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성장동력투자펀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기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companies with various technology financing programs such as R&D grants, loans, equities, guarantees sinc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nder policy suggestions for policy makers and fund supervisory agencies by analysing problems with regard to regulation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such as the following. First, the current three months of the fund formation period should be extended to at least six months for general partners to have enough time to raise funds in the current tough capital market situation. Second, in order to select excellent general partners who have strong abilities to raise funds within the limited time period, whe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general partners, the reputations of general partners such as the last three years track records should be throughly considered since those reputations are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for the successful fund formation. Third, general partners should retain excellent human resources who have specialties on every step of the fund management procedure such as fundraising, deal souring, deal structuring, value-adding activities, resale and so on. Forth, the government's non priority loss devotion system should keep going to prevent general partner's moral hazard. Fifth, in order to fulfill the policy purpose that is to create globally well-known companies, the government investment ratio should scale up from the current 20% to 30% of the total fund size in that the stable capital supply for co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companies is achieved. Finally, general partners of the New Growth Engine Fund should showoff their investment abilities to the potential investors such as institutional investors by accumulating all track records and know-hows that prove their specialities and implementing action plans to achieve the best result of their investment. This study provides general considerations of the selection procedure, the government investment ratio, the government priority loss devotion system and so on when creating the public funds. 우리나라 정부는 198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의 기술금융을 기업에 제공해 오고 있다. 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형태로는 R&D 출연보조, 융자, 출자 그리고 보증방식이 있다. 공공부문에서 성장단계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민간자본의 투자유도를 통해 우수한 기업에 대규모의 자금이 공급될 수 있는 펀드를 조성함에 있어 자본시장의 여건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기술금융 지원방식 중 출자형태의 신성장동력투자펀드 활성화를 위한 제도상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업무집행사원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해 신성장동력투자펀드의 결성기한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 이내로 늘려야 한다. 둘째, 자본시장에서 자금조달 능력이 우수한 업무집행사원을 선정하기 위해 최근 3년간의 펀드결성이나 운영실적 등을 통한 명성이 신규로 추진하는 펀드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업무집행사원 선정시 높은 비중을 차지해야 한다. 셋째, 자금모집, 투자대상 탐색, 딜 스트럭쳐링, 기업가치 제고, 재매각 등 사모투자펀드방식의 신성장동력투자펀드는 각 운용단계마다 선진금융기법과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업무집행사원을 선정해야 한다. 넷째, 업무집행사원의 모럴해저드 문제를 야기 시키는 정부의 우선손실충당제도 배제를 현행처럼 계속 유지해야 한다. 다섯째, 글로벌 기술기업의 창출, 육성 및 투자기업 가치제고라는 정책적 목적 달성을 위해 원천기술의 사업화 및 산업화, 기업성장, 글로벌화 등을 위한 사업자금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신성장동력투자펀드에 대한 정부의 출자비율 제한을 현행 20%에서 30%까지 확대하여 자본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출자하여야 한다. 여섯째, 신성장동력투자펀드 업무집행사원은 전문성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실적자료를 축적하고, 수익실현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투자계획의 구체화를 통해 대형 기관투자자를 상대로 적극적인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공공부문에서 신규로 펀드조성을 하고자 할 때 업무집행사원의 선정, 정부의 출자비율, 정부의 우선손실충당제도 같은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는데 있어 시장반응에 대해 고찰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한국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성과와 발전전략 : 교육정보화 분야를 중심으로

