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계고등학교 교사의 동료장학과 전문적 발달 간의 관계

        전효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 수행수준과 교사의 전문적 발달 인식수준을 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조사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동료장학과 교사 전문적 발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동료장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로는 첫째,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 수행수준은 교사의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전문적 발달 인식수준은 교사의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 수행수준과 교사의 전문적 발달 인식수준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 교육청 관내 전문계고등학교 국․공립․사립 학교(강화 제외)에 근무하는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전문계고등학교 교사 총 29개교 1,866명 중에서 무선 표집하여 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학교 교사들의 협조를 얻어 질문지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통계처리가 곤란한 설문지를 25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375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두가지 내용(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수업중심 동료장학의 수행수준 문항(7문항), 협의중심 동료장학의 수행수준 문항(5문항),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의 수행수준 문항(4문항), 동호인활동중심 동료장학의 수행수준 문항(4문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또한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을 통한 전문성 발달 인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지도 문항(4문항),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지도 문항(4문항), 생활지도 문항(4문항), 학급경영 문항(4문항), 교육기자재 및 컴퓨터 활용 문항(4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과 교사의 전문적 발달간의 관계에 대해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 집단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또한 통계적인 차이의 검증방법으로는 성별, 직위별로 t검증(t-test)을, 경력별로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경력별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차이가 나는 집단을 확인하기 위해 사후검증(Scheffé-test)을 실시하였다. 동료장학 수준과 교사 전문적 발달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동료장학이 교사 전문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등학교에서는 부장교사들이 동료장학 활동에 선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부장교사는 중간관리자로서 일반교사의 동료장학 활동 참여를 이끌어 내는 지도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리고 20년 이상의 교직경험을 가진 교사 집단이 선배교사로서 동료장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계고등학교 교사의 전문적 발달 인식수준은 조사된 모든 영역에서 비교적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를 통하여 대부분의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이 동료장학을 통한 교사의 전문적 발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누구나 함께 조언하고 지도할 수 있는 동료장학의 특성상, 교사들이 성별과 직위 간의 벽을 허물고 친화적으로 다가 설 수 있는 학교풍토를 만들어간다면 동료장학의 성과는 보장될 것이다. 셋째, 연구과제중심을 제외한 수업연구중심 동료장학, 협의중심 동료장학, 동호인활동중심 동료장학 활동이 적극적일수록 교사 전문적 발달 영역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재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 또한 운영 방법에 따라 장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동료교사들 사이에서 협의와 협력을 바탕으로 연구대회에 참여하며,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긍정적인 기회로 받아들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노하우 전수 및 지도․조언 등 적극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고, 관리자의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효선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영아의 개인 변인(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 및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간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2세 영아와 그 어머니 308명, 그리고 담임교사 96명이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IPBI(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 Form: Crase, Clark & Pease, 1978)을 토대로 홍계옥(1995)이 번안하고 수정한 IOWA 부모양육행동 척도를 영아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Halberstadt(1986)가 개발한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서혜린(2007)이 수정,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영아의 정서표현성은 김주영(2011)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아의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 변인 간 관계 검증을 위한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영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여아의 정서조절 전체점수와 정서관리 평균은 남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하지만 출생순위에 따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는 영아의 정서조절 전체와 자기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영아의 자기정서표현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전체 평균 점수는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전체 평균 점수와 자기정서표현 정서적 대처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는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중 정서관리와 정서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중 정서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은 개별 특성 중 성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은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특히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와 같은 양육행동과 긍정적 정서표현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와 긍정적인 정서표현의 중요성을 밝혔다. 이는 영아기 정서조절에 있어서 양육자의 역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적 환경으로 어머니가 양육 시 일관성을 유지하고 상황에 따른 합리적 판단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한편, 긍정적 정서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을 비롯한 지역사회 기관 등이 적극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구체적인 양육실제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한국 성인의 n-3 지방산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관련성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전효선 계명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n-3 fatty acids intake and risk marke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Ⅶ-1). Subjects included 3,448 adults (1,414 male and 2,034 female) aged 30 to 74 years. Subjects were categorized by gender and lower (<2,000 mg/day) versus higher (≥2,000 mg/day) dietary n-3 fatty acids intake. The n-3 fatty acids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each group was evalu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3 fatty acids intake and risk marke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was analyzed. Average n-3 fatty acid intake across all subjects was 1,640.7 mg/day (1,840.5 mg/day for males and 1,440.5 mg/day for females). When comparing nutrient intake status of the lower versus higher n-3 intake groups, the lower n-3 intake group consumed <75% of the 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of calcium and vitamin A; whereas, the higher n-3 intake group exhibited no insufficiencies in nutrient intake. Comparing n-3 intake groups by gender demonstrated that, for males,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r n-3 intake group (101.0 mg/dL) than the lower n-3 intake group (104.2 mg/dL). For females, serum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r