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의사의 아동치과주치의 사업 평가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전지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치과의사의 아동치과주치의 사업 평가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Analysis for evaluation of dentists about the registered program for children based on Grounded theory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전지은 Objectives: 정부주도의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을 앞두고, 그동안 진행되어온 아동치과주치의 사업을 평가하기 위해 참여주체인 치과의사의 관점에서 사업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Methods: 사업에 참여 중인 경기도 치과의사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준비하여 면접을 진행하였고, 녹취 후 전사하여 자료를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분석방법 중 근거이론에 따라 코딩하고,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핵심 범주를 도출하였다. Results: 수집된 자료를 최초로 범주화하는 개방코딩 결과, 7개의 범주, 25개의 하위범주, 315개의 경험자료/현상 코드가 도출되었다. 중심 현상은 사업에 대한 불만족 경험으로 나타났고, 인과적 조건은 사업 진행에서 문제점 발생, 맥락적 조건은 타의에 의한 수동적 참여, 중재적 조건은 사업의 긍정적 효과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문제점 개선을 위한 노력, 결과는 이후 계속 참여의향 증가로 도출되었다. Conclusions: 아동치과주치의 사업은 일차의료를 강화할 수 있는 사업이며, 주된 참여자인 치과의사들의 적극적인 지지가 중요하다.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지침 및 기준 마련, 유기적 협조를 위한 협의체 구성, 모든 참여자 교육, 적절한 보상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Key Words: 아동치과주치의, 구강보건사업, 근거이론, 치과의사, 지역사회

      • 유아용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메타포의 시각적 의미전달성에 관한 연구

        전지은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04년 12월 현재, 우리나라의 100가구 당 컴퓨터 보유대수가 77.8대로 1997년 30.0대의 두 배가 넘었다고 한다. 또한 2004년‘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행태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가정에서의 인터넷 이용률은 72.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컴퓨터의 대량 보급과 인터넷 이용률의 증가로 다량의 정보를 집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고 또 직접 만나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이버상의 정보습득과 교류의 공간인 웹사이트들도 근래 들어 대량으로 생겨났으며 그 종류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에 사용자와 웹인터페이스 간의 편리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초기의 문자입력 방식에서 벗어나 그래픽을 사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과 브라우저의 사용은 사용자가 도구로써의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유용성을 증대시켰다. 또한, 기존에 주로 사무실이나 직장에서만 사용되던 컴퓨터가 이제 일반 가정에도 없어서는 안될 필수 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놀라운 컴퓨터의 가정 보급률과 웹사이트의 많은 사용에 힘입어 그 사용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다고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래의 주역이 될 유아들의 웹사이트 이용의 중요성을 깨닫고 최초에 유아들이 접하게 되는 유아용 사이트의 인터페이스에 적용되는 메타포의 시각적 의미전달성에 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메타포란 친숙한 사물을 빗대어 낯설은 사물을 설명하는 기법으로 언어 분야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광고나 영화등 시각적인 분야에 까지 사용되기 이르렀다. 특히 근래 들어 컴퓨터와 인터넷의 인터페이스에 도입되었으며 이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메타포가 인터페이스에 도입됨으로써 보다 더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앞서 언급했듯이 유아의 컴퓨터 사용경험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지금 유아의 발달에 따른 메타포 인식을 살펴보면 학령기 전의 유아들도 메타포를 이해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언어적인 것 보다 시각적인 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30개월과 41개월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결과 경험해본 사물을 바탕으로 직관적인 메타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며 친숙한 사물이라 할 지라도 개념적이거나 상징적인 메타포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2세부터 4세 대상의 현재 우리나라 웹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심층면접의 결과에 타당하지 않은 메타포의 사용도 상당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유아용 사이트 제작 시 사용자인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메타포를 적용한 사이트가 제작되어야 하겠다.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ational Internet Development Agency (NIDA) of Korea, the number of computers per each 100 household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from 30 (1997) to 77.8 (Dec. 2004), which is more than twice as much. Moreover, the internet use rate in a household is determined to 72.2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questions on the Internet user and its using pattern” in 2004. Due to the mass supply of computers and the increase of the internet use rate, it is possible to contact much information at home and also interchange with many peoples have not been met. In these days, an acquirement of information in this cyber space and related web-sites which is possible to be contact with each other have been quickly popularized and also have an unlimited kinds of them. Hence, it is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requirement on the usability between the interfaces of web-sites and users has been increased. Escaping from the character-input method in early stages, the use of computer system and browser with graphic support make the users to increase the usefulness to take advantage of computer as the tools. Furthermore, it has been clear now that the computer is the essential element of the public household while it was only used in the office and the work place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sable age is gradually lowered