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요구조사 :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장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요구조사: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장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본 연구는 서울지역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개선요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위한 목적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 대한 이용도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현황은 어떠한가? 1-1.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교육을 위한 물적 자원 및 인적 자원 활용현황은 어떠한가? 1-2.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교육 시행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2. 서울지역 보육시설 교직원(이하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이용도 및 요구도는 어떠한가? 2-1.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방문 및 프로그램 참여경험은 어떠한가? 2-2.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이용도 및 요구도는 어떠한가? 2-3. 보육교직원의 변인(직위, 경력, 학력, 근무시설 유형)에 따른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이용도 및 요구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 권역별 총 5개 구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현재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 설문지 중 자료처리가 가능한 332부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일원분산분석 및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에 대해 Scheffe test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보육시설의 96.7%가 지역사회 연계 교육활동을 시행하고 있으며 운영횟수는 연 5회 이상에서 13회 미만으로 실시하고 있다. 현재 보육시설에서 지역사회 연계교육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물적 자원은 자연체험이며, 인적 자원으로는 급식지원센터의 인력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연계교육 시행의 어려움은 지역사회와의 협조체계 부족과 지역사회 내 자원부족을 가장 심각하게 느끼고 있으며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과 현장학습을 위한 기관이나 시설확충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지역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방문횟수는 총 1~2회가 가장 많았고, 응답자의 88%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시행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경우, 미참여 이유로는 1순위‘제공되는 사업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2순위‘시간이 맞지 않아서’, 3순위‘이용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의 순으로 응답이 나타났다. 넷째, 서울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사업내용에 따른 이용도 및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현재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 중 정보지원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보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울지역 보육교직원의 변인에 따른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이용도 및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직위에 따른 이용도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요구도는 정보지원과 보육지원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이용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요구도에서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분석결과는 이용도와 요구도 모두 보육지원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시설 유형에 따라서는 육아지원 프로그램의 이용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모든 자치구에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선행연구는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보육시설과 지역사회 연계기관인 서울육아종합지원센터의 이용도 및 요구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돕고, 궁극적으로 보육서비스의 대상인 영유아의 성장을 위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최적화된 지역사회 연계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서울지역, 지역사회 연계,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이용도, 요구도

      •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장선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pursuit for beauty is a human being's eternal interest. Owing to the development in media and internet, the exchange and expansion of information on make-up is getting faster and broader. Thus, the age of beginning make-up is getting faster gradually in teenagers who have early met with diverse media and internet environment. These adolescents are a group with the highest interest in own body and appearance and a group of having consumption pattern of pointing to imitation, fashion, and appearance, thereby being major customers in beauty industry and potential consumers of coming to have the bigger purchasing power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duct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y for adolescent-based cosmetics market, which is changing rapidly. Even these adolescents' social recognition on make-up behavior was considered. This study extracted samples targeting 1074 boys and girls from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in Seoul area. The collected material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 18.0 program. To grasp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on research subjects' recognition level on skin care and make-up realities, purchasing behavior, and make-up behavior. To examine which difference is show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demographic variable and each variable, (Chi-square) test was carried ou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adolescents' skin type, the combination skin in girl students accounted for 29.5%,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the largest. The oily skin in boy students accounted for 40.2%,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the highest. About half of students in both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selected acne as the greatest skin trouble. To solve skin trouble, the girl students were the largest in the use of cosmetics with 41.0%. The boy students were the largest in a case of leaving just as it is with 58.1%.