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지영의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의 분석 연구

        장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 중 하나인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를 분석한 것이다.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는, 19세기 말 반음계주의의 영향으로 출현한 무조적 개념을 기초로 한 작품으로, 각 악장마다 다른 음악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특징 있는 표현을 하고자 하였다. 제 1악장은 A-B-A'의 3부 형식으로, 단2도와 단3도 음정을 바탕으로 구성된 음계가 사용되었다. 각 부분별로 변화되는 중심음정의 선율적 진행과 이 음정의 복합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성구조가 1악장의 특징이다. 제 2악장 또한 A-B-A'로 구성되어 있다. 5/4박자로, 10개의 8분음표가 3:3:2:2로 나뉘어 만들어진 리듬형과 장·단3도, 장·단2도의 대칭적 배열에 의해 만들어진 4가지 5음음계(Pentatonlc Scale)의 사용이 특징적이다. 제 3악장은 A-B-A'-C-A"의 5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3악장에서는 긴장감을 형성하는 증4도와 이를 해결하는 완전4도로의 반복적 진행이 곡의 중심재료로 사용되었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 which is composed by me for one of the graduation concerts for the completion of master's degree.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 was composed by me based on the concept of atonality, which is appeared in the effect of chromaticism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is music use individual musical material in each movement. 1st movement which consists of 3 sections having A-B-A' structure, use the scale which is characterized with minor 2nd, minor 3rd degree interval. 2nd movement also consists of 3 sections having A-B-A' structure. This movement was composed of meter of 5/4 and its characteristic rhythm is 3:3:2:2. It use the pentatonic scale which is characterized with major/minor 3rd and major/minor 2nd degree interval. 3rd movement which is consists of 5 sections having A-B-A'-C-A''. The main interval is triton and perfect 4th.

      • 장지영의 작업일지

        장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문참조)

      • 유도선수들의 자기암시 유형과 심리적 기능

        장지영 한국체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유도선수들의 자기암시 유형과 심리적 기능 장지영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시합 전·중·후에 사용하는 자기암시 유형을 알아보고, 자기암시의 심리적 기능을 구명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기준 대한유도연맹에 등록되어있는 서울·경기 내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유도선수 9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하였고, 유도 국가대표경력이 있고 국제대회에서 입상경력이 있는 우수선수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합 전 유도선수가 사용하는 자기암시의 일반영역 빈도수는 ‘자기격려’, ‘의지’, ‘심리안정’, ‘수행방해’, ‘수행전략’ 순으로 나타났고, 그에 따른 심리적 기능은 ‘자신감 향상’, ‘자기효능감 향상’, ‘과감성 향상’, ‘시합 대처능력 향상’, ‘긴장감 저하’, ‘심리안정’, ‘부담감 해소’, ‘집중력 향상’, ‘시합목표 상기’, ‘시합운영 흐름파악’으로 나타났다. 시합 중 유도선수가 사용하는 자기암시의 일반영역 빈도수는 ‘의지’, ‘자기격려’, ‘수행전략’, ‘심리안정’, ‘수행방해’ 순으로 나타났고, 그에 따른 심리적 기능은 ‘자신감 향상’, ‘집중력 향상’, ‘부담감 증가’, ‘긍정적사고 전환’, ‘시합몰입도 증가’, ‘시합 대처능력 향상’으로 나타났다. 시합 후 유도선수가 사용하는 자기암시의 일반영역 빈도수는 ‘부정적정서 표출’, ‘자기격려’, ‘의지’, ‘수행전략’, 순으로 나타났고, 그에 따른 심리적 기능은 ‘자존감 저하’, ‘걱정 증가’, ‘무력감 유발’, ‘슬럼프 유발’, ‘긍정적사고 전환’, ‘자존감 증가’, ‘객관적 평가가능’, ‘기술개발’, ‘기대감 증가’, ‘자신감 향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도선수들에게 자기암시의 개념을 인지시키고, 선수 스스로가 사용하고 있는 자기암시의 유형과 심리적 기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본 연구를 참고하여 경기 중에 자신에게 맞는 자기암시를 적용할 수 있다면 심리조절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The Patterns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Self-Talk for Judo Players Jang, Ji-Yeong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seek various types of self-talk patterns that judo players utilize before, during, and after their match, and investigat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elf-talk.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a public survey was conducted with ninety seven judo players, who currently attends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that are listed in Korean Judo League in 2019. Furthermore, an in-depth interview was implemented with the nine outstanding players who had been in the national team and had won in an international competi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general areas for which the judo players use self-talk before their games were: self-encouragement, will-power, mental stability, performance inhibition, and strategies in performance. In accordance, psychological effect of the self-talk for the players appeared to be: rise in confidence, improvement in self-efficacy, advanced boldness, increase in an ability to deal with the game, lowered tension, psychological stabilization, relief of pressur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recollection of the goal in a game, and grasping the flow for game management. During the game, the players generally used self-talk in areas of will-power, self-encouragement, strategies in performance, stabilization of mentality, and inhibition of performance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refore, the psychological effect respectively appeared to be rise in confidence, increased concentration, augmented pressure, transition into a positive thought, increased engagement in game, and improvement of coping ability in game. Finally,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fields in which the players brought in self-talk after their competitions were: expression of negative sentiment, self-encouragement, volition, and execution of tactics. As a result, the following psychological effects were: drop in self-esteem, increase in apprehension, induction of a feeling of helplessness, induction of slump, transition into a positive thought, rise in self-esteem, enabling of objective evaluation, skill development, increase in anticipation, and improvement of confidence. The result from this study will enable the judo players to recognize about the conception of self-talk, and will undoubtedly increase the comprehension of various patterns of self-talk that each judo players utilize and its following psychological effects. Furthermore, if the players can apply appropriate self-talk during their games at a right moment, it will surely contribute not only in upgrading the ability to control mind-set, but also i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judo players.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응집성, 우울의 관계

