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부가가치세법상 의제매입세액공제에 관한 소고 : 농어민 및 미가공 농산물 등의 취급을 중심으로

        장보원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단계세액공제방법 하의 납부세액을 계산함에 있어 매출세액에서 공제되는 매입세액은 재화 또는 용역의 매입 혹은 수입 당시 거래상대방 또는 세관장으로부터 거래징수당한 매입 부가가치세를 그에 대한 매입세금계산서를 교부받아 공제되는 것이나, 매입 혹은 수입 당시 거래상대방 등에게 부가가치세를 거래징수당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매입액의 일정비율을 매입세액으로 보아 공제해 주고 있는데 이를 의제매입세액공제라고 한다. 우리나라 부가가치세법상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는 미가공 농산물 등을 매입하여 과세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사용하였을 때 해당 과세사업자에게 일정세액을 공제하여 주는 것을 규정한 바, 이 제도의 취지가 면세대상인 미가공 농산물 등의 가격인하효과가 최종 소비자에게까지 미치게 할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인지, 아니면 중간단계에 면세가 적용되고 후속단계에 과세가 될 경우 발생하는 누적효과를 제거할 것인지에 대한 견해가 나누어지고 이에 따른 적정공제율은 어떻게 산정하여야 할 것인지가 쟁점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가공 농산물 등을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이를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농어민과 중간거래상이 면세사업자가 되고 있다. 미가공 농산물 등에 대하여 면세하는 취지는 기초생활필수품에 면세함으로써 서민생활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나, 미가공 농산물 등이 과세재화 또는 용역의 중간단계에 사용되는 경우 오히려 면세누적효과가 발생되어 가격상승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만일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가 면세누적효과 뿐만아니라 환수효과, 즉 최종소비자에게 면세로 인한 가격인하효과를 유지하는데 취지가 있다면 현행 의제매입세액공제율은 상당 수준 낮은 것이지만, 면세누적효과로 인한 가격상승분만 제거하는데 취지가 있다면 현행 의제매입세액공제율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에 EU와 중국의 농어민과 미가공 농산물 등의 취급 및 입법례를 살펴보니 농어민을 비사업자 또는 면세사업자로 규정하는 반면 미가공 농산물 등은 경감세율로 취급하고 있으며,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는 농어민 단계에서 공제받지 못한 부가가치세를 공제하는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의 본연의 취지는 단순히 면세누적효과의 제거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를 조세정책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점이 있는바 현행 의제매입세액공제액이 면세누적효과 제거보다는 높은 것을 인정하고, 다만 수입농산물 등은 면세누적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바 공제율이 인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중간단계의 면세에 대하여 폭넓게 의제매입세액공제제도를 확대하여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는 반대의견을 제시한다. 그리고 현행 의제매입세액공제율이 시행규칙으로 규정된 바, 이를 법률에 규정하여 납세자의 예측가능성과 법적안정성을 도모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며, 농어민으로부터 직접 매입한 미가공 농산물 등에 대하여 제조업 외 일반업종도 의제매입세액공제를 허용하여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는 가공자료 발생가능성을 이유로 반대의견을 제시한다. 그리고 큰 틀에서 EU 등 부가가치세 제도를 운영하는 주요 국가와 같이 농어민을 비사업자 또는 면세사업자로 규정하고 미가공 농산물 등을 경감세율 또는 영세율로 취급하는 것에 대하여는 일반소비자의 부가가치세 부담을 높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끝. In calculating the tax amount under the invoice method, input tax to be deducted from the output tax is usually deducted from the sales tax in case the purchaser submits the tax invoice to the government which they are issued from the sellers when they are charged with VAT in transaction, but even though the purchaser isn't charged with VAT in transaction and isn't given the tax invoice, some fixed amount can be deducted by recognizing some proportion of purchase price as input tax. In that case, we call it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Value Added Tax Law of our country,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stipulates that when taxable goods or services are supplied by purchasing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some tax deduction is given to the relevant taxable entrepreneurs. However, there are some questionable issues about whether or not the purpose of this system will be to give price reduction effects of tax-exempt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to the end consumers or whether or not they will eliminate the accumulation effect to be