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장유나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go-Resilience of Counselors o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n the basis of relations amo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Counselors.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Eco-Resilience plays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to provide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during the course of investigating.   This study examined 248 Counselors which attended the Counseling Academy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from several institutes including counseling center in colleges, youth counseling center, private counseling service and etc.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rait Meta Mood Scale, the scale of Emotional Clarity translated by Sujung Lee, Hungu Lee(1997), the scale of Ego-Resilience translated by Hyunjin Park(1996),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ranslated by Semi Jang(1999).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by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PSS) 22.0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lso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that was manufactured by Baron and Kenny(1986). Lastly, Sobel’s test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verify this stud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mong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Ego-Resilience, and Emotional Clarity of Counselors,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Ego-Relience, and Emotional Clarity of Counselors.   Second, according to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go-Resilience of Counselors o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on Ego-Resilienc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Counselors, Emotional Clarity of Counsel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while affected by the indirect route which mediates Ego-Resilience. The study showed that Ego-Resilience partly mediates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Counselors.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탄력성, 역전이 관리능력 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아탄력성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자아탄력성이 정서인식 명확성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역전이 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 학생생활 상담센터, 청소년 관련 상담기관 등에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자, 초・중・고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 상담학회에 참가하였던 상담자 2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특질 상위 기분척도를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번안한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와 박현진(1996)이 번안한 자아탄력성 척도. 장세미(1999)가 번안한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기초해 Pearson 상관분석, Baron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단계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검증,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탄력성,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탄력성, 역전이 관리능력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아탄력성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아탄력성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향상시켜 주는 매개효과로서 자아탄력성이 검증하였으며,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아탄력성 향상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ixel structures and driving methods to extend time for compensating threshold voltage variations of poly-Si TFT for high resolution AMOLED displays

        장유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을 받고 있는 OLED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해상도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개발로 인해 고해상도 AMOLED 디스플레이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AMOLED 디스플레이의 픽셀 회로는 일반적으로 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backplane 위에 제작되는데, poly-Si 으로 만든 thin film transistor (TFT)는 전기적 특성 편차가 커서 이를 보상하는 것은 AMOLED 디스플레이의 중요한 과제이다. Poly-Si TFT의 편차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된다. 왜냐하면 poly-Si TFT의 전기적 특성편차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TFT나 신호선이 필요한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픽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픽셀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TFT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해진다. 픽셀구조를 간소화 하기 위해 동시발광 구동방식을 이용한 픽셀 (2T1C 픽셀)이 제안되었다. 이 2T1C 픽셀은 구조는 간단하지만, poly-Si TFT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발광시간이 짧아져 flicker를 유발 할 수 있다. 또한 발광시간이 짧아지면 OLED의 휘도가 떨어져 더 밝은 빛을 만들어 주기 위해 OLED에 더 큰 전류를 흘려주어야 하므로 flicker가 발생하고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에 제안된 2T1C 픽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충분한 보상시간을 가지면서 발광시간도 늘려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동시발광 픽셀 구조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동시발광 구조 픽셀은 OLED에서 소비하는 전력뿐 아니라, 전원라인 변조를 이용한 구동방식이기 때문에, 전원라인 변조로 인한 소비전력이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소비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충분한 보상시간과 발광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순차적 발광 픽셀 구조를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첫 번째로 제안한 동시발광 픽셀 구조는 전류 에러 범위가 -3.08% 에서 3.14%를 나타내었다. 기존 픽셀 대비 발광시간이 늘어남으로 인해 소비전력은 9.7% 감소하였다. 두 번째로 제안한 순차적 발광 픽셀 구조는 전원 전압 변조로 인한 소비전력을 0.4 mW 줄였고, 전류 에러 범위는 -4.01 % 에서 4.1%를 나타내었다.