        장지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녀가 성장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하여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응집성 및 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청소년기 우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으로 부모의 교육정도 및 직업, 자녀가 지각한 가정의 경제수준 및 월수입을 하위변인으로 정하고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보았다. 첫째, 자녀가 지각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자녀가 지각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족응집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세 번째로 자녀가 지각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소년의 우울정도와는 어떤 관련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들을 대상으로 조사자가 질문지를 배부한 후에 응답자 자신이 기재하게 하는 자기보고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는 서울사대 교육연구소의 직업 분류표(1980)에 근거하고, 이승국(2000)의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검사 도구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가족응집성에 대한 측정은 Olsen, Portner와 Lavee에 의해 개발된 가족체계유형에 관한 질문지(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Ⅱ, Ⅲ, Ⅳ : FACES Ⅱ, Ⅲ, Ⅳ)를 종합한 김수연(1998)의 척도 중 가족응집성 문항만을 사용하였으며 우울 정도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우울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용 우울척도(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를 조수철, 이영식(1990)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의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은 경제수준 및 아버지의 직업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가족의 경제수준과 월수입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율적인 양육보다는 통제적인 양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부모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업성취에 더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자녀의 생활 전반에 대하여 통제적인 양육태도를 취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어머니의 교육수준 및 경제수준 그리고 가족응집성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이는 가정형편이 어려울수록 가족들과 나누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잘 사는 집단이 가족응집성이 높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경제수준의 경우 우울 및 하위 영역인 행동장애와 자기비하에서 유의미한 역상관이 나타났는데, 이는 가정의 경제수준에 대해 상류에 가깝다고 지각할수록 우울 점수가 낮아지게 되며 하위영역인 행동장애와 자기비하 측면과도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우울 점수가 낮은 경제수준이 상류 집단의 어머니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며 합리적인 태도를 취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양육태도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양육태도의 하위영역인 애정차원의 경우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애정적인 양육태도는 낮아지게 된다고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족응집성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가족응집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의 각 변인들이 가족응집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월수입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우울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면 우울 및 그 하위영역인 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생리증상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 제시된 정보에 대한 판단이 필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이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자기장을 중심으로

