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aw 264.7세포에서 NF-κB 조절을 통한 남정목의 염증매개 물질 억제효과

        전은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Ligustrum obtusifolium (LO) is privet, a member of the Oleaceae family, this is commonly used for robustness and hemostasis in the Republic Korea. It has been reported that LO has exhibited anti-ischemic, anti-oxidative, and anti-tumor effects. However, LO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to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I hav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LO (ELO)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in RAW264.7 cells. Nitric Oxide (NO) were measured with Griess reagent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detected by ELISA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Protein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65 subunit of nuclear factor-κB (NF-κB)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ELO showed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without cytotoxicity. ELO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proteins in LPS-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in dose-dependent manner. Consistent with these data, ELO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TNF-α, IL-6, and IL-1β in LPS-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Furthermore, ELO attenuated the LPS-induced nuclear translocation of p65 in RAW 264.7 macrophages involving suppression of NF-κB activ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LO is associated with regul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via inhibition of NF-κB activation in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남정목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男精木)은 물푸레나무과 식물로 쥐똥나무, 수랍과 (水蠟果)라고도 불린다. 한방에서는 전통적으로 강장, 지혈의 효능으로 신기허약(腎氣虛弱), 발한(發汗), 토혈(吐血)과 각혈(咯血) 등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되어 왔다. 남정목의 잎에는 항허혈, 항산화, 항저혈압, 항종양 및 혈당저하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성 배당체인 oleuropein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정목의 항염증 효과는 보고 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LPS로 자극한 Raw 264.7 대식세포 모델을 사용하여 남정목의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남정목 주정추출물 (ELO)은 처리 농도에서 Raw 264.7 대식세포의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LO는 LPS로 자극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의 생산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량 역시 억제하였다. 또한 ELO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그리고 IL-1β의 생산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ELO는 LPS로 유도되는 p65 NF-κB 전사인자의 핵내 이동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LO의 항염증 효과는 LPS로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F-κB 활성화의 억제를 통한 염증성 매개체의 조절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ELO가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후보약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한다.

      • 여성 노인의 여가 활용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분당지역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전은진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problem of the aged cannot be too much to say that it's the problem of women. As people age the proportion of women becomes higher and it's two times many as the aged men, and women live 7 years longer in average than men. And the aged women of our country have the lowest acknowledge about leisure and their evaluation about the value and attitude of leisure is passive. Nevertheless the study of the aged women must be the important focus, the aged women have been in the circumferent position in study and reflection of policies. Recently the interest of women in social participation is becoming higher but our country's aged women growed in the Confucian culture area which suppressed women in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y and they have very little experience in social activity because they lived under the social common idea that the women's roles are in housework. So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life status quo of our country's aged women and we will grasp the status quo of leisure time usage and problem of aged women and furtherly we have the purpose to grope for the method to improve the level of leisure of Korean aged women. For this, we checked the basic principle which associates with the feature of aged women, leisure type, the meaning of leisure of the aged and the setting of conception and the precedent study, and we considered the leisure status quo of foreign oldsters and we analyzed the problem and status quo by practicing questionary survey of which the object was the aged women which are over 60 who live in the social welfare pavilion of Bund-dang area. The result abstracts as follows. Firstly, the aged women who uses Bund-dang social welfare pavilion appeared to spend their most leisure time watching TV. They were participating by over half in the meeting with their relatives and friends and leisure activity like the type of companion exchange such as the participation at the hall for the aged and club pavilion for senior citizens, and besides, more than 20% of aged women are participating at the leisure activity like whiling away time such as drinking alcohol drinks/tea, playing and entertainment. Second, leisure activities which need spare time and expense mostly such as cultural activity as a hobby or learning activity, travel and so on are relatively low in proportion. Especially, most old women don't exercise at all. While over the half of old women are participating in religious activity,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serving for community is appeared to be very low. Third, in case of early old women they prefer active leisure form like cultural activities as a hobby but late old women prefer taking a rest and show high participation rate for leisure activity of mutual relationship type. Generally in old age the older they are, the more leisure time they have but the extent of the leisure activity tends to be narrower due to the problem in health or deterioration of the body. Therefore, differentiated leisure program according to each age is required. As a result, the leisure activity of our domestic old women is limited in mutual relationship type and relaxing type based on each individual, an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is also estimated to be very low in comparison with foreign old people. With the lengthened average life span, old people got more free time evaded from social and home role and duty but due to the lack of socialization for the old women's leisure, lack of the desire for participation, and the lack of leisure facility, program and services, the situation is that the old people don't have the time that fits to their desire and produces some effects. Therefore the social activities for spending spare times longer than former days as a substitute for the housekeeping and the rearing of children old women has performed for a long time are necessary. That is, both various programs developments for leisure, services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to meet the aptitudes and desires of old women and political alternatives so that the government authorities, the local governments or the local societies are interested in leisure activities of old men and make good use of wide experiences and wealth knowledge of them is required.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thought that the change of their consciousness by themselves must be preceded. I hope to be able to see not the passive images that old men cast their votes and must be served but the active images that they openly require and take part in several policies as the rights of old men having silver power like foreign old men.