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adolescents' realities of using cosmetics, the basic cosmetics was being used by 86.9% of girl students and 41.2% of boy students. In case of make-up cosmetics, it was indicated to be used by 52.2% of girl students and 3.9% of boy students. The period of having used basic cosmetics for the first time was the highest in elementary school with 47.5% as for girl students and in middle school with 52.7% as for boy students. The younger school year leads to the noticeably higher in ratio of beginning from elementary school.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about adolescents'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64.6% of girl students and 15.4% of boy students purchased cosmetics themselves. 76.2% of students purchased cosmetics at cosmetics specialty store(road shop, brand shop included). Rather than price or brand, the skin compatability(68.5% of girl students, 49.2% of boy students) was chosen a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purchase. As for information on cosmetics, the girl students had high tendency of getting from internet(38.4%), family, or close acquaintance(33.3%). The boy students had big tendency of depending on advertisement(35.0%).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no great influence(26.8% of girl students, 11.3% of boy students) upon actual purchase even though having an interest in a star model who advertises cosmetics. Plastic surgery is desired by 53.7% of girl students and 18.1% of boy students for improving appearance. The higher school year led to showing the aspect of a rise in frequenc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recognition level on adolescents' make-up behavior, 54.3% of students desired make-up within school. However, only 17.4% of students were indicated to be available for make-up. 'A model' friend who doesn't wear make-up at all was unconcerned by about 70% of adolescents or recognized negatively by 15%. 'A delinquent' friend who wear thick make-up was indicated to be unconcerned by 56% and recognized positively by 2.8%. A teacher's make-up was preferred thin make-up(49.7%) and was unconcerned by 37.2%. Only 11.4% of students gave response as saying that the appearance of a teacher's make-up has influence upon satisfaction with class. 23.6% of girl students recognized make-up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only 5.8% of boy students recognized make-up positively. More than half of students were indicated to be indifferent to the make-up appearance by a teacher or other person. As for boy students' make-up, the boy students(26.6%) showed less more negative attitude than girl students(52.1%). Adolescent's age of beginning make-up is getting faster. Owing to a rise in brand shop and health & beauty shop, adolescents' path of coming across cosmetics is getting easier and more diverse. Thus, adolescents' consuming cosmetics is expected to be likely increased further.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of offer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on a method of using cosmetics and a cleansing method in line with adolescents' eye level. Also, it will be need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 male-adolescent market, which is very big in potentiality of growth even if being an unexplored field yet. Make-up is being positioned already as one culture as for adolescents. However, the recognition of school and society is failing to accept make-up. Diverse discourses are overflowing according to each position. However, an effort for enhancing publicity is considered to be needed in order to possibly suggest the consistent standard and form bond of sympathy among adolescents, schools, teachers, parents, and society. There will be a need of seeking specific solution of embracing adolescents' make-up positively through this. 논문개요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는 인간의 영원한 관심사이며,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화장에 대한 정보의 교류와 확산이 빨라지고 광범위해져서, 일찍부터 다양한 매체와 인터넷 환경을 접해온 10대 청소년들의 화장 시작 연령이 점차 빨라지고 있다. 