n-3 intake group (115.2 mg/dL) than the lower n-3 intake group (125.0 mg/dL). When analyzing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components, males in the higher n-3 intake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abdominal obesity and obesity, while females in the lower n-3 intake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systolic blood pressur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3 fatty acids intake and risk marke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controlling for total energy intake,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rea of residence, aerobic physical activity, smoking status and alcohol intake). Males in the higher n-3 intake group exhibited a reduced the risk of hypertriglyceridemia (adjusted OR: 0.74; 95% CI: 0.55–1.00) and metabolic syndrome (adjusted OR: 0.64; 95% CI: 0.45–0.90). Associations observed in the female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2,000 mg/day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in males and lower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females. Additionally, at least for males, the risk of hypertriglyceridemia and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r n-3 intake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sufficient n-3 fatty acids intake may contribute towards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본 연구는 제 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n-3 지방산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만 30세 이상 75세 미만의 남성 1,414명, 여성 2,034명의 총 3,448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성별과 1일 n-3 지방산 섭취량 2,000 mg을 기준으로 미만섭취군(저섭취군)과 이상섭취군(고섭취군)으로 나누어 영양소 섭취를 평가하였고, n-3 지방산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1일 평균 n-3 지방산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섭취량은 1,640.7 mg이었고, 남성은 1,840.5 mg, 여성은 1,440.5 mg이었다. n-3 지방산 저섭취군과 고섭취군의 영양소 섭취를 비교한 결과, 저섭취군에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대비 75%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는 칼슘, 비타민 A이고, 고섭취군은 모든 영양소에서 75%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n-3 지방산 섭취량에 따라 성별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남성에서 공복 혈당이 고섭취군이 101.0 mg/dL로 저섭취군의 104.2 mg/dL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여성에서 혈중 중성지방이 고섭취군이 115.2 mg/dL로 저섭취군의 125.0 mg/dL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n-3 지방산 섭취량에 따라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별 해당 비율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성은 복부비만이 저섭취군과 고섭취군이 각각 33.4%, 39.2%, 비만이 각 40.6%, 49.8%로 고섭취군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성은 수축기 혈압 135 mmHg 이상에 해당하는 비율이 저섭취군과 고섭취군이 각각 20.3%, 15.4%로 저섭취군의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n-3 지방산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을 총 에너지 섭취량,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계수입, 거주지역, 신체활동, 흡연, 음주를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은 고섭취군이 고중성지방혈증의 교차비가 0.74(0.55–1.00), 대사증후군 교차비가 0.64(0.45-0.90)로 저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위험도를 나타내었고, 여성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이 n-3 지방산 섭취량이 일일 2,000 mg 이상인 고섭취군이 저섭취군에 비해 남녀 모두 영양소 섭취 상태가 양호하였고, 남성은 공복 혈당, 여성은 혈중 중성지방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남성은 고중성지방혈증 및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낮아 n-3 지방산은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초등 음악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전효선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연극은 연극적인 놀이를 통해 배우는 활동으로써 자아개발을 통한 사회교육과 모든 과목의 교육수단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연극의 개념과 요소를 탐구하여 음악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음악학습에서 교육연극이 갖는 기능은 첫째, 연극적 행위와 학습 행위의 유사성이 가지는 효과이다. 학습에서의 재인지는 극적인 전환 요소인 재연에 의해 성취되는 지식에서의 변화와 유사하다. 특히 판단력, 문제 해결력, 성취력의 향상과 관련 있는 본질적인 학습의 경우와 일치한다. 음악학습 또한 음악적 지식과 느낌들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음악적 양식들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들은 연극 속의 재연의. 과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음악학습에서의 연극의 활용은 가치를 가진다. 둘째는 연극적인 요소와 음악의 융합으로 만들어진 음악극의 활용부문이다. 음악극은 학생의 수준에 따라 내용과 방법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초등 음악 지도의 가창과 감상. 창작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가창학습에서는 노래와 관련 있는 한편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달하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방법과, 학습 전체를 한편의 이야기 발로 만들어서 교사와 함께 노래로 대화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하여 노래와 생활을 이해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감상 부분에서는 감상 곡을 듣고 그 느낌을 신체로 표현하여 감상 곡을 내면화하는 방법과 표제적인 감상 곡의 내용을 연극으로 다시 구성하여 발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창작 부분에서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 이야기 의 장면을 주변의 소리와 악기로 즉흥 표현하기와 줄거리가 있는 음악극을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서 발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극 활동을 활용한 음악학습은 학생들이 한편의 드라마 속에서 자연스럽게 노래하고, 음악에 따른 신체표현을 하며, 모둠원과 협동하여 음악극을 만들어 발표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음악 학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음악에 관한 내적 동기를 일으키고 더불어 살아가는 협동심을 길러 줄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그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음악적 경험들을 생활 경험 속에 용해시켜 미리 표현해 보고, 종합 예술적인 표현 활동을 통하여 유기적으로 재창조함으로써 음악과 인간, 그리고 인간의 삶과 관련되는 내적 지각 및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은 연극의 극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음악의 순수한 영역들이 제대로 학생들에게 전달되지 못할 수 도 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본 연구자는 시·음악·무용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예술형식으로 발전시킨 바그너의 '극음악' 개념을 탐구하여 연구의 이론적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극음악은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어 연극과 음악. 