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멜랑콜리와 알레고리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정광채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광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71

        아름다운 기억으로만 과거를 채우고 싶은 욕망으로 인해 어둡고 슬프고 고통스러운 과거의 모습들은 부정되거나 잊혀진다. 하지만 사라졌거나 잊혀졌다고 생각한 과거가 삶의 여기저기에 화해불가능한 모습으로 포진해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트라우마로서의 과거는 불쑥 손님처럼 도둑처럼 현재로 들어와 일상을 어지럽히고 충격을 가한다. 본인의 작업이 트라우마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그전까지 본 연구자는 나의 작업이 견고한 지식과 의식적 경험, 혹은 현대적 이미지의 창출과 연관이 있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초기부터 지금까지의 작업에 일관된 특징이 본인이 일생 경험한 지인들 혹은 낯선 이들의 죽음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작업을 설명하거나 해석하는 ‘언어’의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언급하고 싶지 않았던 과거의 불편한 기억들이 작품에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 그것이 어떤 이론에 근거하여 설명될 수 있는지를 알고 싶은 동기에서 출발했다. 또한 본인과 비슷한 성향의 작업을 한 작가들을 ‘새롭게’ 발굴하면서 연구자의 우울증, 상처, 슬픔을 ‘새롭게’ 받아들이고 인정하게 되었다. 본인은 지금껏 우울증적 성향을 숨겨왔지만 본 논문을 작성하는 중에 그것을 좀 더 넓은 맥락에서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었고, 그러한 우울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프로이드의 멜랑콜리와 언캐니를 많은 부분 참조했다. 그리고 본인도 인지하지 못했던 과거의 기억들을 하나둘씩 도출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자의 이미지의 형상들이 알레고리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연구자는 알레고리 개념에 비추어 본 연구자의 작업의 미학적 정당성을 도출했다. 총체성의 재현이 불가능한 시대에 파편적인 모습으로만 드러나는 삶의 ‘무의미한’ 진실을 기록하는 자, 그것이 알레고리주의자들의 작업이다. 연구자는 우선 죽음의 알레고리와 우울증적 삶의 응시란 주제어로 관련 작가들을 정리했는데, 조엘 피터 위트킨, 데미안 허스트, 마크 퀸이 그들이다. 기형의 인체와 주검의 알레고리적 배치를 통해 죽음에 대한 성찰을 일관되게 진행한 조엘 피터 위트킨, 삶과 죽음의 경계를 직접적인 오브제들을 통해 성찰한 데미안 허스트, 역시 인체의 변형과 물질의 우연성을 바탕으로 삶과 죽음을 성찰한 마크 퀸을 통해 늘 지인들의 끔찍한 죽음을 목격해야 했던 본 연구자의 작업의 주제와 형상들의 계보를 찾고자 했다. 두 번째로는 우울증적 주체와 치유로서의 예술이란 주제어로 여성작가들인 루이즈 부르주아, 트레이시 에민, 사라 루카스를 정리했다. 어린 시절 가족 관계 안에서 받은 상처를 토대로 개인적 삶에 반영된 상처와 슬픔을 이미지로 형상화한 루이즈 부르주아, 불우한 어린시절 경험을 토대로 대담한 자기고백적 작업을 지속하고 있는 트레이시 에민, 트레이시 에민과 더불어 ‘양대 불량소녀’로 불리는 사라 루카스를 통해 상처의 반복이자 치유의 과정으로서의 예술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연구자의 초기 작품에서는 죽음과 지옥, 회개와 구원의 메시지가 알레고리적으로 표현되었다. 이후의 작품들에서는 상어나 나비와 같은 구체적인 오브제와 그것들을 둘러싼 심리적 풍경을 통해 우울증적 주체로서의 본 연구자의 심적 현실을 드러내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고독과 상처에 노출된 삶은 죽음을 욕망하게 하지만, 본 연구자는 그런 죽음에의 욕망을 작업을 통해 강화시키고 위로하고 승화시켜왔다고 생각한다. 본인이 선택한 많은 형상들에 대해 본인이 만족할만한 설명을 한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앞으로의 작업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번 논문을 통해 ‘자기발견-자기찾기’의 출발점에 서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본인은 개인적인 상처와 트라우마가 집단적이고 공적인 차원에 대한 발언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는 미약한 희망, 삶을 지속해야 한다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주제어: 멜랑콜리, 알레고리, 트라우마, 치유, 조우

      • 명리학의 십신 개념에 의한 출가수행자의 성정과 적성 분석

        정광채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사주명리학에서 십신이 직업 선택과 관련된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해 보자는 것에 목적이 있다. 명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출가수행자들은 세속을 떠났다는 이유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신의 운명을 바꾸었다고 보아왔다. 명리학적 관점은 출가의 이유나 과정에 대한 문제, 즉 출가할 수밖에 없는 운명적 요인이 있다고 보아왔으나, 출가 후는 운명과는 거의 무관하거나 운명을 벗어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주명리학적 관점은 출가수행자를 예외로 취급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 논문은 출가수행자들의 성정과 적성이 사주명리학적 관점과 무관한가 하는 문제에 대해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출가수행자들을 ‘수좌, 소임자, 학인’로 분류한 후, 수좌 63명, 소임자 62명, 학인 64명 등 총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그 명조를 분석하였다. 명조의 분석은 격국과 십신만을 기준으로 간략하게 간명하였다. 설문조사의 항목을 재분류하여 13항목으로 정하고, 각 항목별로 간명된 명조를 분류, 십신의 분포가 어떻게 되는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출가수행자의 설문에 대한 응답이 십신과 어느 정도 상응하는지 파악하였다. 항목별 도표에서, 출가수행자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출가수행 생활 만족도’가 될 것이다. 