incurred, if tax exemption is applied during the intermediate stage and then tax is levied at the following stage and subsequently how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rate of tax reduction, etc. In case of our country, we stipulate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etc as tax-exempt items and thus farmers/fishermen and middlemen who produce or distribute them are becoming tax-free businessmen. The purpose of exempting the taxes from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etc is aimed at stabilizing the livelihood of ordinary people, but in case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are to be used in the intermediate stages of taxable goods or services, it is causing side effects of price increase by generating the tax-free accumulation effects. If the purpose of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is to maintain not only the tax-free accumulation effect but also cascade effect on the end consumers due to tax exemption, current deemed input tax deduction rate is considerably low, but if the purpose is only to eliminate the portion of price increase due to tax-free accumulation effects, current deemed input tax deduction rate can be assessed to be at a bit higher level. In this regard, I have looked into the treatment or legislation examples of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ations of European Union, Japan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a result of it, it shows that major foreign countries are stipulating that farmers and fishermen are tax-free businessmen and they are applying reduced tax rates to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etc. From the viewpoint that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remains just at the level to reduce the Value Added Taxes which were not deducted in the stage of farmers and fishermen, the original purpose of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is assumed to merely eliminate the tax-free accumulation effects. However, considering the point that our country is utilizing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ax policies, we recognize that current deemed input tax deduction amount is higher than the elimination of tax-free accumulation effects. Simply, I think that deduction rates should be reduced becaus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do not cause tax-free accumulation effects, but I would raise objection to the assertion that we should broadly expand the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to the tax exemption in the intermediate stages. Then, since current deemed input tax deduction rate is stipulated as enforcement regulations, I think this should be regulated in the relevant laws in order to promote the calculability and legal stability of those tax payers. As for the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directly purchased from the farmers and fishermen, I raise objection to the assertion that we should allow deemed input tax deduction system even for general business categories besides manufacturing industry since it may have the possibility of causing fictional data. Furthermore, like the major countries of European Union, etc which are adopting Value Added Tax System in a greater framework, it is judged that we need to study their tax systems within the context that it will not increase the Value Added Tax burden of general consumers in that they are stipulating farmers and fishermen as non-business purpose entrepreneurs or tax-free businessmen and they apply reduced tax rate or zero tax rate to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etc.