      • 청소년기 자발적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과 대학진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전은진 영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what they have experienced and what those experiences mean by selecting 3 participants who went to university to enjoy university life after voluntarily leaving school due to various factors during adolescence and getting their academic ability verified through the school qualification exam and by adopting the method of narrative study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ir life experiences after they became a university student from the time when they stopped their studies during adolescence. This study finds that the experience that learning suspenders voluntarily quitting school during their adolescence and going to university has some meanings, which is as follows. Firstly, it found that voluntarily leaving school with clear goal and conviction was very hard and uneasy for them to be faced with reality in the peer relationship. Since interaction with peers during adolescence was a part where they shared interests and opportunities with peers, if there was deficiency, it has had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As a result, even if they became an adolescent outside school in a voluntary way, they have experienced feelings such as loneliness, anxiety, depression, etc because they felt lacking in support from peers. Secondly, what the learning suspenders could achieve the goal of going to university putting up with their life to the end, who had difficulty in the peer relationship, is because that their parents' positive and psychological support has worked with their strong will and belief. Considering that parents' support during adolescence gave adolescents a sense of mental stability, which enabled them to have confidence in what they decided, it meant that parents' positive and psychological support in a life where they leave school helped them go faster in the way they wanted. Thirdly, learning suspenders felt lonely and frustrated after going through 'loss' in relationship as they got to feel deficiency in the peer relationship, which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realize how precious the relationship was. The common phenomenon which was most remarkably showed among participants in study was severance in relationship with peers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lifestyle. As a result of it, they got to feel feelings such as loneliness, sadness, frustration, vanity, futility, etc after undergoing what it was to be alone, but this experience made them realize the preciousness of the relationship and enabled them to be focused on making relationship more actively than befor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elationship newly established after the entrance of university. Fourthly, learning suspenders’ learning experience, which was limited and difficult in their adolescent period that they had the goal of college, became a chance to get their own method of learning strengthen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ey could learn their own learning method as a result that they should make a constant effort because they wanted to reach to their goal as soon as possible when quitting school, although they had an economic burden as expenses for studying at private academies and by internet lectures, and they were painful because their learning didn’t go athwart their purpose due to loneliness to study alone with a college prep student out of school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for a university entrance exam after quitting school. But, they need someone who could help in the area of studying because they have to overcome very tough process until they attained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Fifthly,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engthened after quitting school made them possible to lead their own life after entering university. This procedure, which they plan and practice their lives with their own decision by their endless efforts, can be defined as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for the development tasks of adolescence, and further has a positive meaning in addition to the negative parts to their lives after quitting school which they have experienced being alone with the systematic look unwavering even for the future plan. Sixthly, they didn't regret the whole experience as learning suspenders because it was positive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the negative view of society. They would rather like to help the juniors who are considering quitting school or after quitting school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They have suffered from negative feelings such as pain and sorrow, anguish, distress, etc. through the negative view of society, being far from peer relationship, etc. while they were being as learning suspenders after quitting school from the time of decision being concerned about quitting school, but they became acceptable and understand themselves deeper and felt their own growth through the process of enduring and overcoming. This result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provides a meaningful issue about what they actually need to be helped, and that makes us understood their lives through the voices of adolescents quitting school voluntarily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that young people to quit school voluntarily are increasing.

