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내면적 기호를 통한 자아탐색의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장성숙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현대사회에 있어 물질의 양적 팽창은 인간의 개인 간, 집단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하여 정신세계의 위축과 인간적 가치에 대한 흔들림으로 연결되고 있다. 또 현대의 문명의 발달에 대응하여 인간의 정신적 발달이 미치지 못함에 따라 인간을 통제하기에 이르렀다. 현대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 카알 야스퍼(Karl TheodorJaspers,1883- 1969년)는, 집단생존 속에서 인간은 사물화 되어 인간으로서의 본질을 상실하고 한갖 기능에 지나지 않는 것이 되며, 세계는 운명도 없고 본래적 인간성도 없는 사람들의 수중으로 넘어 간다는 점을 강조 했다. 즉, 현대인은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형으로 자신을 만들어 가면서 사회 속에 귀속감을 느끼고 적응하게 된다. 이렇듯 현대인은 누구나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자기소외, 자아상실, 불안 의식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 다룰 내용은 현대사회의 공허함 속에서 분열하는 자아의 내면성을 형태적 기호를 사용하여 자아의 회복이라는 문제점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술 활동은 초월자의 암호 언어이며, 형태적 기호를 매개로하여 초월자와 관계하는 삶 속에서 자유로운 결단의 주체, 자기의 삶의 주인으로서 자아를 확인하는 내적 행위에서 만들어진다고 봄으로, 본 연구에서 형태적 기호를 통해 인간내면의 갈등과 자아정립의 반복 속에서 인간다운 자아를 찾아가는 내면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현대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물질만능주의에 빠져 자신의 자아를 잃고 마음의 혼란과 정신의 피폐로 고통을 겪는 인간의 문제점을 고찰해보고 그 과정을 통해 인간의 이상적 자아를 그려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예술 창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아 탐색의 형태적 기호에 대한 상징성과 정신구조는 어떻게 형성이 되었는지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다음 장에 설명할 예술 활동에 보여지는 외적 표현과 내면성 분열과의 상호 작용을 알아보는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현대인에 대한 자아의 대립과 갈등으로 인한 내면의 분열현상을 회화사로 살펴보고 인간다운 자아회복의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토대로 예술 활동의 보다 심층적 자아를 연구하기 위해 본인의 작품 속 내면을 살펴보았다. 연구자의 작품내면의 형상적 기호와 천의 겹침으로 인한 형상의 소멸은 현대사회속의 혼돈과 상실된 자아, 자아의 현실로부터 탈피 그리고 이상적 자아를 추구하기 위한 변화하는 내면의 분열 현상에 대한 표현이며, 더 나아가 자아탐색을 통해 진정한 자아의식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로 볼 수 있다. Ⅴ장에서는, 진정한 자아라는 것은 인간의 삶을 방법과 방향에 대한 그 나름의 처방을 해주는 것이라고 결론 짓고자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이데아는 이상적인 꿈의 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자아를 찾는 순간 보이는 곳‘이라 생각한다. 이처럼 자아를 찾는 행위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행위이며 자아를 상실한 인간은 기계나 동물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실태와 개선방안 : 仁川廣域市를 中心으로
張誠淑 中央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We're rising in standard of living that is increase the economic growth continuously, When the medical science is develop, the average span if human life is extend. If the aged population increase, the senile demetia is also increase necessary. Now, the medical expenses for each person who is above 75 years aged person is aggregate to sextuple by non-aged and following the log-stay medical treatment is getting more and more difficult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medical treatment bills burden increasing. Futhermore, the spirit of filial piety and respect for the aged become different with asylum entrust to safing that ideal filial duty is growing tendency that a matter of course. The change of consciousness is getting more deeply to involved then, the solitary life aged and the head of aged family is increase that it needs to health treatment and asylums for aged's get requests of increment more when the disease break out. In this research, it was determined the welfare for the aged problem and reform the measure. First of all, in physically, and it reeleck to need that the asylum and miss something apart. Secondly, in mancentered case, it has cultivate the speciality human agency, geriatricians, nurses and the law for the welfare of the aged. Also, it has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of aged although various program development. Thirdly, in the legal system, exp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port and rational security. Although, the local society dwellers step up mutual cooperative ties, have to conduct positively with the local society grantees and improve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such a way to meet the realistic needs of civil lives. Especially, it is getting increase above 65 years person to 7.1%, 3370000 people in 2000 and goes into the aging society, In 2022, it goes into aged society to 14.3%. We remain that our future about their aged welfare problem In the U.S, Japan and the major advanced nation, it is decreased the number of sickbed of the general hospital but it is increase the nursing asylum, the geriatrics hospital, aged health facilities to depature to the long stay. The other side, we are on increasing trend the sickbeds but need to the asylums to supply the long care service and sickbeds. Thesis, we need for such an institution and is keenly felt like to the major advanced nation.