      • 수학과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연구

        장유나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From the 7th curriculum to 2007-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level-differentiated mathematic class gets gradually more active. Currently, the level-differentiated mathematic class is being conducted in most schools. At this moment,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tudents of level-differentiated mathematics through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results of surveys of perception of students conducted before starting the level-differentiated mathematic class, there were big differences on thinking about mathematic classand plans to study mathematics between students on each level. Even if the class for each level of mathematics was planned and taught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n level-differentiated mathematic class of students at low leve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at other levels. It exhibits that the level of each class is fixed and the difference gets bigger since the learning varies through level-differentiated mathematic class, and customized education is being made to students only at high level class as a result. We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revealed through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First, we need to let students at each level have a clear sense of purpose before starting level-differentiated mathematic class, and to have a teaching plan to avoid making a bigger gap between the high and low level classes. Second, in the course of teaching students at low level class, we need to encourage students to become active subjects in class and give all supports to teachers in charge of the low level class. Third, placement for each class should be conducted not by score but by the desire of students, and each class also flexibly consists of various types of group not to form the disharmony.

      • 증강현실을 이용한 모바일 환경 게임 시스템에 대한 연구

        장유나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스마트폰의 도입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에게 증강현실이란 단어가 널리 알려지면서 증강현실에 대하여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그에 상응하듯 증강현실에 관한 연구들은 이전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증강현실의 동향을 살펴보면 모바일기기를 사용한 증강현실 연구가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주로 스마트폰이 사용된다. 이는 스마트폰이 통신수단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모바일기기의 특징 중 하나인 휴대성을 이용하면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장비의 제약에서 벗어나 공간의 제약이 없는 증강현실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존의 증강 현실 관련 응용 기술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실제 게임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공 지능과 결합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수행하였던 얼굴인식, 인공지능과 관련된 증강현실 연구들을 연구 사례로서 각각의 실험 결과와 함께 제시하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바일 환경 게임 시스템의 결론을 맺는다. 제시된 증강현실 연구들은 사용자의 얼굴과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를 게임 시스템에 반영하거나, 아이폰 카메라로부터 얻어 오는 영상들을 사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매칭하는 등의 영상처리, OpenGLES를 사용한 2D/3D 랜더링을 수행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인공지능의 상태가 동적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With the word 'Augmented Reality' widely known to the public due to the introduction of smartphone, smartphone becomes the focus of the public attention. As if corresponding to it, the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is progressing more briskly than ever before. Looking into the trend of augmented reality, the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equipment is taking up its position as a stream and mostly smartphone is used. It's because smartphone is fitted with a variety of functions free from communication means. Particularly, it is estimated that using the portability,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equipment, could make it possible to do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out any space & equipment restrictions to realize augmented reality. In addition, there are lots of studies on applie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existing augmented reality, but the study combined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actual games still remains untrodden. Accordingly, this thesis is going to make a conclusion of this thesis-proposed mobile-environment-based game system while suggesting individual experimental results of the researches on augmented reality related to the facial recogni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ave been carried out up to now. Augmented reality research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user's face 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or to reflect the game, iphone camera, using images obtained from the following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and image processing, OpenGLES performed using the 2D/3D rendering Should. In addition,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in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State to dynamically convert.