      • 무용동작 기술성의 구성요소

        전은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현상의 이해에 기초가 되는 기술적 무용동작의 본질을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무용동작의 기술성을 정의하고, 그 구성요소를 가설적 단계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첫 번째 단계로, 관련 학문에서 혼용되어온 용어의 정립을 시도하였다. 기술의 두 가지 의미, 즉 성취하려는 목표와 수행의 질적 우수성을 구분하기 위해, 후자를 기술성(skillfulness)이라 명명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기술적 동작의 수행 원리에 관련한 생체역학, 생리학, 심리학적 연구를 섭렵하였다. 그 중 무용동작의 설명에 유용한 이론을 추출하고 정리하였다. 생체역학에 의하면 무용동작 기술성이란, 개개의 관절에 적정의 토크가 작용한 결과로 나타나는, 3차원적 변위와 수행속도의 정확성을 의미한다. 생리학적으로는, 중추의 임펄스가 뉴런을 통해 말초로 전달,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되는 괴정에서 손실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심리학의 정보처리 이론은, 과제에 적합한 동작 프로그램이 신속하게 생성된 결과로, 역동체계 이론은 신체분절이 과제에 따라 효율적으로 협응, 제어된 상태로 무용동작 기술성을 설명한다. 무용동작은 인간기술의 일반적 특성을 포괄한다. 그 중 목적성, 정확성, 효율성, 적응성, 일관성, 지속성을 기술적 무용동작의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즉, 최소의 물리적․정신적 에너지를 소비하고, 과제․환경․유기체에 적응하여, 시공간상에서 정확한 동작을 일관적,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무용동작 기술성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용수의 정서와 의도를 전달하는 무용동작의 목적이 달성된다. 연구의 결과는 무용공연, 교육, 감상 현상의 핵심인 기술적 무용동작의 이해에 일조할 것이다. 나아가 무용학습 및 수행의 목표설정, 평가기준의 공정성․신뢰성 확보에 응용 가능한 기초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연구에서 제시한 무용동작 기술성의 6개 요인을 보다 위계적인 구조로 발전시키고, 이를 수행능력 검사개발 등에 적용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essence of skilled dance movement which becomes a basis of understanding the dance phenomenon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More specifically, define the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 and tries to suggest the components of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s at hypothesis phase. At first step of the study, I tried to work out terminologies that have been mixed up in related academic fields. Two meanings of skill, that is, in order to distinguish goal of accomplishment and superiority of quality in performance, I named the later as skillfulness. As the 2nd step, biomechanical,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earches in regards with principles of performing skilled movements have been made extensively. And out of these research, I abstract and arrange useful theories for explaining dance movement. According to biomechanics,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s mean accuracy of in performing speed and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which appears as a result of optimal torque action in each joint. Physiologically,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s mean the state of no loss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impulse of center which is delivered to periphery through neuron and becomes mechanical energy. Data processing theory of psychology explains it as a result of prompt formation of proper movement program for task, dynamic system theory explains the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s as a controled state and effective cooperation of body segmentation according to subjects. Dance movements include general character of human skill; purposeness, systemicity, efficiency, accuracy, uniqueness, coherence, adaptability, durability, changeability and other. On top of them, aesthetic appreciation, expressivity and originality can be added. This study abstract purposeness, efficiency, accuracy, coherence, adaptability, durability as the composing components of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n understanding skilled dance movements which are the core of dance performance, education, appreciation. Moreover, it has a value to serve as a basic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target setting in dancing learning and performance, securing fairness, reliability of appraisal standard. I suggest following study of developing components of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 which this study suggests to more systematical structure and developing performance test.

      • 위탁급식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긍정정서, 부정정서,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상에 따른 조절 효과

        전은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llowing study has been conducted to take note of the effects that is seen in leading variables of a work environment. These variables,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longside job stresses such as job demands, conflicting roles, organizational systems, and the requirements of customers, result in a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 With that in mind, this task behavior is presented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However this study focuses its attention on the certificate of personnel management system, which caused the regulation effect to take place. The follow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rough a survey which consists of 355 employees from a catering company. Data shows that the stresses of job demands, organizational systems, and the unreasonable demands from customers result in a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 The study has also showed signs of these stresses being created and demonstrated by the individual’s emotions. Interestingly, these limitations that cause the counter productiveness happens to have been agreed upon with the previous studies done on the Spector et al, 1998, Peeny&Spector, 2002, and Bowling&Eschleman, 2010.Although the limitations have been agreed upon with past research such as “Fox&Spector(2001)," the stresses or limitations coming from the organizational system does not target the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s towards organization, but targets the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s towards colleagues. This means that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s from organizational system does not target the organization or an unapparent individual, but targets the colleagues at the workplace by gossips or verbal abuses. Positive emotions or negative emotions are both parts of individual’s sentiment, but each emotion feels different amount of stress. Furthermore, the gap between the amounts of stress affects the different levels of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 In conclusion, individual’s sentiment directly affects the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s. Although a common misconception is that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s are caused by negative emotions rather than positive emotions, this particular study shows that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s caused by positive emotions does not have any positive effects. Therefore, negative emotions have more effect towards employees’ counterproductive task behaviors compared to positive emotions.

