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계설정을 활용한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 연구

        장혜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문제해결력의 신장을 위해 어떻게 수업을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으로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이론과 이에 기초한 비계설정(Scaffolding) 이론을 활용한 수학교수학습과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수업 전반에 있어서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이론을 전제로 하였고, 수업 중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기본 틀로 Polya의 문제해결단계를 활용하였으며, 각 단계에 근접발달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된 비계설정이론을 접목시켜 문제해결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비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athematics instruction through scaffolding theory for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which is emphasized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First we apply the Vygotsky's theory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the scaffolding theory based on the Vygotsky's theory to class. And we put four stages of Polya's problem-solving to practical use as form of problem-solving process in class and study the scaffolding that can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at each stage.

      • R. Schumann의 「LiederKreis」 Op. 24의 반주연구

        장혜정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Accompaniment of LiederKreis Op. 24 by R. Schumann Hye Jung Jang Department of Music(MM) Graduate School Hansei University Kunst Lied refers to the songs which combined fine literary poems and music together and were made from the 18th through the 20th century. German Lieder in the 19th century are independent artistic form of songs that are quite distinct from popular songs, folk songs, operas, and arias and they have complex artistic forms which combined poems and music. The advent of Lied in the Romantic Era was influenced by the prevalence of Romantic literature from the 18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German poetry actually opened a new era of artistic Lied. The Lied in this period, however, didn't just add melody to the poems but provided piano accompaniment with the expressive role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poems in combining poems and music. In analyzing Liederkreis Op. 24, this thesis examined the formality of the poems and music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poetic rhymes and music. Also, by translating the original poems, this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ents of lyrics and accompaniment, the effective ways of accompaniment depending upon the roles of the prelude, the interlude, and the postlude, and the structure of each piece of music. By looking into the musical factors, such as modulation, playing styles, musical themes, and the phrases, this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he lyrics and accompaniment, using the charts. The poems deal with love and death, and hopeless love and each poem sounds rhythmical by rhymes and is closely related with the music. The various musical arrangements like the formality of music, the structure of melody, the repetition of phrases, etc. are interrelated with the contents of poems, which shows the interpretative aspects of poems through music. Schumann's Lied developed the piano accompaniment as an independent and coordinative part and more close relation with the vocal part, and it wholly realized the duet of vocal part and piano accompaniment as the form of Lied.

