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더우맘’ 캐릭터를 통한 일상적 리얼리티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전웅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에서 ‘어머니’는 현모양처로서 가정에서 가족들을 위해 희생과 헌신하는 인물로 표현되어 왔다. 전통사회에서 현대까지 시대가 변함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어머니의 이러한 희생과 헌신은 우리의 삶의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은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에 나타난 어머니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그녀의 일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다시 말해 어머니의 일상을 되짚어 봄으로써 반복적이고 지루한 일상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재해석하고자 한다. 미국 대중문화의 여성 캐릭터인 원더우먼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그녀가 상징하는 지혜롭고 강한 여성의 이미지를 한국 사회 어머니의 상징인 희생과 헌신의 현모양처와 결합하여 ‘원더우맘’이라는 새로운 캐릭터를 만든다. 본 논문의 내용은 원더우맘의 일상적 경험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반복적인 일상의 단편적인 모습을 재해석하고 재조명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산업화로 인한 대량 복제된 생산품과 미디어 속에서 표준화된 소비생활 방식으로 공통된 주제가 된 일상을 단순하고 지나쳐 버리는 쉬운 것에서 벗어나 원더우맘을 통해 다른 관점에서 일상을 해석하여 새로운 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형식적 측면에서 원더우맘 캐릭터 표현과 일상의 리얼리즘적 재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어머니’라는 상징성을 가진 원더우맘의 만화적 표현이 주는 하나의 기호로서의 역할과, 일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현된 화면이 주는 현실의 반영이 동시대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원더우맘의 일상적 경험은 관람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일상을 되짚어 보도록 만든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작품을 통해 현시대가 주목해야 할 어머니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관람자들은 원더우맘을 통해 스스로의 모습을 성찰하는 계기를 주고자 함에 있다. In Korean society, the conception of maternity has been widely known as good wife or good mother via looking upon her sacrifice and devotion toward the family. In a traditional society to the modern era, the idea of maternity is minutely changing but our appreciation on maternal affection is stay still and can be found in our everyday surroundings. My work is proposing to trace the mother’s life by referencing the image of maternity in Korean society which is mentioned above. By having this, I would examine the value of repetitive and tedious everyday life experience. wonderwoMom borrowed the image from ‘Wonder Woman’ who is a fictional superhero appears in American comic book. I referenced the image and merged it with Korean maternal imagery. In this thesis, I would focus on everyday life experience which projected in wonderwomom character and revalue the repetitive and tedious aspects of modern society. In the aspect of context, I am suggesting the new point of view on everyday life which has ephemeral quality and it is affected by external influence: the rapid growth and generic standard life style of this society. In the aspect of formativeness, I would examine the expression of wonderwoMom character and realization of domestic life. At this point, I am utilizing the cartoon presentation as visual language and exploring its symbolic significance. Following on this, I believe that the spectator’s appreciation on wonderwoMom series which is the projection of daily experience would invite contemplation over their own surroundings. This research suggest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maternity and provide the opportunity to introspect the spectator’s own reflection via my practice.

      • 차량 안정 제어 시스템을 위한 외란 추정과 모델기반 센서 고장진단

        전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차량 안정 제어 시스템(Electronic Stability System: ESC)의 센서 모델을 기반으로 차량의 외란과 센서 값을 추정하여 센서 고장을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차량 안정 제어 시스템(Electronic Stability System, ESC)은 제동 제어 장치의 일종으로 과소조향(Understeer)이나 과다조향(Oversteer)등의 차량 과도 운동 현상을 방지하여 횡방향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시스템이다. ESC 시스템은 조향각 센서, 요 각속도 센서, 횡방향 가속도 센서 정보로부터 차량의 움직임을 관측하며, 타이어와 노면 간 접지력의 한계 상황에서 제동력과 구동력을 조절하여 차량 선회 모멘트를 보상하고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이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ESC 센서 고장 검출 연구에 있어서 저 마찰 노면, 비포장 도로, 경사 노면 등 다양한 노면 조건에 대한 강인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노면 상태나 경사도와 같은 차량 모델의 불확실성과 외란으로 부터 강인한 고장 진단 알고리즘을 설계하기 위해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외란 추정기와 관측기를 사용하였다. 패리티 공간 방법과 관측기 기반 방법, 단순화된 센서 오류 검출 방법 등 3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잔차을 생성하고 최종 고장 판단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장 센서가 제외된 최종 노면 경사각을 추정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고속 경사 노면에서 실제 차량 주행 데이터를 수집한 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정상 상태에서 외란과 관측기의 성능을 확인하고 센서 고장 상황에서 고장 검출 성능을 확인하였다.

