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면적 기호를 통한 자아탐색의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장성숙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 있어 물질의 양적 팽창은 인간의 개인 간, 집단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하여 정신세계의 위축과 인간적 가치에 대한 흔들림으로 연결되고 있다. 또 현대의 문명의 발달에 대응하여 인간의 정신적 발달이 미치지 못함에 따라 인간을 통제하기에 이르렀다. 현대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 카알 야스퍼(Karl TheodorJaspers,1883- 1969년)는, 집단생존 속에서 인간은 사물화 되어 인간으로서의 본질을 상실하고 한갖 기능에 지나지 않는 것이 되며, 세계는 운명도 없고 본래적 인간성도 없는 사람들의 수중으로 넘어 간다는 점을 강조 했다. 즉, 현대인은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형으로 자신을 만들어 가면서 사회 속에 귀속감을 느끼고 적응하게 된다. 이렇듯 현대인은 누구나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자기소외, 자아상실, 불안 의식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 다룰 내용은 현대사회의 공허함 속에서 분열하는 자아의 내면성을 형태적 기호를 사용하여 자아의 회복이라는 문제점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술 활동은 초월자의 암호 언어이며, 형태적 기호를 매개로하여 초월자와 관계하는 삶 속에서 자유로운 결단의 주체, 자기의 삶의 주인으로서 자아를 확인하는 내적 행위에서 만들어진다고 봄으로, 본 연구에서 형태적 기호를 통해 인간내면의 갈등과 자아정립의 반복 속에서 인간다운 자아를 찾아가는 내면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현대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물질만능주의에 빠져 자신의 자아를 잃고 마음의 혼란과 정신의 피폐로 고통을 겪는 인간의 문제점을 고찰해보고 그 과정을 통해 인간의 이상적 자아를 그려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예술 창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아 탐색의 형태적 기호에 대한 상징성과 정신구조는 어떻게 형성이 되었는지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다음 장에 설명할 예술 활동에 보여지는 외적 표현과 내면성 분열과의 상호 작용을 알아보는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현대인에 대한 자아의 대립과 갈등으로 인한 내면의 분열현상을 회화사로 살펴보고 인간다운 자아회복의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토대로 예술 활동의 보다 심층적 자아를 연구하기 위해 본인의 작품 속 내면을 살펴보았다. 연구자의 작품내면의 형상적 기호와 천의 겹침으로 인한 형상의 소멸은 현대사회속의 혼돈과 상실된 자아, 자아의 현실로부터 탈피 그리고 이상적 자아를 추구하기 위한 변화하는 내면의 분열 현상에 대한 표현이며, 더 나아가 자아탐색을 통해 진정한 자아의식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로 볼 수 있다. Ⅴ장에서는, 진정한 자아라는 것은 인간의 삶을 방법과 방향에 대한 그 나름의 처방을 해주는 것이라고 결론 짓고자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이데아는 이상적인 꿈의 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자아를 찾는 순간 보이는 곳‘이라 생각한다. 이처럼 자아를 찾는 행위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행위이며 자아를 상실한 인간은 기계나 동물과 같다고 볼 수 있다.

      • 콜라주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장성숙 평택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향상을 위해 콜라주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 인가를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향상을 위한 콜라주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 것인가? 둘째, 콜라주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프로그램개발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콜라주중심 진로집단상담의 환경적특성, 사회과학적특성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개발의 환경에 가장 적절한 연구체계를 고려하여 조사, 분석, 설계, 개발, 실시, 평가의 6단계 모형으로 개발하였다. 1단계, 조사단계에서는 대학생의 진로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SPSS 18.0으로통계 처리하여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단계 분석단계에서는 관련선행연구와 이론적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3단계인 설계단계에서는 목표설정과 내용선정 및 구성, 평가도구 선정을 하였다. 4단계 개발단계에서 는 프로그램을 구체화 하였으며, 5단계 실시단계에서는 8명의 집단으로 구성된 대학생에게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연구대상자 및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수정 보완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을 8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주2회 90분씩 실시하였다. 6단계 평가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 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진로준비행동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t 검증을 하였고,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통해서 집단 간의 평균의 차를 검증하였고, 각 집단 간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서 Scheffe의 사후검증을 하였다. 또 한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언어빈도를 분석하여 회기별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프로그램 개발절차를 따라 개발된 콜라주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향상에 통계적으로 효과적이었으며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회기별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관련 언어 빈도변화가 프로그램의 초기, 중기, 후기단계에 따라 자기이해, 직업세계이해, 직업능력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객관적인 연구절차와 이론적 접근에 근거한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콜라주기법의 유용성에 따른 효과, 특히 콜라주기법의 이미지를 통한 진로에 대한 통찰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효과를 이끌었으며 대학생에게 보다 쉽고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 대학생의 진로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왔으며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 동사무소 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9개 구청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장성숙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로 인하여 예기치 않게 맞이한 경제적 난국은 대량의 실업사태와 함께 사회적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가중시켜 사회복지 대상자를 양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주민의 복지요구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해결해주고 저소득가정의 자활의욕을 고취하는 일을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현장의 복지요구를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통로와 수단을 갖고 있으므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는 사회복지사 개인의 복리뿐만 아니라 서비스 대상자에게 전달되는 서비스의 수준을 결정함으로써 사회복지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시각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명료화를 시도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직운영과 인력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복지수혜자에게 더욱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의 개념 정의 및 선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경험적 조사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연구에서는 서울시 9개 구청 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무만족실태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총122명이 연구대상이 되었고 조사기간은 1998년 4월 10일부터 4월 25일까지였다. 