동사무소 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9개 구청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장성숙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98 국내석사
I.M.F로 인하여 예기치 않게 맞이한 경제적 난국은 대량의 실업사태와 함께 사회적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가중시켜 사회복지 대상자를 양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주민의 복지요구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해결해주고 저소득가정의 자활의욕을 고취하는 일을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현장의 복지요구를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통로와 수단을 갖고 있으므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는 사회복지사 개인의 복리뿐만 아니라 서비스 대상자에게 전달되는 서비스의 수준을 결정함으로써 사회복지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시각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명료화를 시도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직운영과 인력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복지수혜자에게 더욱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의 개념 정의 및 선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경험적 조사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연구에서는 서울시 9개 구청 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무만족실태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총122명이 연구대상이 되었고 조사기간은 1998년 4월 10일부터 4월 25일까지였다. 조사도구로는 기존연구에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묻는 9문항,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20문항 및 업무개선을 위한 2문항, 총 37개의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하위척도군은 승진, 보수, 직업적 긍지, 업무자체, 인간관계, 자율성, 자아발전, 이직 등이다. 자료는 기초분석(빈도분석, 백분율)과 χ²(chi-square Test)등의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30세 이상이 가장 많은(89.3%) 분포를 보였으며 기혼이 75.4%, 교육수준은 대학졸업이 84.4%를 차지했다. 대상자의 공무원 근무경력은 7년이 가장 많았으며(87.7%) 직급은 7급이 87.7%로 나타났다. 종교의 유무에서는 종교를 가진 사람이 65.6%이었으며 공무원이 된 동기로는 공익에 봉사하려는 신념이 29.5%, 직장에 대한 안정감 때문에가 28.7%로 응답했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내용분석을 살펴보면 승진에서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불만족하고 보수에 있어서는 과반수 이상이 보통이라고 응답하였다. 직업적 긍지, 업무자체에서도 과반수이상이 긍지를 느끼면서 근무를 한다고 응답했으며 상사와 동료간의 인간관계에서는 어느 정도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나 상사의 부하직원에 대한 불만이해정도는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에서 업무처리와 관련된 의사결정만족과 업무추진시 업무량조절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이 그렇지 않다고 했다. 근무환경과 자아발전에서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사람이 절반 가까이 차지하였으며 이직에 관해서도 과반수 가까이 이직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사무소 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업무량만족, 업무량비교, 업무긍지)에 대하여 직무만족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의 가설검증에 대한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① 승진에 만족할 때 직무만족도는 높을 것이고 불만족일 때는 직무만족도가 낮을 것이다. ② 보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다. ③ 인간관계가 만족스러우면 업무긍지는 높아지지만 업무량이나 업무량비교는 의미 있는 변수는 아니다. ④ 자율성이 높으면 직무만족도 역시 높아진다. ⑤ 근무환경에 만족할 경우 업무량이나 업무긍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⑥ 사회적 인정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진다. ⑦ 이직의사 유무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직무만족은 개인적 특성들과 직무자체를 비롯하여 기관의 조직체계, 환경, 인간관계, 자율성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한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동사무소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향상을 위해서는 상위직급으로의 승진기회의 확대, 업무에 대한 자율성의 부여 및 업무의 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기능에 미치는 효과