그리고 신체표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학습방법으로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연극 활용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그 통합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음악의 개념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시키는 것이 목표임을 유념하여 교육과정을 재편성하고 계획적으로 학습을 지도하여 음악학습의 목표와 초점을 단순하고 선명하게 하여야 한다. Education drama is an application of drama to education activity, applied to social education through self development, and every subject education method. This thesis gropes for the application way to music study by searching notion and element of education drama. The aim of this thesis is searching unfolding the way music study more inclusively and positively by applying education drama to music study. Function of Education drama in music study is first, effect of similarity of dramatical act and act of study. A new recognition in study is similar to change of knowledge achieving by dramatic conversion element, revival. Specially it is accord to the essential study related with judgment, problem solving ability, achievement power. The aim of music study is also presentation new music mode under reorganization music knowledge and feeling, this course is similar to the course of revival course of play, so application of drama in music study is avaliable. Second is application part of music drama made by mixing dramatical element and music. Music drama can be composed the contents and method according to level of students, this thesis suggests the application way of singing, appreciation, and creation. In song study, there are two way. The one is reading a story and sing a song in the story, the other is making whole study material one story song, and give and take the song with teacher. Two way of appreciation is expression the feeling after listening the music, and composition a drama out of contents of the music Creation part, one method is that listen to the story and express scene of the story using some voice and instrument, the other way is that students make music drama directly and perform it. In study of dramatical form, students sing naturally in one drama, act physical expressing with music, making and performing music drama with group member, induce student participate in music study actively, raise inner motive about music, cultivate cooperative mind. Students can advance inner consciousness and response concerning music and human, life of human by expressing immanent musical experience in advance, and a new creation through synthetic art expressing activity. Problem that theoretical part of drama can disturbance pure aesthetic experience can be suggested in this thesis. So this investigator chose the drama music for theoretical disposition combined organic poem, music, dance and advanced a new art form suggested by Wagner Wilhelm Richard(1813-83), and this part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continually, should be applied to music drama helping musical concept formation of student. Teacher should attend the goal is not drama application itself but approaching musical concept by various method to students through unification lesson, should make the goal and focus simple and clear by new organization, planned guidance.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휴대폰 의존의 관계

        전효선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Mobile device Depend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Choun, Hyo Sun Dept. of Human Ecology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father's open communication, problematic communication, mother's open communication, problematic communication), self-efficacy(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mobile device dependence(compulsive-withdrawal symptoms, difficulty in controlling, dependency symptom)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from 244 male and 322 female middle school and first, second of high school at Jeonju in Jeollabuk-do.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mobile device dependence according to the gender, type of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ther's occupation, mobile using time, user's time of day and charges of mobile. Second, Self-regulator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bile device dependence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pen communication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roblematic communication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bile device dependence, and open communi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bile device dependence. Finall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obile using time, charges of mobile, mother's problematic communication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elf-confidence of self-regulator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obile device dependence.

      •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Objective Diagnosis of Movement Disorder Symptoms in Parkinson’s Disease

        전효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lthough clinical aspirations for new technology to accurately measure and diagnose Parkinsonian tremors exist, automatic scoring of tremor severity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has not yet been employed. This study aims to maximize the scientific validity of automatic tremor-severity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score Parkinsonian tremor severity in the same manner as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used to rate scores in real clinical practice. Eighty-five PD patients perform four tasks for severity assessment of their resting, resting with mental stress, postural, and intention tremors. The tremor signals are measured using a wristwatch-type wearable device with an accelerometer and gyroscope. Displacement and angle signals ar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acceleration and angular-velocity signals. Nineteen features are extracted from each of the four tremor signals. The optimal feature configuration is decided using the wrapper feature selection algorithm 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decision tree, support vector machine, discriminant analysis, and k-nearest neighbor algorithms are considered to develop an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UPDRS prediction. The results are compared to UPDRS ratings assigned by two neurologists. The highest accuracies are 92.3%, 86.2%, 92.1%, and 89.2% for resting, resting with mental stress, postural, and intention tremors, respectively. The weighted Cohen’s kappa values are 0.745, 0.635 and 0.633 for resting, resting with mental stress, and postural tremors (almost perfect agreement), and 0.570 for intention tremors (modera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posed system is shown to be an effective and feasible device for clinical use in Parkinsonian tremor-severity automatic scoring. Furthermore it conforms with the current trend of enhancing objective and quantitative patient diagnosis, disease progression monitoring, and optimal treatment identification through its facilitation of automatic scoring of the UPDRS classes and its reduction of the variance between evaluators, as well as its ease of use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t the hospital or during daily activities. For these reasons the proposed approach has the potential to be a highly useful tool for PD diagnosis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