출가수행 생활 만족도는 86.9%의 출가수행자들이 만족을 표했으며, 가장 많은 만족도 순으로는 편인, 식신, 편재, 정재로 나타났다. ‘인간관계 만족도’와 ‘적성과 소임’에서도 편인과 식신이 높은 비중을 보였다. ‘암기력과 판단력’에서도 역시 식신과 편인이 높은 비중을 보였다. ‘운동과 공부’에서는 편인과 식신이 상반된 양상을 보였으며, 또한 ‘불편한 감정 숨김’에서 편인과 식신이 다소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보면, 출가수행자의 출가수행과 인간관계, 적성과 소임에서 드러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는 식신과 편인의 격을 가진 사람이 출가수행자의 직업적성도 비교적 높다고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출가수행자의 십신 중 가장 많은 것은 편인격으로 나타났다. 명리학에서 편인의 적성이 종교, 역학, 의학, 약학 등 특수학문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간주하는 것을 볼 때, 편인격이 출가수행자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간주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편인과 출가수행자의 성정과 적성이 유관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사주명리학의 십신격으로 출가수행자의 사주를 분석해 본 결과, 출가수행자들의 성정과 적성은 사주명리학적 직업적성 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ipsin can be used to explain human behavior related to occupational choice in the study of Saju-Myungri. From Myungri point of view, it has been seen that monks generally changed their fates because of their departure from the real world. The viewpoint of Myungri is the problem of the reason or process of renunciation, in other words, it has been seen that there is a fateful factor that has no choice but to leave the world, after leaving the real world, it is taking the position that it has little to do with fate or is outside of it. Therefore, in general, the perspective of Saju-Myungri has a strong tendency to treat the monks as an exception. This thesis tried to explain the problem of whether the personality and aptitudes of monks are irrelevant to the perspective of Saju-Myungri. For this purpose, the monks are classified into Sujoa, Soim and Hakin, the Saju-Myungjo of the 63 of Sujoa, 62 of Soim and 64 of Hakin was investigated, and they are surveyed the same questionnaire. The analysis of Myunngjo was simplified and concise based on Gyeokguk and Sipsin. The survey items were reclassified into 13 items, and the items were classified by the Myungjo, so, the distribution of Sipsin was figured out. Through this, it was identified to what extent the answer to the questionnaire of the monks corresponds to the Sipsin. In the frequence analysis, the most important item for the monks may b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secluded life’. The 86.9% of monks were satisfied their life, and the order of the satisfaction was Pyunin, Siksin, Pyunjae and Jeongjae. In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ptitude and responsibilities’, the proportion of Pyunin and Siksin was higher. Also, the proportion of Siksin and Pyunin was higher in ‘ability of memorization and judgement’. In ‘exercise and study’, the Pyunin and the Siksin were opposite, and also, in the ‘hiding uncomfortable emotions’, the Pyunin and Siksin showed somewhat contradictory patterns. Through these results, the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of ‘the secluded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ptitude and responsibilities’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satisfaction of occupation is higher when the Sipsin is Siksin or Pyunin. Furthermore, the Pyunin was the most frequent in Sipsin of monks. In Myungri, considering that the aptitude of Pyunin is considered to be highly likely to be engaged in special fields such as religion, epidemiology, medicine, and pharmacy, it can not be concluded that the person with Pyunin has the higher probability to be a monk, at the leas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Pyunin and the personality and aptitude of monk are relev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nk of the Sipsin of the Saju-Myungri, the personality and aptitude of monk is not much deviation from the theory of vocational aptitude in the Saju-Myungri.