      • 캠퍼스 통합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유해인자 관리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전웅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peed and complex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increasing and the complex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s increasing, but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in the lab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 need for safety management techniques and institutions in the lab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It's great, but is it not yet possible to study research and development by the study teamCampus safety management, which has been specialized, is not being implemented, such as safety management and government policy. Safety officials at the Korea Campus Safety Administration have begun to establish a basic management system in the past six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law on building a laboratory safety environment. There is a lot behind the scenes, and we're not turning the lab on July 1. Legislation of the law on the JoongAng Ilbo's new safety system is expected to be conducted legally.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East Assembly, the Sewol ferry disaster, including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has been thoroughly reviewed. With no verification and verification, there is a lot of confusion on the field. The safety law is limited 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atory, which work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used by the John Dynasty. There are various members, including professors, students, faculty and workers. Professors and employees can receive compensation from civil servants or private pension laws, and provide employees with contracts that are subject to the national pension, and employees of the Contracting Service, which will be subject to the National Pension Act. Campus safety management is the focus of a variety of members, including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receiving. Methodology Jesse is considered an urgent subject, and even if the lab is applied to science and engineering activities, it is a law that works in a laboratory or laboratory. It is being criticized as a problem for the campus safety system. The study said, "The study of campus safety management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as examined the systematic problem of management and the use of harsh analysis techniques and management measures for victims of campus labs." Human Analysis Technique (LHAT), Utilizing in the Room: At the Lab Hazard Assessment Tool and the Korea Development Program, the United States reviewed the Human Research Technology Act, which is using the Human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it's a safety care system, and it's not like you're going to be able to do it. In the research room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Korea's research lab said, "We're trying to establish a safety laboratory," adding, "After the safety checks and precise safety assessments of the lab, we are passively trying to determine the safety. Managed by excavation techniques, but substantial lab accidents are the focus of research workersIn consideration of most of the intentions, it would be the biggest purpose of the Human Research Institute's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Safety Management system to recognize and manage the Human Safety Management Agency to recognize and manage the Humfactors. Environmentalists and research workers in the campus laboratory have found their own Humfactors. You can manage and manage the techniques that enable management of the Campus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operational measure that can be used to orchestrate a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Human Resolution for Human Rights.