이들 청소년은 자신의 신체 및 외모에 가장 관심이 높은 집단이며, 모방, 유행, 외모 지향적 소비 성향을 가지는 집단으로서, 뷰티 산업의 주요 고객이며 향 후 더 큰 구매력을 가지게 되는 잠재 소비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을 조사, 분석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청소년 화장품 시장의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전략에 기여하고자 하며, 이들의 화장 행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함께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남, 녀 청소년 1074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피부 관리 및 화장실태, 구매 행동, 화장 행위에 대한 인식 정도에 관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각 변인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피부타입을 살펴본 결과, 여학생은 복합성 피부가 29.5%로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지성피부가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정상피부->지성피부->복합성 피부 순으로 빈도가 많아졌으며, 남학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정상피부에서 지성피부 순으로 빈도가 많아졌다. 남, 녀 모두 절반가량의 학생들이 최대의 피부고민으로 여드름을 꼽았으며, 피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여학생은 화장품 사용이 41.0%로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58.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청소년의 화장품 사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86.9%, 남학생의 41.2%가 기초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었고, 메이크업 화장품의 경우 여학생의 52.2%, 남학생의 3.9%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 화장품을 최초로 사용한 시기는 여학생은 초등학교가 47.5%로 가장 높았고, 남학생은 중학교가 52.7%로 가장 높았고, 학년이 어릴수록 초등학교 시작 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기초 화장 품에 대해서 여학생의 67.8%, 남학생의 34.8%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메이크업 화장품은 여학생의 56.7%, 남학생의 18.8%가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학생의 경우 매우 불만족인 경우가 12..5%로 여학생보다 현저히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화장품 구매 시 온라인 쇼핑몰의 비중이 14.5%나 차지하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셋째, 청소년들의 화장품 구매 행동에 관해서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64.6%, 남학생의 15.4%가 본인 스스로 화장품을 구매하며, 76.2%의 학생들이 화장품 전문점(로드샵, 브랜드샵 포함)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며, 가격이나 브랜드보다는 피부 적합성(여학생 68.5%, 남학생 49.2%)을 구매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로 꼽았다. 화장품 관련 정보를 여학생은 인터넷(38.4%)이나 가족, 친지(33.3%)에게서 얻는 경향이 높았고, 남학생은 광고(35.0%)에 의존하는 경향이 컸다. 여학생의 87.3%, 남학생의 24.8%가 저렴한 가격, 우수한 품질 구매의 편리성 등을 이유로 브랜드샵 구매 경험이 있었고, 화장품을 광고하는 스타 모델에게 관심은 있으나, 실제 구매에는 큰 영향(여학생26.8%, 남학생 11.3%)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 향상을 위해 여학생의 53.7%, 남학생의 18.1%가 성형을 희망하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청소년의 화장 행위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54.3%의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메이크업 화장을 희망하였으나, 학교의 17.4%만이 메이크업 화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을 전혀 하지 않는 ‘모범생’친구에 대해서는 70%정도의 청소년이 무관심하거나 13.3%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진한 화장을 하는 친구에 대해서는 56.0%가 무관심하며, 20.7%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화장에 관해서는 연한 화장(49.7%)을 선호하였고, 37.2%는 무관심하였고, 11.4%의 학생들만이 교사의 화장 여부가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하였다. 여학생의 화장에는 23.6%가 긍정적으로 인식한 반면에 남학생의 화장에 대해서는 5.8%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절반 이상의 학생이 교사나 타인의 화장 여부에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의 화장에 대해서는 남학생(26.6%)보다 여학생(52.1%)이 훨씬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청소년의 화장 시작 연령은 더욱 빨라지고 있으며, 브랜드샵과 헬스&뷰티샵의 증가로 청소년들이 화장품을 접하는 경로가 더욱 쉽고 다양해지면서 청소년의 화장품 소비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화장품 사용 방법 및 클렌징 방법에 대한 교육과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아직까지 미개척 분야이지만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남자 청소년 시장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이미 화장은 청소년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학교와 사회의 인식은 청소년의 화장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저마다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담론이 넘치고 있으나, 청소년, 학교, 교사, 학부모, 사회 사이에 일관돤 기준을 제시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공론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이를 통해 청소년의 화장을 긍정적으로 포용하는 구체적인 해결책을 모색해 봐야 할 것이다.

      • Mixed Cyclodextrin/Linoleic Acid 포접 복합체의 제조와 성질

        장선미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LA)의 낮은 용해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mixed cyclodextrins(CyDs)/LA 포접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총 9 종류의 CyD를 사용하여 mixed CyDs를 제조하였으며, 서스펜젼법을 이용하여 포접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포접 복합체의 형성은 시차열량주사계(DSC), 적외선 분광 광도계(FT-IR), X선 회절 분석기(XRD)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확인하였다. 단일 CyD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포접 복합체를 제조한 결과, 단일 CyD에서는 형성되지 않았던 포접 복합체가 mixed CyDs에서는 형성되었다. Mixed CyDs/LA 포접 복합체의 크기는 400∼600㎚였으며, 단일 CyD로 제조된 포접 복합체의 크기와 비슷하였다. Mixed CyDs/LA 포접 복합체의 평균 제타전위 값은 -43.3㎷였으며, 단일 CyD로 제조된 포접 복합체 보다 높게 나타났다. HPLC를 이용한 LA의 포접율과 용출 특성은 mixed CyDs/LA 포접 복합체의 포접율이 단일 CyD로 제조된 포접 복합체 보다 높았으며, 특히 β-DMβ/LA 포접 복합체의 경우 16.5%의 높은 포접율을 보였다. 또한 mixed CyDs/LA 포접 복합체의 융출량은 단일 CyD로 제조된 포접 복합체 보다 높았으며, 특히 β-HPβ/LA와 β-DMβ/LA 포접 복합체의 경우 2시간 동안 100% 용출되었다. The inclusion complexes of mixed cyclodextrins(CyDs)/LA were prepared to improve the low solubility of linoleic adcid(LA). 