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돌봄스트레스 대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전경화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성인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돌봄스트레스 대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전경화 지도교수 임병우 본 연구의 목적은 도전적 행동을 하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면서 겪는 부모의 돌봄스트레스 대처 경험이 어떠한지 부모들의 관점에서 그들이 느끼고 사고하며 삶을 대하는 모습을 담아보고자 하였다.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그리고 도전적 행동을 하는 자녀를 돌보는 부모들의 고통과 무게감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학령기를 지나 성인기로 접어들면서 신체적 변화와 함께 나타나는 도전적 행동은 부모가 감당하기 어려우며, 정책적 대안의 부재와 제도적 미비로 자녀 돌봄 부담에서 헤어나올 수 없다. 본 연구는 도전적 행동으로 인하여 고통을 겪고 있는 주돌봄자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의 실체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주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을 활용하였으며, 도전적 행동을 하는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돌봄스트레스 대처 유형을 파악하였다. 스트라우스와 코빈이 제시한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기반으로 돌봄스트레스의 원인과 맥락이 무엇인지 그로인해 나타나는 현상과 당사자들의 대처 능력을 통한 상호작용은 어떠한지, 마지막으로 결과는 어떠하며 대처 유형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참여자는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복지관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 중 도전적 행동을 하는 자녀를 돌보는 부모로 연구 특성에 적합한 사례 선정 방식인 ‘이론적 표본 추출’을 적용하여 주 돌봄자인 어머니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질적연구의 신뢰를 위하여 Lincoln & Guba(1985)가 제시한 사실적 가치(truth value), 적용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ancy), 중립성(neutrality)의 4가지 측면을 따랐다. 자료분석 단계에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으로 ‘핵심 범주’를 확인하고, 범주들을 연결하는 ‘이야기 윤곽’을 통해 가설이 구체화 되는 과정을 거쳤다. 개방코딩에서는 자료를 바탕으로 유사한 개념들을 하위범주로 묶고, 다시 범주화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274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는 분해된 자료를 다시 조합하여 속성과 차원을 발달시키고 연결하여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현상,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전략, 결과 간의 관련성을 근거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패러다임의 연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과적 조건에서 예측이 어려운 자녀의 도전적 행동은 사회적 단절로 이어졌고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도전적 행동에 대한 스트레스는 더욱 심화되어 가장 지지가 되어야 하는 가족과 동질 집단에서의 갈등을 야기하였다. 둘째, 맥락적 조건은 ‘나눠야 할 돌봄 부담’과 ‘권리 찾기’로 특정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주돌봄자는 돌봄 부담감에 대하여 가족이나 지역사회 돌봄 기관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고충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 셋째,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에 따른 중심현상은 가장 현실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는 “하루살이 인생과 자녀의 생존 불안”으로 도출 되었다. 부모들의 현재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는 “여기에서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고민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중재적 조건에서 부모들은 가족과 동질집단의 관계 회복을 원하였고 사회적 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공감과지지’, ‘적절한 지원’으로 도출되었고, 가족이나 동료들은 서로 버팀목이 되었다. 다섯째, 작용/상호작용을 통해 전략적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경험을 축적하고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써 살아가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여섯째, 현상에 대처하고 다루기 위하여 참여자들은 ‘건강하게 버티기’와 ‘이성과 유머로 대처’하기를 선택하였다. 이들의 단계별 돌봄스트레스 경험 과정은 ‘갈등기’, ‘개입기’, ‘조정기’, ‘적응기’의 4단계로 진행됨을 볼 수 있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 범주(Core Category) 고르기와 이야기 개요(Story Line)를 구성하였는데, 핵심범주로는 “도전적 행동을 하는 성인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이 인권을 기반으로 세상에서 살아남기”가 도출 되었다. 이러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을 속성과 차원에 따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가설적 관계를 정형화하였다. 참여자들은 삶을 대하는 차원과 속성에 따라 ‘부정적 능동형’, ‘부정적 수동형’, ‘긍정적 능동형’, ‘긍정적 수동형’의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도전적 행동을 하는 성인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면서 그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표면적으로 “하루살이 인생과 자녀의 생존불안” 으로 나타났지만 그들의 내면에는 수 많은 갈등과 포기, 살아내려는 욕구, 현상을 받아들이고 적응하기 위한 내려놓음 등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연구 결과에 따른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전적 행동을 하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맞게 지원할 수 있는 쉼과 심리상담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도전적 행동 특성으로 인해 주돌봄자와 가족이 겪고 있는 신체적, 사회적, 심리·정서적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가족심리상담 연계와 주돌봄자의 쉼, 문화 생활 등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케어 전문인력이 확충되어야 한다. 도전적 행동 돌봄에 대한 별도의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케어기술’ 교육이 요구되며 종사자들에게는 케어인센티브가 필요하다. 셋째, 도전적 행동 특성에 대한 개별화지원을 연계할 수 있는 전문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기부터 학령기 그리고 교사와 공무원, 정치인 등 사회의 리더들에 대한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확대이다. 다섯째, 도전적 행동을 하는 발달장애인이 부모 사후에 살아갈 수 있는 주거지원이 필요하다. 그룹홈과 같은 곳에서 활동지원을 받으며 살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표집에 있어서 지역적 한계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의 도전적 행동 사례를 대표하기에는 일반화에 제한이 있으므로 후속연구를 통해 대‧소도시와 도서벽지에 거주하는 ‘도전적 행동’을 하는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또는 부모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둘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모두 도전적 행동을 하는 자녀의 어머니들이므로 추후에는 가족 구성원인 ‘아버지’, 그리고 ‘형제·자매’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심층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이웃에 대한 연구이다.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주변에 거주하는 이웃의 고충을 간과할 수는 없다. 이들의 ‘고충’이나 ‘장애이해 정도’ 등에 관하여 조사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넷째, ‘도전적 행동 돌봄’에 대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가 접목된다면 더욱 풍부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리라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이 사회적 존재로서 스트레스에 대처하고자 하는 노력을 부단히 해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모들의 노력에 발맞추어 돌봄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른 지역사회통합돌봄 시스템이 하루 빨리 안정기에 돌입하기를 바란다. 