      • 일본강점기 만요(漫謠)의 음악적 특징과 재해석된 작품 연구

        전은진 경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세계 여러 나라의 대중음악은 각 나라의 역사를 기반으로 변모해왔다. 대중음악은 그 나라의 역사적 산물이라 할 수 있으며 대중의 의식과 가장 밀접하게 그 의식을 바탕으로 창조되고 발전되어왔다. 우리나라의 대중음악 또한 역사의 흐름과 함께 발전 해왔으며 시대마다 가지는 특징이 음악에 잘 나타나 있다. 우리나라 대중음악은 당대의 현실 반영이라는 대중음악의 특징을 아주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그 중 본 논문의 주제인 일본강점기는 그러한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시기이다. 35년이라는 시간의 일본강점기는 유구한 역사 속에서 짧은 시기로 분류 되어 질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민족에게 있어서는 짧은 시기로 치부할 수 없을 것이다. 일본강점기는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형성과 발전 모두를 가져온 중요한 시기이며, 이 시기의 대표 장르로 유행가, 신민요, 재즈송, 만요 이렇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역사와 음악 모두가 중요한 시기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관점과 시각으로 선행연구가 이어져 왔다. 선행연구에는 대중음악을 통해 보는 당대의 모습과 의식에 관한 연구, 당대의 배경을 통한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전자의 연구는 대부분이 가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가사와 음악적 어법 둘 다에 관하여 연구가 이어져 왔다. 이러한 선행연구에 대한 범주의 장르로 신민요와 유행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 재즈송과 만요가 순차적으로 연구 주제로써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만요를 제외한 장르에 관한 선행연구는 가사를 통해 당대의 모습과 의식연구, 당대의 배경을 통한 음악적 특징연구 두 가지 모두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만요에 관한 선행연구는 가사를 중심으로만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음악적 특징이 모호하며 그 특징을 분류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선행연구에서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것이 만요의 음악적 특징 연구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일본강점기와 만요에 대한 이론적 배경 정립이 우선시 되어야한다. 만요가 등장한 일본강점기의 역사적 위치와 당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두를 다원적인 관점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본강점기 대중음악은 전통가요의 흐름에서 이어오는 신민요, 창가의 흐름에서 이어진 유행가, 서양 음악적 어법을 토대로 발전한 재즈송, 그리고 가사의 내용이 풍자와 해학이 담긴 만요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을 중심으로 일본강점기 대중음악을 이전 시기와의 연속성과 발전성을 통한 장르적 고찰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만담이라는 희극의 한 장르에서 그 유래를 보고 있는 만요에 대한 정의, 여러 가지 희극 장르와의 관련성을 통한 분류, 만요의 발생, 일본강점기 이후의 만요, 소멸된 만요라는 장르, 그리고 현재의 만요로 분류할 수 있는 곡을 토대로 만요라는 장르의 변천을 통해 만요 개념을 이해 할 수 있다. 일본강점기와 만요에 대한 이론적 배경 정립 이후 만요의 음악적 특징 연구를 한다. 우선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 만요의 특징인 가사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새로이 분석한다.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데에는 송방송의 ‘한국 유성기 음반 총목록 색인’과 ‘한국음반 아카이브’에서 만요로 곡종 표기된 곡을 1차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다뤄진 만요를 2차적으로 선정했는데 이 선행연구에서 다룬 곡 중에는 곡종표기가 만요로 표기되지 않은 곡들도 있다. 만요로 곡종표기가 되어 있지 않지만 만요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므로 연구 범주에 모두 포함시켰다. 그리고 현재 만요라는 곡종으로 발매된 음반을 마지막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만요의 곡종이 아닌 곡도 존재하지만 만요라는 앨범의 타이틀을 가지고 발매된 앨범이므로 모두 연구범위에 포함시켰다. 이렇게 3차적으로 선정한 곡들 중 현재 복각되어진 음원으로 다시 범위를 한정했다. 그렇게 해서 분류된 곡을 본 논문의 연구 범위로 선정하였다. 가사의 특징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룬 주제를 분석의 범주로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곡들의 가사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어 음악적 어법인 리듬, 선율, 화성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리듬에는 세분화된 리듬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재즈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셔플 리듬이 많이 등장한다. 