      • 개인합치도 지수(person fit)를 이용한 응답 왜곡의 식별에 관한 연구

        장유나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Ferrando와 Anguiano-Carrasco(2013)가 제안한 새로운 개인 합치도 지수(person fit)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 하에서의 1종 오류(type 1 error)와 검정력(power)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1)검사의 길이(short, medium, long), 2)왜곡하기 쉬운 문항의 비율(20%, 50%), 3)피검자의 수(100명, 300명, 500명), 4)응답 왜곡 피검자들의 비율(honest:faker=1:1, 3:2, 4:1), 5)응답 왜곡 유형(faking good, faking bad) 6)응답 왜곡의 크기(Small, Large). 각 조건 하에서 1종 오류와 검정력의 비율을 확인한 결과, 검사 길이가 길어질수록 1종 오류가 감소하고 검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왜곡 문항 비율 조건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왜곡 응답자의 비율은 그 차이가 클수록 1종 오류가 감소하고 검정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검자 수는 감소할수록 검정력이 증가했으나 피검자의 수가 100명 이하일 때에는 모델이 수렴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보였다. 본 지수는 부정적 응답 왜곡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왜곡의 크기가 클수록 왜곡 응답자들을 더 잘 식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Ferrando와 Anguiano-Carrasco(2013)의 개인 합치도 지수를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했다는 의의를 지니지만, 절단값 k를 1로 한정하여 상황 별 적절한 k값을 탐색하지 못했으며 조건을 이분 문항으로 제한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new person fit proposed by Ferrando and Anguiano-Carrasco(2013). For that, Monte Carlo Simulation is used to check the ratio of the type 1 error and the power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condition this study framed is as follows; 1) Length of the study(short, medium, long), 2) Ratio of fakeable item(20%, 50%), 3) Sample size, 4) Ratio of fakeable item (honest:faker=1:1, 3:2, 4:1), 5) Type of faking(faking good, faking bad), 6) Amount of faking(Small, Large) The result under each condition is, the longer the test is the more type 1 error decreased and the power increased, and it appears identically under the condition of a fakeable item. Also the bigger the difference of the ratio of a faker, the more it has a tendency for type 1 error to decreased and the power increased. As the sample size decreased the power increased, though the drawback was this model was not converged in case of the amount of sample is under 100. This index is more effective to faking bad, and the larger the faking the better fakers are detected. This study ha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verified the person fit of Ferrando and Anguiano-Carrasco(2013) by simulation, though its limitation is cut-off value was limited as 1.

      • 신경손상에 따른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변화

        장유나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신경계를 이루는 신경교세포나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부착분자들(Cell adhesion molecules, CAMs)은 신경계의 발생과 유지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CAMs이 신경계 손상에 의해 나타나는 반응에서 중요한 분자적 결정요소일 것이라고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은 신경계 손상으로 나타나는 신경퇴행성 질환과 연관되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이 신경 손상시에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 신경계 세포들에서 이러한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과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경계에 손상을 시키는 조건으로는 실험동물모델에서는 척수신경결절을 일으켰으며, 배양세포의 실험에서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와 LPS(lipopolysaccharide)등을 사용하였고, 신경독성물질로 알려진 NMDA(N-methyl-D-aspartic acid)를 사용하였다.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변화는 RT-PCR과 Western blotting을 통해 알아보았다. 척수신경을 결절한 동물에서는 척수신경결절 후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과 CHL1(Close homologue of L1) mRNA의 발현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신경계의 세포들 즉 신경세포, 성상세포 및 미세아교세포에서의 세포부착분자들의 발현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ICAM-1은 성상세포와 미세아교세포에서 발현되었고, L1은 신경세포에서만 발현되었으며, N-cadherin(Neural cadherin)과 NCAM(Neural cell adhesion molecule)은 신경세포와 성상세포에서 발현되었다. CHL1은 신경세포 뿐만 아니라 성상세포와 미세아교세포에서 발현되었다. 자극별 변화양상을 보면, 염증성 유발인자로 알려진 TNF-α, IL-1β, LPS는 성상세포에서 ICAM-1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미세아교세포는 LPS에 의해서 ICAM-1 mRNA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순수신경세포는 NMDA 처리시 N-cadherin의 mRNA 발현이 눈에 띄게 감소하였으며 혼합신경세포에서는 NMDA 처리시 N-cadherin과 L1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순수신경세포에서 NMDA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에는 NMDA 농도의존적으로 N-cadherin의 mRNA 발현이 감소되었다. NMDA에 의한 N-cadherin mRNA의 이러한 발현 감소현상은 NMDA receptor antagonist인 MK-801에 의해 회복되었다. 단백질수준에서의 N-cadherin의 발현양상을 보면 순수신경세포에서는 NMDA에 의해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혼합신경세포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순수신경세포에 NMDA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에는 NMDA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NMDA에 대해 세포보호작용을 보인 MK-801을 처리한 경우 이러한 감소현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경계에 존재하는 세포부착분자들은 세포마다 발현되는 종류나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ICAM-1은 신경교세포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어 염증반응을 조절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었고, CHL1은 신경교세포와 신경세포에서 발현되어 염증반응과 관련되어 일어나는 신경세포의 퇴화와 재생과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신경세포에서만 발현되는 L1과 성상세포와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N-cadherin은 신경세포의 생존과 사멸 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Cell adhesion molecules(CAMs) are expressed in glial cells and neurons play critical roles i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nervous system. CAMs are reported that may be key molecular determinants in the response of the nervous system to injury. Therefore we are thought to that the expression of these CAMs is associated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 by neuronal injur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CAMs is changed by neuronal injury and what types of CAMs are expressed in glial cells and neurons. We used a neurodegeneration model, spinal nerve ligation, in vivo, and cultured cells treated with the change of CAMs expression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In nervous system, ICAM-1 mRNA was expressed in astrocytes and microglia. NCAM mRNA was expressed in astrocytes as well as neurons and CHL1 mRNA is expressed in astrocytes, microglia and neurons. And L1 mRNA was expressed in neurons. As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of altered CAMs mRNA against to injuries, ICAM-1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by TNF-α, IL-1β and LPS in astrocytes. In microglia, ICAM-1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by LPS. In vivo, ICAM-1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by spinal nerve ligation. N-cadherin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NMDA in pure cortical neurons and mixed cortical neurons with glial cells. Especially, in pure cortical neurons, NMDA reduced N-cadherin in dose dependent manner, and NMDA receptor antagonist MK-801 is restored NMDA-induced reducing of N-cadherin expression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 CHL1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by TNF-a in pure cortical neurons. And in vivo, CHL1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by spinal nerve ligation. L1 mRNA expression was reduced by NMDA in mixed cortical neurons with glial cells and NCAM mRNA expression was not changed definitely by TNF-α, IL-1β and NMDA. Taken together, our data show that the type of CAMs expressed in nervous system differed in every cells. Among the CAMs, ICAM-1 expressed only glial cells and was associated with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Also, CHL1 expressed in glial cells and neurons. We suggest that CHL1 play role in neuronal regeneration and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response. Finally, we suggest that L1 expressed in neurons and N-cadherin expressed in astrocyte and neurons may be associated with neuronal survival as well as neuronal death.

