을 준 인물이었던 것이다.

      •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교수방법 중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연계하여 유아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자기효능감에 실험․비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자기효능감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누리과정 지도서와 수학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여 본 프로그램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누리과정 자연탐구의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에 부합하는 동화를 선정하고 그와 연계하여 이야기 나누기, 미술, 게임 등 적절한 통합 활동을 포함하여 20회로 계획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만 5세 담임교사 3인에게 타당성을 검증받고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인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성 이해하기’,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의 5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에 대한 각 활동은 세부내용에 적합하도록 계획․실행하였으며, 수학동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과정을 거친 후 연계된 통합 수 프로그램을 직접 실천해 보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I시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두 학급 유아 48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어 바다반 24명은 실험집단, 하늘반 24명은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에는 실험집단의 경우 본 연구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스토리텔링 과정만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성향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누리과정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더니 유아들이 수학적 개념을 이해․습득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가 생겨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유아들의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데 혼란을 겪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nfigured an integrated math program in which young children can directly participate through storytelling, a teaching technique that has recently earned great popular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adoption of this progra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gard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a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Firs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through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through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To configure a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goals and directions were established after a survey of the NURI curriculum textbooks and previous studies in math education.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vide a total of 20 classes including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story sharing, fine arts and games after selecting fairytales that pair with natural and mathematical exploration in the NURI curriculum. The program was corrected and improv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and feasibility was approved by three professionals inclu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5-year-old preschooler teachers. A final version was then completed. The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themes: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numbers and calculatio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space and figure’, ‘basic measurement’, ‘understanding of rules’ and ‘basic data collection and result representation’. The specific activities for each theme were planned and executed according to a detailed plan. They were designed for young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grated math program after going through a math storybook-based storytelling proces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48 5-year-old preschoolers at ‘D’ Kindergarten in ‘I’ City were chosen. Because of difficulties in random sampling, the ‘Bada’ class and ‘Haneul’ class (24 children each)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nd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ensured. During the study,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a storytelling lesson only was given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related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far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erms of self-efficacy scores as wel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designed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as applied, therefore, young children were faster in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showed an interest in math,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In addition, the program allowed young children believe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tasks with confidenc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some confusion and difficulty in carrying out storytelling math and an integrated math program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it appears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 specific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teachers who want to introduce a program like this.

      • 박물관 교육 서비스 품질이 참여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적호기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단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21세기 박물관은 단순히 자료의 보존, 전시의 공간이 아닌 자료를 활용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 문화시설이자 복합 문화 교육의 장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이는 박물관이 더 이상 공급자 중심 기관이 아닌 수요자 중심 기관으로 그 특성이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육 영역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 현재의 박물관 패러다임 속에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여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교육 참여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인 지적호기심이 교육 서비스 품질과 참여자 만족도 사이에 조절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이론 연구와 실증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에 도입되는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박물관 교육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고객만족도를 측정하고자 관련 선행 연구와 보고서 등 문헌자료를 고찰하였다. 