due to the enormous increase of computer holding-rate and the utilization of web-sites. Therefore,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our analysis on the increasing importance about an infant-friendly web sites, we investigate the visual transmission properties of meaning of “Metaphor”, which can be applied to the interface of infant-oriented web-sites and it may be experienced for the first time. Metaphor means the explaining technique the strange objects utilizing and citing the familiar objects, which is firstly appeared in the areas of Linguistics and then nowadays is popularized to the areas of visual media, for example, commercials and movies, etc.. Specially, in the present time, metaphor is introduced to the computer and the interface of web-sites and then has been an important factor in this kinds of applications. Since metaphor is introduced in the interfaces, the usability is much increased. As we mentioned before, the ages of infants which have the experience of using computer is gradually decreased and if we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of metaphor, it is observed that even the infants which is not reached school age can understand the metaphor, moreover, the power of understanding about the visual media is more than that about the linguistic media. We examined the in-depth interviews to the infants of 30 and 41 months ages and then they can understand the intuitive metaphor based on the past experience of relevant things and cannot understand well the conceptual and symbolic metaphor even if it is the familiar things to them.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Korea’s web-sites for the infants of 2-4 ages, it is observed that the use of conceptual and symbolic metaphor, which is inappropriate to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occupies the majority. It is concluded that desirable web sites for infants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hey should be applied to make best suited metaphor for the infants.

      • Feldenkrais method를 통한 무용수들의 고유수용감각과 무용성취능력의 상관관계

        전지은 대구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oprioception and dance achievement ability in dancers who learned awareness and cognition movements through Feldenkrais Method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psychological and dance movements, as a result of FI(Functional Integration) learning.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0 dancers using ATM(Awareness Through Movement) for 2 hours once a week for 12 weeks. Each dancer learned using FI for 40 to 50 minutes, 3 times for 12 weeks. The study program consisted of cervical, trunk, shoulder and ankle joint movements to assess proprioception, and STARMAT was used to measure joint position sens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Dance achievement ability was composed of understanding of dance movements, performing dance movements and creation of dance movement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oprioception and dance achievement 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FI learning, the changes of dancers' physical, psychological and dance movements were analyzed by inductive method based on recording, video shooting, and interview. First, the proprioception of the dancers through the 12-week Feldenkrais Method showed that the joint position sense ha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cervical motion, the range of mo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ankle motion and the balance was generally a significant change that appeared. Second, in dance achievement ability, positive effects were found in the understanding of dance movements, in the performance of dance movements, and in the creation of dance movements. Statistical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in the creation of dance movements. Third, we found that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all of them. As for each item, the joint position sense has a medium correlation with understanding of dance movements, performing of dance movements, and creation of dance movements, respectively. The range of motion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dance movement and the performance of dance movement, but it showed a medium correlation with the creation of dance movement. Balance has a medium correlation with understanding of dance movements, performing of dance movements, and creation of dance movements, respectively. The understanding of dance movements and the creation of dance movements was highest in relation to balance. The performance of dance movement was highest in relation to joint position sense. Fourth, through FI learning, positive effects were found in the changes of dancers' physical, psychological and dance movemen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ovement learning through Feldenkrais Method improves the proprioception of dancers and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ance achievement ability because it integrates internal and external functions.