조사도구로는 기존연구에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묻는 9문항,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20문항 및 업무개선을 위한 2문항, 총 37개의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하위척도군은 승진, 보수, 직업적 긍지, 업무자체, 인간관계, 자율성, 자아발전, 이직 등이다. 자료는 기초분석(빈도분석, 백분율)과 χ²(chi-square Test)등의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30세 이상이 가장 많은(89.3%) 분포를 보였으며 기혼이 75.4%, 교육수준은 대학졸업이 84.4%를 차지했다. 대상자의 공무원 근무경력은 7년이 가장 많았으며(87.7%) 직급은 7급이 87.7%로 나타났다. 종교의 유무에서는 종교를 가진 사람이 65.6%이었으며 공무원이 된 동기로는 공익에 봉사하려는 신념이 29.5%, 직장에 대한 안정감 때문에가 28.7%로 응답했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내용분석을 살펴보면 승진에서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불만족하고 보수에 있어서는 과반수 이상이 보통이라고 응답하였다. 직업적 긍지, 업무자체에서도 과반수이상이 긍지를 느끼면서 근무를 한다고 응답했으며 상사와 동료간의 인간관계에서는 어느 정도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나 상사의 부하직원에 대한 불만이해정도는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에서 업무처리와 관련된 의사결정만족과 업무추진시 업무량조절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이 그렇지 않다고 했다. 근무환경과 자아발전에서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사람이 절반 가까이 차지하였으며 이직에 관해서도 과반수 가까이 이직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사무소 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업무량만족, 업무량비교, 업무긍지)에 대하여 직무만족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의 가설검증에 대한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① 승진에 만족할 때 직무만족도는 높을 것이고 불만족일 때는 직무만족도가 낮을 것이다. ② 보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다. ③ 인간관계가 만족스러우면 업무긍지는 높아지지만 업무량이나 업무량비교는 의미 있는 변수는 아니다. ④ 자율성이 높으면 직무만족도 역시 높아진다. ⑤ 근무환경에 만족할 경우 업무량이나 업무긍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⑥ 사회적 인정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진다. ⑦ 이직의사 유무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직무만족은 개인적 특성들과 직무자체를 비롯하여 기관의 조직체계, 환경, 인간관계, 자율성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한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동사무소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향상을 위해서는 상위직급으로의 승진기회의 확대, 업무에 대한 자율성의 부여 및 업무의 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기능에 미치는 효과

        장성숙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택적 함묵증 아동에게 있어서 위축과 우울/불안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행동이며 그 문제 행동과 함께 사회성 기능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선택적 함묵증을 가진 아동에게 활동중심의 미술치료를 중재하여 그 효과를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아동은 DSM-Ⅳ기준의 선택적 함묵증 진단을 소아정신과에서 받은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의 남녀 아동2명이며,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검사에서 임상범위 안에 있고 사회성 기능검사(SSRS)에서 임상범위에 있는 아동을 선정,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실시기간은 2007년 9월에서 10월까지 주2회씩 15회기로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초기단계에는 친밀감을 형성하고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기에는 욕구를 분출시키고 정서를 안정시키며 문제행동을 소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후기에는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부드럽고 편안한 매체에서 활동에 부담이 없는 마른매체로 진행하며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 이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사전, 사후 비교결과 대상자 A아동은 위축7점 우울/불안 17점, B아동은 위축8점 우울/불안14점의 감소점수를 나타낸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 아동의 사회성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이는 SSRS의 하위영역 협력, 자기주장, 책임감, 자아통제 점수의 사전 사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A아동의 경우 협력1점, 자기주장4점, 책임감1점, 자아통제2점의 증가점수를 나타냈고, B아동의 경우 협력6점, 자기주장2점, 책임감3점, 자아통제8점의 증가점수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 중 위축, 우울/불안 의 감소는 사회성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 대상아동 모두 문제행동 중 위축, 우울/불안의 감소점수와 사회성기능의 점수가 향상된 결과는 이를 입증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기능에 효과적이다 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선택적 함묵증 아동에게 미술치료의 적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ithdrawal, depression, and anxiety are not unusual symptoms for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who often show such problem behavior, in that they somehow end up with lower social skills. This study, thus, is to check if and how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can help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nd its effects. Study subjects are one boy and one girl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who are diagnosed by pediatric mental hospital as having selective mutism according to DSM-IV and diagnosed also as having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K-CBCL and SSRS. The children were given an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consisting of a total of 15 sessions, twice a week,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of 2007. There were three stages in the therapy program, in that the first stage focused on establishing intimacy to release tension; the second on exploding desire, stabilizing emotion, and eliminating problem behavior; the third on improving the skills for expression and sociability with dry media rather than soft ones in order to provide them more freedom or room for various activities.