      • 대학 태권도 겨루기 팀 건강성이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유나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대학 태권도 겨루기 팀 건강성이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장 유 나 지도교수 송 은 섭 본 연구는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이 지각한 팀 건강성이 운동몰입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수행을 위한 연구대상은 2016년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태권도 겨루기 선수단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표집 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총 270명을 실제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이 지각한 팀 건강성은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이 지각한 팀 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조직구조, 조직풍토, 지도자의 지도력, 선수의 능력 모두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이 지각한 팀 건강성은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이 지각한 팀 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조직구조, 지도자의 지도력, 선수의 능력은 경기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조직풍토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이 지각한 팀 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지도자의 지도력과 선수의 능력은 심리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조직구조와 조직풍토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운동몰입은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운동몰입은 경기성숙과 심리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팀 건강성은 운동몰입과 경기력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운동몰입은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지도자들은 팀 환경 개선과 올바른 팀을 구성할 수 있도록 다각적 노력이 요구되며, 선수 개별적으로 이를 통한 경기력 증대에 만전을 기울여야 한다. The Effects of Team Health on Exercise Flow and Athletic Performance for University TK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m health on exercise flow and athletic performance for University TKD athletes. The subjects were selected 270 people to university TKD athletes extraction using a convenience sample. AS team health, exercise flow, and athletic performance by research tools construct validity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m health perceived by college Taekwondo competi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commitment. Specifically,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limate, leader 's leadership, and athlete' s abilities, which are sub - factors of team health perceived by college taekwondo competi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commitment. Second, team health perceived by college Taekwondo competi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Specifically, organizational structure, leader 's leadership, and athlete' s ability, which are sub - factors of team health perceived by college taekwondo competi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turity of the game,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s no effect. Leadership and athlete 's abilities, which are sub - factors of team health perceived by college Taekwondo competi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maturit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Third, the sport commitment of college Taekwondo competi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commitment of the athletes who competed in university Taekwondo play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turity and psychological maturity. As a result, it can be found that the team health of the competitors in Taekwondo colleg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team and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herefore, field leaders are required to make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team environment and to form the right team.

