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희망경로를 이용한 버스 노선망 계획 방법론에 관한 연구

        전상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2000’s,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BQOS) has been implemented in most large cities in Korea. An important goal of the BQIS is to minimize system costs when planning bus route networks. Therefore, when planning bus routes, new areas are servi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buses or extending existing routes by in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dispatches and curvature of bus routes to maintain operating costs, which concurrently increases the inconvenience of users, also. A bus route planning methodology that can improve user satisfaction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system operating cost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Most bus users hope to take the shortest path to their destinations without transfer. To increase the bus usag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ccommodate the need of users who want to get to their destinations quickly. In this study, the shortest path that each bus user can move from a starting point to an ending point is defined as the user’s desired path, and the path planning methodology using the desired paths of all bus users is proposed. Existing studies have mostly presented route planning methodologies that focus on minimizing operator costs. These methodologies have limitations in reflecting only the usage of individual links, not reflecting the users’ demand between individual origin/destination pairs and the shortest route therein simultaneously, to reflect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in the link. In this study, the shortest path reflecting the demand volume between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points was applied to bus networks to establish a route plan that maximizes satisfac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 concept of the 'admittance coefficient' that reduces the link length of the desired path was also applied to the shortest path algorithm to search for the optimal route rapidly. Admittance coefficient serves the reduction of the length of the desired path in proportion to the demand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for the desired path with high demand to be selected in the shortest path search. In addition, the shortest path selected by the proposed methodology is the upper-level desired path, including the total of both demands and travel distance of the lower level of the desired path between all nodes overlapped on the selected shortest path. In this study, the desired path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same networks of the previous study that solved the school bus route problem with the Harmony Search algorithm(HSA) and the genetic algorithm(GA)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y. As a result of finding a path that solves the existing problem of minimizing operating costs from the operator's point of view with the desired path methodology, the efficiency results similar to those of Harmony Search or Genetic Algorithm were derived. On the other h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users', the result from calculating the total of the travel time of users' that is the sum of in-vehicle time and waiting time showed that this methodology was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method, assuming the existing research network as a bus network. The desired path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verified to be of sufficient value as a route optimization methodology. Finally, the desired path methodology was applied to actual bus route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y. The data applied in this study are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and the origin-destination data built dur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bus route system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15.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optimal route connecting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the two express lines, it was analyzed that the total travel distance to the origin and destination increased by 42%, and the length of the route decreased by 3.8%. It means that the number of long-distance users has increased,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express lines. For another express line, the length of the route slightly increased, but the total travel distance was increased by 50.4%.