또한 실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자 중 가장 많은 계층인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박물관 교육 서비스 품질 측정을 위한 6가지 요소로 물리적환경, 교육 비스, 교육내용 및 방법, 편리성, 체험성, 상호작용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품질 6가지 차원(물리적환경, 교육서비스, 교육내용 및 방법, 편리성, 체험성, 상호작용성)은 모두 참여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박물관 교육 참여자의 개인 특성인 지적 호기심은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 서비스 품질이 참여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박물관 교육 참여자의 개인 특성인 지적 호기심이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사이에서 가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향상 및 교육 서비스의 질적 성장을 위한 실무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박물관 교육의 주 수요계층인 청소년(초등 고학년,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박물관 교육 참여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물리적환경, 교육서비스, 교육내용 및 방법, 편리성, 체험성, 상호작용성과 같은 교육 서비스 품질 차원을 고려해야하며 교육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인 지적호기심에 따라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간의 관계는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육 참여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 서비스 품질 차원을 고려한 프로그램 기획·개발과 참여자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운영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21st century museum has expanded into the field of multi cultural education as a public cultural facility that provides educational services using materials rather than simply preserving and exhibiting materials. This means that the museum is no longer a supplier-centered institution, but a characteristic that is changing to a consumer-centered instit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museum education program on the satisfaction of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in the current paradigm of museum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pistemic curiosity, which is a personal factor of participants, which is a factor affec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participant satisfaction. Theoretical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The theoretical concepts introduced in the research were confirmed. In order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literature data such as related studies and reports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among the most participants of actual museum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x factors for measuring the service quality of museum education program are physical environment, education servic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convenience, experience and interactivity. Second, the six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of museum education program (physical environment, education servic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convenience, experience, interactivity)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nt satisfaction. Third, the epistemic curiosity of the participants in the museum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eum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ividual curiosity of museum education participants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e practical basis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museum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In addition, we conducted research on youth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the main demand classes of museum education, and obtained practical information that can help develop and operate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education servic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convenience, experience, and inter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pistemic curiosity of the participants of the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program planning and development consider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program opera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 적응적 정책집행과정 모형에 비추어 본 중학교 성취평가제 도입과정 분석

        정단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평가제 도입 과정에서 발생한 정책 집행기관 및 교사 그리고 정책의 변화를 적응적 집행이론의 관점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적응적 집행이론은 정책, 집행자, 정책대상집단이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조정되고, 바람직한 정책집행에서는 집행자의 행태나 기관의 구조적 요인이 변할 뿐 아니라 정책 자체도 집행현장의 실정에 맞게 수정되어야 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본 연구가 정책 집행과정에 주목하는 이유는 정책과 집행자 간의 적응 양상에 따라 정책 목표의 달성이 결정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정책이 의도한 정책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책집행과정과 절차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성취평가제의 집행과정에서 정책 차원, 집행기관 차원, 실질 집행자 차원의 적응양상은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중학교 성취평가제의 집행과정에서 부집행, 흡수, 기술적 학습의 적응 양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을 정책 차원, 집행기관 차원, 실질 집행자 차원으로 나누어 성취평가제 및 서울시교육청 장학사, 서울시 교육지원청 장학사, 현장지원단 소속 수석교사, S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 및 정책 보고서, 보도 자료 등의 문헌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성취평가제의 집행기관, 실질 집행자 차원의 정책 이해와 촉진 노력, 정책 수행의 양태 등을 분석하였으며 정책의 변화에 대한 분석도 병행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평가제의 적응이 일어났으나 대학입학 및 고등학교 입학 전형에서의 내신 성적 활용과 같은 현실적 문제로 인해 정책의 본래 취지가 퇴색되는 양태로 정책이 왜곡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특목고 입학 전형에서 중학교 3학년 성적에 한해 기존의 9등급 상대평가제를 활용하도록 허용하였으며, 서울시 교육청의 경우 성취수준에 같은 비율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성취평가제에 상대평가적 요소를 더하였다. 또한 당초 고등학교 성취평가제 성적 산출 방식으로 개발된 ‘고정분할방식’ 이외에 ‘단위학교분할방식’을 도입하여 성취수준 분포가 고르게 이루어져 학생의 성적을 변별할 수 있도록 제도가 변이되었다. 정책이 집행 환경에 적응하는 포섭의 형태로 적응이 일어났다. 둘째, 교육지원청 장학사의 경우 정책에 관해 충분히 알지 못하는 정책 몰이해가 나타났다. 상당수 장학사의 성취평가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로 인해 정책의 하위 수준에의 전달 이외에 효과적인 정책 촉진의 역할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셋째, 성취평가제의 시행에 관한 평가에서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현장지원단 수석교사와 중학교 교사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장학사의 경우 중학교 성취평가제는 어느 정도 안착이 되고 있다고 보았으나 현장지원단 수석교사와 중학교 교사들은 성취평가제로 인한 변화가 형식적인 수준에 불과하며 실질적인 교실 수업의 변화나 학교의 책무성 제고, 교사의 전문성 함양 등의 정책 목적에 비추어 보았을 때는 그 변화의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의 정책 이해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수행의 변화에 있어서는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정책에 공감하지 않음에도 정책 수용을 위하여 상징적으로 정책을 집행하는 ‘기술적 학습’과, 기존의 업무처리방식, 교수·학습활동에서의 전통적 관행에 정책을 맞추어 집행하는 ‘흡수·포섭’의 형태를 병렬적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도출된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목표의 모호성으로 인함이다. 