        장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시된 정보에 대한 판단이 필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이 자기장 개념 이해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고, 물리 학업성취도를 토대로 상, 중, 하로 나눈 집단별로 정보판단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여, 물리 교수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물리Ⅰ 전자기장 단원의 자기장 부분을 학습할 때, 제시한 정보에 대한 판단이 필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이 학생의 물리 개념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도시 인근 도시의 자연공학계열 3개 반 69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자연공학계열 3개 반 66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정보판단수업을 50분씩 주 2회로 총 6차시 동안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개념에 대한 설명을 강의식으로 진행한 후 실험집단에는 정보부족문제와 정보과잉문제를 비교집단에는 정보적정문제를 제시한 후 해결하도록 하였다. 또한 두 집단 모두 학생 스스로 문제를 제작하는 과제를 통한 학습을 하였다. 이때 실험집단의 경우 정보부족문제와 정보과잉문제를 제작하도록 하여, 특정 정보가 문제해결과정에 있어 유의미한지를 판단하는 기회를 추가로 제공하였고, 비교집단의 경우 정보적정문제를 제작하도록 지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6개의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서 정답이라고 생각한 이유를 함께 서술하도록 하였다. 검사도구의 문항은 CSEM(Conceptual Survey in electricity and Magnetism),『물리 오개념 지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전국연합학력평가의 문항 중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장 개념 이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정보판단수업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를 제외하고 채점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장 개념 이해도는 비교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유를 포함하여 채점한 결과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물질의 자성에 관한 두 문항의 경우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강자성체의 특성은 잘 이해하고 있었으나 자성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묻는 두 문항의 경우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앙페르법칙을 활용하여 문항을 잘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석과 원형도선의 상대적 운동에 따른 유도전류의 세기를 비교하는 문항의 경우 위치가 가까울수록 유도전류의 세기가 더 셀 것이라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기유도의 조건을 묻는 문항은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석과 구리 고리의 상대적 운동이 있을 때만 전구에 불이 들어온다고 생각한 학생이 많아 면적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류의 발생도 확인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물리 학업성취도별 정보판단수업의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총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문항별로 살펴보면, 성취가 높은 학생들은 패러데이 전자기유도 법칙을 학습할 때 정보판단수업이 효과가 있었고, 성취가 낮은 학생들은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학습할 때 정보판단수업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판단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장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rogram Annotation : J. Haydn 『Sonata in c minor, Hob.ⅩⅥ: 20』, F. Liszt 『Ballade No. 2 in b minor, S. 171』, J. Brahms 『Klavierstücke, Op. 118』, C. Debussy 『ImagesⅠ』

        장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J. Haydn의 『Sonata in c minor, Hob.ⅩⅥ: 20』, F. Liszt의 『Ballade No. 2 in b minor, S. 171』, J. Brahms의 『Klavierstücke, Op. 118』, C. Debussy의 『ImagesⅠ』 에 대한 작품해설이다. 실제 졸업연주회에서는 Debussy의 『ImagesⅠ』, Haydn의 『Sonata in c minor, Hob.ⅩⅥ: 20』, Brahms의 『Klavierstücke, Op. 118』, 그리고 Liszt의 『Ballade No. 2 in b minor, S. 171』 순으로 연주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작곡가 시대 순으로 제시하였다. Franz Joseph Haydn(1732~1809)의 『Sonata in c minor, Hob.ⅩⅥ: 20』 은 1771년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며 하이든이 남긴 약 52개의 건반악기 소나타 중 첫 번째 단조 소나타이다. 총 3악장 구성으로 전 악장 모두 소나타 형식을 지니며 제 1악장은 c minor, 제 2악장은 Ab Major, 그리고 마지막 제 3악장은 다시 원조인 c minor 조성으로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하이든이 영향 받았던 감정과다양식을 다양한 요소를 통해 잘 드러내고 있다. Franz Liszt(1811~1886)가 남긴 2개의 발라드 작품 중 하나인 『Ballade No. 2 in b minor, S. 171』은 1853년에 작곡되었다. ‘발라드’는 이야기, 설명, 묘사, 서술, 해설과 같은 서사시와 정서를 담은 서정시가 혼합된 장르이다. 리스트는 이러한 발라드 장르에서 소나타 형식을 사용하였으며 서로 대비되는 제 1, 2주제가 자유롭게 즉흥적으로 나타난다. 이 작품은 격렬하고 반음계의 화려한 제 1주제와 아름답고 서정적인 제 2주제가 서로 조화롭게 나타난 작품이다. Johannes Brahms(1833~1897)의 『Klavierstücke, Op. 118』은 1893년에 완성된 브람스의 후기 작품으로 4개의 인터메쪼와 1개의 발라드, 1개의 로망스로 구성되었다. 브람스의 말년에 작곡되어 그의 특유의 서정성과 내면의 감성이 담긴 작품이며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Claude Achille Debussy(1862~1918)는 인상주의 미술에 영향을 많이 받아 회화적인 표제를 지닌 작품들을 남겼는데 그 중 『ImagesⅠ』 (영상 1권)은 드뷔시가 남긴 2권의 『Images』 작품 중 첫 번째 작품으로 1905년에 작곡되었으며, 총 3개의 곡이 수록되어있다. 첫 번째 ‘Reflects dans l'eau(물의 반영)’, 두 번째 ‘Hommage à Rameau(라모를 찬양하며)’, 세 번째 ‘Mouvement(움직임)’으로 추상적인 제목을 가지며 상상력을 일으켜 한 폭의 회화를 연상시킨다. The purpose of the Program Annotation is to commentary about program I performed in the graduate recital. At the recital I played J. Haydn 『Sonata in c minor, Hob.ⅩⅥ: 20』, F. Liszt 『Ballade No. 2 in b minor, S. 171』, J. Brahms 『Klavierstücke, Op. 118』, and C. Debussy 『ImagesⅠ』. J. Haydn's (1732~1809) 『Sonata in c minor, Hob.ⅩⅥ: 20』is presumed to have been composed in 1771. This work is the first minor sonata of the Haydn's 52 keyboard sonatas and composed of three movements. All movements are in sonata form. And the first movement was composed in c minor, the second movement in Ab Major, and the last movement in c minor that is the original key. This work is revealing that Haydn is influenced by empfindsamer Stil through various elements. F. Liszt (1811~1886) left two ballads and one of them, 『Ballade No. 2 in b minor, S. 171』, was published in 1854. The ‘Ballade’ is a genre mixing epic like story, explanation, commentary and the lyric poetry with emotion. 『Ballade No. 2 in b minor, S. 171』 is in sonata form, and the first and second theme are contrasted each other. These themes flow extempore and freely. The first theme is intense and has gorgeous chromatic scales and the second has lyrical melody. They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J. Brahms's (1833~1897) the late work 『Klavierstücke, Op. 118』 is completed in 1893, and consisted of 4 Intermezzos, a Ballade and a Romance. Composed in the late years of Brahms, it is a work that is filled with his unique lyricism and inner sensibility and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C. Debussy (1862~1918) is influenced by Impressionism and he left many works with pictorial titles. One of them, 『ImagesⅠ』 was composed in 1905 and is consisted of 3 works titled ‘Reflects dans l'eau’, ‘Hommage à Rameau’ and ‘Mouvement’. They create imagination through abstractive titles.