        정기연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불과 40여년 전 최빈국이었던 국가가 경이적인 경제성장과 발전을 통해 성공을 이루어 낸 모범사례로 공인되고 있고, 경제규모 확대와 더불어 최근 부상하고 있는 공여국(Emerging Donor)으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새정부 출범이후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교육서비스 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민간 경쟁력 활용을 통한 교육수출(敎育輸出)이 요구되고 있으며, 공적개발원조를 통한 해외진출확대를 위한 창구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사업 추진현황을 해외 양자(兩者) 및 다자(多者)간 공적개발원조사업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동 분야의 해외진출 발전전략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우리 교육정보화 강점분야(强占分野)의 공적개발원조 사업 연계방안(連繫方案) 및 해외진출(海外進出)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교육정보화 공적개발원조분야의 사업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고, 교육정보화 교육훈련 분야 공적개발원조의 대표적 사례인 교육과학기술부의 이러닝세계화 사업(그 중 한부분인 APEC 이러닝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현재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도미니카공화국, 라오스, 스리랑카, 몽골 등 6개국에 대해 한국정부가 실시한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성 사업 분석과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그램인 APEC 이러닝 연수 프로그램의 설문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결과, 첫째, 원조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사업추진에 필수적인 사업계획 단계(Predesign)에서부터 충분한 검토와 분석, 이에 따른 사업절차의 확립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정보화 관련 정책 인프라, 법제 정비 등 시스템 구축 분야에 관한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지원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단편적인 인프라 지원에서 수원국 국가 차원의 교육정보화 시스템 구축, 제도 설계, 운영 노하우 전수 등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기본토대(Fundamental)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수원국의 현재 기술수준과 미래 전망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 수원국의 기술, 장비 수준에 맞추어 지원할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진보하는 기술 수준을 맞출 수 없으므로 세계시장, 수원국 실태, 우리나라의 관련 기술 및 장비 발전 상황 등을 고려하여 우리의 지속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선진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기업 및 인력 진출시 이를 시장조건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넷째, 교육정보화 지원 사업에 대한 표준화된 지원 모델(standard model) 마련이 필요하다. 사업내용을 매뉴얼화 할 경우 보다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인 사업 수행이 가능하고, 우수 사례(best practice) 발굴과 각 사업에 대한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도출함으로써 자체진단도 가능하다. 다섯째, 체계적인 사후관리 시스템 지원이 필요하다.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지원된 시설 장비와 프로그램 등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수원국 원조총괄기관 및 실무 담당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업수행 형태의 과학화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정보화 분야에서 한국형 개발협력 모델은 국제 원조 규범을 존중하면서 선진국들의 전통 원조 방식과는 차별성을 지니는 비교우위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

      • 테이블웨어와 식 공간을 위한 이동식 가구 연구

        정기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실용성과 심미성을 바탕으로 테이블웨어 제작을 연구하며 현대인의 개별화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개성 있는 작품을 제작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테이블웨어와 그것이 놓이는 식공간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구성요소들을 토대로 테이블웨어-트레이-이동식 가구의 순서로 작업을 전개해 나갔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기계의 통한 가공과 수작업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며 특히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규격화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특유의 인공미를 살리고 제작시간을 단축하였다. 아울러 규격화된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험과 형태적 연구가 병행 되었고 다양한 드로잉과 모델링을 통해 계획을 세웠고 정확한 도면을 얻어 다량생산의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계획 과정에서 재료에 관한 연구가 선행 되었는데 목재로서는 자작나무합판(Ply birchwood)과 원목이 쓰였고 플라스틱 재료로서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아크릴(Acrylic) 등이 쓰였으며 금속재료는 구리(Copper), 알루미늄(Aluminium),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등이 쓰였다. 제작기법으로는 망치성형, 땜질, 연마작업 등의 수작업과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CNC, 밀링(Milling), 선반(Turning), 스피닝(Spinning), 프레스(Press) 가공 등의 다양한 기계사용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각 재료의 특징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가공법을 연구하며 기계작업과 수작업이 상호간의 한계성을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공정과정을 추구하며 생활 공예품으로서 실용성을 더해 예술작품이었던 이전 작업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사람들에게 사용되어지기 위한 작품을 제작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박리유동을 동반하는 추력조절용 관통형 핀틀노즐의 내부유동해석 및 성능특성연구