      • 체외막산소화장치 적용 대상자의 혈류감염 특성 및 위험요인에 관한 분석

        장유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목적: 체외막산소화장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요법을 적용받은 환자에게서 발생한 혈류감염의 특성과 위험 요인을 규명하고, 환자 간호 및 관리의 질적 향상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2,715 병상의 상급종합병원에서 ECMO를 적용한 후 종료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이다. 환자의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ECMO 관련 특성으로 구분하여 ECMO 적용 중 발생한 혈류감염(bloodstream infection, ECMO-BSI)의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 2020 혈류감염 진단 기준을 적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statistics를 이용하였다. 혈류감염 발생의 위험 요인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55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6명(4.7%)의 대상자에게서 ECMO-BSI가 발생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경장 영양(Odds ratio[OR]=2.853, 95% Confidence interval [CI]=1.025-7.940, p= .045), 전신 항생제를 투약하지 않은 경우(OR=6.266, 95% CI=1.411-27.825, p= .016), 항바이러스제 투여력(OR=4.852, 95% CI=1.843-12.775, p= .001), ECMO 적용 원인 중 호흡 부전과 순환 부전이 모두 동반된 경우(OR=4.996, 95% CI=1.222-20.426, p= .025), Betafoam® (3% povidone-iodine)을 이용한 ECMO 카테터 드레싱(OR=4.348, 95% CI=1.775-10.652, p= .001)이 ECMO-BSI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미생물은 그람 양성균이 9건, 그람 음성균이 12건, 진균이 9건이었으며, 이 중 중복 감염은 4건이었다. 결론: ECMO-BSI의 발생률과 위험 요인은 선행연구와 일부 차이를 보였다. 단일기관 연구라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에서 ECMO 적용 대상자의 혈류감염 위험 요인을 조정하고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Key words): 체외막산소화장치, 혈류감염, 위험 요인, 코호트 연구

      • 가축분뇨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NH3 저감 특성 연구

        장유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Generation of excreta is increasing due to an increasing trend in meat consumption and in the percentage of livestock industry recently caused by changes in dietary lifestyles. In addition, as discharge of livestock excreta into the sea has been prohibited completely since 2012, the demand for composting technologies is increasing. Due to improvements in living environments, demand for malodor reduction technologie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we analyzed the raw material produced by mixing livestock excreta with sawdust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and concluded that the product would have malodor adsorption capability, as minute air gaps in the excreta had developed. Moreover, an acid absorption liquid selection test was carried out using a lab-scale system to select 0.3mol citric acid absorption liquid . The ammonia gas reduction efficiency of 0.3 mol citric acid absorption liquid was evaluated by applying it to an actual malodor removing device, to obtain a result that it has efficiency of 99.9% upto 137min. If the aqueous solution of ammoniumcitrate produced via the reaction between ammonia gas and an aqueous solution of citric acid can be made to be adsorbed onto compost in which minute air gaps have developed because of fermentation, it is thought that the compost quality can be improved through fixation of nitrogen, and the waste liquid disposal cost can be reduced.