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sired route methodology to actual route cases, the routes that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more than existing routes were proposed. It is the methodology that can increase user satisfaction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operating costs in route network planning practice. In conclusion, it can be fully utilized in actual route planning. To design a highly reliable bus route network with the proposed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ccurate origin and destination(O/D) demands. However, it is not an easy task to establish accurate O/D data. In the future, if it is possible to create various O/D matrices for potential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short-distance travel demand, it is possible to plan route networks for various purpos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esign methods of route networks us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study will be developed. 200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 대부분 대도시에서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다. 준공영제에서는 버스 노선망을 계획할 때 재정지원을 줄이기 위해 시스템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한다. 따라서 노선을 계획할 때 운행비용을 줄이기 위해 버스 대수를 줄이거나 기존 노선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신규 지역을 서비스하는데, 이로 인해 배차간격과 노선 굴곡이 늘어나 이용자들의 불편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운영비용을 많이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이용자의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는 노선 설계 방법론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시내버스 이용자들은 목적지까지 한 번에 최단경로로 이동하기를 희망한다. 시내버스 이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목적지까지 빠르게 가기를 희망하는 이용자들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개 이용자가 기점에서 종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단경로를 희망경로로 정의하고, 모든 버스 이용자의 희망경로를 이용한 노선계획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운영자의 비용 최소화에 초점을 맞춘 노선계획 방법론을 제시해왔다. 이러한 방법론들은 대중교통 수요를 링크에 반영하기 위해 이용자의 기종점 간 이용량과 최단경로를 동시에 반영하지 못하고 개별 링크의 이용량만 반영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용자 관점에서 만족도가 최대가 되는 노선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대중교통 기종점 간 최단경로와 통행량을 버스 네트워크에 반영하였고, 최단경로 알고리즘이 빠르게 최적 노선을 탐색할 수 있도록 기종점 최단경로로 만들어진 ‘희망경로’와 통행량에 따라 링크 길이를 줄여주는 ‘어드미턴스 계수’ 개념을 도입하였다. 어드미턴스 계수는 최단경로 검색에서 통행량이 많은 희망경로가 선택되도록 기종점 통행량에 비례해 희망경로 길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시된 방법론으로 선택된 최단경로는 상위단계의 최단경로로서 최단경로에 중첩된 모든 노드 간의 하위 희망경로의 총통행량과 총통행거리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희망경로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하모니서치 알고리즘과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통학버스 경로 문제를 해결한 기존 연구에 적용하였다. 희망경로 방법론으로 운영자 관점에서 운행비용을 최소화하는 기존 문제를 해결하는 경로를 찾은 결과는 하모니서치나 유전자 알고리즘과 비슷한 효율성 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 이용자 관점에서는 기존 연구 네트워크를 버스 네트워크로 가정하고 이용자 차내시간과 대기시간을 산출한 결과는 이용자 전체 통행시간 측면에서 기존 방법보다 본 방법론이 더 나은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희망경로 방법론은 노선 최적화 방법론으로 그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희망경로 방법론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버스노선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자료는 2015년 대구시 시내버스 노선체계개편 시 구축된 대중교통 네트워크와 기종점 통행 데이터이다. 두 개의 급행 노선의 기종점을 연결하는 최적 경로를 탐색한 결과, 한 개의 노선은 길이가 3.8% 감소하면서도 기종점 총통행거리는 42%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장거리 이용자 수는 증가한 것을 의미하면 이는 급행 노선의 운영 특성과도 부합된다. 또 다른 노선은 노선 길이는 조금 늘었지만, 총통행거리는 50.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희망경로 방법론을 실제 노선개편 사례에 적용한 결과 기존노선보다 이용자 편의성을 더 높일 수 있는 노선을 제시하였다. 이는 노선망 계획 실무에서 운영비용을 많이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론으로 실제 노선계획에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신뢰성 높은 노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기종점 통행량(O/D)을 구축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확한 기종점 통행량 구축은 쉬운 일은 아니다. 장래에 대중교통 잠재수요, 단거리 통행수요 등을 위한 다양한 기종점 통행량(O/D) 매트릭스를 만들 수 있다면, 다양한 목적에 대응하는 노선망 계획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본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 다양한 노선망 설계 방법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ARMA 모델링에 의한 제어계의 상태추정