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와 연구개발의 복잡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이공계 연구수행 형태는 다양해지는 추세인데 반해 연구실의 안전관리 수준은 아직도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연구실의 안전관리 기법 및 제도 마련의 필요성은 증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대학이나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활동이 갖는 특성을 안전관리 방식 및 정부정책에 반영하지 못하는 등 전문화, 세분화한 캠퍼스 안전관리가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 캠퍼스의 안전관리 중 연구실 안전관리는 지난 ’06년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이제 어느 정도 기본적인 관리체계를 갖추어가고 있으나, 아직 선진국에 비해 여러모로 많이 뒤쳐져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15년 7월 1일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시행해 새로운 안전관리 기법인 연구실 사전유해인자 위험분석을 법적으로 실시토록 하였다. 그러나 동 법안 시행 전에 세월호 침몰 사건 등 국내 여러 안전사고에 대해 충분한 검토와 검증작업 등이 없이 곧바로 시행되면서 현장에서는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연구실 안전법은 연구개발 활동을 하는 이공계 연구실로 한정되다보니 위험요인이 상당히 존재하는 예체능계 실습실에는 미적용 되고 있어 캠퍼스내의 안전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캠퍼스 내에는 교수, 학생, 교직원, 용역근로자 등 다양한 부류의 구성원들이 상존하고 있다. 교수 및 직원은 공무원 또는 사립연금법에 의하여 사고시 보상을 받을 수 있고 교직원 중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산재보험의 대상이 되는 계약직 직원, 대학과 용역을 체결한 기업의 근로자,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학생 등 다양한 부류의 구성원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캠퍼스 안전관리의 통합체계에 대한 방법론 제시는 시급한 사항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학에 적용되고 있는 연구실 안전법 조차도 이공계 연구활동종사자에게 적용하는 법령으로 비이공계 연구실 또는 실험실에서 활동하는 종사자에게는 미적용 되고 있어 캠퍼스 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국내·외의 캠퍼스 안전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관리에 대한 제도적 문제점 도출과 캠퍼스 실험실의 유해인자에 대한 위험분석 기법 및 관리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외 대학 캠퍼스의 실험실에서 활용하고 있는 유해인자 위험분석 기법(LHAT : Lab Hazard Assessment Tool), 국내 사업장에서 위험요인 발굴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위험성 평가기법을 분석·검토하였다. 국내·외의 유해인자 위험분석 방법을 검토한 결과, 기존 사업장 중심의 위험성 평가기법을 바로 대학 캠퍼스 실험실 환경에 접목하여 운영하는 것은 안전관리체계, 위험의 양상 등이 상이하여 곤란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기존 과학기술분야 연구실에서는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 후, 그 결과에 따라 수동적으로 위험요인 발굴기법을 활용하여 관리하였으나 실질적인 실험실 사고는 연구활동종사자의 부주의가 대부분인 점을 고려할 때, 연구활동종사자 스스로 위험요인을 인식하고 이를 발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자율안전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사전 유해인자 위험분석제도 시행의 가장 큰 목적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캠퍼스 실험실의 환경과 연구활동종사자 스스로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리기관, 정부기관이 위험에 대해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법 개발과 이를 시행하는 데 필요한 제도 및 운영방안을 도출하여 캠퍼스 통합 안전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 대기오염이 천식으로 인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 (서울, 상하이를 대상으로)

        전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 Asthma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irways characterized by variable and recurring symptoms, reversible airflow obstruction. Common symptoms include wheezing, coughing, chest tightness, and shortness of breath and it is a high economic burden in our society. Many previous studies asserts that asthmatic disease affect many people and the prevalence of asthma is higher in well developed areas. Also, air pollution has been regarded as a contributor to asthma exacerbation. Aims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associations of air pollution on asthma hospitalization and healthcare utilization in Seoul and Shanghai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NHI-Korea health insurance, SHIB-Shanghai health insurance). Methods : Air pollution levels and daily asthma hospitalization are linked by date. Therefore, this data could be analyzed with a time series design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 Dependent variable is daily hospital daily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and over-dispersed generalized additive Poisson models (quasi-likelihoo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of asthma hospital admission with air pollution levels. Independent variables are PM10, SO2, NO2, and two day moving average lag used. Lastly, natural smooth (ns) functions were used to exclude unmeasured long-term, seasonal trends in the time-series dataset and potential nonlinear confounding effects. Results : On average, Daily hospital admissions for asthma were 21 counts in Seoul, 5 counts in Shanghai. In both areas,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was high in fall. The average of daily concentrations was 65㎍/㎥ (Seoul), 87㎍/㎥ (Shanghai) for PM10, 13㎍/㎥ (Seoul), 45㎍/㎥ (Shanghai) for SO2, 68㎍/㎥ (Seoul),59㎍/㎥ (Shanghai) for NO2, The means of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12℃(Seoul), 17℃(Shanghai) and 61%(Seoul),69%(Shanghai). PM10, SO2, NO2 had moderat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each other, and asthma hospitalization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air pollution. For these three air pollutants, the largest effects were observed at Lag 01 models (2-day moving average lag). In the season-specific analysis, stronger associations were observed in the fall season for PM10 in Seoul, fall seasons for SO2 in shanghai and fall seasons for NO2 in Shanghai. In two-pollutant models, the associations between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and PM10 were stro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oul regardless of adjustment. Also, the associations between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and SO2, NO2 were strong after adjustment for PM10 in Shanghai. Lastly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on PM10 in Seoul, SO2 and NO2 in shanghai with hospital admission for asthm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outdoor air pollut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asthma hospitalization in Seoul and Shanghai. In China especially Shanghai, Gaseous air pollutants (SO2, NO2) seemed to have larger effects on asthma hospitalization compared to PM10. In contrast, Seoul, Korea, PM10 had much higher risk on asthma hospitalization than that of SO2 and NO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ssociations of air pollution on asthma exacerb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asthma related policy decisions and resource distributions of public health. 연구배경 : 천식은 일반적으로 만성 염증성 질환이며, 가역적 기도 폐쇄가 특징적이고, 임상적 증상들로는 천명, 기침, 흉부 압박감, 호흡 곤란 을 포함 하며, 전세계적으로 3억명에 가까운 사람이 천식으로 인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고 있고, 특징적으로 도시화되고 산업화된 지역에서 유병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대기 오염은 천식의 악화에 기여한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대기오염의 위험이 높은 중국에서는 천식증상을 겪는 전체인구가 3,000만명에 이르며, 한국에서는 성인의 질병부담 3위의 질환이다. 목표 :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과, 중국의 상하이 두 도시에서 의료보험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이 천식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기오염 물질이 천식의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2001-2006년)과 상하이(2005-2011년) 의 의료보험자료, 기상자료 및 대기오염자료를 Quasi-Poisson 분포를 가정한 일반화 부가 모형(Generalized Additive Model)을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일별 천식에 따른 입원환자수, 독립변수로는 대기오염물질(PM10, SO2, NO2)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 기온, 상대습도, 요일, 계절과 시간의 추세를 보정하며, 대기오염물질의 지연효과를 알아보고자 단일지연효과(1,2,3,4일)와 이동평균법(0~1일)를 함께 고려한 분석과 다른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통제하고자 NO2, SO2 와 PM10을 각각 보정한 추가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계절에 따른 영향 차이를 고려한 모형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 평균적으로 일 평균 천식 입원 수는 서울에서 21회, 상하이에서 5회로 나타났으며, 두 지역 모두에서 천식에 따른 입원은 4계절중 가을에 높았다.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PM10의 경우 65㎍/㎥ (서울), 87㎍/㎥ (상하이), SO2의 경우 13㎍/㎥ (서울), 45㎍/㎥ (상하이), NO2의 경우 68㎍/㎥ (서울), 59㎍/㎥ (상하이) 로 나타났으며 일 평균온도와 상대습도는 서울에서는 12℃, 61%, 상하이에서는 17℃, 67%로 각각 나타났다. 대기오염물질간의 상관관계는 높았으며, 대기오염물질(PM10, SO2, NO2)과 일별 천식에 의한 입원 수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세가지 오염물질의 지연효과는 이동평균법(lag01)을 사용하였을 때 대체로 큰 효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 계절로 구분 지어 분석을 하였을 경우에는 PM10은 서울의 가을에, SO2와 NO2는 상하이의 가을에 가장 큰 영향을 보여주었다. 두 가지 대기오염물질의 혼합모형을 살펴볼 경우 PM10은 보정여부와 관계없이 서울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고, SO2와 NO2는 상하이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PM10으로 보정하였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기오염과 천식으로 인한 입원의 영향을 보는것으로 서울과 상하이 두 지역에서 비교연구를 한 것이다. 상하이(중국)에서는 가스성 대기오염 물질(SO2, NO2)이 PM10에 비해서 천식의 입원에 큰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반해 서울(한국)에서는 PM10이 SO2 또는 NO2에 비해 천식으로 인한 입원에 더 큰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는 대기오염 물질과 급성천식의 악화가 뚜렷한 관련성이 있으며 국가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천식 및 호흡기 질환 정책 및 보건의료자원 배분에 활용 되어질 필요성이 있다.