장성숙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선택적 함묵증 아동에게 있어서 위축과 우울/불안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행동이며 그 문제 행동과 함께 사회성 기능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선택적 함묵증을 가진 아동에게 활동중심의 미술치료를 중재하여 그 효과를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아동은 DSM-Ⅳ기준의 선택적 함묵증 진단을 소아정신과에서 받은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의 남녀 아동2명이며,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검사에서 임상범위 안에 있고 사회성 기능검사(SSRS)에서 임상범위에 있는 아동을 선정,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실시기간은 2007년 9월에서 10월까지 주2회씩 15회기로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초기단계에는 친밀감을 형성하고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기에는 욕구를 분출시키고 정서를 안정시키며 문제행동을 소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후기에는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부드럽고 편안한 매체에서 활동에 부담이 없는 마른매체로 진행하며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 이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사전, 사후 비교결과 대상자 A아동은 위축7점 우울/불안 17점, B아동은 위축8점 우울/불안14점의 감소점수를 나타낸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 아동의 사회성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이는 SSRS의 하위영역 협력, 자기주장, 책임감, 자아통제 점수의 사전 사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A아동의 경우 협력1점, 자기주장4점, 책임감1점, 자아통제2점의 증가점수를 나타냈고, B아동의 경우 협력6점, 자기주장2점, 책임감3점, 자아통제8점의 증가점수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 중 위축, 우울/불안 의 감소는 사회성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 대상아동 모두 문제행동 중 위축, 우울/불안의 감소점수와 사회성기능의 점수가 향상된 결과는 이를 입증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기능에 효과적이다 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선택적 함묵증 아동에게 미술치료의 적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ithdrawal, depression, and anxiety are not unusual symptoms for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who often show such problem behavior, in that they somehow end up with lower social skills. This study, thus, is to check if and how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can help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nd its effects. Study subjects are one boy and one girl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who are diagnosed by pediatric mental hospital as having selective mutism according to DSM-IV and diagnosed also as having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K-CBCL and SSRS. The children were given an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consisting of a total of 15 sessions, twice a week,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of 2007. There were three stages in the therapy program, in that the first stage focused on establishing intimacy to release tension; the second on exploding desire, stabilizing emotion, and eliminating problem behavior; the third on improving the skills for expression and sociability with dry media rather than soft ones in order to provide them more freedom or room for various activities.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gives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ccording to K-CBCL, the child A has less scores at posttest than pretest with withdrawal 17 points and depression/anxiety 17 points, while the child B has withdrawal 8 points and depression/anxiety 14 points lessened. Second,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social functions of children with selctive mutism. As to sub-categories of SSRS, increased are the posttest scores from the pretest ones as much as, for the child A, cooperation 1 point, self-assertion 4 points, responsibility 1 point, and self-control 2 points, contrasted to the child B with cooperation 6 points, self-assertion 2 points, responsibility 3 points, and self-control 8 points. Third, reducing the symptoms of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would improve the children's sociability functions. This is proved with evidence that all of the children involved in this study having received the therapy ended up with a lower score for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but a higher score for social functions. To conclude, art therapy is positively effective for problem behavior and sociabilit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nd shows a possibility that art therapy can contribute to effectiv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어린 소녀’형상을 통한 자아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성숙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ontents of artworks and expression form by based on my private printmaking jobs working from 2010 to 2012 that present the contemporary man who do not find self-identity like floating matter using ‘little girl’ modeled figure. There is the diverse and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artworks. Today, hung capitalism and the highly-advanced communications technology expand the richness of life and freedom of