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gives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ccording to K-CBCL, the child A has less scores at posttest than pretest with withdrawal 17 points and depression/anxiety 17 points, while the child B has withdrawal 8 points and depression/anxiety 14 points lessened. Second,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social functions of children with selctive mutism. As to sub-categories of SSRS, increased are the posttest scores from the pretest ones as much as, for the child A, cooperation 1 point, self-assertion 4 points, responsibility 1 point, and self-control 2 points, contrasted to the child B with cooperation 6 points, self-assertion 2 points, responsibility 3 points, and self-control 8 points. Third, reducing the symptoms of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would improve the children's sociability functions. This is proved with evidence that all of the children involved in this study having received the therapy ended up with a lower score for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but a higher score for social functions. To conclude, art therapy is positively effective for problem behavior and sociabilit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nd shows a possibility that art therapy can contribute to effectiv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 '어린 소녀’형상을 통한 자아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성숙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ontents of artworks and expression form by based on my private printmaking jobs working from 2010 to 2012 that present the contemporary man who do not find self-identity like floating matter using ‘little girl’ modeled figure. There is the diverse and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artworks. Today, hung capitalism and the highly-advanced communications technology expand the richness of life and freedom of expression. But peoples who do not establish the self-identity like the floating and fragmented matter are increasing because of imposing dominant values which the needs of the time in fast-paced environment. Some post-modern artworks is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and anonymity using the expression of marginalized characters (women, people of color, homosexuals, children, the elderly, etc.). See the representative artist such as Cindy Sherman(1954~) and Diane Arbus (1923 ~ 1971). This dissertation is to depart from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 'little girl' modeled figure reflects the contemporary trauma. To achieve this, I psychoanalytically explore the theoretical approach over Sigmund Freud(1856~1939) and Jacques Lacan(1901~1981) and explain the little girl’s identity and growth stage. And I analyzes the periodical and social position of modeled figure ‘little girl’ and links the Sally Mann(1951 ~) photographs. Also I explain the punctum which was experienced the photo shoots of my nephew based on Roland Barthes(1915~1980) theory. To do this, modeled figure ‘little girl’ connects the contemporary people’s image that uncomfortable and decentralized psychological situation. My artworks works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 expressed by ‘Representation-without-theme’. The photographic-based representation which do not designate or explain is defined as ‘Representation-without-theme’. In other words, there is no right meaning about the artworks before understanding the punctum that the artist wants to express the meaning making the artworks. An artwork that is expressed in ‘Representation-without-theme’ provides multiple meanings that interpreted by spectators excluding the subjective meanings that is provide by artist. Therefore, the ‘Representation-without-theme’ does not express the artwork without theme. This representation is multifaceted and defined vaguely artwork’s meanings. These images are represented by psychological factors colorless and comes imprinted with the traces of the printmaking process, and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physical act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narrative. My printmaking job expresses the punctum that experiences the photos and is differenced the painting works. This job is carved and expressed the plates made of embossing and intaglio. The intentional stain of printmaking image using monotype skill produces the effect that is aimed meaning or not. This artwork’s is the middle position between painting and printmaking. And this job connects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 that is expressed the ambiguous image like floating matter or standing the border line. Drypoint works using acrylic plate have a benefit that express the body more delicate than copper plate and produce the indistinct image presented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s body. Because of the printmaking limitation, I express the little girl’s shape using drawing and photo. Beyond the limits due to the size of the presses, I like drawing presses have been literally was reproduced on a piece of paper. Drawing works is likely the printmaking that drawing press is on a piece of paper act to reproduce the printmaking process were expressed. Finally, photos express the texture of water and cloth that hard to express the printmaking. I want to express the contemporary people’s shape who do not find the self-identity like floating matters using the duplicated photograhic images produced by lights. Printmaking is the works that express indirectly and moderate the feeling. My works produce the presentation of photos using printmaking process. The modeled figure ‘little girl’ make an expression that neglected person who wander the border line. Printmaking works do not vastly use because the process is difficult and hard. Though the printmaking works is not hardly the attention of artist, my artworks using printmaking to express the little girl which present the people who do not concentrate on mainstream. I'll check my appearance, which express a particular target, and the process of reading the flow of contemporary.