      • 중학교 소설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 하근찬 소설을 대상으로

        장보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하근찬의 작품 두 편을 대상으로 중학교 소설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학습목표, 전시학습,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그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하근찬의 「수난이대」는 전쟁의 상처와 흔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을 이뤄 5, 60년대 한국 문단에 의미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교수 학습 제재로써 학생들에게 전쟁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를 제공하면서도 그 폭력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적절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2절에서는 하근찬 소설의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고 중학교 교과서 수록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수난이대」는 7종의 교과서에, 「흰 종이수염」은 1종의 교과서에 본문 제재로 실려 있다. 「수난이대」가 주로 8학년과 9학년 교과서에 선정되었음에 반해 「흰 종이수염」은 7학년에 실려 있는데 이는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한 것이다. 3절에서는 각 교과서의 학습 목표, 전시 학습, 학습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해당 작품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과서의 교수 학습 방안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해보았다. 하근찬 소설을 대상으로 한 중학교 소설의 교수 학습에 관한 본 연구가 소설 교육 방법을 위한 하나의 지침으로써 활용되기를 바란다.

      • 당뇨병 환자에서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에 따른 허혈성 뇌졸중 발생위험 :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자료를 이용하여

        장보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Diabetes is a chronic disease with high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s. According to the clinical guidelines for stroke, low-dose aspirin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risk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owever, the preventive effect of Aspirin has been controversial and previous studies showed inconsistent results. Furthermore, most of previous studies were performed in Western population and those study results are limited in applying to the Korean pop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isk of ischemic stroke among diabetic patients who are regular users of low-dose aspirin vs. non-users. Subject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nested case-control study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sample cohort from January 1, 2002, through December 31, 2013. We selected the new diabetes patients over aged 40 according to diagnosis code and drug codes during the years 2004~2012. In order to exclude prevalent diabetic patients and patients with severe condition at the baseline, we excluded the patients that were diagnosed with diabetes, cancer or cardio-cerebrovascular during 2002-2003, or that used aspirin over 30 days before first diagnosis of diabetes. The controls were randomly matched to the diabetes patients at a ratio of 1:5 by sex, age and diagnosis date of diabetes. In total, 298 patients with stroke were matched to 1,490 patients without stroke (controls). Additional analysis on the 139 patients and 695 controls whose health examination data were available were performed.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risk ischemic stroke in users and nonusers of low-dose aspirin. Results Compared to non-users, the odds ratio of low-dose aspirin users during previous one year was 0.46 (95% CI;0.24-0.89), low-dose aspirin users during previous two year was 0.53 (95% CI;0.24-1.16), low-dose aspirin users during previous three year was 1.74(95% CI;0.96-3.16) and other users was 1.35 (95% CI;0.64-2.85). Conclusion Our data showed that the opposite trend was observed in the effect of low-dose aspirin use on the risk of stroke among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the cumulative duration of low-dose aspirin intake in recent years. This discrepancy due to duration of low-dose aspirin may be attributable to the various condition of patients with high-risk or low-risk of stroke, and interpretation of such data should be carried out with caution. 연구배경 당뇨병은 심뇌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의 원인이 되고 의료비 등 질병부담이 큰 비전염성 만성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 및 사망률이 증가하는 질병이다. 현재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 질환 예방 목적의 아스피린 복용을 권고하고 있으나 예방효과부분에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연구결과가 백인을 대상으로 한 결과로 우리나라 인구에서의 예방효과에 대한 부분에서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는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알려진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 생활습관에 대한부분이 고려되지 않아 결과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생활습관에 대한 부분을 고려한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맞는 아스피린 사용기준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코호트 내 환자 대조군 연구로 2002년 1월 1일~2013년 12월 31일 까지 추적된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자료에서 2004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9년 동안 2002년,2003년 당뇨 발생이 없는 순수 당뇨 환자에서 당뇨 발생이전 연도 동안 암 및 심뇌혈관 질환 진단을 받지 않고 아스피린을 30일 이상 복용하지 않은 만 40세 이상의 8,883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31일까지 추적 관찰한 8,883명에서 코호트내 환자와 대조군을 선정하였다.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한 298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성별, 연령, 당뇨 진단 시점을 고려하여 1:5 짝지은 1,49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총 1,7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군에서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이전 1년, 1~2년 전, 2~3년전까지 구간별 저용량 아스피린(75~162mg/day) 처방일이 60%이상인 그룹을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군으로 하고 그 외 경우 비사용군으로 구분하여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 환자에서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이 허혈성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질환의 중증도를 보정한 분석 결과“Index date”이전 3년 동안 아스피린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직전 1년 동안 사용한 군에서 뇌졸중 발생 위험이 0.46배(95% CI 0.24-0.89), 직전 2년 동안 사용한 군에서 0.53배(95% CI 0.24-1.16), 직전 3년 동안 사용한 군에서 1.74배(95% CI 0.96-3.16), 그 외 사용군에서 1.35배(95% CI 0.64-2.85)였다. 결 론 당뇨병 환자에서 예방적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여부에 따른 뇌졸중 발생 위험은 분석 시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 기간을 어떻게 정의 하는가에 따라 발생 위험도의 방향성이 반대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증도를 일부 보정했을 때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당초 예방적 아스피린을 처방 받아 오랜 기간 복용한 당뇨병 환자는 아스피린 처방을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높았을 것으로 예상되며, 아스피린 사용여부를 기간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 3년간 지속적으로 복용한 환자의 뇌졸중 발생 위험이 높았으나 최근 1년간 복용한 환자에서는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이러한 통계 분석 시 예방적 아스피린 사용 기간에 따른 해석 상 유의를 요하는 것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 질환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에 따라 아스피린의 뇌졸중 예방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운동이 초등학생의 혈중 성장인자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