      • 한국어 교재의 젠더 분석 :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전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한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중, 외국인 근로자는 125만 6천명이다. 이 중에서 남성 취업자는 56만 8천명이고 여성 취업자는 28만 4천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에서 남성은 2만 4천 명이었으며 여성은 2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활동 상태를 보 면 육아 및 가사가 39.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통계청, 2014). 따라서 여성의 경우 육아 및 가사로 인해 일을 할 능력이 있음에도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이들이 아이를 키우고 경제 활동을 시작한다고 하면 여성의 고용률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렇기에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 차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교재를 젠더적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 많은 교과목에서는 성 차별적 요소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 교육에서는 이화연(2009)에서는 해당 단원에서 제시하는 중심 표현과 문법을 남성과 여성 중 누가 더 많이 발화하는지, 대화문에서 남성과 여성 중 누가 먼저 등장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부분이 남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성 고정관념이 영어 교과서에 반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 교육에서 노태희 외 2인(2004)에서는 성별에 따라 학생들의 점수에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여학생과 남학생의 과학을 접하는 태도에 따른 차이라고 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과학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남성의 경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학에 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되었다고 이야기하였다. 또한 6차 교육과정에서 나온 교과서보다 7차 교육과정에서 나온 교과서에서는 여성의 등장 비율을 높여 여학생과 남학생이 성 고정관념으로 인하여 과학에 대해 다르게 접하지 않게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기준을 세웠으며 본 연구에서 살펴본 내용은 집필진 구성과 대화문, 그리고 사진, 삽화, 사진과 직장 상사를 다시 세부 항목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진 문서나 내용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을 통하여 양적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등장인물이 남성이었으며 여성이 등장하더라도 외국인 근로자로서 등장한 경우는 찾아 보지 못했다. 집필진이 여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이 집필한 교재도 남성 중심으로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집필진의 구성이 다수일 경우 남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보조 연구원 또한 남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 대화문에서도 남성 발화자가 더 많이 등장하였으며 그러한 경우 배경이 공장이거나 공장 관련 대화를 나누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이 등장한 경우에는 가게나 식당에서 일하는 아주머니인 경우가 많았으며 다른 경우에는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인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 성 역할 고정관념을 가장 잘 볼 수 있었던 곳은 그림, 삽화, 사진이었다. 여성의 경우 가사 및 육아와 관련된 그림에 국한되어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도 무거운 것을 드는 그림에서 나타났다. 여성이 무거운 것을 들거나 공장에서 일을 하는 장면은 나타나지 않았다. 직장 상사에서도 마찬가지로 직장 상사로 등장한 인물은 전부 남성이었다. 직장 상사로 등장한 남성의 경우 권위적이거나 보수적인 성향을 지녔으며 혹은 자상하고 배려심이 깊은 인물로 묘사되기로 하였다. 이러한 점은 여성보다 남성의 경제 활동이 더 길다는 것에 근거를 두고 여성보단 남성이 더 적합하다는 판단을 근거로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를 젠더 분석하면서 많은 교재를 보지 못한 점과 외국인 근로자와 비슷한 상황을 갖고 있는 비즈니스 목적 한국어 교재를 함께 보지 못한 점이 가장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무엇보다 앞으로 한국어 교재를 개발할 때 성 차별적 요소가 반영되지 않도록 기여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So far, studies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many gender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s were not found. Once again, I examin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tudy. In the study, the document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quantative research through systematic and specifix criteria. Generally, it was confirmed thay male oriented materials are produced in many ways.

      • 프랑스어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전지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tents of the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francophonie learners, find problems, and show improvement plan in five areas. The five sections are lesson construction, activities, teaching-learning of pronunciation, spoken language, intonation and appendix. To do this, we needed to clarify the goal and a necessity of this study. The paper presented the research method and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in chapter 1. In chapter 2, this paper analyzed seven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for francophonie speakers after 2000. Further contents of materials were categorized by composition of contents, contents to learn, exercise activities, factors of motivation of learning and appendix. In chapter 3,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basic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rancophonie learners to propose general features and draw problems. Problems were as below: review sections were not in the textbooks. I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parts such as listening, conversation practic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practice were not integrated. In addition, speaking and listening exercises included variety of materials, but the dialogues did not have features of spoken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exercises did not include authentic task and reading exercises had the activitie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accuracy. The case of the appendix, self-check lists, scripts and tables of conjugations were not included. In addition, explanations for the answers were not shown. In chapter 4, we checke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and presented ways to improve the materials for the elementary francophonie leaners. The