학교의 책무성 강화, 대입에서 학교교육의 성과 중시, 창의적 교실수업 구현 등으로 대표되는 성취평가제의 목표는 성취평가제 도입 이전 9등급제 성적표기방식에서의 목표와 큰 차이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즉 9등급 상대평가제에서 절대평가제도 기반의 성취평가제로 성적평가방식만 변화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정책이 기존 정책서의 전통적 수행방식에 잠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학교에서는 성취평가제의 상대평가적 활용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인해 담당자의 정책 몰이해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육지원청 장학사의 근무기간이 2,3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아 성취평가제 업무에 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단위학교로의 능동적인 정책 전달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정책 집행의 풍토 때문에서 기인한다. 한 번 탄생한 정책이 법률로 공식화되면 정책 집행은 의도대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그간의 사고방식이 성취평가제 집행 사례에서도 일방적인 정책 하달 방식의 집행 양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이 교사들의 정책 저항을 야기하여 정책 집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사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동원 과정의 부재로 인함이다. 교사들은 정책이 도입된 이후에 성취평가제 연수에서 정책의 내용을 처음으로 접할 수 있었으며 곧바로 업무에 투입되었다. 이는 교사가 성취평가제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정책 취지에도 공감하지 못한 채로 정책을 집행하게 된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취평가제 정책집행사례를 통해 발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 성취평가제 교원 연수 시 성취평가제의 시행 목적과 취지에 관한 연수내용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성취평가제의 도입 과정에서 정책 집행자인 교사의 지지를 구하는 동원 과정을 거쳤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교사들이 정책의 취지와 목적을 공유하고 이에 공감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연수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집행자가 정책촉진을 위한 능동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청 장학사가 정책 담당자로서의 전문성을 담보할 수 있는 체제 마련이 시급하다. 정책집행자들의 잦은 교체가 정책에 대한 몰이해를 야기하는 등 집행의 방해 요인으로 여러 차례 지적되어온 바, 정책집행자들이 자신들의 담당 정책에 대해 안정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정책의 시행 초기에 집행 과정이 순조로워 보이지 않더라도 정책의 본래 의미를 퇴색시키는 정책의 왜곡은 지양해야 한다는 정책 관련 집단의 공감대와 인내가 요구된다. 정책 대상의 반발에 대한 대응으로 정책취지를 퇴색시키는 방향으로의 정책 수정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도움이 지속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위학교와 교원들이 단순히 정책에 순응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원들의 정책 이해와 공감이 전제되었을 때 정책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정책의 상호적응적 집행의 토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nges of the policy, policy implementing institution and policy implementers, which were arose in the process of adoption of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of the middle school, based on the view of adaptive implementation process. The main reason that this study focuses on policy implementing process is, it is considered that the accomplishment of policy aims depends on the adaption between policy and policy implementers. Therefore,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education policy fails to achieve the policy aims,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procedures. Based on this point,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in the process of the impl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of the middle school, how are the adaptive aspects shown in the each level of policy, policy implementing institution and policy implementer? Second, in the process of the impl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of the middle school, what cause the aspects of non-implementation, cooptation and technological learning?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in-depth study interview, phone calling were used with nine research objects who are occupied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eoul Office of Education,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research objects were divided to three levels; policy level, policy implementing institution level and policy implementer level. Literature research was used also. Through this, policy implementing institution and policy implementers’ understanding of policy and the efforts on facilitating policy implementation were analysed. Followings are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here has been a distortion of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department allowed to utilize relative evaluation with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Second, although teachers have adapted to the policy through efforts to understand the policy, it was seen that there has not been meaningful changes in their performance. Teachers were accepting the policy symbolically and in a cursory manner.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presented above, it was found that once established policy aims, and instruments were not changed, despite the need to improve polic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policy process in Korea still maintains an top-down approach. Second, lake of the mobilization process caused teacher’s opposition. It was seen that the aims and visions of policy are not deeply understood by teachers and shared among them as the appropriate help from Ministry of Education was not provided right before the policy had been issue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eded to emphasize the aim and the necessity of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in the teacher training and school consulting course.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to avoid policy distortion among policy makers and implementers which discolor the purposed policy aim even if it does not seem to be smooth to enforce a system in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Lastly, it is needed to change of recognition that teachers are not simply an existence of compliance with issued policy. Under teacher’s understanding, teacher’s opposition to the policy decreases and the base of the mutual adaptive implementation can be built.