주요용어 : 도전적 행동, 성인발달장애인, 근거이론, 돌봄스트레스 대처 유형 ABSTRACT Grounded Theory on Parents’ Care Stress Coping Experiences of Challenge Behaviors By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Jeon, Kyunghw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Advisor;Prof. Byungwoo L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osely with parents' point of view in experiencing their stress coping from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challenging behaviors. As numb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w gradually and parents' pain and burden for caring challenging behavior children emerges to be a social problem, yet have no other alternatives. The lack of institutional guideline prevents from breaking the burden of parents. In particular, as children move through school age to adolescence and adulthood, physical along with challenging behaviors develop to be more difficult for parents to cop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fficult mothers, the main caregiver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having challenging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used Ground Theory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identify the types of care stress coping experience in raising childr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of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we studied the causes and contexts of caring stress, the phenomena resulting from them, interactions through the coping ability of the parties, and the results and coping styles. The researcher gathered ten mothers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in researcher's workplace, a community relief center.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which method suit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o back up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er followed four guidelines presented by Lincoln & Guba (1985), Truth Value, Applicability, Consistency, and Neutrality. In the data analysis stage, the 'core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d the hypothesis was embodied through the 'story outline' connecting the categories. In open coding, based on the data, similar concepts were grouped into subcategories and categorized again, resulting in 274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In axis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based on the relevance between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phenomena, interventional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outcomes by combining and recombining the decomposed data.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paradigm is as follows. First, the challenging behavior of the child is difficult to predict under causal conditions, led to social disconnection and acted as the biggest stressor. The stress of challenging behavior has intensified, leading to conflict in the most supportive family and cohort. Second, the contextual condition is 'care burden to be shared' and 'seek one's right' to respond to a specific situation, needing a hand from a family or community relief center.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counters to represent the grievances. Third, the central phenomenon according to the causal and contextual conditions was derived as the "anxiety of ephemeral life and the survival of the child", the most realistic problem. The reflection of "uncertainty" is the parents' current situation. Fourth, in the mediation condition, parents want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cohort and utilized social resources suitably. 'Empathy' and “appropriate support” were derived, moreover family along with colleagues relied to each other. Fifth, through action/interaction, it is strategically accumulated that experiences of coping with stress is recognized and that humans should live as social beings. Sixth, in order to cope and deal with phenomena, the participants chose to 'bear healthily', moreover coping rationally and humorously. The steps of care stress experience can be classified in the process of four stages: 'Conflict', 'Intervention', 'Adjustment' and 'Adapter'. In selective coding, core category selection and story line were constituted. The core category was “surviving the world based on human rights by the family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having challengingly”. Focusing on these core categories, contextual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correlated according to their attributes and dimensions, and hypothetical relationships were formalized. The Participants were drawn into four types of life depending on the dimensions and attributions: 'negative active', 'negative passive', 'positive active' and 'positive passive'. The central phenomena experienced by parents in caring for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challenging behaviors appeared as "ephemeral life and anxiety for their children" on the surface. However, inner side of them involved many conflicts and abandonment, the desire to survive, furthermore the laying down to accept and adapt to phenomena. The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ort res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to meet the types of care stress coping of parents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s. Second, care professionals for challenging behaviors should be expanded. Another regular and ongoing 'care skills' education is needed for challenging behavioral care, and workers need care incentives. Third, there is a need for a professional control tower role to link individualization support for challenging behavior characteristic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 on improving the awareness of disability for children from early childhood to school age, and leaders of society such as teachers, civil servants, and politicians. Fifth, housing