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한 독일인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장정자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독일인들을 대상으로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 및 기호도를 조사하여 독일인 기호에 맞는 한국음식을 개발하고 나아가 한국음식의 국제화에 이바지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한국에 거주하는 독일인은 한식과 독일자국음식을 거의 비슷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사회생활을 많이 함으로서 한국인과의 접촉이 여성보다 많아 다양한 한국음식을 접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음식은 하루에 한번 정도 먹는다와 자국음식은 일주일에 2-3번 먹는다는 의견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한국음식의 직접조리현황에서는 거의 하지 않음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음식의 세계화와 조리의 용이성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 직접 조리를 하지 않는 이유는 한국음식의 조리과정이 복잡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며, 메뉴에 대한 인식을 전달할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메뉴에 대한 간편화 및 표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음식의 관능적 측면인 맛, 향기, 색, 모양 면에 있어서는 높은 평가를 하였다. 또한, 한국음식에 주로 사용되는 양념에 대한 선호도도 높게 나타났다. 독일인 외식습관에 따른 한국 음식 선호도 분석에서는 조용한 분위기나 우아한 분위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은 합리적이고 조리과정이 위생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음식 세계화를 위해서는 보다 외국인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다양한 요리법의 개발이나 한국 주재 외국인들에게 한국 요리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등을 통하여 한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친근감을 부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research interests and tastes in Korean cuisine of the Germans who have been staying in Korea over 6 months, create new Korean menus to their taste, and finally provide a preliminary data for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It was indicated that the Germans staying in Korea tend to prefer Korean dishes as much as their own countries, and the male has more opportunities to have various Korean dishes than the female through social activities. In addition, they answered that the majority usually have a Korean meal once a day while having German food two to three times a week. Moreover,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barely cook Korean food and gave low mark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nd easy to cooking. The reason that they do not cook themselves is that it is complicated to cook Korean food, which is a direct indication of being unaware of menu.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impl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menu was revealed. The taste, scent, color, appearance of Korean dishes was rated high. They also greatly preferred seasons normally used in Korean food. From the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based on the German‘s practice to dine out, serene or elegant ambience is preferred and Korean restaurants mostly suggest reasonable prices and manage cooking sanitary. It is thought that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development of diverse easy recipes or education on Korean dishes to foreigners woul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uisine and friendliness through those many experiences.

      • 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은 보호시설 거주 여성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장정자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kind of experiences women living in shelters have had in group art therapy after suffering from domestic violence trauma and what its essential meaning is. To this end, “What experiences do women in shelters, having suffered trauma from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and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of women in shelters who have experienced the trauma of domestic violence?”were set as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 female victims in a shelter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once a week, a total of 10 sessions, for 120 minutes per sessi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in a 4-step process according to Giorgi's technical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results drawn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core components of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based on the common content of the sub components, are the followings : 'the trauma of domestic violence difficult to escape', 'revealing the memory of domestic violence through art', 'facing and embracing the trauma of domestic violence through art’, ‘recovering self-esteem with empathy’, ‘discovering new power to heal and take care of yourself’, ‘envisioning the future you want and desire’, ‘art therapy that is comforting and empowering’.