      • TV 뉴스기사에 대한 토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장지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사회에서는 수많은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는 비판적 사고와 관련이 깊다. 본 연구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이 구체적인 상황으로 제시되는 TV 뉴스기사를 매개체로 하여, TV 뉴스기사에 대한 토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TV뉴스기사에 대한 토론 훈련은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TV뉴스기사에 대한 토론 훈련은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성 향 변화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S초등학교 6학년 아동 101명이며, 측정 도구는 본 연구자가 기존의 검사를 참고하여 만든 비판적 사고력 검사와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이다. 비판적 사고력 검사는 하위 요인 7가지 별로 5문항씩이며, 객관식과 주관식 문항을 혼용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는 하위 요인 5가지 별로 5문항씩이며,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각 검사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이론적 검토와 3회에 걸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비판적 사고력 검사의 검사 신뢰도는 .705였고 α계수는 .827이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의 재검사 신뢰도는 .585였고 α계수는 .734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이용한 실험설계는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로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으로 나뉘었다. 실험집단1은 TV 뉴스기사를 시청한 후 시청보고서를 작성하고 토론 훈련을 하였으며, 실험집단2 는 TV 뉴스기사를 시청한 후 시청보고서만 작성하도록 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은 2001년 10월 22일부터 12월 15일 8주 동안이며, 주 2회 1회당 40분씩 총 16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 처치가 진행되는 동안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 아동들의 훈련참여도를 평정하여, 참여도가 극히 낮은 아동들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연구 문제에 기초하여 두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놓고 사후검사 점수(비판적 사고력 검사 점수,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 점수)에 대한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뉴스기사에 대한 토론 훈련은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인 중 사실과 의견을 구별하기, 주장이나 진술에 개재된 편견 탐지하기 요인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TV 뉴스기사에 대한 시청보고서의 작성만을 하는 것은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V 뉴스기사에 대한 토론 훈련과 시청보고서의 작성은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성향 변화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TV 뉴스기사에 대한 토론 훈련은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킨다.따라서 토론분위기를 조성해 주고, 토론 훈련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며, 토론 훈련의 과정을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인과 관련시켜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2) TV 뉴스기사에 대한 단기간의 토론 훈련은 초등학교 아동의 비판적 사고성향 변화에 효과가 없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성향은 단시일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꾸준히 토론 훈련에 참여한다면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TV 뉴스기사를 매개체로 한 아동들끼리의 토론 훈련이 비판적 사고력 을 향상시킨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큰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effects of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on the critica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ypotheses to be test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H1: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will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H2: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will be effective on the chang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participants were 101 6th-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Critical thinking ability(CTA) tes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CTD) test developed by the present author were used. Critical thinking ability test comprised 7 sub-factors with 5 problems for eac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st, made out of Likert type, was made up of 5 sub-factors with 5 problems for each.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CTA and CTD were .705, .585, respectively. And Cronbach a coefficients of the CTA and CTD were .827, .734,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re were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and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 had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and experimental group 2 had report on writing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as performed for 8 weeks from 2001/ 10/ 22 to 12/ 15. During the term, the degree of drill attendance was evaluated for group 1, 2. And students who had marked extremely low were exclude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as done to test hypothe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d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performed better than the students who did not have discussion drills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test. Especially, distinguishing facts from opinions and detecting biases from allegations or statements are remarkable. But, making report after watching the articles could not enhance critical think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ho had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were not changed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st.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1)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up conditions which students can join in discussion,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eagerly in discussion drills and connect the process of discussion drills with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2) The short-term discussion drills with TV news articles have little influences on the betterment of chang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nsequently, continuous discussion drills are indispensable.