      • 급성 심근경색증에 병발한 승모판 역류가 2년 추적 임상 결과와 예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등록 연구)

        전웅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성 심근경색증 후 발생하는 허혈성 승모판 역류는 단기, 장기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의 기저 특성과 경색의 분류와 위치, 치료 방법, 승모판 역류의 평가방법 등에 다양성이 존재해 승모판 역류 자체가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등록 자료를 통해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승모판 역류가 미치는 장기 임상 결과와 예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005년 1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한 환자 중 경흉부 심초음파를 시행한 총 28,3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승모판 역류 등급 0, 1, 2는 저등급 승모판 역류군(27,818명)으로, 승모판 역류 등급 3, 4는 고등급 승모판 역류군(536명)으로 나눴다. 두 군을 1:1 매칭 프로토콜의 성향점수매칭법을 사용하여, 507개의 매칭된 쌍을 산출하였다. 매칭 변수는 임상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인자들을 포함하였다. 1차 연구 목표 변수는 2년 시점의 주요 심혈관 사건으로 하였다. 전체 연구 표본에서 2년 추적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률은 고등급 승모판 역류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 고등급 승모판 역류 발생의 위험인자는 고령, 여성, 낮은 좌심실 구혈률, 고혈압, 심부전 과거력으로 나타났고, 2년 추적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고령, 저체중, 낮은 좌심실 구혈률, 고혈압,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과거력, 심혈관질환의 가족력 그리고 좌주간부질환, 다혈관질환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향점수매칭법을 시행한 후의 2년 추적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률은 고등급 승모판 역류군과 저등급 승모판 역류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s kn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hort-term and long-term prognosis.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mitral regurgitation itself affects the prognosis due to the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he studied populations regarding index infarction, location, method of index revascularization, and method of quan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clinical outcome and prognosis of mitral regurgitation analyzing the data of Korea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KAMIR). From November 2005 to May 2015, a total of 28,354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ho underwent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were analyzed. Mitral regurgitation grade 0, 1 and 2 were classified as low-grade mitral regurgitation group(n=27,818) and grade 3 and 4 were classified as high-grade mitral regurgitation group(n=536).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ith 1:1 matching protocol, 507 matched pairs were calculated. Matching variables included all factors that could affect clinical outcome. The primary end point of this study was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MACE) at 2 year. In entire population, the cumulative incidence of MACE at 2 year was signficantly higher in the high-grade mitral regurgitation group.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igh-grade mitral regurgitation were old age, female, low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LVEF), hypertension, and history of heart failure. The risk factors for MACE during 2 year follow-up were old age, low body mass index, low LVEF, hypertension, diabetes, history of cardiovascular or cerebrovascular disease, family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left main disease, and multivessel disease. However,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incidence of MACE at 2 year follow-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grade mitral regurgitation group and low-grade mitral regurgitation group.