        정기연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고체 로켓의 추력조절에 적합한 관통형 핀틀노즐의 내부유동해석 및 내탄도 성능해석을 수행하였다. 유동해석은 핀틀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노즐 목의 크기를 고려하였으며 핀틀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내부유동장과 연소실 압력, 추력, 추력계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동해석과 동일한 조건으로 내탄도 성능해석을 수행하여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 핀틀 형상은 공압실험 모델을 선택하여 실험과 비교․검증하였다. 핀틀의 이동으로 인해 연소실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므로 입구조건으로 고체추진제의 연소속도를 고려하였다. 유동해석은 연구실내 in-house 코드인 HPCL-RANS를 사용하였다. 핀틀에 의해 발생되는 복잡한 충격파구조로 인한 난류특성의 정확한 수치모사를 위해서 박리유동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한 Yang and Shih에 의해 제안된 저 레이놀즈수 k-ε 난류 모델을 사용하였다. 위 난류 모델에 대하여 Sarkar가 제안한 압축성 효과를 보정하였다. 또한 계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MPI(Massage Passing Interface) 병렬 계산 기법을 적용하였다. 핀틀의 위치에 따른 비정상상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동격자기법(sliding mesh method)을 적용하였고 상용코드의 이동격자기법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이동격자기법은 정각격자를 유지하기 때문에 격자의 이동면에서 불연속현상이 개선되어 핀틀 노즐의 특성 파악에 정확성을 높였다. 핀틀과 노즐의 기하학적 형상을 토대로 핀틀의 이동에 따른 노즐 목의 위치 및 크기를 예측하여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핀틀의 속도에 따라서 연소실의 압력 변화율이 다르므로 핀틀의 동일위치에서 내부유동장의 구조가 다르다. 핀틀노즐은 노즐 내부에서 박리가 발생하며 핀틀 속도에 따른 연소실의 압력 차이는 박리가 발생하는 위치를 변화시킨다. 노즐 내부에서 발생하는 박리유동은 로켓의 주요 성능변수인 추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핀틀의 주기운동에 대한 동특성을 분석하여 핀틀 속도변화에 대한 연소실 압력과 추력, 추력계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핀틀의 속도가 빠를수록 동일 위치에서 연소실의 압력이 낮으므로 추력과 추력계수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박리로 인해 발생하는 추력의 증가, 감소 현상은 추력계수의 분포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핀틀노즐은 추력조절을 통해 발사체의 위치 및 자세제어에 적합하므로 작동고도에 따라 특성이 변화한다. 유동해석의 외기조건을 각 고도에 대한 압력과 온도를 고려하여 내부유동장과 추력, 추력계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내부유동해석과 동일한 조건으로 내탄도 성능해석을 수행하여 핀틀 속도에 따른 성능특성을 비교하였다. 내탄도 성능해석 코드는 공압실험과 연소조건의 압력분포와 비교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다. 핀틀 위치에 따라서 연소실의 압력과 추력의 변화 경향은 일치한다. 내탄도 성능해석은 노즐 내부의 박리유동 특성을 포착하지 못하므로 박리발생 영역에서 추력특성이 다르다. 박리유동은 노즐 출구에서의 압력을 변화시켜 추력의 압력항을 변화시킨다. 압력항의 변화유무에 따라서 유동해석과 내탄도 성능해석의 추력은 차이가 발생한다. 그 차이는 2~3%로 크지 않지만 실제 핀틀노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박리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 개인성취 욕구와 창업교육지원 활동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학창업교육을 이수한 학생을 중심으로