      • Ti-Zr-Cu-Ni-Be 비정질 합금계에서의 구조완화 거동

        장혜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정질 합금은 일반적인 결정질 합금과는 다른 무질서하고 임의적인 원자 배열 구조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자기적, 부식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벌크화 하여 실제 산업에 응용하려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비정질 합금은 일반적으로 큰 냉각속도로 인하여 평형 원자 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응고하였기 때문에 열적으로 준안정 상태이다. 따라서 에너지의 공급을 받으면 원자들이 충분한 이동도를 가지게 되어 구조적인 배열이 달라진다. 유리천이구간을 지나면서 비정질의 특성이 사라지며 결정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유리천이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게 되면 좀 더 조밀한 원자배열을 이루려고 하며 이것을 구조완화현상이라고 한다. 즉, 결정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 과잉 자유부피가 줄어들고 배열 엔트로피가 감소하여 대부분의 물리적 성질이 변하게 되며 재료의 기계적, 자기적 성질, 그리고 열적 성질 등 비정질 재료의 물성이 재료의 완화상태와 직접적 관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비정질 재료의 물성을 파악하고 적절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구조완화현상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형성능이 우수한 Ti계 Ti_(40)Zr_(29)Cu_(9)Ni_(8)Be_(14) 조성의 합금을 선택하여 결정화 거동과 구조완화현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DSC를 통한 열분석 결과 저온에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완만한 발열피크가 나타나며 그 이외에 2개의 발열피크와 1개의 흡열피크가 관찰된다. 첫 번째 발열 피크가 지나면서 약 10~15㎚ 크기의 icosahedral 상 (I-상)이 석출되고 두 번째 피크를 지나면서 MgZn_(2)-type의 Laves 상이 수지상 형태로 형성되어 I-상과 같이 존재하고 있다. 그 후 흡열 피크를 지나면서 I-상이 고상변태를 거쳐 고온 안정상인 Laves 상으로 변태하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본 합금에서 발견되는 I-상은 안정한 상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첫 번째 결정화 피크 이전에서 등온 실험을 한 결과 피크가 비대칭 모양으로서 핵성장 반응이 주도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으로부터 급냉 응고된 리본 시편에 이미 icosahedral cluster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며 이것은 HREM 분석 결과에서도 약 50Å 정도의 크기를 가진 ordering 부분이 있는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저온에서의 발열 피크를 지나면서 어떠한 결정상의 생성도 확인할 수가 없었으며 비열 측정을 통하여 발열반응은 비가역적인 발열 반응이며 구조완화현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T_g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경우 엔탈피 완화 현상에 의해 열용량(Cp)값이 상승하면서 과잉 흡열 반응이 나타난다. 구조완화 현상에 의한 발열피크는 등온 열처리 할 경우 비대칭 피크가 나타나게 된다. 다른 합금계에서의 구조완화 거동과 비교하기 위하여 Cu_(47)Ti_(33)Zr_(11)Ni_(6)Si_(1)Sn_(2) 합금에서의 열용량을 측정한 결과 Ti_(40)Zr_(29)Cu_(9)Ni_(8)Be_(14) 합금은 매우 넓은 온도 영역에서 구조완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구조완화가 뚜렷하게 보이는 비정질 합금계는 주로 원자 반경이 작아서 이동이 쉬운 Mg, Ca, Ti계이며 원자간 heat of mixing이 (-)로 작은 경우 쉽게 인접 원자와의 결합을 끊고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완화가 낮은 온도에서 시작되어 넓은 온도 범위에서 구조완화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압축시험과 미세 경도 측정을 한 결과 구조 완화가 진행될수록 강도는 약간 증가하는 반면 연신율은 점차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합금의 as-cast 시편의 최대 압축 강도는 약 2 GPa이고 소성 변형률은 6.7 %로서 기존에 보고된 다른 비정질 합금과는 달리 큰 연신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기지에 연성이 좋은 결정상이 석출될 경우 이와 같이 좋은 연신율을 보이는데 이것은 이미 as-cast 상태에 icosahedral cluster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형상적(topological), 또는 조성적(compositional) 불균일로 인하여 주위에 응력장이 유발되어 shear band가 전파되는 것을 막아주고 또 다른 shear band 생성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연신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Compared to crystalline materials, metallic glass alloys exhibit good mechanical, magnetic and corrosion properties due to the random atomic structure. This encourages the effort to produce bulk metallic glasses for industrial application. However, amorphous state is in thermodynamically metastable state since it should be solidified with a cooling rate higher than the critical cooling rate prohibiting formation of equilibrium atomic structure. Thus, the amorphous structure changes whenever atoms attain an appreciable mobility. Crystallization occurs when the amorphous phase is heated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_(g)) and the physical properties change drastically. If the amorphous phases are annealed at the temperature below T_(g), their structure changes toward the more stable atomic configuration. This is called, 'Structural Relaxation'. That is, with annealing at low temperature, excess free volume and configurational entropy decrease, resulting in drastic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metallic glass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relaxation and the thermal history as well as mechanical and magnetic history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tallic glass. Therefore the structural relaxation phenomenon should be investigated in detail. In this study, Ti_(40)Zr_(29)Cu_(9)Ni_(8)Be_(14) amorphous alloy with high glass forming ability(GFA) for the investigation of structural relaxation and crystallization behavior. In the DSC traces a broad exothermic peak in the low temperature, 2 sharp exothermic peaks and one endothermic peak are observed. Icosahedral phase (I-phase) with the size of 10~15 ㎚ precipitates after the first sharp exothermic peak and MgZn_(2)-type laves phase in the dendritic shape forms after second exothermic peak coexisting with the icosahedral precipitates. Finally, through the endothermic peak, the I-phase transforms into the laves phase which is more stable at high temperature. This reaction is solid-state transformation and it means that I-phase formed during annealing is a stable phase at the low temperature region. The isothermal kinetic study shows that there is no incubation time for the nucleation, indicating that I-phase grows from the quenched-in nuclei in the amorphous phase. Existence of quenched-in nuclei is also confirmed from the HREM results showing icosahedral clusters with the size of 50Å. X-ray diffraction,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and HREM results show no evidence of formation of nanocrystals after the broad exothermic peak, Measurement of heat capacity clearly indicates that the broad exothermic reaction is irreversible, and is due to the structural relaxation in the as-cast amorphous state. Upon annealing below T_(g), an excess endothermic reaction appears at slight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annealing temperature(Ta),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enthalpy relaxation. The isothermal annealing experiments at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structural relaxation shows that no incubation time is required for relaxation. Compared to other metallic glass systems such as Cu_(47)Ti_(33)Zr_(11)Ni_(6)Si_(1)Sn_(2) the temperature range for structural relaxation in Ti_(40)Zr_(29)Cu_(9)Ni_(8)Be_(14) amorphous alloy is quite wide. Thi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constituent elements. The element Be with small atomic size can diffuse easily, in particular at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compared with the constituent elements. Thus, the structural relaxation can occur at the wider temperature range in Ti_(40)Zr_(29)Cu_(9)Ni_(8)Be_(14) alloy. The mechanical property has been investigated by performing compression test and microhardness measurement. As the structural relaxation proceeds,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and the elongation decrease gradually. As-cast metallic glass shows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of about 2 GPa with plastic strain of 6.7 %. In general, bulk metallic glasses with ductile crystalline phase show large plastic strain before failure. Since HREM results confirms the fully amorphous structure in as-cast Ti_(40)Zr_(29)Cu_(9)Ni_(8)Be_(14) metallic glass without any crystalline phase, the residual strain field resulted from the quenched-in nuclei interacts with the shear band effectively enhancing the plastic strain before failu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train field due to topological or compositional inhomogeneity can prevent the propagation of shear band and can create the shear bands.