      • 지역별 전월세전환율 차이 결정구조 분석

        전웅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동안 국내에서는 전월세전환율의 형성에 대해 크게 두 가지 논의를 기준으로 분석되어왔다. 하나는 전월세전환율을 시장이자율과 같다는 논리로 전월세전환율의 결정구조를 파악하는 운용이익가설이 그것으로 전세금이나 보증금의 기회비용, 즉 운용수익은 금융시장의 시장이자율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을 기준으로 전세금을 월세라는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순수월세와 동일하다고 보고 전세보증금이나 보증부월세 보증금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월세 대신에 묵시적으로 지불한다고 간주하여, 전월세전환율이 시장이자율과 같다고 믿어왔다. 하지만 최근 이창무, 정의철, 이현석(2002)의 연구에서 전세금이나 보증금의 기회비용이 통상 인식해온 바와 같이 시장이자율이 아니라 직접 투자한 자기자본에 대한 기대 총 수익률이며 전월세전환율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부터 그 이후의 여러 연구들은 레버리지기능을 전월세전환율 결정구조의 가장 핵심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전월세전환율이 시장이자율과 일정한 괴리가 나타난다는 점과 더불어 전월세전환율 자체도 지역별 혹은 하부시장별로 각각 일정수준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관해서는 여러 관련 통계자료 및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일부 지적하고는 있으나 실제 이 차이의 원인이나 시사점에 대하여 각종 전월세전환율 관련 자료를 가지고 실증모형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없는 바, 이 연구에서는 바로 그 점에 주목하여 앞서 언급한 전월세전환율 결정구조모형인 레버리지 가설에 입각한 추정 모형을 통해 지역별 전월세전환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패널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The analysis of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is based on two major theories. The first theory is management income hypothesis that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is equivalent to market rate. According to thi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management income which includes deposit for Chonsei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finance market interest rate. Based on this theory, a deposit for chonsei can be regarded as equivalent form of monthly rate, and assume that the interests from deposit for chonsei or monthly rent with security deposit. Therefore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is believed to be equivalent to market interest rate. However, since the recent study pointed out that the opportunity cost from cost of chonsei or security deposit is not equivalent to market interest rate, but more equivalent to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other studies have begun to realize that the leverage is the critical factor of decision structure of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according to such hypothesis as leverage pursuit hypothesis,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is the sum of cap rate and expected price increase rate. In addition to appearance of constant difference between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and market interest rate, other studies also point out that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itself has shown the variables in different area, but no study has been analyzed the cause of differences or perspective resulting in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s the leverage pursuit hypothesis which is deciding structure model of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to analyze the regional variance of Chonsei to Monthly Rent Conversion Rate and what it represent through panel analysis

      • 로수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요법의 효과와 안정성 : 12개월 코호트 연구

        전웅 순천향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강하 요법은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의 일차 및 이차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고용량 스타틴 요법은 LDL-C 수치를 낮추고 CVD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지만, 근육 관련 부작용 및 신규 발병 당뇨병 등의 부작용이 증가한다. 에제티미브와 스타틴 병용요법은 CVD 환자에서 개선된 LDL-C 감소와 안전성을 보여 왔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중등도 위험 환자들의 고정용량 로수바스타틴(R) + 에제티미브(E) 병용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12개월에 걸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다기관, 개방 표지, 단일군, 전향적 관찰 연구로 2016년 5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한국의 258개 의료기관에서 등록된 5,7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환자들은 이전의 CVD나 당뇨병이 없지만 중등도의 심혈관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으며, 스타틴 또는 R(5, 10 또는 20 mg) + E(10 mg)의 고정용량 복합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성향점수매칭을 사용하여 총 700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고정용량 R + E 병용요법은 스타틴 단일요법과 비교하여 12개월 추적조사에서 LDL-C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스타틴 단일요법 19.09%, R5 + E10 mg 29.35%, R10 + E10 mg 36.19%, R20 + E10 mg 41.83%, p = 0.017). R5 + E10 mg 그룹에서 스타틴 단일요법 대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였고(1.89 ± 11.69, p = 0.004), R10 + E10 mg 그룹에서는 중성지방 수치는 감소하였다(-28.88 ± 98.75, p = 0.033). 고정용량 R + E 병용요법은 스타틴 단일요법 대비 이상 사례 발생이 적었으며, 당뇨병 악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정용량 R + E 병용요법은 강력한 LDL-C 감소 효과와 안전성으로 CVD 일차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