configuration section must be configured to allow repetition learning contents. The vocabulary exercises and free-writing activities were needed. In order to phonological rules, textbook should load from ㅎ omission for which francophonie speakers has least error to nasalization. From the middle part of the textbooks phonetic transcription in Korean were needed. Additionally, postposition used in the spoken language and the method of learning of three steps intonation should be loaded in the Korean textbooks. This study was meaningful that it showed authentic improvement plan for making Korean textbooks for francophonie learners and korean textbook status for francophonie speakers. Furthermore this paper dealt with seven materials for analysis, so it increased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However, limitations also existed to not creating actual lessons on the basis of improvement part. Based on the studies of this paper, we expect to produce an actual and authentic textbook for francophonie learners. Key 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in France, Francophonie, Analysis of Textbooks, Elementary Korean Textbooks, Elementary Level, Improvement Plans 본 연구는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내어 단원 구성, 연습 활동, 발음 교수·학습, 구어적 요소와 억양, 부록의 측면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프랑스어권 국가는 유럽과 아프리카 등 32개국에 달하며, 프랑스어권 한국어 학습자 수가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서 프랑스어권 학습자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국내외에서 프랑스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출판된 한국어 통합 교재 일곱 권을 내용 구성, 학습 내용, 연습 활동, 학습 동기 유발 요소와 부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 내용을 통해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일반적인 특징 및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 문제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현재까지 출판된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35권의 교재 중 연구 대상이 된 7권의 교재 선정 절차와 이유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교재 분석 기준 마련 근거를 자세하게 제시한 후 분석 기준을 표로 정리하였다. 본고는 학습 내용을 자모 익히기, 문법, 어휘, 발음과 억양, 문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배운 내용을 활동에 직접 적용시켜 보면서 이해를 한 후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수업 방식을 선호하는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특성에 맞추어 연습 활동도 4가지 언어 영역으로 나누어 세부적인 분석 기준을 세웠다. 또한 한국어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교실에서의 수업뿐만 아니라 자율 학습도 중요하므로 자율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동기 유발 요소와 부록도 분석 기준에 포함시켰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만든 교재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교재 분석을 진행하여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재의 특징 및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재는 머리말과 본문 내용, 부록까지 프랑스어로 설명되고, 앞 과에서 배웠던 내용을 복습하는 장치는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발음과 억양 부분에는 듣기와 대화 연습, 발음과 억양 연습이 통합된 활동이 없으며 구어적 특성을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교재 본 단원에서는 음운 규칙을 다루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연습 활동 분석 결과, 교재의 듣기·읽기·쓰기 연습 활동은 간단한 것부터 복잡한 것으로 확장되며, 읽기·쓰기가 연계된 활동이 주를 이룬다. 말하기 활동은 다양한 유형의 말하기 자료를 포함하지만, 교재 대화문은 한국어의 완벽한 구어적 특성을 보여주지 못한다. 듣기 연습 활동의 경우 듣기 자료가 구어의 특성을 잘 드러내지 못하며 실생활 듣기 연습 활동도 실려 있지 않다. 읽기 연습 활동은 다양한 읽기 자료를 제시하나 실생활 과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내용 이해와 정확성에 중점을 두는 활동들이 교재에 실려 있다. 쓰기 연습 활동 역시 실생활 쓰기 과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학습 동기 유발 요소와 부록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학습 상황을 점검해주는 자가 점검표와 용언 활용표와 듣기 지문은 실리지 않았다. 그리고 정답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는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발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단원 구성, 연습 활동, 발음 교수-학습, 구어 요소와 억양, 부록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단원 구성에서는 학습 내용 반복이 가능하도록 교재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교재에 사용할 수 있는 예시를 몇 가지 제시했다. 연습 활동 측면에서 어휘 연습 활동이 필요하고 말하기와 듣기 연습 활동의 수를 늘려야 하며 한국어 쓰기 과정과 함께 자유 작문 활동도 실을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발음 교수-학습과 관련하여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오류가 적은 ‘ㅎ탈락’부터 ‘자음군 단순화, 경음화, 연음 현상, 구개음화, 유기음화, 유음화, 비음화’ 순으로 음운 규칙을 제시해야 하고, 교재 중반부터 한글로 발음 표기를 해주는 것이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한국어의 구어 요소와 억양 교수법과 관련하여 구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조사를 제시하고 억양을 세 단계로 나누어 교재에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부록과 관련하여 자가 점검표를 싣고, 정답 및 오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보다 많은 수의 통합 교재를 분석하여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 교재 제작에 반영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현황을 자세하게 분석하여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연구에 사용한 교재가 실제 대학기관이나 한글학교 혹은 개인 학습자들에게 활발하게 사용되는 교재인지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과 개선 방안을 바탕으로 한 교재 구성의 실제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부분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후속 연구로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실제 교재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한국어교육, 프랑스어권, 교재 분석, 한국어 초급 교재, 초급 학습자, 개선 방안, 프랑스에서의 한국어교육

      • 한국어 형용사 유형과 격틀집합