9 kinds of CyDs were used to prepare the mixed CyDs and the inclusion complexes were made up with the suspension method. The formation of inclusion complexes was verified with DSC, FT-IR, XRD and SEM. As the results of the prepared inclusion complexes in the same way with alone CyD as control, the inclusion complexes not formed in alone CyD were formed in the mixed CyDs. The size of the mixed CyDs/LA inclusion complex was 400~600㎚, which was similar to the size of inclusion complexes prepared by alone CyD. The average zeta potential value was -43.3㎷, which was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inclusion complexes prepared by alone CyD. As the results of characteristics of LA encapsulation efficiency and dissolution with HPLC, the mixed CyDs/LA inclusion complexes were higher than the inclusion complexes prepared by alone CyD. β-DMβ/LA inclusion complex showed high encapsulation efficiency of 16.5%. The dissolution amount of the mixed CyDs/LA inclusion complex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inclusion complexes prepared by alone CyD, especially, the inclusion complex of β-HPβ/LA and β-DMβ/LA dissolved 100% for two hour.

      • MTT 검색을 이용한 쥐 치아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 검사

        장선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연 이식을 위해 발거한 치아를 보관할 경우, 치근 표면에 남아있는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를 높게 유지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MTT 검색을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보인 0℃/2MPa의 조건에서 치아를 며칠까지 보관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쥐의 상악 치아 110개를 총 11개의 군으로 나누어 발치 후 즉시 MTT 검색을 이용하는 양성 대조군과 1일, 2일, 3일, 4일, 7일보관군, 보관군과 동일한 날짜 별로 실온에서 치근 표면을 건조하는 음성대조군 등으로 나누었다. 보관군은 0℃/2MPa의 조건대로 저온고압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모든 치아는 MTT 검색으로 얻은 흡광도 값을 Eosin 염색을 통해 얻은 흡광도 값으로 나누어 치근별로 세포수가 다른 것을 보정하였다. 이 값들은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발치즉시군의 MTT/Eosin 값은 1일보관군의 값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보관군과 2일보관군, 2일보관군과 3일보관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일 이상 보관한 경우 MTT/Eosin 값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보관군과 음성대조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0℃/2MPa의 조건에서 치아를 보관할 경우 세포의 활성도가 양성대조군에 비해 1일보관군은 66%, 2일보관군은 16%, 3일 이상 보관군은 5%이하임을 알 수 있었다.

      • 영어 정관사의 의미론적 연구 : 현행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선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finite article in English has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from many different perspectives. There have been many heated arguments about the subject, but no significant generalization has been made. The study on the English definite article i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pproaches, logical approach and functional (or pragmatic) approach. The semantic approach is to illuminate the conditions in the English definite article uses and to survey the way in interpretation the definite article u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nglish definite article particularly in terms of its semantic aspects and to improve upon a unified meaning of definiteness largely based on the one developed by Hawkins(1978). This thesis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previous research has been made. Chapter 2 reviews previous studies on the use and meanings of the definite article. Chapter 3 discusses a unified and generalized theory of definiteness which is developed largely on the basis of the theory by Hawkins: Location Theory claims that in the use of the definite article the speaker informs the hearer of the existence of a shared set in which the referent is to be located, rather than assumes that the hearer already has this knowledge. According to the Inclusiveness, the definite description refers 'inclusively' to the totality of the objects satisfying the descriptive predicate within the relevant pragmatic set. This 'inclusiveness' generalization covers plural and mass nouns as well as singular count nouns with the definite article that explain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definiteness and indefiniteness. In Chapter 4, the examples of the text are presented and the meanings of the definite articles used in the contexts have been analyzed on the basis on the unified theory set up in the previous chapter. In conclusion, the English definite article's uses should be understood in discourse domain and should be represented, explain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peaker, hearer, objects.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have students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unified theory of definiteness without forcing them, to memorize the various uses and meanings of the definite article. I believe it may give the students who study English an effective learning way to English.