        장보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주제에 대해 수행된 개별 연구들의 결과를 일관된 체계적인 틀 속에서 통합‧분석하여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메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운동과 혈중 성장인자 및 혈중 지질 관련 연구 결과들로 국한 및 수집하여 체계적,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함은 물론, 초등학생의 운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성장과 비만 예방을 위한 타당하고 실용적이며, 과학적인 지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혈중 성장인자의 하위 변인으로 성장호르몬(GH), 인슐린유사성장인자(IGF-1),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를, 혈중 지질의 하위 변인으로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을 각각 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0년에서 2019년까지 2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 및 학술지 논문을 포괄적으로 수집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확인된 1,720개의 연구 대상 중 중복되는 논문 및 본 연구의 취지와 상이한 논문, 그리고 단일 집단을 대상으로 한 논문을 제외한 47편을 1차적으로 수집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47편 중 집단 간 통계치가 두 개 이상인 경우를 각각의 연구 대상으로 채택하여 최종적으로 160편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을 코딩한 자료는 미국 Biostat사의 메타분석 전용프로그램 CMA Version 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산출된 효과의 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에 의해 그 값이 ESsm(표준화된 평균 차)≥ .80 일때 큰 효과, ESsm= .50는 중간효과, ESsm≤.20 이면 작은 효과로 해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 내용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생 대상 운동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860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운동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복합 운동(0.974), 유산소 운동(0.755), 저항 운동(0.445)의 순으로 운동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 대상의 운동프로그램은 혈중 성장인자 및 혈중 지질 향상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2. 초등학생 대상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 빈도의 경우 주 3회 미만(1.266), 운동 시간의 경우 80분 초과(1.010), 운동 기간의 경우 8주 이하(1.059)로 각각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운동 기간이 짧을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 기간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기 때문에 기간을 짧게 하는 것 보다는 운동을 생활화하여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운동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아동의 장기간 운동이 정상적인 성장 패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급격한 성장이 일어나는 동안 균형 있고, 영양이 풍부한 식이섭취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효과크기가 감소하는 양상은 아동기의 성숙 등 가외변인을 무시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3. 초등학생 대상의 운동프로그램 적용은 혈중 성장인자(1.186), 혈중 지질(0.660)의 순서로 모든 혈중 성장인자 및 혈중 지질의 하위 변인에서 중간 이상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운동은 초등학생의 성장발달에 크게 효과가 있으며, 비만을 예방하는 혈중 지질 감소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4. 운동이 초등학생의 혈중 성장인자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의 특성에 따라 학년군에서는 저·중학년(1.887), 저·중·고학년 (1.124), 고학년(0.862), 중·고학년(0.813)의 순서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중학년(0.615), 저학년(0.265)의 순서로 중간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0.928), 남자(0.856) 모두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비만여부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도 비만 아동(0.862), 일반 아동(0.862) 모두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기 때문에 운동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성장과 비만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메타회귀 분석을 통해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운동 빈도, 운동 시간, 연령의 회귀계수가 양(+)으로 나타나 이들이 증가함에 따라 운동 효과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운동 기간의 경우, 회귀계수가 음(-)으로 나타나 운동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운동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운동 빈도, 운동 시간, 운동 기간과 연령이 높을수록 운동효과가 증가한다는 결과가 있어 본 연구결과에서의 운동 빈도, 운동 시간, 운동 기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운동 효과가 증가하는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으나, 몇 몇 선행연구들의 경우 그 차이가 크지 않거나 각각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성인과는 다르게 아동기는 성장과 발달을 고려하여야 하고, 이 외의 성숙과 환경적 요인 등 가외변인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에서 결과가 다소 다르게 도출될 수도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운동이 초등학생의 혈중 성장인자 및 혈중 지질 개선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언론을 통해 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많이 언급되고 있으며, 운동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개인의 경험이나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메타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운동에 대한 방대한 연구결과들을 일반화시켜 표준화된 방법으로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안전하고 타당하게 그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학교 현장에서 아동 대상으로 운동을 지도하는데, 타당하고,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발육발달과 비만해소에 최적의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요어: 운동, 초등학생, 혈중 성장인자, 혈중 지질, 메타분석 *본 논문은 2020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임.