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meaning of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begins with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that becomes trauma', 'physical/psychological relaxation and fostering a sense of safety', 'exploration of traumatic memories and integration through self-perception', 'expression of suppressed emotions and activation of positive emotions', 'discovery of internal strength and external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self-esteem' six meanings, all of which were found to interact closely with each other. The mutual dynamism of this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resulted in the meaning of ‘recovering of confidence in life’. In other words,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of women in shelters after the trauma of domestic violence began with recognition that the trauma of domestic violence is not an individual history automatically forgotten just because time and space are different.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 difficult emotions were activated, and the self-compassion process of accepting and empathizing with the emotions was repeated. This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for the research subjects to form a new sense of self-worth, act as a protective factor to become social support resources for each other, and start the process of reaching post-traumatic growth.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gradually moving towards growth by accepting and empathizing with themselves and their emotions despite the trauma caused by domestic violence. It can be said that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women in shelters who suffered domestic violence trauma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women who have suffered trauma from domestic violence and provides a practical direction for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healt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group art therapy for women in shelters who suffered trauma from domestic violence was presented,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s for the growth model of art therapy for victims who have suffered trauma from domestic violence. 본 연구는 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고 보호시설에서 거주하는 여성이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떤 체험을 하며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은 보호시설 거주 여성은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체험을 하는가?”와 “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은 보호시설 거주 여성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에서 거주 중인 피해 여성 4인으로, 주 1회, 총 10회기, 회기당 120분의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기술적 연구 방법에 따라 4단계 과정으로 진행되었고,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 구성요소의 공통된 내용을 바탕으로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핵심 구성요소를 파악한 결과,‘벗어나기 어려운 가정폭력 트라우마’, ‘가정폭력의 기억을 미술로 드러냄’, ‘미술로 가정폭력의 트라우마를 마주하고 안아줌’, ‘공감하며 자존감을 회복’, ‘나를 치유하고 돌보는 새로운 힘을 발견함’, ‘원하고 바라는 미래를 구상함’, ‘위로가 되고 힘이 되는 미술치료’로 도출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의미는‘트라우마가 되는 가정폭력 경험’으로 시작하여‘신체·심리 이완 및 안전감 함양’,‘트라우마 기억의 탐색 및 자기 지각을 통한 통합’,‘억압된 정서 표현 및 긍정적 감정 활성화’,‘내적인 힘과 외적 자원의 발견’,‘자존감 향상’이라는 다섯 가지 의미가 서로 긴밀하게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상호역동성은‘삶에 대한 자신감 회복’이라는 의미로 귀결되었다. 즉, 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고 보호시설에서 거주 중인 여성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가정폭력 트라우마가 시간과 공간이 다르다고 해서 저절로 잊혀지는 개인의 역사가 아님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힘들었던 정서를 활성화하고, 정서를 수용하고 공감하는 자기자비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는 연구 대상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자기 가치감을 형성하고 서로 사회적 지지 자원이 되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로써 외상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을 시작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들이 가정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에도 불구하고 자신과 정서를 수용하고 공감하면서 점차 성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은 보호시설 거주 여성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외상후 성장에 이르는 출발점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은 여성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심리적 건강을 위한 미술치료 개입의 실천적 방향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가정폭력 트라우마를 겪은 보호시설 거주 여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개념 틀이 제시되어, 미술치료 개입의 가능성을 확장하였으며, 이는 가정폭력을 트라우마를 겪은 피해자를 위한 미술치료 성장모델의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 쉼터 거주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가정 복귀 및 자립의 요인 : 경남, 부산, 대구 지역 11개 쉼터를 대상으로

        장정자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과 동반자녀들이 폭력이 지속될 수도 있는 가정으로 복귀 또는 자립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쉼터의 서비스와 퇴소 후 안전대책과 주거문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 개입전략을 제시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가정복귀 및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쉼터이용 후 자립과 가정복귀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단변량 분석에서 이들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가족간의 스트레스 정도와 가정복귀 및 자립 요인과 쉼터 제공프로그램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였다.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가정복귀 및 자립 요인 중, 학력은 가정복귀에서 중졸 이하가 많았으며, 자립에서는 고졸이 많았다. 직업은 가정복귀에서 전업주부가 많았으며, 자립에서는 직업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동반자녀와 관련해서도 동반자녀가 없는 경우보다 동반자녀가 있는 경우 자립의사가 더 많았다. 일반적 특성과 가족 간의 스트레스 정도는 분산분석결과 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은 직업은 식당·가사 도우미이었으며, 그 다음은 기타직업, 전업주부, 보험설계사 순이었고, 스트레스가 낮은 직업은 자영업과 회사원 순이었다. 