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forward progress of work and life through acts of initiative to recognize and express.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한 자아 정체성을 찾지 못해 부유(浮游)하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을 타자(他者)인 ‘어린 소녀’로 형상화한 판화 작업을 토대로 내용 및 표현 방식을 분석하였다. 고래(古來)부터 사회와 미술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구조 안에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형성해왔다. 오늘날 거대한 자본주의와 첨단 통신 기술의 발달은 생활의 풍요로움과 표현의 자유를 가져왔지만,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시대가 요구하는 지배적 가치관의 강요로 인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분열되고 파편화되어 부유하고 있는 현대인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 미술은 소외되었던 타자(여성, 유색 인종, 동성애, 아이, 노인 등)를 표현하여 차이와 익명성, 자아 상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에 대표적인 작가로 신디 셔먼(Cindy Sherman, 1954~)과 다이안 아버스(Diane Arbus, 1923~1971)를 들 수 있다. 본 논문은 ‘어린 소녀’라는 대상을 형상화하여 시대적 트라우마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정신분석학의 자아 정체성에 대한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와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여 타자(他者)인 어린 소녀의 정체성과 발달 단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린 소녀’가 시대적, 사회적 위치에서 형성되는 자아 정체성과 심리적 상황을 분석하고 샐리 만(Sally Mann, 1951~)의 사진 작품을 분석하였다. 또한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어린 조카의 사진에서 경험한 ‘푼크툼(Punctum)’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 소녀’의 형상이 불안하고 탈중심화된 심리적 상황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것은 삶의 방향을 잃고 표류하는 현대인의 모습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어린 소녀’를 ‘주제-없는-재현’으로 정의하여 기술하고 있다. ‘주제-없는-재현’이란 어떠한 것을 지시하는 상황이나 설명이 없는 사진적 재현이다. 작가가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푼크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기 전에는 실제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의미를 명확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운 재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는 변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 사진 이미지의 사실성과 익명성을 통해 작가의 일방적인 의미를 전달하기 보다는 관객의 입장에서 다각적으로 의미를 발생하는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심리적 요인으로 표현된 무채색과 판화 과정에서 오는 각인과 흔적이라는 물리적 행위와의 연관성을 탐구하고, 표현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서술하고 있다. 본인은 기존의 회화와는 달리 판화 작업을 통해서 ‘푼크툼’을 경험하게 된 사진을 재현하고 있다. 이는 판의 요철(凹凸)에 의한 선과 면으로 각인되고 정제하여 표현되고, 모노타이프 기법을 활용해 얼룩을 만들어 의도와 우연의 효과로 고정된 이미지 사이에서 자유로운 여지를 남겼다. 이러한 과정은 판화와 회화의 중간적인 표현으로 ‘어린 소녀’라는 불분명한 경계의 대상을 재현하는 것과 동일선상에 있다. 아크릴판의 드라이포인트 작업은 동판과 달리 인체를 섬세하게 표현하는데 장점을 갖고 있으며, 보편적 형상인 신체를 통해 아이의 중성적 특성을 통한 불분명한 경계의 의미가 시각적으로 명확해지도록 하였다. 드로잉은 본인이 마치 프레스기가 되어 판화공정을 행위로 재현하여 종이 위에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판화를 통해 표현하기 어려운 물과 천의 질감을 사진을 통해 표현하였다. 이것은 아이의 불안한 정체성을 사물과 함께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설치에서 오는 겹침의 이중 이미지와 조명에 의한 이미지의 그림자를 통해 부유(浮游)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어린 소녀’에게 경험한 푼크툼 즉, 현대의 방황하고 자아 정체성을 찾지 못하는 모습을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간접 화법인 판화는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하는 매체이다. 사실성과 익명성을 보장해주는 사진이미지를 수공과 기계적인 판화 공정의 물리적인 행위를 거쳐 의미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판화는 사진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회화의 관계와도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판화는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과 같은 타자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양성과 표현의 자유에도 불구하고, 비효율적이며 고전적인 표현 과정, 그리고 상업성으로 인해 외면당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인은 점점 시장에서 소외되는 판화 매체를 통해 ‘어린 소녀’라는 불확실하고 경계에 있는 타자(他者)를 형상화하여 주류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과 연결하고 있다. 이는 특정 대상을 표현하여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고, 현시대의 흐름을 읽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행위를 통해 앞으로 진행할 작업과 삶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실태와 개선방안 : 仁川廣域市를 中心으로

        張誠淑 中央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We're rising in standard of living that is increase the economic growth continuously, When the medical science is develop, the average span if human life is extend. If the aged population increase, the senile demetia is also increase necessary. Now, the medical expenses for each person who is above 75 years aged person is aggregate to sextuple by non-aged and following the log-stay medical treatment is getting more and more difficult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medical treatment bills burden increasing. Futhermore, the spirit of filial piety and respect for the aged become different with asylum entrust to safing that ideal filial duty is growing tendency that a matter of course. The change of consciousness is getting more deeply to involved then, the solitary life aged and the head of aged family is increase that it needs to health treatment and asylums for aged's get requests of