support is necessary for those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 challenging behavior, to live after their parents. A place where they can live with support for activities is needed. The study is acknowledged to be limited, and recommended follow-up studies are follows. First, regional limitation in sampling of participants exists. The study is yet to be generalized to represent challenging behavior cases in all regions of Korea. Follow-up in-depth research is recommended that covers big and small cities on guardians or parent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having challengingly'. Seco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mothers of children who are challenging behavio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present the positions of 'father' and 'brother and sister' as members of family. Third, the study of neighbors. As coexistence of society, neighbors' difficulty is inevitable. It is recommended that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eir “difficulty” and “understanding on disability”. Lastly, incorpor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challenging behavioral care' expects to contribute more research results. The study shows the participants are making an effort to cope with stress as social beings. In line with the efforts of the parents, the researcher hopes the integrated community care system will stabilize as soon as possible for variety types of care stress coping. Keywords: Challenging Behavior,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y, Grounded Theory, Types Of Care Stress Coping.

      • 고령장애인의 체력단련 프로그램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전경화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고령장애인의 체력단련 프로그램 이용 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느낌이나 사고, 감정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돌출하여 당사자들의 경험에 근거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동안 체력단련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스포츠 분야에서 다루어졌고,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고령장애인의 체력단련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는 소홀히 다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고령장애인을 위한 복지 실천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체력단련 프로그램의 접근방법 및 정책적 대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자가 현재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체력단련실을 이용하고 있는 고령장애인으로서 경기도 안양시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 1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Strauss & Corbin(2005)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의 절차를 따랐으며 연구자는 회기마다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5회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연령대는 장애인이면서 55세 이상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였고,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의 느낌과 사고 또는 욕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개방코딩을 통해 개념을 밝히고 그 속성과 차원을 자료 안에서 발견해 나가는 분석작업을 하였으며 137개의 개념과 36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는 범주와 하위범주를 연결시키기 위한 패러다임의 구성요소로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현상, 그리고 중재적 조건, 작용과 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자조의식 및 정체성 형성’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핵심범주로는 “지지체계 및 주인의식을 기반으로 소통을 통한 자조적인 참여”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한 결과, ‘만족형’, ‘기대형’, ‘불만형’의 3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위의 도출된 결과를 통해 체력단련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고령장애인의 대부분은 비장애인 위주의 시설보다 장애인시설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체력단련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있어 수동적이기 보다는 적극적이었다. 또한 ‘만족형’, ‘기대형’, ‘불만형’의 3가지의 유형의 바탕에는 자존감이 내제되어 있었으며, 세가지 유형 모두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적인 사고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자조적인 사고는 고령장애인의 삶에 원동력이 되며 거의 반평생이라는 장기간의 삶을 결정지을 수 있다. 누구나 거쳐야 할 고령기, 특히 고령장애인기에 대한 대안책을 미리 계획하고 기반을 마련해 놓을 수 있다면 좀 더 행복한 노후의 삶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 양육친화 주거환경 인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전경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Over last three decades, a wide range of policies for both promoting childbirth and supporting childcare has been proposed and implemented, yet there were not much of efforts and attempts in the policies to take the childbirth and childcare friendly housing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the research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the nurturing 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as a part of the maternity promotion policy, and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that plays a major role in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scientific challenge of this research lies in a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verall parenting and nurturing environment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social constructionism and critical social constructionism. From the social constructionism view point, the macro-context and micro-context of the parenting and nurturing environment of Korea are examined and identified based on five conceptual framework (Franklin, 1998) consisting of structural context, institutional context, organizational context, operational context, and intersubjective context. Further, in the critical social constructionism issues, the social structure and reality of child care are analyzed from the standpoint of women who are socially weak and vulnerable. In addition, the nurturing-friendly and female-friendly housing environment in Korea, Europe and Japan are reviewed and summarized to support the necessity of a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as a mesure to solve the low birthrate in Korea. The research methods use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tep, we