      •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 간에 서비스리더십의 조절효과

        정광채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태권도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 간에 서비스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태권도장 및 태권도조직의 지도자 및 구성원을 대상으로 서울 및 경기도내 소재 태권도장과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태권도조직의 지도자를 모집단(mother group)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태권도장 지도자의 경우, 설문조사방법은 일련의 교육을 받은 설문조사요원들이 각 태권도장을 사전협의하에 태권도장의 규모별, 위치별, 주거환경별로 다단계 층화한 후에 지역의 거주인구 및 생활수준별로 2차 층화하여 수도권지역의 100-250인 수련 회원을 운영하는 대ㆍ중ㆍ소형 태권도장 80개소 중 66개소의 태권도장 관장님의 허락을 득한 후 설문조사요원이 직접 방문하여 자기기입식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태권도 지도자를 대상으로 총 200명을 설문조사한 후, 오류검증과 무효설문지를 제외한 184명의 설문지를 확보하였고, 생활체육협의회 태권도 조직의 지도자의 경우는 서울 및 경기도 생활체육협의회 태권도조직의 지도자급 구성원 110명을 표집한 후, 일련의 교육을 받은 설문조사요원들이 각 생활체육협의회 태권도조직을 사전협의하에 방문하여 자기기입식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연구가설 Ⅰ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서비스신념의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Ⅱ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서비스신뢰의 조절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Ⅲ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서비스능력의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Ⅳ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자기통찰력의 조절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leadership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In order to achive this purpose three 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10 assitant leaders. Of participations valid data were 279. They completed a modified inventory of transformation leadership, servic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Results were analysed in quantitative approach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survey. The methods of statistic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es are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hiaera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Hopothesis Ⅰ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belief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Hopothesis Ⅱ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reliability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Hopothesis Ⅲ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ability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Hopothesis Ⅳ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lf-control ability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 태권도 비각품새의 운동강도 및 혈중 생리학적 변인 분석

        정광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태권도 품새경기에 새롭게 개발/도입된 비각품새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비각품새(1, 2, 3) 및 모의 품새경기(고려+비각품새) 시 운동강도(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호흡교환율), GXT와 ACE에 따른 상대적 운동강도(%) 및 혈중 젖산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태권도 품새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품새경기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규모품새대회에서 입상경험이 있는 남자 대학생 품새선수 10명을 대상을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비각품새 유형별 최대산소섭취량은 비각 3이 44.05±10.12㎖/kg/min, 최대심박수는 비각 1이 161.40±13.48bpm, 호흡교환율은 비각 3이 0.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트레드밀 운동부하검사(GXT)에 대비한 비각품새 유형별 상대적 운동강도(%)는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비각 3이 90.84%, 최대심박수는 비각 1이 90.38%, 호흡교환율은 비각 3이 69.