      • 고포도당 조건에서 골격근세포 내 포도당 대사와 인슐린 신호전달에 미치는 Fimasartan의 효과

        장유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배경: 항고혈압 약제중의 하나인 AT Ⅰ 수용체 차단제는 혈압 강하와 동시에 당뇨병 예방효과가 있으나, 아직 정확한 기전이 알려진 바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AT Ⅰ 수용체 차단제인 fimasartan이 고포도당 조건의 골격근 세포에서 포도당 대사 및 인슐린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fimasartan의 항당뇨병 효과 및 그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슐린이 작용하는 주 표적 장기인 골격근의 조직배양과 골격근 세포배양을 이용하였으며, fimasartan이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100-200 μM 농도 사이에서 모든 실험을 진행하였다. 포도당 대사와 관련된 인자인 AMPK와 hexokinase의 mRNA발현을 RT-PCR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에너지 대사관련 인자인 AMPK, PGC1-α, PPARδ와, 포도당 이입에 관련된 신호 전달 인자인 IRS-1, AKT, GLUT4의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ting과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PPARδ의 발현 효과를 알기 위하여 PPARδ antagonist인 GSK0660을 처리 후에 분자들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2-deoxy-glucose를 이용하여 세포 내 포도당량을 측정하여 포도당 이입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세포실험에서 정상 포도당 농도 (5.56 mM)의 대조군에 비하여 고포도당(25 mM)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AMPK mRNA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정상 대조군과 고포도당을 처리한 실험군에 fimasartan 처리 후 두 실험군 모두 AMPK의 발현이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 Hexokinase mRNA발현은 정상 포도당 농도인 대조군에 비해 고포도당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감소하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fimasartan 처리시 대조군 에서는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고포도당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만 나타났다. 골격근 조직배양 실험에서는 고포도당 처리시에 대조군에 비하여 PPARδ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고, PGC-1α의 발현은 포도당 농도에 따라 변화가 없었다. 또한 고포도당 조건에서 fimasartan 처리시 PPARδ와 PGC-1α모두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농도가 100 μM 에서 200 μM 보다 더 증가하였다. 골격근 세포 실험에서는 IRS-1과 AMPK 단백질의 발현은 고포도당 처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AKT는 변화가 없었으며, 모두 fimasartan 처리 후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고, GSK0660을 추가 처리시 fimasartan 효과가 상쇄되었다. 골격근 세포막의 GLUT4 발현은 고포도당 처리시 감소되었으나, fimasartan 처리시 증가되었고, GSK0660 추가 처리시 다시 감소하였다. 세포 내 2-deoxy-glucose 양은 고포도당 처리시 감소경향을 나타냈으며, fimasratan 처리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고포도당 조건에서 fimasartan은 AMPK활성화를 통해 골격근의 포도당 대사와 인슐린 신호전달에 효과를 나타내어 항당뇨병 효과가 있으며, 그 기전으로 fimasartan과 PPARδ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ATⅠ receptor blockers are effective in both lowering blood pressure and preventing diabetes, but the exact mechanism is not known yet.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function of fimasartan, one of angiotensin II ATⅠ receptor blockers, and its mechanism of action in C2C12 mouse skeletal muscle cell line culture and tissue culture of skeletal muscle with media of high glucose and normal glucose concentration. Methods: The treating concentration of fimasartan was decided to cell viability test (CCK8, Cell Counting Kit-8 assay) in C2C12 cells. The expression levels of hexokinase and AMPK were estimated by RT-PCR in C2C12 cells treated with high glucose and fimasartan. The protein levels for PPARδ and PGC1α were estimated with western blotting in rat skeletal muscle tissue culture treated with fimasartan.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for phosphorylated AMPK(P-AMPK), phosphorylated AKT(P-AKT) and IRS-1 were estimated with western blotting, and the protein expression for GLUT4 was observed with immunofluorescence in C2C12 cells treated with high glucose, fimasartan and PPARδ antagonist, GSK0660. Glucose uptake rate was estimated by ELISA assay. Results: The treating concentration of fimasartan was decided to concentration of 100- 200 μM via cell viability test in C2C12 cells. The mRNA levels for hexokinase and AMPK were more increased with fimasartan than high glucose control. Protein levels for PPARδ, PGC1α, phosphorylated AMPK(P-AMPK), phosphorylated AKT(P-AKT), IRS-1 and GLUT4 were elevated with fimasartan compared to high glucose control group, however, the increases were reversed by PPARδ antagonist, GSK0660 treatment. In glucose uptake test, fimasartan treatment group of 200 μM showed in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high glucose control. Conclusions: Fimasartan ameliorates glucose sensitivity through the regulation of AMPK pathway in skeletal muscle cells in the condition of high glucose. Furthermore, effects of fimasartan are done through PPARδ 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