expression. But peoples who do not establish the self-identity like the floating and fragmented matter are increasing because of imposing dominant values which the needs of the time in fast-paced environment. Some post-modern artworks is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and anonymity using the expression of marginalized characters (women, people of color, homosexuals, children, the elderly, etc.). See the representative artist such as Cindy Sherman(1954~) and Diane Arbus (1923 ~ 1971). This dissertation is to depart from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 'little girl' modeled figure reflects the contemporary trauma. To achieve this, I psychoanalytically explore the theoretical approach over Sigmund Freud(1856~1939) and Jacques Lacan(1901~1981) and explain the little girl’s identity and growth stage. And I analyzes the periodical and social position of modeled figure ‘little girl’ and links the Sally Mann(1951 ~) photographs. Also I explain the punctum which was experienced the photo shoots of my nephew based on Roland Barthes(1915~1980) theory. To do this, modeled figure ‘little girl’ connects the contemporary people’s image that uncomfortable and decentralized psychological situation. My artworks works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 expressed by ‘Representation-without-theme’. The photographic-based representation which do not designate or explain is defined as ‘Representation-without-theme’. In other words, there is no right meaning about the artworks before understanding the punctum that the artist wants to express the meaning making the artworks. An artwork that is expressed in ‘Representation-without-theme’ provides multiple meanings that interpreted by spectators excluding the subjective meanings that is provide by artist. Therefore, the ‘Representation-without-theme’ does not express the artwork without theme. This representation is multifaceted and defined vaguely artwork’s meanings. These images are represented by psychological factors colorless and comes imprinted with the traces of the printmaking process, and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physical act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narrative. My printmaking job expresses the punctum that experiences the photos and is differenced the painting works. This job is carved and expressed the plates made of embossing and intaglio. The intentional stain of printmaking image using monotype skill produces the effect that is aimed meaning or not. This artwork’s is the middle position between painting and printmaking. And this job connects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 that is expressed the ambiguous image like floating matter or standing the border line. Drypoint works using acrylic plate have a benefit that express the body more delicate than copper plate and produce the indistinct image presented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s body. Because of the printmaking limitation, I express the little girl’s shape using drawing and photo. Beyond the limits due to the size of the presses, I like drawing presses have been literally was reproduced on a piece of paper. Drawing works is likely the printmaking that drawing press is on a piece of paper act to reproduce the printmaking process were expressed. Finally, photos express the texture of water and cloth that hard to express the printmaking. I want to express the contemporary people’s shape who do not find the self-identity like floating matters using the duplicated photograhic images produced by lights. Printmaking is the works that express indirectly and moderate the feeling. My works produce the presentation of photos using printmaking process.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 make an expression that neglected person who wander the border line. Printmaking works do not vastly use because the process is difficult and hard. Though the printmaking works is not hardly the attention of artist, my artworks using printmaking to express the little girl which present the people who do not concentrate on mainstream. I'll check my appearance, which express a particular target, and the process of reading the flow of contemporary.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forward progress of work and life through acts of initiative to recognize and express.