      • 문화 리터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 문화 항목 분석 비교 연구 : 특수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선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의 국 공립대학에서 개발하여 사용하는 교재와 국가기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센터, 실제 수업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급 단계 한국어 교재를 연구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학문 목적 학습자 및 결혼 이주 목적 학습자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교육과 문화 항목을 분석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하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교재의 문화 항목, 문화 교육을 조사함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부족한 문화 항목 분석을 통해서 더욱더 향상된 분석 결과가 나올 수 있었으므로 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의 교재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각각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학습자별로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부족한 부분은 충족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수 있어 교재 5종 14권을 살펴보았다. 한류의 열풍에 힘입어 외국인 학습자가 점점 증가하고 한국어 교육 수효가 점차 커지면서 한류의 힘을 무시할 수 없다. 한류 열풍이 일어난 배경을 들여다보면 1997년 중국을 기점으로 시작된 드라마, 영화, K-pop, 가요 등 예술문화에서 시작된 것이다. 이처럼 한국어와 한국문화가 세계에 전파된 이유는 한류이며, 예술문화는 곧 한류의 저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와 문화 교육의 연계성이 논의되고 최근 언어문화를 통합한 문화적 특성을 담아 한국어 교재 안에 반영한 교재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교재들이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학습의 문화 항목을 제시하고 있는지에 관련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맥락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를 분류하고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분석 대상 및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한국어 교재 안에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선행연구와 문화 항목 관련해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 리터러시의 개념과 문화 리터러시와 한국어 교육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안에서 다루어야 할 문화 교육의 논의를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앞서 선행 연구에서 논의한 평가 항목 및 문화 분류 기준을 토대로 학문 목적 교재와 결혼 이주목적 교재의 문화 항목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두 교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내에 나타난 문화 항목을 비교 논의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하고 문제점 및 보완점과 문화 항목의 향상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두 교재의 분석과 비교에 따른 논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발전 방향의 문화 항목 의견을 제시하였다. 외국인 학습자의 수효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때에 한국어 교재가 각 학습자들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고 학습자들의 특성을 반영한 교재가 되기를 희망한다. 실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언어와 문화가 조화롭게 하나가 되어 학습자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 그래주에이션 커트 스타일의 슬라이스 라인 혼합에 따른 커트 형태변화

        장선미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헤어미용 산업에서 현장실무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헤어미용의 기본 토대인 커트스타일의 과학적 실증이 필요하게 되었다. 커트스타일의 형태에 변화를 주는 요인인 슬라이스 라인의 혼합에 관한 연구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그래주에이션 커트에 두상의 후두부에는 전경사 슬라이스 라인을 측두부에는 전경사와 평행과 후경사 슬라이스 라인을 혼합 적용한 후 변화되는 커트 형태와 길이변화를 제시하여 커트스타일의 형태변화에 관한 커트디자인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커트방법은 마네킹을 사용하였으며, 슬라이스 라인의 혼합을 로우 그래주에이션 커트 약 30˚ 와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 약 45˚, 그리고 하이 그래주에이션 커트 약 70˚ 에 각각 적용하였다. 후두부의 슬라이스 라인은 모두 전경사 슬라이스 라인을 사용하였고, 전경사 기울기 약 40°, 약 55°, 약 70°를 적용하였다. 측두부의 슬라이스 라인은 전경사, 평행, 후경사를 적용하여 헤어커트 하였다. 시술각도는 모두 두상시술각도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전경사 슬라이스 라인의 경사각의 기울기만으로 옆면의 길이와 형태선이 변화되었고 혼합한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서 그에 따른 다양한 실루엣과 형태선이 나타났다. 이것으로 커트스타일을 디자인 할 때 다양한 슬라이스 라인의 혼합과 슬라이스 라인의 경사도를 이용해 여러 가지 커트스타일을 만들 수 있는 것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할 때 전경사의 기울기와 슬라이스 라인을 혼합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고 헤어디자이너의 감각을 표현하는 다양한 커트형태를 디자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私人에 의한 公用侵害에 대한 헌법적 검토

        장선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rivate condemnation refers to expropriation in which private entities are involved, and it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expropriation for a private person”, which means that expropriation is for the benefit of a private person, and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which means that a private person is awarded the power of eminent domain. “expropriation for a private person” was the earlier form of private condemnation, but a number of recently enacted legislations have permitted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in massiv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construct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facilities.