        전상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어 시스템의 수학적인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여러가지 있다. 시스템의 특성을 예측할 수 없을때 시스템의 출력 데이타를 측정하여 수학적인 모델을 추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데이타로 부터 알맞는 모델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OFF-LINE 추정법에 의하여 잡음의 자승합이 최소가 되도록 선형최소자승법과 비선형최소자승법으로 AR 및 MA 파라메타를 구하였으며, ON-LINE 추정법인 RMI법과 ELS법으로 같은 파라메타를 추정 비교하여 OFF-LINE 추정법이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추정된 모델의 차수를 F-시험법으로 정하도록 함으로써 차수를 고려한 시스템의 상태모델을 추정하였다.

      • 혼돈 현상을 보이는 적응기구에서의 강인한 적응법칙에 관한 연구

        전상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박사

        RANK : 247631

        비선형 동적 시스템에서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소중 이제까지 예측할 수도 없고, 제어할 수도 없는 무작위 잡음(random noise)으로 취급하여 온 신호들을 분석하여 보면, 그 신호 중에는 제한된 범위내를 수렴하지도 않고 또 발산하지도 않으면서 비주기적으로 진동하는 불안정한 신호인 혼돈(chaotic) 신호가 있다. 이런 불안정한 신호중의 일부라도 제어 가능한 신호로 만들어 제어할 수 있다면, 그만큼 제어 가능한 안정한 영역은 넓어지고 시스템은 강건하게 된다. Mareel과 Bitmead는 적응 기구에 dead beat제어 법칙을 적용하여 궤환 신호내의 무작위 잡음중에서 혼돈 신호의 존재함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폐 루프 시스템의 궤환 신호에 포함된 무작위 잡음들 중에서 먼저 제어 가능한 혼돈 신호를 구별한 다음, 이 신호를 원하는 제어 목표에 적합한 입력으로 제어하여 플랜트에 공급하므로써 보다 더 빠르고 안정한 시스템으로 제어하려고 한다. 따라서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이러한 혼돈 신호가 일정한 규칙성과 질서를 갖는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낮은 상관 관계(correlation)를 갖는 동적 관계식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반복 추정하므로써 원하는 출력을 얻거나 또는 추정 오차를 줄임으로써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건한 적응 법칙을 제안하였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직류 전동기의 궤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혼돈 신호의 존재를 1) Time series 2) Power spectrum 3) Phase portrait 4) Lyapunov exponent등의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해 보였으며, 또한 제안한 적응 법칙을 직류 서보 전동기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적용하여 바람직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There is a chaotic signal that exhibits an aperiodic oscillation in a nonlinear dynamic system. When such a signal that could make the system unstable is analyzed, it may be regared as a random noise. This chaotic signal neither converges nor diverges in a limited region. Mareel and Bitmead prove the presence of a chaotic signal in a random noise by applying the dead beat control theory to an adaptive mechanism. If a part of the unstable signal is controlled by the chaotic theory, the stable region could be wider and the system could be more robust. In this thesis, the robust adaptive theory is propos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chaotic signal that has a regularity and an order to enhance the control performance by applying a recursive algorithm that uses a dynamic relation with a small correlation. When the adaptive law is applied to control the electric DC motor, the presence of the chaotic signal in a feedback signal is shown by several methods such as the time series method, the fourier spectrum method, the phase portrait method and the Lyapunov exponent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demonstrated by the computer simulation of a position control for an electric DC motor.

      • 구세군의 사회봉사에 관한 연구 : 역사적 및 신학적 고찰