선율적 특징으로는 당대의 다른 장르의 선율적 특징인 민요적 5음계, 서양적 7음계 사용, 4음과 7음이 빠진 유행가의 특징적 음계 사용, 화성단음계, 자연단음계, 블루스음계의 사용 등 다른 장르의 선율적 특징 모두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성적 특징은 현재의 복잡한 화성진행과 다양한 화성의 사용으로 이루어진 음악과는 다르게 주요 3화음 또는 토닉과 도미넌트 두 개의 화음만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진행이 나타나며 이런 화성적 진행은 현재의 발전된 화성진행 이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음악적 특징의 연구를 통해 나타난 모습은 당대의 다른 장르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음악적 혼종성이 만요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대를 대표하는 음악적 특징 중 하나였고, 현재 대중음악에서도 크로스오버와 퓨전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음악적 혼종성에 대해 먼저 알아 본 뒤 당대 다른 장르에서 나타나는 혼종성에 대한 선행연구와 분석을 한다. 당대의 다른 장르의 혼종성에 대한 연구로 신민요와 재즈송이 대표적이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이미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신민요는 전통적 음악어법에 서양적 음악어법이 혼종되어 있으며, 재즈송은 신민요와 재즈적 혼종성, 유행가의 음악적 어법과 재즈적 혼종성이 나타난다. 신민요와 재즈송에 나타난 음악적 혼종성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만요에 나타나는 혼종성을 분석하였다. 앞선 연구인 만요의 음악적 특징에서도 알 수 있었지만 선율에서 가장 많은 혼종성이 나타난다. 만요를 가사 만이 아닌 음악적 어법과 연관 시켜 보았을 때, 단순히 만요라는 곡종으로 모두를 통칭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만요의 가사적 특징을 바탕으로 유행가의 음악적 특징을 가지는 곡은 ‘유행만요’, 재즈송의 음악적 특징을 가지는 곡은 ‘재즈만요’, 신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가지는 곡은 ‘신민요만요’라는 새로운 곡종표기가 필요하며 이런 표기에 대한 제시를 하였다. 그리고 만요라는 장르의 이름은 없지만 현재 대중음악 가운데 만요의 가장 큰 특징인 가사에 풍자와 해학의 요소를 가지고 있는 곡을 연구하였다. 시대가 변해도 시대를 반영하는 가사의 음악은 변함없이 등장하고 있음과 창작자와 수용자의 의식에 대한 변화를 알 수 있었다. 만요의 음악적 특징 연구에 이어 현재 만요를 중심으로 재해석된 작품을 연구 한다. 재해석된 작품으로는 공연과 앨범으로 나눌 수 있다. 공연에는 음악극 <천변살롱>과 <천변풍경 1930> 앨범에는 <풍각쟁이 은진>, <스윙잉 경성-김국찬과 귀재들>을 분석한다. 이들은 만요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작품들로 당대의 만요를 현재의 관점으로 재해석했다. 만요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모든 곡이 만요는 아니다. 이는 당대의 대표 장르의 곡들도 같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곡들을 통해 당대의 시대적 특징과 현실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재해석된 작품 분석을 통해 만요에 대한 의식과 현재에서 나타나는 만요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마지막 절에서는 만요의 음악적 특징과 재해석된 작품의 연구를 통해 나타난 미학적 고찰을 하였다. 미학(美學)이란 한자의 음을 하나하나 풀어보면 아름다울 ‘미’와 배울 ‘학’ 이 합쳐진 단어로 아름다움을 배움,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학문 정도로 해석이 가능하다. 재해석된 작품을 미학적으로 보았을 때, 원래의 것을 재해석 해내는 창작자가 존재한다. 이 창작자는 원래의 만요를 수용한 뒤 새로이 만요를 재해석을 한 것으로 수용미학과 해석미학 두 가지 관점에서 고찰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미학은 학문적 연구도 수용미학의 범주에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용미학의 관점으로 만요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혼종성과 미학은 만요에 나타난 혼종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는데, 혼종성은 현재에서 통용되는 크로스오버, 퓨전과 일맥상통하는 단어이다. 미학적 이론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크로스오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만요에 나타난 혼종성은 가장 대중적인 요소를 담고 있으며, 실험적 요소를 통한 발전을 의미하며, 다원화된 현대사회의 모습이 보여 지고 있다. 주제어: 대중음악, 만요, 일본강점기 대중음악, 재해석, 미학, 혼종성, 1930년 대중음악, 수용미학, 해석미학, 크로스오버