      •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중심 조형놀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장보원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통합교육의 교수전략으로 유치원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들을 위해 감각 통합적 지원, 즉 촉각 중심 조형 놀이 활동을 제시하는데, 일반 유치원의 통합 환경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형 놀이 프로그램 제공을 실천함으로 발달지체유아들의 바람직한 통합교육으로의 전진을 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유아의 전반적인 감각발달에서 촉각이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중심 조형놀이의 원리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현장적용을 통한 실질적 방법으로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중심 조형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한다. 첫 번째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세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 생활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을 구성하고, 유아를 위한 미술활동 문헌을 통해 촉각적 자극 지원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발췌하여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을 실제 통합된 유치원의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고, 수업을 진행한 교사와 연구자와의 협의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중심 조형놀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유아의 전반적인 감각발달에서 촉각은 유아의 발달적, 인지ㆍ정서적, 운동ㆍ감각 통합적 측면에서 유아가 성장해 가는 단계의 필수 불가결한 발달과업으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촉각을 통한 접촉은 발달지체 유아의 정서적 안정감을 만족 시켜주어 긍정적인 상호교감을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교감은 사회 속에서의 관계를 형성하게 한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중심 조형놀이는 발달지체 유아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에서 출발하여 ‘결핍’이 아닌 ‘다름’에 대한 인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따라서 정형화되고 완성도 높은 작품을 산출하는 결과중심 조형놀이가 아닌, 모든 감각과 교과 영역간의 통합적 접근으로서 즐겁게 즐기고 만족하며 기뻐하는 놀이로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 셋째, 촉각에 대한 의미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적 조형놀이 프로그램의 원리를 토대로 촉각중심 조형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는데,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조형놀이 프로그램은 통합 환경 안에서 발달지체 유아도 잘 할 수 있는 놀이이며, 완성품 제작이 아닌 모두가 즐기는 놀이이고, 놀이를 통해 마음을 교감할 수 있는 놀이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가 통합 환경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교육 참여를 통해 바람직한 통합교육의 교수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통합 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수 방법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그 내용과 방법은 모든 교과가 유기적으로 관계되는 통합적 접근이어야 할 것이다.

      • 동작 훈련이 중증 뇌성마비아의 앉기, 무릎서기, 서기동작에 미치는 영향

        장보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the influences of motor action training on the sitting, knee-standing and standing movements of children with profound cerebral palsy. The researcher worked with three children(7-8years old) with profound cerebral palsy. The training lasted for a total of 32 days: four stages by 8 days and forty minutes a day. The researcher carried out seven-stage evaluation according to scales for evaluating motor action training scales, suggesting the results with the aid of tables and interpreting the process of chang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tor action training had a great influence on legs and feet on the part of child A, the body, arms and hands on the part of child B, and the body on the part of child C. Second, motor action training improved all the subjects´ sitting cross-legged a lot. Third, motor action training improved child A´s standing by holding something, standing alone and standing up, child B´s standing by holding something and child C´s standing alone much. Fourth, motor action training improved child A in terms of making a prop and striking balance most remarkably, child B in terms of making a prop, making parts and striking balance equally and child C in terms of making parts most substantiall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bove.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hances of training and the period of training and not to put a stop to train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applying motor action training to a variety of handicaps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and degrees of handicaps and to carry out continual training at home with the cooperation of school, clinical centers, parents and siblings.