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 에르고미터(ACE)에 대비한 비각품새 유형별 상대적 운동강도(%)는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비각 3이 88.83%, 최대심박수는 비각 1이 96.22%, 호흡교환율은 비각 3이 7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각품새 유형별 혈중젖산의 평균수준은 운동직후 3.84, 직후 5분 3.49로 나타났고 비각 2가 운동직후 3.92, 직후 5분 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의 품새경기 유형별 최대산소섭취량은 고려+비각 2가 46.12± 8.10㎖/kg/min, 최대심박수도 고려+비각 2가 168.20bpm로 가장 높게, 호흡교환율은 3개 유형에서 0.80을 나타났으며, 트레드밀 운동부하검사(GXT)에 대비한 모의 품새경기 유형별 상대적 운동강도(%)는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고려+비각 2가 93.44%, 최대심박수도 고려+비각 2가 93.84%, 호흡교환율은 고려+비각 1이 73.7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 에르고미터(ACE)에 대비한 모의 품새경기 유형별 상대적 운동강도(%)는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고려+비각 2가 95.15%, 최대심박수도 고려+비각 2가 99.61%, 호흡교환율은 고려+비각 1이 81.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의 품새경기 유형별 혈중젖산의 평균수준은 운동직후 4.02, 직후 5분 3.77로 나타났으며, 고려+비각 2가 운동직후 4.65, 직후 5분 4.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새로 개발/도입된 비각품새(1, 2, 3)는 기존의 공인품새 보다 운동 강도가 높고 고난이도 발기술이 응용됨에 따라 공인품새의 기술적 단조로움을 극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각품새 수행에 따른 유형별 운동강도의 수준이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한 바, 경기품새 도입 초기에 발생될 수 있는 비각품새 배정에 따른 품새선수들의 사사로운 불만소지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비각품새를 태권도장에서 활용한다면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수련생들의 유산소성 운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지장신앙에 나타난 사회복지사상

        정광채 경성대학교 정책정보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ZIZANG faith means the teachings of ZIZANG Bodhisattva, one of the many types of Bodhisattvas. Whatever temples one were to visit in Korea, one would immediately see the many shrines within the temple complex. One of these shrines would be called ZIZANG-JEON or MONBU-JEON, These shrines' main Buddhist statue is called ZIZANG Bodhisattva. In Korea, Mahayanist Buddhism is widely spread and deep-rooted, that is developed by Bodhisattvas' various swears. Among the swears, ZIZANG's swear is focused on the saving people; he wanted to save the last one in the hell and to help them could be delivered from anguish. For this reason, he decided not to become a Buddha. His swear of saving the last one in the hell is similar to purpose of social welfare in the view of people respect. Purposes of social welfare are liberating people from anguish and poverty, and offering more comfortable and peaceful life. As a monk who defies ZIZANG Bodhisattva, I want to make cleat what are similar points between a basic thought of ZIZANG faith and that of social welfare. Then, I'll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 of social welfare that is in ZIZANG faith. To attain this purpose, studying the Buddhist sutras is used. First, I want to define the basic thought of ZIZANG faith. I studied "The Buddhist sutras concerning the ZIZANG Bodhisattva" that include 『DAESEUNG DAEZIP ZIZANG SHIPRUNKYOUNG』, 『ZIZANG BOSAL BONWONKYOUNG』, 『SUNAK UPBO ZUMCHALKYOUNG』. I also studied books and records of precedent studies concerning ZIZANG faith. Second, for defining the basic thought of social welfare, I studied many books, research papers and research reports. about social welfare. In the contents of my study, first, there ar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basic thought of social welfare, and studying various theories of many social welfare scholars. Although the scholars' theories are various and different in their focuses, all of them are sharing these basic concepts; people respect, offering opportunities based on freedom and equality and nation's responsibilities for human life. Second, there is general understanding of ZIZANG in whole fields of Buddhism. The basic thought of ZIZANG faith consists of four concepts; the concept of the last times, the concept of the netherworlds, the concept of the promise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and the concept of sharing the power of the enlightenment. Among these concepts, I study two; the concept of the promise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and the concept of sharing the power of the enlightenment, because