        전상영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사회봉사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구세군의 사회봉사의 실제를 모델로 제시하여 한국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공감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작성되었다. 또한 사회봉사의 신학적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할 뿐만 아니라 복지국가를 지향하며 광범위한 복지정책을 펴나가는 현대의 추세에도 크게 못 미치는 형편임을 지적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사회봉사의 개념을 알아보고 그 신학적 근거를 성서에서 찾아 사회봉사가 자기만족이나 선행을 위한 방편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와 함께 온전한 공동체를 만들어나가야 하는 교회의 책임임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회사를 통해 사회봉사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사회봉사는 초대교회부터 중세교회까지 그리스도인의 당연한 의무로 여겨졌고, 시설 운영도 활발하였으나 종사자들의 타락으로 인한 변질도 있었다. 그러나 종교개혁자들은 올바른 사회봉사신학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 사회에 적용하는 노력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운동은 사회 변혁에도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오늘날 사회봉사에 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 역사적 신학적 연구에 있어 도외시되고 있는 구세군의 사회봉사 역사와 창립자 윌리엄 부스의 신학사상, 그리고 구세군의 사회봉사신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존 웨슬리의 사상, 당시 영국의 현실, 그리고 윌리엄 부스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투쟁을 함께 기록했다. 4장에서는 국내 기독교의 역사는 사회봉사와 늘 함께 자리해 왔으며 선교초기와 6.25전쟁 후에는 사회봉사가 더욱 활발히 전개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이후의 사회봉사는 복음전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졌기에 사회봉사가 선교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연구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고 사회봉사신학의 이론적 연구 확대의 바람과 함께 몇 가지 제언으로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앞으로도 사회봉사신학의 연구는 사회복지사업과 함께 계속되어져야 하고, 교회는 사회봉사를 거룩한 시민운동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following thesis as written by indicating both consideration of historic concern and the Salvation Army's reality work on social service volunteering. By completing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 Korean church itself will share and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Also, religious research on social service when compared to other fields, is not only relatively ineffective but also far behind what the Government has planned for building a economically strong country as far as expectations and hopes are concerned. In chapter 2, shows that social service is neither satisfactory nor expedient in building an unimpaired community working with people of feeble strength in society. And then through the affairs of the church, I looked into what has changed in the process of the social service. From the early ages to the medieval, it was a justly concerned duty although management of running establishments were somewhat in active, There were changes, because of the moral corruption of engagers. However, religious reformers did suggest proper ways of theoretical foundation and showed ways of adapting it. These activities contributed towards society reformation. In chapter 3, In spite of the Army's vast work on devotional volunteer activities in the society, Their achievements have been somewhat ignored. Therefore, I looked into three things of the Salvations Army's historic volunteer work in society according to the Theological ideology of William Booth, A founder of Salvation Army and the Army's theology on social service in the society. In this later part of the chapter I record the ideology of John Wesley, actuality of England at that time, and the struggle of William to help the weak in society. In chapter 4, I looked through and concluded that the history of Christianity has always been together with volunteer work of society, and also pointed-out how active they were during early periods of mission and after the korean war. Also, I mentioned that volunteer work has relatively been behind gospel preaching especially after the korean war. Therefore, I concluded that volunteer work is a way of conducting missionary preaching. In chapter 5, conclusion, I summarize the contents of research. I hope that enlargements of society's better point of view on volunteer work have to continue with the welfare of society's reformation. The church itself carry on social service as sanctified citizen movements.