        전지은 고려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세종전자사전의 격틀정보를 활용하여 형용사 유형 분류의 객관적인 방법론을 고찰해 보았다. 특히 격틀이 의미 분류에 기여하는 바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격틀집합을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격틀집합’이란 한 개의 어휘가 취할 수 있는 격틀의 집합을 뜻한다. 격틀집합에 근거하여 형용사를 분류할 경우, 의미적으로 연관성이 높은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이러한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입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도출된 총 94개의 격틀집합 유형들은 크게 4개의 개념범주로 묶을 수 있었다. 심리, 장소교차, 비교대칭, 태도 형용사로 나타났다. 격틀집합 유형간에는 의미적인 상관성 외에 유형간의 계층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형용사 전반, 또는 용언 전반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세종전자사전을 적극 활용하는 전산적 방법론을 이용하였다는 점과 기존 연구들에 비해 분류 방법과 절차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방법론적 객관성 제고를 추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IT특성화고 입학생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 및 학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지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인재 양성의 기초가 되는 IT특성화고등학교가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필요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IT특성화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학교에서 진로를 선택할 때 고려했던 요인과 입학 후의 학교 만족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서울특별시 일부지역에 위치한 IT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개인배경변인,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 학교 만족도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변수들의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개인배경변인들 간의 빈도와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개인배경변인에 따라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과 학교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변수에 대해서는 사후검정을 하였다. 각 요인과 만족도에서 주요 변수들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이 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미래에 대한 기대 요인은 교육과정과 전공선택 만족도에 상당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교육과정 만족도와 전공선택 만족도 간에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생들이 미래에 대한 기대를 하면서 진로를 선택하고, 학교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참여 활동 요인과 미래에 대한 기대 요인은 교육과정, 전공선택,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진로를 선택하였을 때 진학한 학교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에서의 진로활동이나 진로교육 또한 고등학교 진학 후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내실 있게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IT특성화고등학교에는 신입생 모집을 위한 홍보나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여부 등의 대한 정보를 얻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중학교에서는 내실 있는 자유학기제 운영, 진로교육 등을 위한 자료로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나아가서는 전체 특성화고등학교의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ystematic ope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IT)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play a central role in nurturing tal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elp them bring greater satisfaction to students. A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students considered when choosing to go to IT specialized high school and on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first-grade students of IT specialize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three parts: personal background factors, factors that affected students’ school choi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 factor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ens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An analysis on frequencies and technological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ditions of variants, and a cross-analysis was undertaken to study the frequencies and rates of personal background factors. An independent samples T test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if personal background variants affected students’ decision on IT specialized high school enrollmen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the variants considered to have had an influence were reviewed and analyzed again. Correlations between variants were analyzed,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understand if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students’ school decision, also had an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Future expectation of students showe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curriculums and choice of major. Given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academic curriculums is closely related to that with choice of major and that students choose high school based on future expectation, systematic operation of curriculums is critical to improv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direct engagement in school decision and future expectation influenced their satisfaction with curriculums, major choi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more actively students engage in choosing which high school they go to, the more satisfied they feel at their choice of school. Considering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high school experience programs at middle school tends to influe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high school, it is desirable to expand practical IT specialized high school experience programs at middle school.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give beneficial information and insights to IT specialized high schools to operate and develop more school experience and promotion programs to recruit new students and to make systematic curriculums, while helping middle schools to run an autonomous semester system in a more systematic manner and develop good high school experience programs. It is my hope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promoting all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mproving their competitiveness.