these concepts are based on mercy theory. Mercy theory is the Buddhism's basic thought that is the most similar part to the basic thought of social welfare. Third, I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asic thoughts of social welfare and those of ZIZANG faith. The thoughts of social welfare consist of people respect, equality and nation's responsibilities. The thoughts of ZIZANG faith contain mercy theory, the concept of the premise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and the concept of sharing the power of the enlightenment. After studying the correlation, I find that there are similar parts between them. Although I study only ZIZANG faith, I really hope more study about another Bodhisattvas is done in the future.

      • 南·北韓 高等學校 數學 敎科書 比較 硏究

        정광채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의 실상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북한의 수학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여 남한의 수학교육과 비교 분석해 보고, 남한과 북한의 수학교과서의 내용을 비교하여 북한의 수학교육 체계를 일부나마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남한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 3학년 수학교과서와 북한의 고등중학교 5, 6학년의 수학교과서를 기준으로 외형적 체계와 내용전개방식, 학습범위와 수준, 구성비율 및 용어, 교육과정 등을 비교 분석하여, 남북한의 수학교육의 구성과 내용 면에서의 차이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보다나은 수학교육 체계 및 내용의 개발을 위한 자료로 삼고자 하는데 있다. 남한 일반계 고등학교 자연계열 과정인 공통수학, 수학Ⅰ, 수학Ⅱ와 북한 고등중학교 5, 6학년의 수학교과서, 교육과정, 교육목표, 단원조직, 내용체계, 수학용어,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학제를 살펴보면 북한의 기본학제는 4-6-4제로 인민학교 4년, 고등중학교 6년, 대학교 4년으로 유치원 1년, 인민학교 4년, 고등중학교 6년을 의무교육이며, 그 이외의 특권층 자녀와 우수한 학생이 다니는 특수학교 및 예·체능 학교가 있다. 남한은 6-3-3-4제로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으로 되어 있고,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을 의무교육으로 하고 있으며 특수목적 고등학교, 예·체능학교 등이 있다. 둘째, 북한은 모든 고등학교에 단일 편제가 적용되고 있으나, 남한은 일반계와 실업계, 일반계 고등학교는 인문계와 자연계로 운영되고 있다. 셋째, 남한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인문계는 3년 동안의 총 이수단위 204단위 중 수학이 18단위로 8.8%이고, 자연계는 204단위 중 28단위로 13.7%이며, 북한의 고등중학교 5학년은 1년간 총 이수 단위 70단위 중 수학이 12단위를 6학년은 1년간 총 이수단위 64단위 중 12단위를 차지하여 2년 동안 134단위 중 24단위로 17.9%의 시간을 차지하고 있어 북한이 남한보다 비율면에서 높다. 넷째, 남·북한 수학교과서를 비교해 보면 남·북한 수학교육의 목표를 남한은 수학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가지게 하고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게 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반면, 북한은 자연기초 과학부문들을 적극 발전시킴으로써 나라의 과학기술수준을 더욱 높이고 인민경제 여러 분야에서 발생되는 과학 기술적 문제들을 더 잘 풀어 나가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다섯째, 내용전개 방식을 살펴보면 남한은 대단원명, 중단원명, 소단원명, 본문, 자율학습문제, 연습문제, 종합문제로 정리되어 보기 좋으나, 북한은 앞단원이 어디서 끝나는가에 따라 단원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산만한 느낌이.들지만 대단원명, 중단원명, 소단원명, 본문, 연습문제, 종합문제의 순서가 남한과 같다. 여섯째, 학습내용 및 구성비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6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대수,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으로 나누어본 결과 남한은 해석(39.9%), 대수(32%), 기하(16.5%), 확률과 통계(11.6%)이고, 북한은 해석(40.4%), 대수(29.7%), 기하(26.1%), 확률과 통계(3.8%)로 다루는 순서는 같다. 일곱째, 용어를 대 영역별로 구분하여 남북한의 표현방법이 다른 용어를 조사하였는데 용어자체 및 사용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I think it need to be known more preciously the reality of education in North Korea. In this point, it needs to be understood the system of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 Korea by investigating basic data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contrasting and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math textbook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is thesis aims for the improvement on the system and content of our mathematics education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organizations and contents between South Korea's mathematics education and North Korea's. In order to do this, I contrast and compare the external systems, the objectives, the way of contents development, the learning scopes and levels, the rates of the constituents and terminologies and the curriculums shown the textbooks of the 1st, the 2nd, the 3rd grade in high school of South Korea (Math for everyone, Math Ⅰ, MathⅡ) and of the 5th and the 6th grade in higher middle school of North Korea.