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is based on the perspective which 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ivate condemnor and a private condemnee as a matter of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rather than a matter of conflict of fundamental ri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can be constitutionally justified.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1) verify whether a private person can be constitutionally allowed to exercise the power of eminent domain as a subject of expropriation, and 2) verify whether the requirements for the justification of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need to be reinforced. For these purposes, first of all, this study recounted the significance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expropriation within the property right protection system of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justification set forth by those provisions. Further more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discussions on a private person’s subjecthood in expropriation and requirements for the justification of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overview of different theories in Korea and analysi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revious studies granted the subjecthood in expropriation to private persons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that whether such subjecthood can be constitutionally justified, instead focusing on determining the constitutional justifiability of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based on the concept of “public needs”. Secondly, the power of a private person in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does not directly come from the People as stated by Article 1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It is delegated to perform such a expropriation under the State’s decision. Therefore, their exercise of the power of eminent domain is constitutionally allowed only so far as such exercise does not deviate from the requirement that it must be performed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who are the foundation for the legitimacy of the State’s power. In particular, it is not a sound argument that the subject of expropriation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private entities and public entities just because there is no subjecthood requirement in Article 23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The Article does not contain such requirement because expropriations have been mainly conducted through direct exercise of the State power by State agencies or local governments. Such interpretation is even more inappropriate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an institution of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who protects the people’s rights and interprets the Constitution. And that is why the decisions of the Court in the cases covered in this study are problematic. Thirdly, expropriation where the State is the subject of the power of eminent domain must satis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rpose of the project for the “public needs” as well as the public needs in the form of “redistribution” caused by the transition of wealth by the State in the process and the outcome of the project. Therefore, in cases of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the requirements set forth in Article 23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must be interpreted more strictly than the cases where a State agency is the subject of expropriation: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must satisfy the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requirements of the State agencies. In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cases where the main purpose is not for the benefit of a certain private entity and in case that the benefits for such entity is indirect or collateral, such expropriation can be justified when it satisfies the requirements set forth in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expropriation by the State is the form of expropriation originally intended by the Acts, and the “public needs” to be achieved by expropriation in this modern industrial society can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private interests, unlike the older forms of public needs. When the interest of a private entity is the only or major purpose of expropriation, however, such expropriation itself cannot satisfy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the justification of expropriation. Fourth, there are several justification requirements that are needed to be further reinforced in cases of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compared