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한 자아 정체성을 찾지 못해 부유(浮游)하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을 타자(他者)인 ‘어린 소녀’로 형상화한 판화 작업을 토대로 내용 및 표현 방식을 분석하였다. 고래(古來)부터 사회와 미술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구조 안에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형성해왔다. 오늘날 거대한 자본주의와 첨단 통신 기술의 발달은 생활의 풍요로움과 표현의 자유를 가져왔지만,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시대가 요구하는 지배적 가치관의 강요로 인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분열되고 파편화되어 부유하고 있는 현대인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 미술은 소외되었던 타자(여성, 유색 인종, 동성애, 아이, 노인 등)를 표현하여 차이와 익명성, 자아 상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에 대표적인 작가로 신디 셔먼(Cindy Sherman, 1954~)과 다이안 아버스(Diane Arbus, 1923~1971)를 들 수 있다. 본 논문은 ‘어린 소녀’라는 대상을 형상화하여 시대적 트라우마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정신분석학의 자아 정체성에 대한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와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여 타자(他者)인 어린 소녀의 정체성과 발달 단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린 소녀’가 시대적, 사회적 위치에서 형성되는 자아 정체성과 심리적 상황을 분석하고 샐리 만(Sally Mann, 1951~)의 사진 작품을 분석하였다. 또한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어린 조카의 사진에서 경험한 ‘푼크툼(Punctum)’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 소녀’의 형상이 불안하고 탈중심화된 심리적 상황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것은 삶의 방향을 잃고 표류하는 현대인의 모습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어린 소녀’를 ‘주제-없는-재현’으로 정의하여 기술하고 있다. ‘주제-없는-재현’이란 어떠한 것을 지시하는 상황이나 설명이 없는 사진적 재현이다. 작가가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푼크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기 전에는 실제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의미를 명확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운 재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는 변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 사진 이미지의 사실성과 익명성을 통해 작가의 일방적인 의미를 전달하기 보다는 관객의 입장에서 다각적으로 의미를 발생하는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심리적 요인으로 표현된 무채색과 판화 과정에서 오는 각인과 흔적이라는 물리적 행위와의 연관성을 탐구하고, 표현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서술하고 있다. 본인은 기존의 회화와는 달리 판화 작업을 통해서 ‘푼크툼’을 경험하게 된 사진을 재현하고 있다. 이는 판의 요철(凹凸)에 의한 선과 면으로 각인되고 정제하여 표현되고, 모노타이프 기법을 활용해 얼룩을 만들어 의도와 우연의 효과로 고정된 이미지 사이에서 자유로운 여지를 남겼다. 이러한 과정은 판화와 회화의 중간적인 표현으로 ‘어린 소녀’라는 불분명한 경계의 대상을 재현하는 것과 동일선상에 있다. 아크릴판의 드라이포인트 작업은 동판과 달리 인체를 섬세하게 표현하는데 장점을 갖고 있으며, 보편적 형상인 신체를 통해 아이의 중성적 특성을 통한 불분명한 경계의 의미가 시각적으로 명확해지도록 하였다. 드로잉은 본인이 마치 프레스기가 되어 판화공정을 행위로 재현하여 종이 위에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판화를 통해 표현하기 어려운 물과 천의 질감을 사진을 통해 표현하였다. 이것은 아이의 불안한 정체성을 사물과 함께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설치에서 오는 겹침의 이중 이미지와 조명에 의한 이미지의 그림자를 통해 부유(浮游)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어린 소녀’에게 경험한 푼크툼 즉, 현대의 방황하고 자아 정체성을 찾지 못하는 모습을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간접 화법인 판화는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하는 매체이다. 사실성과 익명성을 보장해주는 사진이미지를 수공과 기계적인 판화 공정의 물리적인 행위를 거쳐 의미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판화는 사진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회화의 관계와도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판화는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과 같은 타자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양성과 표현의 자유에도 불구하고, 비효율적이며 고전적인 표현 과정, 그리고 상업성으로 인해 외면당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인은 점점 시장에서 소외되는 판화 매체를 통해 ‘어린 소녀’라는 불확실하고 경계에 있는 타자(他者)를 형상화하여 주류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과 연결하고 있다. 이는 특정 대상을 표현하여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고, 현시대의 흐름을 읽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행위를 통해 앞으로 진행할 작업과 삶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장성숙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일본어 습관상에 관한 일고찰 본 논문은 특정 시・공간속에 구체적(액츄얼)으로 존재하지 않고 일정 기간에 걸쳐 되풀이되는 추상화(포텐셜)된 동적 사태에 대하여 통언어학적인 연구를 참고로 하여 일본어에서 파악되는 기존의 「반복상」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통언어학적 흐름에 맞춘「습관상」으로 인식한 후, 일본어의 「습관상」에 관한 의미적인 특징과 통어적인 특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スルーシテイル」형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습관상의 형태적인 연구에서 더 나아가 문 레벨에서 보이는 습관상 중에서 일정한 문형을 통해서 실현되는 습관상을 별도 카테고리로 설정하여 무표형식 이외에 유표형식으로도 습관상은 표현될 수 있으며, 특정 단어에서도 습관상이 표현되고 있음을 살펴 봄으로써 문 레벨에서 어휘 레벨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습관상의 실현 양상을 