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in the educational system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basic educational system of North Korea is 4-6-4, that is, 4 years of elementary school, 6 years of higher middle school and 4 years college. The 1 year of kindergarten, 4 years of elementary school and 6 years of higher middle school is the dur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re are other special schools and artistic & athletic schools which are permissible only to the children born the privileged class and smart students. The educational system of South Korea is 6-3-3-4, that is, 6 years of elementary school, 3 years of middle school, 3 years of high school and 4 years of college. The 6 years of elementary school and 3 years of middle school is the dur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there are special objective high schools and artistic & athletic schools. Second, all of high schools in North Korea are organized in a way, but South Korea's high schools follow the two-way organization; general and vocational, and the general high schools are divided into the natural science course and the liberal arts course. Third, in liberal arts course high schools of South Korea, mathematics is 18 units(8.8%) of the total 204 units for 3 years, and in natural science course high schools, it is 28 units(13.7%) of 204 units. In North Korea, mathematics forms 12 units of the total 70 units for the 5th grade in higher middle school, and 12 units of the total 64 units of the 6th grade. Therefore, mathematics makes up 24 units(17.9%) of 134 units for 2 years in North Korea, so the rate of mathematics in North Korea is higher than is South Korea. Fourth, comparing the objective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with objectives in North Korea, the South Korea's mathematics education aims for the development of ability for individuals to think in mathematics and to solve the problems creatively by having fundamental mathematics knowledge and skills. In contrast, North Korea hopes to solve the science technology problems better and raise the level of technology of sc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fundamental science parts such as mathematics, chemistry, physics and biology. Fifth, in the ways of contents development, the order of contents in math textbook of South Korea is Unit - middle unit - small unit- main part - exercises for self-study - exercises - formative test - summative test and the order is very clear to see. In North Korea, the order of the textbook organization is the same with South Korea, but the division between each unit is un clear. Sixth, I divided into algebra, analysis geometry, and probability & statistics sections in order to compare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rates of constituents. The result is that South Korea's textbook consists of analysis(39.9%), algebra(32%), geometry(16.5%), and probability & statistics(11.6%), but in North Korea the math textbook is made up of analysis(40.4%), algebra(29.7%), geometry(26.1%), and probability & statistics(3.8%). The order of the constituents is the same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Finally, I investigate terminologies for each section that ate used differently in the two Koreas. Many terminologies that are different in the terminology itself and its usage can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