        정기연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chievement desir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was significant through an empirical study. 216 responses of the final questionnaire that were established and sampled in accordance with the study’s intention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it was found that such factors did not inhibit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upport,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y,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start-up knowledge, start-up motivation, start-up competition strategies, and start-up.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tems, the Cronbach's alpha value for all measurement items was 0.6 or higher, which was judged to be desirable.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7 potentia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except that between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upport' and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at 99% of the confidence level. Each measurement variable belonging to the potential variables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upport' and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showed that the reformative characteristics, creativity, and innovation of individual students set in this study had a negligible effect on practical-oriented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majors and liberal arts subjects. It implies that the university need to provide more diverse subjects and in-depth education. In evaluating the 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bsolute fit index, incremental fit index, and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were judged to be suitable. Accordingly, the model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①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tart-up motivation and start-up knowledge. -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to start a business is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and also affects the start-up competition strateg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 start-up knowledg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and to influence start-up competition strategies. ②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uppor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tart-up motivation and start-up knowledge. - The start-up motivation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and also to influenc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 start-up knowledg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and to influence start-up competition strategies. ③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y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start-up knowledg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Star-tup knowledg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to influence start-up competition strategies. - It was found that the start-up competition strategies was affected by all potential variables except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had no effect on the intention key word :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upport,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y, individual needs for achievement, start-up knowledge, start-up motivation, start-up competition strategies, Entrepreneurial (start-up) Intention 본 연구는 개인성취 욕구와 창업교육지원 활동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유의한 지 여부를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맞게 표본을 계획하고 수립된 최종 설문지 216부는 빈도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경로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항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 창업교육지원, 정부 창업지원 정책, 개인의 성취 욕구, 창업지식, 창업 동기, 창업경쟁전략, 창업 의지의 문항 모두 집중 타당성 및 판별 타당성을 저해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 신뢰도 분석 결과 모든 측정항목에서 Cronbach’s alpha값이 0.6 이상으로 나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잠재변수 7개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신뢰도 99% 수준일 때 ‘대학창업교육지원’과 ‘개인의 성취 욕구’ 사이 이외에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창업교육지원’과 ‘개인의 성취 욕구’의 잠재변수에 속한 각 측정변수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개혁적인 성격과 창의성, 혁신성 등이 실무 위주의 대학 창업교육은 물론, 전공과 교양과목에 있어서 미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이 좀 더 다양한 과목과 심도 있는 교육의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평가에서 절대 적합 지수(absolute fit index), 증분적합지수(incremental fit index), 기타지수로 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중근으로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등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표준화 계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① 개인 성취 욕구는 창업 동기와 창업지식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창업 동기는 개인의 성취 욕구에 영향을 받고 창업경쟁전략과 창업 의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창업지식은 개인의 성취 욕구에 영향을 받고 창업 경쟁전략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② 대학창업교육지원은 창업 동기와 창업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창업 동기는 개인의 성취 욕구에 영향을 받고 창업 의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창업지식은 개인의 성취 욕구에 영향을 받고 창업 경쟁전략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③ 정부 창업지원 정책은 창업지식과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창업지식은 정부 창업 지원정책에 영향을 받고 창업 경쟁전략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창업경쟁전략은 창업 의지를 제외한 모든 잠재변수에 영향을 받고 창업 의지에는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제어 : 대학창업교육지원, 정부창업지원정책, 개인의 성취욕구, 창업지식, 창업동기, 창업경쟁전략, 창업의지

      • Design of Motion Compensated Temporal Filtering Block with Effective Memory Management

        정기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Motion-Compensated Temporal Filtering(MCTF)는 기존의 Motion Estimation Scheme과 Wavelet Scheme의 효율성을 모두 그 특징으로 갖는 혁신적 Video Coding Scheme으로 현재 ITU-T Recommendation H.264 | ISO/IEC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14496-10 Advanced Video의 Extension으로 표준화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Scalable Video Encoding의 핵심 block인 MCTF block의 실시간 처리를 가능케 하는 hardware 구현을 위해 전체 architecture와 computational complexity, external memory access, storage size을 포함하는 성능 분석을 바탕으로 storage size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를 적용시키기 위해 선택된 MCTF parameter 값들 (MCTF iteration Level, Basic block size for Motion Estimation, search range size, GOP size )은 C modeling 과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값을 결정 하였다. Motion Compensate Temporal Filtering (MCTF) is a innovative video coding scheme that has efficiency of established Motion Estimation Scheme and Wavelet transform. In this paper, the structure that can reduce storage size is propos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hardware that can be real time processing of the MCTF block; a point block of the Scalable Video Encoding MCTF parameters (MCTF iteration Level, Basic block size for Motion Estimation, search range size, GOP size) that are chosen for making application for the proposed structure are determinated by some of C modelings and analysises of the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