with the cases of expropriation by a State agency: strict interpretation of “public needs”, legislation of “public needs”, continuous protection of “public needs”, reinforced standard of “just compensation” and equitable distribution of the developmental profits. In this perspective,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covered in this study fail to satisfy the justification requirements for expropriation by a private person. Ultimately, the individual legislations which grant the power of eminent domain to private persons need to be refined. While the requirements for the condemnation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fic public needs set forth in the specific legislation, those legislations which lack provisions regarding acquisition requirements or condemnation procedures are highly suspected of unconstitutionality and as a result, need to be improved. Such improvement must involve reconsideration of the public needs set forth in those legislations, as well as reconsideration of whether a private person can be granted the power of eminent domain.. 사인(私人)이 공용침해에 개입하는 사인수용(私人收用)은 사인에게 이익이 되는 공용침해인 “사인을 위한 공용침해”와 사인에게 수용권이 주어지는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인을 위한 공용침해”가 사인수용의 초기 형태였으나 최근 사회간접시설의 건설과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 등에서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를 허용하는 법률들이 등장하고 있다.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는 수용자인 사인과 피수용자인 사인간의 재산권의 이전 등을 기본권의 충돌이 아닌 기본권의 제한으로 보는 것으로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가 헌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가를 검토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에 있어서 사인이 공용침해의 주체로 수용권을 행사하는 것의 헌법적 허용 여부에 관한 구명과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의 정당화 요건의 강화 여부에 관한 구명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먼저 우리 헌법의 재산권 보장체계에서 공용침해 규정이 갖는 의의와 공용침해 규정의 정당화 요건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공공필요 해석론을 비롯한 사인의 공용침해 주체성과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의 정당화 요건에 관한 논의들을 미국과 독일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국내 학설 개관, 헌법재판소 결정례 분석 등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한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에 대한 헌법적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에서 사인의 공용침해 주체가 되는 것이 헌법적으로 허용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검토 없이 주체성을 인정하고, “공공필요”를 통해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의 헌법적 허용여부를 검토하는 것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둘째, 사인이 공용침해의 주체가 되는 경우에도 사인은 헌법 제1조 제2항이 규정하고 있는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권력을 직접적으로 위임받지 못하고 국가권력의 판단 하에 행사만을 대행하는 것인 바, 국가권력의 정당성의 근거인 국민을 위해 대행되어야 한다는 한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헌법적으로 허용된다. 특히 헌법 제23조 제3항이 주체에 관한 요건을 기술하지 않고 있는 것은 공용침해가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국가권력의 직접적 수용권 행사를 통해 이루어져왔기 때문이며, 헌법규정에 공용침해의 주체에 관한 기술이 없는 것은 이러한 전제에 근거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헌법규정에 주체에 관한 기술이 없음을 근거로 공용침해의 주체가 국가이든 사인이든 상관없다고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또한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헌법을 해석하는 유권해석기관으로서의 헌법재판소의 소명에는 더욱 적합하지 않은 해석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다룬 헌법재판소 결정례들의 법정의견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 셋째, 국가가 직접 수용권의 주체가 되어 행하는 공용침해는 해당 사업의 목적의 “공공필요” 적합성뿐만 아니라, 해당 사업의 전 과정과 결과에 있어 국가에 의한 부의 이전이 갖는 “재분배”라는 “공공필요”까지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는 헌법 제23조 제3항이 규정하고 있는 정당화 요건 해석에서 국가기관이 공용수용의 주체가 되는 경우보다 엄격한 해석을 통해, 전술한 국가에 의한 공용침해에 상응하는 정당화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사인을 위한 공용침해”의 경우 사인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 공용침해의 주된 목적이 아닌 경우, 즉 간접적이거나 부수적으로 사인에게 이익이 되는 공용침해의 경우에는 헌법 제23조가 규정하고 있는 정당화요건을 충족함으로써 헌법적으로 정당화된다. 국가기관에 의한 공용침해가 공용침해의 원래의 예정된 형태이고, 현대 산업사회에서 국가가 공용침해를 통해 달성하려고 하는 “공공필요”는 과거의 공공필요와 달리 사익과 완전히 분리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인의 이익만을 의도하거나 사인의 이익이 주된 목적이 되는 공용침해는 그 자체로 “공공필요”라는 헌법상 정당화 요건을 결한 것으로 헌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 넷째, 국가기관에 의한 공용침해의 경우보다 사인을 위한 공용침해의 경우에 더욱 강화되는 헌법적 정당화 요건은 “공공필요”의 엄격한 해석, “공공필요”의 입법화, “공공필요”의 지속적 보장책, “정당보상”에 있어 강화된 기준, 형평에 맞는 개발이익의 분배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다룬 헌법재판소에서 문제가 된 사안들은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의 정당화 요건을 충족하기 어렵다. 궁극적으로 사인에 의한 공용침해를 허용하는 개별 법률들을 헌법적 검토를 통하여 정비할 필요가 있다. 개별 법률들이 추구하는 공공필요에 따라 사업시행자의 수용요건이 다양할 수 있으나, 개별 법률이 취득요건 또는 수용절차에 관한 규정을 불비한 법률의 경우 위헌성이 의심되므로 정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비에는 해당 법률이 입법한 사업의 공공필요 충족 여부에 대한 재검토가 포함되어야 하고 공공필요의 보장책의 확보 여부가 재검토되어야 하며, 나아가 사인에게 수용권을 허용하는 것 자체에 대한 재검토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