survey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related to child housing, women-friendly city, and parenting/nurturing related certification system, and then list up assessment item candidates. In the second step,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with women in the period of parenting/nurturing is performed to verify assessment item candidates obtained from the first step and further draw up additional assessment item candidates relevant to daily life. In the third step, through an intensive interview with fifteen experts in the field of housing, child education, and architectural interior design, a draft assessment tool with 72 assessment items is created. At the fourth step, a preliminary survey by email is carried out to verify the draft assessment tool framework. The fifth step surveys with 276 women with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and newly created cit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re analyzed by the t-test and ANOVA statistical methods, and the weighted assessment item candidates are verified, and the final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assessment tool is propos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the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for women in the nurturing period was surveyed very high. Further, for improving the low fertility rate in Korea, the demand and necessity of housing environment change and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are shown 'very necessary'. In addition, if there is an apartment housing certified as a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in the neighborhood, the survey shows there is a big desire to move in. Conclusively, it proved that there is a great need for a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Second, those 72 assessment items were found to be 'necessary' or 'very necessary', which confirmed that 72 items are all appropriate for assessment tool items. Among those 72 items, the internal function, common part, and surrounding neighborhood of the apartment a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overall necessity, and then parenting support facility, house interior space, and parenting support service are follow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re is a high need for the hous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the health safety of childr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hysical growth, various athletic ability, intelligence, health and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items of parenting information support and parenting counseling service show a relatively low average value, and it is inferred that child care information and counseling could be accessible quickly and easily through internet and SNS.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item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 of the survey subject. The results of the ANOVA and a-posteriori tests of three age groups of children show that the 'medical support facility', 'stroller storage space', 'bathroom floor heating', 'fences for children's access to kitchens' and 'child care services inside apartment complexes' show a higher need for younger children age. On the contrary, 'indoor laundry drying solution' and 'danger/intrusion/prevention facility' show higher necessity as the age of child is older. Further, 'living room camera (CCTV)' was highly needed for working housewives, while, 'child care facilities' for full-time housewives. However, si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it could be sai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eed for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according to housewives' employment status. Fourth, each assessment item is selectively determined and weighed according to its necessity of the proposed assessment tool. The reliability of total 72 items (cronbach's alpha value α = 0.964) was confirmed. In order to compute the weight for each asessment, it is assumed that items requiring a mean value of 4.2 or more are very necessary. Those items corresponding to the details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onvenience Promotion by the Elderly are assigned as mandatory. Also, items of 3.4 or higher assigned as recommended items, and the items that mean difference i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 are classified into the selected items,.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 and significance of developing the assessment tool for the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esents the theoretical approach for developing the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Housing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housing environment changes according to social values. By applying social constructionism and critical social constructionism issues, it is possible figure out both the macro context and micor context of Korean parenting environment, and also meaningful to develop an integrated approach in the evaluation of housing environment. Second, we propose a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as a policy and system to promote childbirth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rate of Korea. This can contribute to the gener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by establishing the nurturing-friendly hous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in the housing market. Third,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is verified and can be applied in practice. for general public,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can be used as an objective standard when selecting public housing, and for housing planners and housing industry workers it can be fully utilized as a useful tool for developing nurturing-friendly housing.