      • 신부족주의와 취향공동체 양상연구 : 2010년대 한국사회 2030세대를 중심으로

        정단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2010년대 우리 사회의 2030세대의 일상에서 취향공동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오늘의 행복보다 미래의 안락함을 위해 학업이나 업무에 매몰되어 질주하던 이전 세대와 다르게 오늘의 자신이 행복할 수 있는 일에 시간과 돈을 쓰는 것에 적극적이다. 키덜트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초기 개인 단위의 움직임으로 나타나던 현상이 ‘무리’, ‘부족’ 이라는 표현을 쓸 정도로 몸집이 커져 이제는 어엿한 공동체로 성장해 곳곳에서 출몰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2010년대 대한민국에서 뿐 만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 진입하며 여러 시대, 여러 국가에서 포착되었으며 프랑스 사회학자인 미셸 마페졸리(M)에 의해 “신부족주의” 이론으로 정리되었다. 그래서 그의 이론을 기반 하여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고 있는 취향공동체의 정의와 특징, 사례를 통해 이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신부족주의” 이론에 대한 문헌연구를 시작으로 취향공동체와 유사한 철학을 가진 선택적 공동체의 다양한 선행 연구 자료를 살펴보고 취향과 공동체의 어원에서부터 여러 학문적 정의를 탐색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취향공동체의 정의와 특성을 도출했다. 이어 도출된 특성으로 취향공동체를 크게 4가지로 유형화하였고 각 유형별로 대표사례를 관련 서적, 신문, 잡지 등의 기사, 심층인터뷰를 통해 사례별 가치관과 취향공동체로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데이클래스형, 번개모임형, 아카데미형, 복합형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형별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문화예술을 매개로 그들의 취향을 탐구하기 위해 모인 공동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각 공동체가 순환적 시간관과 유희를 중시하는 공통의 특성이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다루는 취향공동체의 정의와 특성이자 미셸 마페졸리의 신부족주의 이론과도 그 흐름을 함께 한다. 또 한 연구를 진행하며 개인의 만족을 위해 시작한 취향공동체 활동이 확장되면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보다 포용적인 사회로 발전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개인 뿐 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사회를 위한 실천적 움직임을 펼치고 있는 지역문화공동체, 평생학습공동체나 취향공동체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는 팬덤을 교육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들을 통해 취향공동체의 공공영역에서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동시대적인 현상을 포착하여 사회학 이론을 활용해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의미를 가짐과 동시에 그 이론인 신부족주의의 한계점이 있음을 밝힌다. 일상생활의 사회학, 일상의 사회학으로 명명되며 미셸 마페졸리 뿐 만 아니라 장 보드리야르, 앙리 르페브르 등 다양한 학자들이 꽤 오랜 시간 연구해온 학문이지만 경험이나 구체적 연구가 부족하고 신화에서 탄생한 이론이 다수 있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있다.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 마페졸리의 저서 한국어 번역판이 출간되고 꾸준히 회자되고 있으며 연구하고자 한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함에 좋은 이론임을 다시 한 번 덧붙인다.

      • 아동의 자기수용과 타인공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자가 앞으로 학교에서 근무하면서 만나게 될 아동들의 행동양식과 형성되는 가치관들을 깊이 들여다봄으로써 그들이 보다 행복하고 긍정적인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감, 무조건적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 우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둘째,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셋째,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우울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넷째, 공감, 무조건적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 우울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경기도 고양시와 파주시 초등학교 4,5,6학년 47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지도교수의 조언을 받아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감과 주관적 안녕감,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감과 우울,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우울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각각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공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공감을 제외한 무조건 자기수용 변인만이 우울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즉, 공감은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이 되지만 우울과는 아무런 관계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타인의 감정, 의견, 주장 등을 이해하고 타인 속에 들어가 그들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동일수록 안녕감을 더 많이 느낄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동의 우울감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반면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을 모두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이 독립된 하나의 존재임을 인정하는 아동일수록 안녕감을 더 많이 느끼며 우울감 또한 적게 느낀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초등교육에 있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아동의 우울 정도를 줄여주는 것도 아동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하나의 큰 목표라는 점이다. 또한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육현장에서 아동들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함을 본 연구에서 시사하고 있다.