      • 중학교 수학에서 증명지도방법 연구

        장지영 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교과에서 증명부분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증명 교육에 관한 학생들의 의식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지도방법에 대해 중학교 2학년 16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증명부분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두 단계로 나누어, 첫째, 학생들의 증명에 대한 생각 및 학습수준을 파악한 후 쪽지 시험을 실행하였다. 쪽지 시험 후 적절한 피드백을 통하여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매번 지도하며 기말고사 및 수행평가의 결과 수치를 통해 연구의 효과성을 확인 하였다. 둘째, 중간고사 성적을 기준으로 수준이 서로 다른 학생들로 조를 구성하여 과제를 제시하고 조별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었다. 문제를 해결한 후 발표하도록 하여 피드백을 주어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말고사 및 수행평가의 집단별 분석을 통해 연구의 효과성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쪽지 시험과 조별학습의 증명지도 방법은 수업시간에 손쉽게 쓸 수 있는 지도 방법이며 학생들 또한 단시간에 자신들의 오류를 수정하여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증명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THE STUDY OF INSTRUCTIONAL METHOD OF MATHEMATICAL PROOF IN MIDDLE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proof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In the experiment, two applicable methods to the classroom environment were examined. 160 middle school grad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on the basis of their responses to the survey about the methods. The survey clearly presented student's general thoughts about proof and their levels. The students took three quizzes, and the teachers gave feedbacks in each quiz. The students were guided to correct their errors. This method proved very effective based on students' results of the final exam and performance-based test. Next, students were divided into several mixed-level groups according to their mid-term exams, and they were asked to work to accomplish a given task in a given time. Afterwards, each group presented their work in class and corrected errors with the help of teacher's feedback. This methodology also proved very effective based on students' final exam and performance-based test. The results suggested that quizzes and group work are easily available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hat such a method takes advantage to guide students to logically solve problems and correct errors in a given time. Key words : proof, feedback, survey, group work, quiz

      • 인형극 공연 경험이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장지영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rapid progress in low birth rates and aging, job creation and job security have emerged as important tasks for economic growth in Korean society. As an alternative to i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for career-interrupted women are becoming important national tasks. Various employment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to provide awareness of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 world of work when career-interrupted women re-enter the labor market, and to prepare them to understand, cope with, and do so as to change their roles as professionals. As an alternative to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uppet drama on career-interrupted women was conduc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uppet drama, we are going to reveal the impact of career-interrupted women on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that end, 30 career cut-off women in their 30s and 70s who are applying to the M-Long Life Education Center in Busan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with the cons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organizing 15 experimental groups and 15 control groups to perform puppet drama performances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alysis of the data was performed using SPS 23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interview of the experimenter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uppet drama by career-interupted women significantly improved its self-esteem as a whole afterlif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Second, experimental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uppet drama by career-interupted women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Career Decision self-efficiency than control groups that did not participate.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uppet drama can be seen as a factor that helps women with career break to improve self-Es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iency.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formation of "Chick-up Dong-A" in order to gain confidence, and create opportunities for career-changing women through meaningful activities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and sharing work so that they can engage with the local community without giving up their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Second, the age group for women who have lost their careers is mostly in their 40s or older, so employment is not the only alternative for women who are thinking of returning to the labor market after childbirth, child care and child care.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employment, the start-up sector has recently been active, and more and more women are continuing their economic activities as start-up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 woman who is trying to start a business, and what are the variables needed to prepare for a start-up. Third, to improve Career-Decision efficiency,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various emotional suppor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 system that can be supported by demanders such as career-separation women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prepared. Fourth, since in this study only the effect of the alterations in the self-respect and Career-Decision efficiency relationship of the participants in the puppet play experience of career-interupted women was verified, further study of the various variables associated with career-defining women would be required. Fifth, in this study, we used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uppet drama as a job support program, but we need to expand and study the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