가족간의 스트레스 정도와 퇴소 후 자립 및 가정복귀 요인으로 타 시설에 재 입소한다는 응답자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가정복귀, 자립 ,친척집(친정)에 기거 순이었다. 종교적 특성과 쉼터 제공 프로그램의 만족도의 경우 분산분석결과 만족도 점수가 가장 높은 종교는 기타 종교이었으며, 그 다음은 천주교, 기독교, 불교의 순이었다. 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종교군은 종교 없는 군이었다.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쉼터에서 생활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54.3%가 경제적 문제라고 했으며, 주택마련에 대한 재정적 지원 및 경제적 자립에 필요한 기술훈련을 원하는 사람이 66.7%에 해당하지만, 시설에서 도움을 받은 경제적 자립에 필요한 기술훈련을 받은 경우는 13%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쉼터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자립하도록 도와주는 자활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앞으로는 자활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역 net-work을 최대한 활용해서 이들에게 기술교육과 함께 일자리를 제공하여 자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국가와 쉼터 등 관련 관계자들이 힘써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ed the returning home of female domestic-violence victims and their accompanying children and their self-reliance in a bid to present efficient social-welfare intervention strategies geared toward improving shelter services and guaranteeing the future safety and housing of female victims and their childre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whether female victims stood on their own feet or got back home after using a shelter as dependent variables, and univariate analysis was made by selecting those variables as independent ones. Their family-related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shelter programs were evaluated by using Likert five-point scale, and what influenced their returning home and self-reliance was investigated in the same way as well. As for factors affecting the returning home and self-reliance of the domestic-violence victims investigated, many of the women who returned home received middle-school or lower education, and many of those who got to support themselves received high-school education. By occupation, many of the former were stay-at-home homemakers, and many of the latter had a job. In relation to the accompaniment of children, the women who were accompanied by their children had a more intention to stand on their own feet than the others who weren't. Concern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mily-related stress, the results of the 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restaurant workers and helpers for household affairs were most stressed out. The second most stressed group was those whose jobs were unmentioned in the survey, and the third most stressed group were stay-at-home housewives, followed by insurance planners. The self-employed and company employees faced the least pressure. Regarding family-related stress and influential factors on their self-reliance or returning home after leaving the shelter, the women who used another shelter suffered the most stress. The second most stressed group was those who returned home, and the third most stressed group was those who came to become independent. The fourth most stressed group was those who stayed at a relative's house(parents' house). As for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helter programs, the results of the varia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ose whose religion wasn't mentioned in the survey expressed the best satisfaction with shelter programs, followed by the Catholics, Christians and Buddhists. The women who had no religion were stressed the least. As for the biggest difficulty during their stay at the shelter, 54.3 percent pointed out economic troubles. 66.7 percent wanted to undergo training to prepare a house or to become independent, but just 13 percent got training that was necessary for economic independence. Korean shelters weren't well equipped with self-support programs that could assist domestic-violence victims to establish themselves. In the future, all the parties concerned, including the government and shelters, should put concerted efforts into facilitating their self-reliance by developing self-support programs and by taking advantage of local network available.

      • 「시간의 흔적」에 대한 작품 연구

        장정자 경운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간의 흔적'은 재현된 벽(壁) 사진으로 미국의 추상사진가인 아론시스 킨드(Aaron Siskind)와 같은 유사한 관점에서 벽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촬영한 카메라는 니콘 New D7200과 니콘렌즈 18mm~55mm, 55mm~300mm을 사용하였다. 촬영지역은 구미시의 근대 골목길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촬영하였으며, 본인의 감성적 시각과 표준앵글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의 근대화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어 해방이후 1960년 ~1970년대에 절정에 이른다. 이러한 시기에 조성된 구미의 근대골목에 주목하였으며, 기계적인 기록성과 사실성을 기반으로 시간의 흔적, 문화적인 흔적을 재현하였다. 사진은 그 외관이 현실과 닮았다. 하지만 분명하게 관념적인 세계를 설명하거나, 그 무엇에 대한 분명한 이야기를 제시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다의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매체이다. 보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하거나 앞선 경험을 바탕으로 결과물에서 다양한 내러티브를 읽어낼 수 있다. 따러서 모더니즘사진의 다양한 예술적인 가능성을 심층적으로 제시하고자 한 작업이다. 사진기의 기계적인 재현능력과 사실적인 표현력을 바탕으로 조형적이면서도 내러티브가 담겨져 있는 영상언어를 생산한 것이다. 전형적인 스트레이트포토(straight photo)의 대표적인 산물이라고 이야기 할수 있다. '시간의 흔적'작품도 이와 같은 미학적인 층위에서 담론을 확대 재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