increment more when the disease break out. In this research, it was determined the welfare for the aged problem and reform the measure. First of all, in physically, and it reeleck to need that the asylum and miss something apart. Secondly, in mancentered case, it has cultivate the speciality human agency, geriatricians, nurses and the law for the welfare of the aged. Also, it has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of aged although various program development. Thirdly, in the legal system, exp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port and rational security. Although, the local society dwellers step up mutual cooperative ties, have to conduct positively with the local society grantees and improve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such a way to meet the realistic needs of civil lives. Especially, it is getting increase above 65 years person to 7.1%, 3370000 people in 2000 and goes into the aging society, In 2022, it goes into aged society to 14.3%. We remain that our future about their aged welfare problem In the U.S, Japan and the major advanced nation, it is decreased the number of sickbed of the general hospital but it is increase the nursing asylum, the geriatrics hospital, aged health facilities to depature to the long stay. The other side, we are on increasing trend the sickbeds but need to the asylums to supply the long care service and sickbeds. Thesis, we need for such an institution and is keenly felt like to the major advanced nation.

      • 기독교 청소년의 사회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 오산지역을 중심으로

        장성숙 翰林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Christian youths' sense and attitude toward social service activities centering on Osan area,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promoting their sense of social welfa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limited to Christian youths who were attending churches in Osan area. Churches with the students' association were selected and visite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at each chur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about 4 months from October 30 2001 to February 30 2002, and 187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SPSS statistic analysis tool,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respondents' attitude toward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social welfare, problems with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service activities by church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s for the degree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68.4% (128) of the respondents replied 'do a little' and 6.4% (12) replied 'not at all'.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not many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s for the sense of social welfare, 67.9% (127) of the respondents replied 'know a little', 25.1% (47) replied 'do not know', and even 3.7% (7) of them replied 'do not know at all.' 3.2% (6) of the respondents replied 'know well'. Thus about 70%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be acquainted more or less with social welfare, and as many as 25% were ignorant of social welfare. This suggests that promotion and education of welfare system is urgently required. Second, with regard to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social services, 49.2% (93) of the respondents replied 'definitely necessary', and 43.3% (81) replied 'somewhat necessary. Compare to them, those who replied 'not necessary' were only 5.3% (10). Thus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strongly the necessity of social services. In addition, 61.0% (115) replied that welfar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Third, with regard to questions about social service activities performed by churches, 61.5% (115) of the respondents replied 'do a little', 17.6% (32) replied 'do much', 19.8% (37) replied 'hardly do', and 1.1% replied 'do not at all.'. This shows that churches are participating more ore les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spondents' attitude toward social services, the more they knew about social welfare, the more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his suggests that those who have knowledge about social welfare tend to continue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present research showed, from its survey of the sense of Christian youths in Osan area, that they felt strongly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Especially, it was a dominant idea that education for lay Christians must precede social service activities. This suggests that education is important for promot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irst of all, to prepare education programs about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within churches to enhance Christian youths' sense of social welfare. Furthermore, local communities must provide areas where youths can participat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namely, grounds for practice. Then, youths will have much advanced sense of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actively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which will, in turn, become a driving force for developmental changes in community welfare through community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