      • 공적실천신학에 근거한 청소년 세계시민교육

        전은진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급변하는 21세기에 살아가는 청소년들을 위한 공적실천신학에 근거한 세계시민교육과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21세기의 시대적 사조를 사회문화적 현상, 특성과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난 후, 현 시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전반적인 흐름과 방향성을 모색해보았다. 이에 관하여 세계시민교육을 공적실천신학이라는 신학적 이론과 특성을 고찰한 후에 이를 토대로 세울 수 있는 청소년 세계시민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21세기는 포스트모더니즘, 디지털 세계, 4차 산업혁명 그리고 세계화 현상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21세기에 살아가는 청소년들은 과거에 비해 자신과 소속되어있는 종교, 문화, 인종, 나라가 나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함께 살아가게 되는 환경 속에서 살아가도록 요청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기독 청소년들에게 개인적 신앙 성숙을 함양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계시민의식을 가지고 지구적 성찰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공공신학과 실천신학을 접목하여 방법론까지 논하는 공적실천신학으로 청소년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신학적 토대를 세웠다. 공적실천신학은 청소년들이 세계시민의식을 가지고 세상 속에서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돕는 신학적 토대를 제공해준다. 공적실천신학은 콜만이 제시한 하나님 나라의 제자로서 살아가는 제자직을 함양하고 세상 속에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의 삶 속에서 책임성을 가져 시민직의 역할도 감당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는 사사화되기 쉬운 사적신앙이 아닌 공적신앙을 통하여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공적실천신학으로 근거한 세계시민교육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환대성, 연대성, 포용성 그리고 책임성의 원리를 새롭게 추출하였으며, 네 가지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세계시민교육의 교육 목적, 교육 범위, 교육 내용, 교육 방법에 관하여 새롭게 모색 하였다. The following study searches for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youth living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public practical theology. After having examined in depth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21st century, the study searches for the general flow and direc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is taking place in the present age. In regards to this matter, after having considered the theological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erspective of public practical theology, the study has proposed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youth. Currently, post-modernism, digital worl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lobalization phenomenon is taking place in the 21st century. And unlike the past, the youth living in the 21st century are demanded to live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have to communicate and live with the people that are different in religion, culture, race, and country than that which they are currently affiliated with. The Christian youth that are living in this time of change are not only demanded to cultivate the maturity of their own personal faith, but also live with a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reflexivity. Public practical theology is a combination of public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and it is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youth. Public practical theology provides the theological foundation that helps the youth to live responsibly as global citizens inside the world. As Coleman had proposed, public practical theology helps the youth living in this world to live as disciples of the Kingdom of God and live responsibly as citizens of this world. Public practical theology helps the youth with public faith to become better Christians in this world. In order to propose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public practical theology, the following study has extracted principles of hospitality, solidarity, acceptability, and responsibility and based upon those four principles, it has also proposed a new purpose of education, scope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method of education for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Keyword: 21st century, teenagers, public theology, public practical theolog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public faith