      • 국가의 환경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민주주의, 경제발전, 환경오염을 중심으로

        장혜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문명과 함께 시작된 환경문제는 이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지구적인 성격을 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들은 1972년 UN인류환경회의 이후 국제적인 협력을 시도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들의 이러한 환경 협력에 어떠한 국내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들의 국제적 환경협력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 경제, 사회적 부문의 변수로 각각 민주주의, 경제발전, 환경오염도를 설정하였다. 각 변수와 환경에 대한 기존의 논의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민주주의와 환경에 관해서는 생태권위주의와 그에 반하여 민주주의와 환경보호 사이의 긍정적 관계를 주장하는 논의가 엇갈린다. 경제발전에 대해서도 경제발전과 환경오염 사이의 선형의 상관관계를 주장하는 탈물질주의와 역U자형 상관관계를 주장하는 환경 쿠즈네츠 곡선을 옹호하는 두 부류의 주장이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오염에 관해서는 유·무형의 비용과 절대적·상대적인 편익의 측면에서 현재의 환경오염과 환경협력이 부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민주주의가 발전한 국가일수록 환경협력에 더 적극적이다,’ ‘경제가 발전한 국가일수록 환경협력에 더 적극적이다,’ ‘환경오염 정도가 심한 국가일수록 환경협력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민주주의, 경제발전, 환경오염을 각각 민주주의 지수, 1인당 GDP, 단위면적 당 CO2 배출량으로, 환경협력을 1972년 2002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체결된 환경협약에 대한 비준 및 가입 여부로 계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국가가 가입한 다자간환경조약의 개수와 특정조약 비준 여부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세 가설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실증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논의 중 어떠한 것이 경험적으로 타당한지를 보여준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환경협력의 확산을 위해서 어떠한 방식의 가치적, 정책적 고려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함의를 얻을 수 있다. Environmental problem, which was born at the dawn of civilization, has been aggravated enough to threaten the whole mankind. Responding this universal matter in an effective manner, states have sought solution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Starting from this contemporary trial, this thesis attempts to find domestic determinants to whether a state take part in such an international cooperation-with empirical method. As a state's decision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considered as a corollary of rational choice; the process of that choice can be affected by actor's internal political system, economic development and current degree of pollution. This assumption leads this research to a hypothesis of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the three domestic variables: level of democratic 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the current state of national environmental quality. There exist several views regarding this relationship; eco-authoritarianism and variation of democratic peace in democracy; post-materialism and environmental Kuznets curve in economy; and analysis from a view of rational choice in current pollution. To confirm the above discussions statistically, this paper measures the variables in democratic indices(either Freedom House index or Polity Data IV), GDP per capita, and emission of CO2 per unit area, respectively. The empirical result supports this thesis' supposition, partly compatible with established discussion. From this finding, as well as improve academic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rned issue, we can draw a conclusion of necessity for considerate strategy to proliferate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a just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