      •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인지삼제의 매개효과 검증

        전경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의 관계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인지삼제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탄력성발달에 영향을 주고 자아탄력성이 자기존중감과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더욱 만족한다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남여학생 159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의 구성변인인 부모애착, 부모감독, 학대와 자아탄력성, 자기존중감, 세상에 대한 견해, 미래에 대한 희망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부모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뿐만 아니라 인지삼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최종경로모형에서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청소년의 인지삼제 중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미래에 대한 희망 변인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미래에 대한 희망 변인도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에 있어 이들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지지적인 양육이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부모양육의 질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세상에 대해서도 더욱 신뢰롭고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따라서 자신의 삶에 대해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 매개하는 결과를 해석해보면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높은 자아탄력성을 보고한 청소년일수록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고 자신의 목표를 향해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부모양육의 질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문제 상황이나 역경에서 더 빨리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자아탄력성이 높으며 이러한 청소년은 세상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미래에 대해서도 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담 장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생애 초기, 부모양육의 질이 낮을수록 청소년은 타인과 세상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신뢰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으며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도 비관하며 현실적인 문제 대처 능력을 키우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상담자는 청소년 내담자에게 상담자와의 기본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청소년 내담자가 타인과 세상에 대해서 적대적으로 지각하지 않도록 도와주며, 문제가 있을 때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자신에게 맞는 목표를 설정하고 어려움이 닥쳤을 때 구체적인 문제해결방략을 같이 생각해보고 실행할 수 있게 하여 미래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y and cognitive triad between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behaviors with life satisfaction of youth.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parenting behaviors, ego-resiliency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path model an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15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behaviors including parent attachment, parent monitoring and abuse, ego-resiliency, self-esteem, view of the world, hope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supposed that the parenting behaviors had direct effect on cognitive triad as well as ego-resiliency of youth. Second, not only view of the world and hope for the future but also ego-resiliency, view of the world and ego-resiliency, hope for the futur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of youth. In summary, high quality of parenting significantly related to developing ego-resiliency, positive cognition about the world and the future. The implications for the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in life, having lower the quality of the parenting style, basic trust for others and the world can not be formed and the youth would be raised pessimistically about their future. Basic trust in the counselors for adolescent clients, they are not to perceive as hostile to others when they have a problem. It also may be necessary to help young people set their goals and think about the difficulties in the specific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able to run in the future so that it can be perceived as positive.

      • 국내 드라마 OST의 음악적 요소 분석 연구

        전경화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다수의 드라마 OST가 음원 차트의 상위권에 머무르게 되면서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게 되었고 점점 드라마 OST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차트에 오른 드라마 OST는 모두 가창곡 OST로 그 중 발라드의 비중이 높이 나타났다. 과거 OST는 있던 곡을 사용하는 단순한 배경음악의 기능에서 음악 사용에 대한 관심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오리지널 배경 음악이 크게 발전하였고, 가사가 있는 OST를 사용하여 큰 인기를 얻은 후 가창곡 OST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현재의 OST까지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드라마 OST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발라드 OST의 음악적 전형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과거의 OST의 음악적 분석을 통해 과거의 OST의 특징을 연구한 뒤 현재의 OST를 분석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방영된 드라마 OST를 범위로 잡고 가온 차트를 통해 차트 안에 있는 OST를 조사하고 그 OST가 삽입된 드라마를 조사한 후 높은 시청률의 드라마 OST를 음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향후 드라마 OST 음악 제작에 있어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적 요소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앞으로의 음악적 트렌드를 이끌어나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제어 : 대중음악, 드라마 OST, OST, 발라드, 화성, 선율, 리듬 Recently as many drama OST has been ranked high on the music chart, it has become popular.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rama OST continues to grow, Every drama OST on the music charts is OST for the song, and the ballad show a high proportion of them. In the past, The OST was just BGM, but it has come a long way by the interest in my music use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 the OST with lyrics has become so much popular, the OST of the song has been increased, It has influenced the current OST. In this paper, I studied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ballad OST. Which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drama OST. First of all, through the musical analysis of the OST in the past, the characteristic of the OST in the past is studied and the OST characteristic is analyzed. Among drama OST broadcasted from 2015 to 2019. OST on Gaon chart and the drama with OST are investigated. And drama OST with high viewer rating is analyzed musically.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musical trends by utilizing the musical elements derived in this study as basic materials in the production of OST music for the drama. Keywords: Pop Music, Drama OST, OST, Ballad, Harmony, Melody, Rhythm