      •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및 교수메타인지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및 교수메타인지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필요성,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 창의적 교수행동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및 교수메타인지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있는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Costa와 McCrae(1992)가 개발 및 수정한 성격검사 NEO-PI-R(NEO-Personality Inventory-Revised)을 안창규와 이경임(1996)이 우리말로 번안한 후 타당화 과정을 거친 간편 NEO 인성검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측정을 위해 백은주, 조부경(2004)이 개발한 도구를 김현숙(2015)이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발달 수준 자기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메타인지를 측정하기 위해 양명희(2000)의 자기조절학습 측정 도구 중 ‘메타인지 전략의 사용’ 측정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김재훈(2018)의 측정 도구를‘유아교사의 교수메타인지’에 맞게 수정 후 교육심리학 박사 3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Cropley(2004)가 개발한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 검사를 백영숙과 김희태(2008)가 번안하고 수정 및 보완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 창의적 교수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Pearson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결혼 여부, 경력)에 따른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 창의적 교수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 학력, 결혼 여부,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의 하위요인 중 신경증과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 창의적 교수행동이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교수메타인지, 창의적 교수행동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및 교수메타인지 모두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성격특성 및 교수메타인지보다 전문성발달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및 교수메타인지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하는 데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전문성발달 및 교수메타인지의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성격특성 중 개방성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의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성격특성을 계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교사의 전문성 또한 창의적 교수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지원체계의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유아교사의 교수메타인지 또한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유아교사의 교수메타인지 증진 및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에 사용된 변인 외에도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a-cognition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assignments were set: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a-cognition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in 271 class teachers in charge of three- and five-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s and nurseries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simple NEO character scale, which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scale NEO-PI-R developed by Costa and McCrae (1992) and translated and validated by Ahn and Lee (1996), was utiliz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raits. "The Self-test on Kindergarten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of Professionalism", developed by Baek and Jo(2004) and reconstructed and used for research purposes by Kim(2015), was used on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of professionalism. ‘use of meta-cognition strategy’ of The Self-regulating learning measure by Yang(2000)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2018), I was modified to sui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meta-cognition’. and it was verified content validity by 3 doctors of education psychology. Cropley'(2004) instructional creativity inventory translated, revised by Baek and Kim (2008) was utiliz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an SPSS 25.0 program.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estimated for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a-cognition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career.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urosis, sub-factor of personality traits, were fou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In addition, personality traits(excluding neurosi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s a whole and all of sub-factors were found positive correlation.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all affecte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a relatively strong influence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an personality traits and teaching meta-cognition. Following this study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meta-cognition all relatively affecte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personality trai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a-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eveloping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penness,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raits, is a factor that affect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pen personality traits in order to promote creative teaching behavior of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tise is also a major facto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suggesting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tise. meta-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also a factor that affects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 of teachers. so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 represents to promote and utilize the teaching meta-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diverse variables affecting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기업부설연구소 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2014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인증받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중심으로 기업부설연구소 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활동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연구개발 활동은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도 다양한 정책적 수단을 마련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기업부설연구소 제도는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활성화시키고 지원하기 위한 국내의 대표적인 정책수단이다. 과학기술 및 지식기반서비스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기업이 기업 내 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국가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면, 해당 기업들은 정부로부터 조세, 관세, 인력, 자금 등의 정책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에 기업부설연구소 제도는 다양한 연구개발 정책의 조합적 성격을 갖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는 기업부설연구소 인증 기업의 경영성과를 알아보고, 과학기술 분야의 기업과 지식기반서비스 분야의 기업의 경영성과 차이도 살펴봄으로써,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으로 혜택을 받고 있는 기업이 그 혜택을 받는 만큼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지를 확인해보았다. 또한, 본 논문은 처음으로 기업부설연구소 설립과 관련된 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기업부설연구소 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경영성과를 성장성, 수익성, 활동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외부적 환경요인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2014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인증받은 380개 기업으로 분석대상을 한정하였다. 