      •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장보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와 참여종목(대인 종목, 단체 종목, 종합 종목)의 2가지 요인이 학업스트레스 및 유형별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1년 현재 서울 지역에서 재학 중인 초등학교 학생 중 4∼6학년을 대상으로 의도적 표집을 하였다. 참여집단은 2011년 현재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는 4∼6학년 사이의 축구, 배드민턴, 복합운동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자 39명(배드민턴 9명, 축구 15명, 복합운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참여집단은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를 하지 않고 있는 4∼6학년 사이의 초등학생 75명으로 하였다.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신체적 조건, 개인적인 운동기능이나 규칙적인 신체활동 여부는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조사도구의 신뢰도 조사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r = .79 로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I-STATistics 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업 스트레스는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비참여집단 75명의 학업스트레스 평균(4점 만점)이 1.88인데 비하여,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집단 39명의 학업스트레스는 평균이 1.60으로 평균값 0.28라는 큰 차이를 보였다. 2. 학업 스트레스는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종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스트레스 유형별 해소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과외부모압력 스트레스의 해소 평균 차이가 활동 전 평균 1.89에서 활동 후 1.68로 가장 높았다. 학교수업 스트레스 평균차이가 가장 작았으며, 과외부모압력 스트레스 차이와 큰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 여부와 스트레스 차이,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유형별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의 종목은 학업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주지 못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2 factors, elementary students'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sporting events(individual event, group event, complex event), on academic stress and other types of stres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an intentional sample of 4-6th elementary students who live in seoul now in 2011. In total, 39 participants are 4th-6th grade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9 in badminton, 15 in soccer, 15 in complex sport) now in 2011, and 75 of the participants ( 37 boys, 38 girls)are not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sports program. This paper does not consider physical condition, individual athletic skill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in selecting the subject of participative group and non-participative group. This study used Cronbach' α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survey, and I-STATistics 1.0 PROGRAM for processing statistic data.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is r = .79 which is likely to be high. The following is the overall abstract of the study. 1.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statically in academic stress depending o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The average of 75 students' academic stress who do not participate i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is 1.88 out of 4, whereas that of 39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fter-school sports program is 1.60 out of 4. There is a big gap, 0.28 between these two figures. 2.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event. 3.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stress by types depending o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The highest one is stress about extracurricular study from parents' pressure, second one is stress about school life from parents' pressure, and third one is stress about school work. Last one is stress from school study, and this showed big difference to stress about extracurricular study from parents' pressure. To sum it up,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stress. Also in stress by types according to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However, sporting event does not influence to academic stress statistically.

      • 중소기업 자본조달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장보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tribution of small enterprises to industrial production and increase of income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economy. A great deal of weight is leant to small enterprises simply because of their volume of employment. Despite this clear importance of small enterprises the government has carried out an economic policy since the 1960's which favors large enterprises. This lead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but in turn caused inconsistencies which lead to instability in the economic structure and hinder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economy. In the 1980's although the government endeavored to support the small enterprise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many of them were bankrupted. Many small enterprises lost their base of existence due to unstable financial structures. So government founded an off board market in order to improve direct financing. The effort has not met up with expectation owing to problems in the system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small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mall enterprises's capital raising and to point out the problems therein as well as consider the possible solutions to this problem. This paper has been analyzed and written on the grounds of the existing papers and statistical data connected small enterpri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capital raising problems of the small enterprises are as follows : First, the negative financial support systems connected with small enterprises and inefficient utilization system of the policy capital. Second, the contraction of regional finance and a back current of capitals. Third, the small enterprises still depend primarily on a loan through a banking facility and rely too heavily on a bank with capital rais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method to solve previously mentioned problems like this are as follows : First, affirm that the small enterprises's capital raising must be activated, coexisting with larger banks and local banks. It should also restrict by stages the indiscriminate limitation of the money market's entry in order to consider the small enterprises's conditions. Moreover, it is more efficient that KOSDAQ and The Third Money Market are activated for the small enterprises's capital raising. Second, affirm the improvement of a policy capital utilization system through lasting management and integrating utilization of the policy capital. Third, affirm the construction of an efficient confidence evaluation system. i.e. A post control of loans on credit and efficient confidence evaluation system influence more efficiently for the small enterprises's capital raising, as appraising the enterprises's confidence danger at ordinary times. An efficient improvement must be accomplished though the research mentioned in this paper, to improve gradually the problem of the present small enterprises's capital raising.

      •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수준

        장보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level of regular classes teachers and special classes teachers on the efficient inclus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survey to the teachers and then by comparing their group's recogni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area, sex. and teaching care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es teachers were higher than general classes teachers in the recognition level on the inclusion in general. At the domain of 'recognition degree', 'special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pecial classes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than regular classes teachers. But at the domain of' critical mi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teachers' group. Second, the teacher's recognition level was as follows; At the domain of 'recognition degree' and 'critical mi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at the 'specialty' and 'problem solving measures', teacher's group in urban area had higher level than rural teachers. When they were compared according to sex,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lso there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sex at the four sub-domains. In case of regular classes teachers, male teachers' recognition level was higher than female teachers, but in case of special classes teachers, the opposite was tru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by teaching career at the recognition level on the inclusion. After analyzing and comparing the sub-domains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the results showed no signigicant differences and no interrelation between teachers' group and their career. This meant that teachers' career had no effect on the recognition level of i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my suggestion was it's desirable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 of school executives, parents, and general students on the inclusion. because their recognition level was also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