      • 김명인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의 치유 양상 연구

        장혜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명인의 시 세계가 전개되는 양상은 곧 그가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시에 나타나는 ‘트라우마’의 양상을 분석하는 작업이 곧 그의 시 세계를 규명하는 작업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김명인의 시 세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그의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에 본고는 김명인 시에 일관되게 드러나고 있는 유년기의 트라우마가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김명인이 자신의 트라우마를 치유해나간 양상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김명인의 시에 나타나는 트라우마의 치유 양상은 크게‘체험의 재구성’과 ‘이미지의 변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체험의 재구성’을 통한 트라우마의 치유는 구체적인 외상 이야기를 통해 당시의 감정을 되새기는 ‘체험의 서술’과 과거의 체험이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체험의 의미 재구성’으로 그 흐름을 파악해볼 수 있다. ‘체험의 서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시의 정서를 충분히 되새기는 일이다. 김명인의 시에서 화자는 회상 장면에 적극 개입해 그 자신을 송천동 고아원으로 내몬 불운한 가계에 대해 서술하고, 당시의 체험과 정서를 충분히 되새긴다. 유년기의 체험은 서술에서 나아가 삶에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체험의 의미 재구성’이라 명명할 수 있는 이 단계에서 그는 대상에 대한 관찰의 태도를 견지하게 되면서 현재적 순간에 포착되는 양태들을 통해 고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얻게 된다. 새롭게 체득한 고통의 의미는 곧 시인의 삶으로 전이되어 유년기 그가 겪어야 했던 고통들도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된다. 그 가운데 시인은 그가 바라보았던 시적대상들과 마찬가지로 시련을 견뎌낸 아름다운 존재로 거듭난다. ‘이미지의 변형’을 통한 트라우마의 치유는 김명인의 시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이미지들이 시적 상상력을 통해 변형되는 흐름을 통해 파악해볼 수 있다. 김명인의 시에서는 하나의 ‘징후’로서, ‘바다’, ‘뿌리’, ‘길’의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바다’의 경우 김명인 시를 있게 하는 가장 중요한 원체험으로 그에게 있어 고향의 이미지로 남아있다. 그에게 고향은 유년시절의 암울했던 체험이 펼쳐진 공간이었기에 바다는 어둡고 음울한 이미지로 남을 수밖에 없었다. 유년시절 암울했던 체험은 불우했던 그의 가족사에서 촉발된 것이다. 가족의 불안은 그에게 고스란히 전이되었고 유년시절부터 그의 내면에는 불안이 싹트게 되었다. 이는 대개 다치거나 잘려있는 등 온전치 못한 ‘뿌리’이미지로 나타난다. 온전치 못한 ‘뿌리’의 모습은 곧 그의 가계이자 그의 내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뿌리’가 온전치 못하기에 시인은 필연적으로 ‘길’을 나서 떠돌 수밖에 없다. 이에‘길’은 유랑의 정서와 맞물려 어둡고 캄캄한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처럼 ‘바다’, ‘뿌리’, ‘길’은 시인의 체험과 정서가 이미지화된 것으로 시인의 내면을 짐작케 하는 하나의 ‘징후’로 기능한다. 이들 이미지는 시적 상상력을 통해 변형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이미지가 근본적으로 외연적 한계를 지니고 있지 않음에서 기인한다. ‘바다’의 경우 그에게 유년기 불우했던 가족사가 펼쳐졌던 고향이었기에 어둡고 음울한 이미지로 남아있었다. 하지만 그는 바다가 가진 정화력과 원동력이라는 속성에 힘입어 바다의 이미지를 따뜻하고 살가운 것으로 변모시킨다. ‘뿌리’의 경우 김명인의 가족과 연결되어 헐벗거나 잘려있는 등 온전치 못한 이미지로 등장하였다. 이 역시 뿌리가 가진 강인한 생명력을 발견함으로써 이미지의 변모를 꾀한다. ‘길’의 경우 유랑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나타난다. 하지만 길을 걸어 나가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가 개입되면서 길은 유랑보다는 순례의 이미지에 가까워진다. 이를 통해 어둡고 막막했던 길은 빛이 보이는 길로 변모된다. 이러한 이미지의 변형은 트라우마의 치유로 나아가는 김명인의 시적 여로를 보여준다. 지금까지 본고에서는 김명인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 치유 양상을 두 가지의 흐름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곧 김명인의 시 세계를 규명하는 하나의 열쇠가 된다. 트라우마는 한 시인이 특정한 소재와 주제에 천착하게 되는 이유를 이해하는 열쇠가 되기 때문이다. 김명인 역시 유년기의 특정 체험과 그와 관련된 이미지에 천착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그의 시는 단순히 트라우마의 발현에서 멈추지 않고 트라우마의 치유를 지향한다. 김명인의 시가 가지는 의의가 바로 여기에 있다. 김명인이 40여 년간 이어온 시작(詩作) 활동에는 그가 자신의 트라우마에 대해 고민하고 맞서 싸운 치열한 흔적이 나타난다. 다시 말해 김명인의 시 세계가 전개되는 양상은 그가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문학이 가진 ‘치유’라는 가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의의가 있다.

      •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읽기지도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장혜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읽기지도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3명을 선정하였고, 단일대상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지적장애 학생 3명에게 각각 3회기의 기초선 검사 후, 주 3회기씩 총 18회기의 중재 및 검사를 실시하고, 3회기의 유지검사와 3회기의 일반화 검사를 실시한 결과,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읽기지도가 대상학생 3명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재효과는 읽기 연습을 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글(설명문)에도 전이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읽기지도에서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읽기지도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