다루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서론과 본론 결론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배경과 연구 목적, 선행연구와 문제제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서론의 3장에서는 본격적인 고찰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작업으로서 일본어와 타언어(주로 영어)에서 채용되고 있는 습관상 및 그 주변을 둘러싼 용어를 정리하고 본고의 입장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본론은 크게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습관상의 규정을 둘러싼 논의로 습관상의 의미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습관상」이 문장내 주체의 <특징 및 속성을 기술>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습관상」과 「특성」간의 의미적인 연속성과 차이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습관상」과 「특성」의 의미적인 연속성은 둘다 주체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주체 내부에서나(일반주체) 주체가 이루고 있는 사태 내에서(개별주체),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예외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속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주체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습관상은 신(新)정보, 특성은 구(舊)정보에 관한 특징 및 속성 기술이라는 점과 연역적 방법으로 특징기술이 가능한 「특성」문과는 달리「습관상」은 과거 사태를 관찰한 후에 특징 추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특성」과 「습관상」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습관상의 프로토타입을 미리 설정해 보았는데 본고에서 간주하는 전형적인 습관상은 추상적인 사태를 표현하되, 개별주체의 특징기술하면서 아스펙트 대립의 중화를 허용하지만 텐스대립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습관상을 마크하는 빈도부사 및 시간부사들과 공기가능한 것이라 하고 있다. 이런 전형적인 습관상에 관한 제시는 2장~4장의 본격적인 고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선행작업이자 본고의 최종 고찰목표이기도 한데 습관상의 통어적 특징을 고찰하기에 앞서 간략하게나마 습관상의 의미적인 규정을 한 이유는 일본어의 습관상은 전용형식이 없어서 문장의 의미를 토대로 습관상으로서 고찰할 문의 범위를 정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2장에서는 무표형식으로 표현되는 일본어 습관상의 통어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통어적 특징은 크게 <술어부, 부사, 주어부>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먼저 술어부에서 보이는 특징으로 운동동사뿐 아니라 내적정태동사까지 포함한 대부분의 일본어 동사는 「スルーシテイル」형태로 습관상을 표현할 수 있지만 동사의 의미자질에 따라 <완성상 습관상> <결과계속 습관상>과 <동작계속 습관상>으로 각각 다른 의미의 습관상을 실현하고 있었다. 다만 운동동사 중에서는 습관상을 실현할 수 없는 부류가 있는데 이는 동사가 지닌 동작 의미의 「과정성」과 「복원력」 부재에 근거한다고 주장하였다. 술어부에서 보이는 두번째 특징으로 「スルーシテイル」의 대립이 중화되는 현상을 工藤(1995)의 연구를 토대로 기술하였다. 아스펙트 대립의 중화현상이 Sub-event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한 후, 기존의 중화현상에서 거론된 개별 케이스에 대해 텐스별로 체크하여 중화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와 중화가 허용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았다. 통어적 특징의 두번째로 습관상을 마크하는 대표적인 부사들을 「시간부사」와 「빈도부사」로 구분하여 각각을 리스트업 해 보았다. 기존에는 습관상을 마크하는 부사로 고빈도 및 규칙성을 나타내는 「빈도부사」정도만이 언급되었으나 본고는 고빈도보다 안정적으로 습관상을 어필하는 「저빈도 부사」및 일정 기간대를 설정해 주는 「시간부사」도 습관상을 마크하는 부사로 간주할 것을 제시하였다. 습관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고빈도나 규칙성이 중요하다기 보다 주체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본고의 초기 가정에 의거한다면 빈도나 규칙성을 알 수 없는 제로마커 문장에서도 가장 전형적인 습관상이 실현되고 있는 예문으로 그 가정은 뒷받침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주어부에서 보이는 통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습관상이 특성과 구별되기 위해서는 주어부 특히 주체의 특징에서 두드러지는데 습관상과 특성 모두 개별 주체 및 복수의 주체(보통명사, 일반주체)를 지닐 수 있으나, 개별주체 및 수식어나 복수접미어 등으로 한정이 되는 복수주체는 보다 구체적인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에 습관상에서 나타나는 주체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정성이 없는 주체가 오는 경우에도 습관상을 표현하고 있는 예문이 많은데 그런 예문은 유정주체가 전면화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였고, 특성문인 경우에 주체는 무정주체를 많이 허용하기 때문에 유정성이 없는 주체는 주변적인 습관상으로 정리될 수 있다. 주체가 「일반인」「우리」「모두」와 같이 문장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유정성이 없는 주체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변적인 습관상으로 정리된다. 제3장은 2장의 무표형식으로 표현되는 습관상 이외에 일정 문형 (조립형식)을 통하여 습관상을 실현하고 있는 예문을 따로 분류하여 유표형식으로 표현되는 습관상으로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복문형태로 습관상을 표현하는 「と」「たびに」문형의 예문과 단문형태로 습관상을 표현하는 「ばかり」「タものだ」문형의 예문을 제시하여 이들도 습관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검증하였고 특히 과거 습관상의 전용형식으로 「タものだ」를 자리매김할 것을 제안하였다. 제4장에서는 단어레벨에서 습관상이 실현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 보았다. 우선 복수성과 관련된 동사들을 조사하여 단수주체의 복수동작인지 복수주체의 복수동작인지를 구별하여 각각 항목별로 고유동사와 한어동사로 세분하여 고찰하였다. 한어동사와 고유동사 중 복합동사인 경우에는 동사내부에 동작의 특징성을 부여하는 수식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어가 개념화 및 추상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비교적 습관상을 잘 실현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단일동사는 아무리 복수 동작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다회성에 그쳐 습관상을 실현하는 예는 찾기 힘들었다. 