기업부설연구소 인증 2년 전부터 인증 2년 후까지의 기간동안 성장성(매출액, 총자산, 총자산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수익성(영업이익, 매출액영업이익률, 총자산영업이익률), 활동성(총자산회전율) 측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냈는지를 검증한다. 또한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인증받은 기업이면서 과학기술 분야, 즉 제품개발 기업인 경우가 기업부설연구소를 인증받은 기업이면서 지식기반서비스 기업인 경우보다 더 우수한 성과를 냈는지도 검증한다. 성장성, 수익성, 활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부설연구소 인증더미와 과학기술 지정더미를 각각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부설연구소 인증 전보다 인증 후에 성장성, 수익성, 활동성을 나타내는 재무성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며, 실증분석 결과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매출액, 총자산, 총자산증가율, 매출액증가율과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영업이익이 기업부설연구소 인증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기업부설연구소 인증 후에, 지식서비스 기업보다 제품개발 서비스 기업의 재무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총자산과 수익성을 나타내는 영업이익이 유의수준에서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활동성을 나타내는 총자산회전율은 유의수준에서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도 연구개발 정책인 기업부설연구소 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밝혀내었다. 다만 일부 경영성과는 유의한 영향을 밝혀내지 못함에 따라, 후속연구에서는 제도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변수를 적용하여 기업부설연구소 제도의 성과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부설연구소로 인정받은 기업의 재무성과를 분석하여 기업부설연구소 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처음으로 기업부설연구소 제도와 관련된 성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향후 기업부설연구소 제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지원될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가 기업부설연구소 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current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enterprise institute system on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outcome focused on the financial achievements of companies with approved enterprise institute in 2014. In order to achieve goals effectively, companies are more focusing on R&D activit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are vital elements in not only companies but also improving national competitiveness so that national governments are also providing various means at policy level to actively support companies’ R&D. Enterprise Institute is one of representative policy in the country to vitalize and support R&D activities for companies. When companies studying science technology or knowledge-based service fields launch institute and earn approval from the government, such companies will be supported in taxation, customs, staff, fund and others through policies. Therefore, enterprise institute system may be considered to have mixture of various R&D policies. Under such circumstance, performance outcomes of companies with approved institutes receiving various governmental support are studied, examining any business style and difference between science technology based companies and knowledge-based service fields, confirming if such companies receiving benefits are creating as much results as they are receiving. Also, this paper has its value and meaning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o analyze achievements related to institutes empiricall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enterprise institute system on companies’ performance achievements more systematically, performance outcomes are classified into growth, profitability and vitality. Indicators to measure these are set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 for research, and in order to cut any effect of outside factor on the company’s results, the sample was selected to be 380 enterprises with approved institutes in 2014. Growth (turnover, total assets, total asset growth rate, turnover growth rate), profitability (business profits, return on net sales, return on total assets business profits), and vitality (asset turnover ratio) are examined if there were any outstanding achievement from two years prior to the approval of enterprise institute to two years after the accreditation. Also, it examined if companies in science technology fields, that is, the company works on product development, showed better results than companies in the knowledge-based service fields when they both have accredited research institut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growth, profitability, vitality were 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earch institute accreditation and science technology setting were each independent variable. Financial achievements indicating growth, profitability and vitality are expected to be higher after accreditation than before accreditation of institut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urnover, total assets, total asset growth rate, turnover growth rate indicating growth and business profits indicating profit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creditation of enterprise institute. Also, after accreditation of enterprise institute, the hypothesis that product development service company would show better financial achievements than knowledge-based service company demonstrated that turnover and total assets showing growth and business profits showing profitability be increased at significant level while asset turnover ratio for vitality decreased significantly. Most previous researches demonstrated that R&D supporting policies positively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In this research, also, one of R&D policies, enterprise institute system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e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However, some business performance factor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so that in following research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variables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into understanding achievements of research institute system.

      • 뷰티 제품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특성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제품태도의 매개효과 연구 : 일반&전문가 인플루언서 비교연구-

        정단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뷰티 제품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특성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제품태도의 매개효과 연구 -일반&전문가 인플루언서 비교연구- 본 연구는 날이 갈수록 중요성이 대두되는 뷰티 제품 인플루언서의 광고 진행시 산업관계자와 인플루언서의 측면에서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인플루언서가 제공하는 콘텐츠 특성을 바탕으로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특성으로 인플루언서의 유형을 나누어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였다. SNS를 사용하는 이용자 대상으로 실험자극물을 시청한 뒤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 뷰티 제품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특성이 높을수록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뷰티 제품 인플루언서의 유형에 따라 콘텐츠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콘텐츠 특성이 높은 전문가 인플루언서는 일반 인플루언서와 비교했을 때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하여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단어: 뷰티 제품 인플루언서, 유튜브, 콘텐츠 특성, 전문성, 신뢰성, 진실성, 제품태도, 구매의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