      • 음악 치료법을 활용한 회복(Recovery) 활동이 언론사 기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지은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선호음악을 활용한 음악활동이 언론사 기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열의와 번영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내 위치한 A신문사와 계열사인 A방송국의 기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A방송국의 기자 20명, 통제집단은 A신문사의 기자 31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는 2018년 2월 1일부터 2018년 2월 28일 사이 4주간에 걸쳐 시행되었다. 실험집단 대상자는 2월 7일부터 2주간(주5일 이상) 하루 최소 3회 이상 선호음악 감상을 자율적으로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대상자는 아무런 활동도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을 시행하기 직전(사전)과 실험 종료 후(사후) 각각 직무스트레스 척도, 직무열의 척도, 번영척도 점수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SPSS for Windows 19.0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했으며,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 가설은 검증되었다. 둘째, 직무열의 또한 유의한 차이로 증가되었다. 셋째, 번영의 경우 실험집단의 사후 번영 평균값이 소폭 상승하였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언론인의 직무스트레스 상황에서 회복을 위한 음악활동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effect of musical activities using preferred music on Job stress, Work engagement and Flourishing of press reporters. Reporters of "A" journal and those of "A" broadcast, which is the subsidiary company of A journal,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Twenty reporters of A broadcast were assigned to test group and 31 reporters were assigned to controlled gro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st 2018 to February 28th 2018, over the period of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listened to their preferred music at least 3 times a day for 2 weeks (for more than 5 days a week) from February 7th, and the controlled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activity. Two groups were checked their Job stress, Work engagement and Flourish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9.0 statistics program with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firstly, the Job stress score of test group had bee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xperiment and that their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 of controlled group. Secondly, Work engagement had increased significantly. Finally, Flourishing had been slightly increased, but not in a significant way.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we discussed on the efficacy of musical activities for the recovery from Job stress, limits found during the research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 우리나라 치위생(학)과의 인문사회교육 현황과 과제

        전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치위생교육은 지난 50년 동안 급격한 외형적 팽창을 한 반면, 그 내실이 부족하여 질적 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환자(대상자)의 행동변화를 목표로 하는 치위생학의 학문적 성격과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 확립,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책임성 제고, 치과위생사의 권리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치위생교육에서 인문사회적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치위생(학)과의 인문사회교육 현황에 초점을 맞추어 교양 교육, 전공과 연계된 인문사회적 교육과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인문사회적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자료조사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조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한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였고, 설문조사는 치위생(학)과의 학과장을 대상으로 인문사회교육에 대한 인식과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인문사회적 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다른 학문분야의 인문사회교육 인증평가기준과 북미 치위생(학)과의 인문사회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비교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치위생(학)과의 인문사회교육 개선사항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1. 우리나라 치위생(학)과에서 시행하는 교양 교과목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중 영어는 대부분의 교육기관에서 시행하고 있었고, 학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치위생학 전공과 연계된 인문사회적 교과목은 보건의료법규, 치위생영어, 치위생윤리학, 치위생심리학이었으나 보건의료법규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목은 전체 교육기관 중 1/3정도 수준의 낮은 비율로 시행하고 있었다. 2. 수집한 교육목표 가운데 인문사회적 교육목표와 실제 시행되는 교과목은 대부분 일치하지 않았다. 졸업이수학점 대비 교양 교과목의 시행비율은 6∼10%로 높았으나, 실제 전공과 연계된 인문사회적 교과목의 시행비율은 5% 이하로 낮았다. 이는 학점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하였다. 3. 다른 학문분야의 인문사회교육 인증평가기준을 비교한 결과, 의료인문학, 인문사회치의학을 시행하고 있는 의학, 치의학에서 구체적인 기준을 규정하고 있었고, 교육방법, 평가방법, 담당인력 등이 상세하게 규정되어 인문사회교육이 중요한 분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4. 설문대상자 대부분이 치위생(학)과에서 인문사회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육시간, 담당인력, 교수들의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실제 체계적인 인문사회교육을 시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인문사회적 교육프로그램은 일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었으나, 시행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5. 미국 치위생(학)과에서 시행하는 교양 교과목은 국어·국문학, 심리학, 사회학으로 이는 교육인증평가기준에 명시된 내용과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인문사회교육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 없이 대학의 실정에 따라 임의로 개설되어 전공과 동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교과목 분포의 큰 편차가 나타나 표준화된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치위생(학)과의 인문사회교육은 전공과 연계된 교과목을 중심으로, 전 학년에 걸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수, 학생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고, 담당인력, 시설, 교육과정 등의 자원을 갖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추후에는 인문사회교육 에 관한 구체적인 교육방법, 평가방법,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실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교육과정 표준화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여 치위생교육에서 인문사회교육이 체계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