      • 놀이의 교육적 의미 : 존 듀이의 관점

        전경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디어든과 듀이의 놀이 개념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초등교육에서 놀이가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두 학자는 놀이와 일의 대비를 통해 서로 반대의 입장에서 놀이 개념을 규정한다. 디어든에 의하면, 놀이와 일은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것이다. 그는 목적성의 존재 여부에 따라 심각성을 지닌 성인의 일과 심각하지 않은 아동의 활동인 놀이를 명확히 구분한다. 디어든의 견해에 따르면 놀이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교육은 성인의 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적인 요소의 개입을 통해 목적을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아동으로 하여금 서서히 놀이에서 벗어나 놀이가 아닌 심각한 활동으로 나아가도록 만드는 것이 교육이 해야 하는 일이라 말한다. 놀이와 일을 구분하는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놀이는 아동의 사고나 감정 표현을 이해하는 수단일 뿐, 교육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는 없다. 이러한 디어든의 놀이 개념을 초등교육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한계점을 지닌다.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은 어떠한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에 따라 교육적인 가치가 다를 수 있다. 즉, 같은 놀이를 하더라도 교사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학생에게 놀이가 비교육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교육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한 활동의 가치를 명확히 구분하는 심각성의 일반적인 기준은 교육에서 존재하기 어렵다. 디어든은 교사가 개입을 하여 교육적인 가치를 지니는 활동을 할 때 그것은 성인의 일에 해당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오히려 놀이와 일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듀이는 목적성과 흥미의 측면에서 놀이와 일을 밀접한 관계로 설명한다. 먼저 목적성의 측면에서 볼 때, 놀이는 목적이 없는 단순한 유희적인 활동이 아니다. 아동이 놀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해지고 예견되는 결과가 비교적 명확하고 장기적인 성격을 지니게 될 때, 놀이는 일로 변하게 된다. 즉, 원하는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에서 더 많은 사고와 노력이 요청된다는 점에서만 놀이와 일은 차이를 지니는 것이다. 다음으로 흥미의 측면에서 볼 때, 놀이와 일은 유사하게 개인이 온 마음을 다하여 몰입할 수 있는 흥미가 포함되어 있다. 흥미의 관점에서 놀이와 일을 구분하는 것은 흥미를 노력과 반대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하는 그릇된 관점 때문이다. 듀이가 말하는 진정한 흥미는 개인이 해야 하는 활동과 무관한 외재적인 흥미나 일시적인 쾌락을 만족시켜주는 무엇인가를 뜻하지 않는다. 개인이 현재보다 더 나은 상태로 성장하는 데 있어 현재의 필요와 능력에 기반하여 관심을 갖는 대상에 오롯이 마음을 쓸 수 있는 상태가 진정한 흥미이다. 이러한 교육적인 흥미는 아동의 발달수준에 따라 놀이 중심의 흥미로부터 시작하여 도구를 매개로 하는 흥미로, 다시 최종적으로 ‘두드러지게’ 지적인 흥미로 나아간다. 이러한 흥미 중 마지막 단계의 흥미만 지적인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각 단계의 흥미는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모두 지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에 교육적으로 의미를 지니는 흥미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인 사고 과정이 포함된 흥미를 지닌 놀이는 아동이 목표를 향해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초등단계의 어린이가 놀이를 하는 것을 흥미 있는 대상의 내용을 파악하고 자유롭게 활용하고자 하는 지적활동으로 볼 수 있다면, 놀이를 교육과 달리 생각할 필요가 없다. 유목적적인 놀이에는 사고의 과정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놀이를 하는 동안 아동이 사고의 과정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보다 높은 수준의 사고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교육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러한 교육적 놀이가 초등 교육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놀이가 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은 교육적인 가능성을 지닌다는 의미이지, 놀이만으로 모든 지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적 놀이가 초등교육에서 행해지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첫째, 교사는 아동들에게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놀이가 이루어지도록 돕는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교육적 놀이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교사는 교육에 놀이를 적용하는 데 있어 한계점 역시 인식해야 한다. 학교에서 해야 하는 것은 흥미만을 추구하는 놀이가 아니라 교육이다. 따라서 교사의 계획 하에서 유의미하게 행해지는 놀이만이 교육적인 놀이가 될 수 있음을 알고 초등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pla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lay concepts of Dearden and Dewey, and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play in primary education. The two scholars define the concept of play in opposite positions through play and work. According to Dearden, play and work are two distinct things. He clearly distinguishes play, which is an activity of a serious adult ,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urpose. In Dearden’s viewpoint, it is impossible for education to be done through play. Therefore, he says, education should be done to encourage children to move away from play and to engage in serious activities, not play. Play is only a means of understanding a child’s impulsiveness, and it cannot be used directly in education. Applying Dearden’s concept of play to primary education is marginal. This is because the various activities undertaken at the educational site may have different educational value depending on how they are used in the circumstances. Dewey explains play and work closely in terms of purpose and interest. First of all, from the point of view of purpose, play is not just a playful activity without purpose. When a child needs constant effor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lay and the predicted outcome becomes relatively clear and long-term character, play becomes work. Next, in terms of interest, play and work similarly have an interest of immersing oneself in the mind of the individual. It is of real interest that is able to devote his mind to objects of interest based on the current needs and abilities of the individual in growing to a better state than he is today. This educational interest contains intellectual elements. So pla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children’s development toward their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