      • 사이버 상에서 사용되는 외래어의 음운변화 연구

        전은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이버 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외래어가 겪게 되는 음운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변형은 어떤 음운 제약이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이버 상에서 외래어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표현되지만 화자들이 변형된 표현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한국어가 발음되는 원리와 외래어가 발음되는 원리에 대한 공통된 기저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외래어가 사이버 상에서 표기되는 원리를 비교하면서 밝히고자 한다. 사이버 상의 외래어가 가지게 되는 음운론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가 3음절 이상일 때 앞의 몇 단어만 남겨두고 탈락시키는 절단현상이 일어나는데 탈락되는 음절의 수는 남게 되는 음절의 무게에 따라서 결정된다. 둘째, 단어가 3음절 이상일 때 중간 음절의 전체 탈락 또는 부분적인 탈락현상이 일어난다. 중간 음절의 탈락은 주로 'Onset'제약의 적용으로 인해 일어나며, 중간 음절의 자음의 공명도에 따라서 탈락되는 음이 선택되어진다. 또한 앞의 음절이 경음절일 경우 중간 음절의 자음으로 새로운 모라를 형성할 수 있다. 셋째, 음절 내에 연속되는 모음이 있을 경우 먼저 나오는 모음의 자질에 따라서 활음으로 바뀐다. 또한 Off-glide가 On-glide로 되는 음위 전환이 일어날 수도 있다. 넷째, 화자의 심리를 반영하기 위해서 활음이나 모음 그리고 공명음을 음절 내에 삽입하는 경향이 있다. 활음 [y]와 [w]는 음절이 좀 더 부드럽게 들리게 하며, 유음과 비음은 단호함이나 귀여운 이미지를 나타낼 때 음절 말에 쓰이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사이버 상에서 대화가 이루어지는 분위기에 따라서 음운교체가 일어날 수 있다. 주로 모음 교체는 무표적인 모음이 유표적인 모음으로 바뀌면서 일어나며 자음 교체는 마찰음과 파찰음이 폐쇄음화를 겪으면서 일어난다. 이 외에 동일한 자음이 중복되는 겹 자음화, 음절의 구조가 뒤바뀌어지는 역 음절화 등의 현상들이 나타난다. 이렇게 사이버 상의 언어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변형되어 나타나지만 대체적으로 일반적인 음운 제약의 적용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외래어의 축약이나 탈락 등의 현상은 한국어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음운론적인 특징을 가지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onological variations of the loan words used in cyber space and to sugge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underlying them. Even though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cyber words show an array of variations, most internet users do not have much problem understanding their meanings. Assuming that the users share the systematic patterns of the phonological variations of the loan words used in cyber space, this thesis attempts to present the general patterns of the phonological alternations underlying them. The main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loan words consisting of more than three syllables can undergo truncation. The number of deleted syllables i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remaining syllable. Second, the loan words consisting of more than three syllables can undergo syncope. The Onset constraint and the sonority of the syllable medial consonant determine the syncope process. Often part of a syllable gets deleted. That is, if the preceeding syllable is light, only nucleus or rhyme of the following syllable gets deleted and the onset consonant of the syllable gets syllabified as the coda of the preceding syllable. Third, consecutive vowels can result in glide formation. Since native vocabulary of Korean does not have an off-glide like [ay], a metathesis can apply, resulting in an on-glide [ya]. Fourth, glides and sonorant consonants can be inserted to add extra pragmatic meaning. Fifth, segments can be substituted. Often unmarked vowel [□] can be replaced by marked vowels like [u] or [□] while fricatives and affricates can be substituted by stop consonants.

      • 3D 프린팅 임시치관용 레진의 물성적 특성 비교연구

        전은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3D 프린팅 임시치관용 레진의 물성적 특성 비교연구 본 연구는 3D 프린팅 임시치관용 레진 4종의 물성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3D 프린팅 임시치관용 레진으로 제작된 임시치아를 임상에서 사용 시 임시치아가 잘 깨지거나 환자의 치아 색(shade)과 임시치아의 색(shade) 차이가 심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ISO 10477:2020 요구조건을 기준으로 수분 흡수도 및 용해도, 색 안정성, 굴곡강도에 대한 시편을 3D 프린팅으로 출력하고 후 경화 처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수분 흡수도에서 실험군 D가 요구조건을 충족하지 못 하였고, 수분 용해도는 모든 실험군이 요구조건을 충족하였다. 색 안정성에서는 실험군 D에서 색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굴곡강도는 모든 실험군이 요구조건을 충족하였으나, 실험군 A가 가장 낮은 굴곡강도를 보였다. 3D 프린팅 임시치관용 레진은 임시치관으로 사용하기에는 장점이 많지만 저작을 많이 하는 구치부, 심미성이 중요한 전치부 치아의 위치에 에 따라서 요구되는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의료기기 제품 인·허가 시 시험 요구 조건에 대해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