마찬가지로 복수주체로 나타나는 복수성으로도 습관상을 표현할 수는 없다는 것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배경 및 연구동기는 통언어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습관상에 대한 연구가 바탕이 되었다. 일본어의 습관상도 통언어학적 관점에서 조명한다면 그 특징이 더욱더 체계적으로 밝혀질 것이라 가정하여 고찰이 이루어졌으나 폭넓은 타언어에 대한 개별조사 및 이론적 토대, 다양한 예문 수집을 통한 기술적인 연구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미흡하나마 본 논문은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적 준비과정 정도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기독교 청소년의 사회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 오산지역을 중심으로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Christian youths' sense and attitude toward social service activities centering on Osan area,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promoting their sense of social welfa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limited to Christian youths who were attending churches in Osan area. Churches with the students' association were selected and visite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at each chur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about 4 months from October 30 2001 to February 30 2002, and 187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SPSS statistic analysis tool,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respondents' attitude toward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social welfare, problems with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service activities by church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s for the degree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68.4% (128) of the respondents replied 'do a little' and 6.4% (12) replied 'not at all'.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not many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s for the sense of social welfare, 67.9% (127) of the respondents replied 'know a little', 25.1% (47) replied 'do not know', and even 3.7% (7) of them replied 'do not know at all.' 3.2% (6) of the respondents replied 'know well'. Thus about 70%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be acquainted more or less with social welfare, and as many as 25% were ignorant of social welfare. This suggests that promotion and education of welfare system is urgently required. Second, with regard to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social services, 49.2% (93) of the respondents replied 'definitely necessary', and 43.3% (81) replied 'somewhat necessary. Compare to them, those who replied 'not necessary' were only 5.3% (10). Thus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strongly the necessity of social services. In addition, 61.0% (115) replied that welfar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Third, with regard to questions about social service activities performed by churches, 61.5% (115) of the respondents replied 'do a little', 17.6% (32) replied 'do much', 19.8% (37) replied 'hardly do', and 1.1% replied 'do not at all.'. This shows that churches are participating more ore les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spondents' attitude toward social services, the more they knew about social welfare, the more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his suggests that those who have knowledge about social welfare tend to continue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present research showed, from its survey of the sense of Christian youths in Osan area, that they felt strongly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Especially, it was a dominant idea that education for lay Christians must precede social service activities. This suggests that education is important for promot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irst of all, to prepare education programs about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within churches to enhance Christian youths' sense of social welfare. Furthermore, local communities must provide areas where youths can participat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namely, grounds for practice. Then, youths will have much advanced sense of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actively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which will, in turn, become a driving force for developmental changes in community welfare through community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