      •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과 관람행동의 관계에서 관람의도의 매개효과

        전상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연예술 분야는 다양한 장르가 있다. 잔잔한 선율을 제공하는 클래식, 정감있는 국악과 화려한 조명 아래 펼쳐지는 대중음악, 심오한 표현을 나타내는 무용과 삶의 애환을 그려주는 연극 등 있다. 이러한 여러 장르에 따라 선호하는 관객층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무엇이 사람들을 객석으로 이끌고 있을까? 공연예술 관람은 공연장소의 접근성이나 출연자의 지명도에 따라 관람의도나 관람행동이 각각 달리 난다. 또한 작품의 속성이나 공연장의 거리 또는 부대시설의 편의성 등에 따라 공연관람 참여도가 달리 나타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첫 번째 목적은 공연예술 관람경험이 가치지각, 지각된 비용, 공연예술작품의 속성, 그리고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두 번째,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이 가치지각과 지각된 비용, 공연작품의 접근성,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첫 번째, 관객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공연을 기획하고 연주자 또는 배우입장에서도 보다 가깝게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두 번째, 응답자의 공연 예술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시설의 확충 또는 주요 편의시설 개선 등 대중적인 공연예술 발전을 위하여 공적지원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강원도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관람경험, 가치지각, 작품접근성, 공연시설, 관람의도, 관람행동에 관한 설문조사(N=399)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먼저, 성별과 연령별 인식의 평균차이를 분석하였고, 변수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공연관람 경험, 가치 지각, 작품접근성, 관람의도, 관람행동 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과거 공연관람 경험, 가치 지각, 지각된 비용, 공연작품 속성, 관람의도 그리고 관람행동 간의 인과적 관계가 성인들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 목적은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에서 관람의도의 매개효과 검증이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6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관람경험은 내적 가치와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내적 가치와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관람경험은 달성 가치와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달성 가치와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관람경험은 유용성 가치와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유용성 가치와 관람의도는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네 번째, 관람경험은 지각된 비용과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달성 가치와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 번째, 관람경험은 작품 접근성과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작품 접근성과 관람의도가 관람경험과 관람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람경험이 세 가지 가치지각과 지각된 비용, 작품 접근성 및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 수준이 공연예술에 대한 내적 흥미와 중요성, 유용성을 지각하는데 기여하고 공연예술의 관람을 위해서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투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접근 자체가 용이할수록 공연예술을 관람하려는 동기를 불러일으키며 이렇게 증가된 관람의도는 실제 관람행동을 높여준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관람경험 수준이 지각된 가치요인과 비용, 작품 접근성 그리고 관람의도를 통해 관람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 연령별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많은 그리고 다양한 공연기획들이 구조적 한계(장소, 시간, 비용 등) 때문에 장기적 기획보다 단기적 또는 일회성 기획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선호도와 장르를 고려하여 보다 심층적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예술가와 관람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공연기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연장소는 연주자와 배우 등 공연 관계자뿐 아니라 관객, 즉 시민들의 접근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공연장은 단순히 공연과 관람만 이루어지는 곳이 아니다. 관람을 위하여 참여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표소나 안내 데스크, 그리고 안내 표지판 등 공연을 위한 시설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에 필요한 편의시설(대화장소 등)같은 시설을 확충하여야 하며, 특히, 장애인에 대한 편의시설도 충분히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대중화된 공연예술 분야 발전을 위하여 공적 지원의 필요성을 적극 검토하여야 한다. The performing arts include the different types of genres. They range from rhythmically calm classical music, affectionate Korean music, popular music performing on the stage and theatrical lighting equipments, dance expressing our deepest feelings, and theater expressing hard life. For this, audiences participate in different ways in different kinds of performing arts. What does call the audience to stages? Viewing the performing arts and its relation to the intention to watch again depend on its accessible performance spaces or reputation of cast members. The characteristics of works, location of performance place,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also affect the extent of participation in performance vie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experience with performing arts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viewer perception of value, perceived cost, work accessibility, and intention for viewing them. The second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whether it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udy variables are invariant across gender. On the other hand, researcher’s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managing various performances able to enhance viewer’s satisfaction and allow players or actors easy to get audiences. In addition, justifications for the public support of the performing arts based on audience’s attitude of performing arts were suggested in terms with expansion or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place facilities as a way for developing performing arts. Subject were 399 citizens residing in Kangwon-do and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visitors experience, perceived values, work characteristics, facilities of performance places, audience intention, and visitors behaviors.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mean difference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correlation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investigating a causal relationships among past viewing experience of performance, perceived values,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works, audience intention, and visitors behavior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esting the invariance in its causal relationships across gender.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udience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experience of performing arts and visitors behaviors. The results of analyzing six-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audiences’ past experience of performing arts has a direct and indirect on viewing behaviors through both intrinsic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as a mediator. Second, the audiences’ past visitors experience has a direct and indir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attainment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It shows that attainment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experience and visitors behaviors. Third, past visitors experience has only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usefulness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viewing experience and viewing behaviors did not mediate by usefulness value and audience intention. Fourth, past visitors experience has only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perceived cost and audience intention. This results implies that perceived cost and audience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experience and visitors behaviors. Fifth, visitors experience has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work accessibility and viewing intention. this result shows that work accessibility and audience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experience and visitors behaviors. Lastly, the effect of visitors experience on visitors behaviors via three factors of values, perceived cost, work accessibility, and viewing intention was variant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xtents of visitors experience of performing arts not only contributes to the perception of viewer’s intrinsic interest, importance, and usefulness, but also needs to invest in time and money in order to view the performing arts. Accessibility to performance place is essential for people who want to view the performing arts. This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audience intention toward performing arts helps enhance actual visitors behaviors because the extent of accessibility may increase one’s viewing motivation. Especial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visitors experience levels on visitors behaviors through perceived value factors, cost, work accessibility, and audience intention are different by gender. The following is a useful policy recommendation that can vitalize the performing arts programs. It is commonly known that most of the management for performing arts in Korea is prepared by short-term or disposable plans instead of long-term plans because of its operational limits such as place, time, and production costs. To solve this problem, performance planning needs a systematic and structured approach to successfully fulfill the viewers’ satisfaction through in-depth survey analysis considered their preferences and genres. Moreover, accessibility to performance places should be considered as fully comfortable all of players, actors, steps, and audiences. Performance place is not a mere space in which a performance and viewing takes place, but an area where different types of audience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ke meaning of its experience. Therefore, many facilities for performance including ticket box office, information desk, and guide sign, and conveniences (chat room for conversation, etc.) necessary to interact with others should be enlarged. Especially, some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s fully considered and installed. Finally, the necessity of public support should be closely examined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