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의 중식 지도 현황 조사 연구

        장보경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에서의 중식지도 현황을 알아보고 학급 수와 소재지 그리고 설립배경 등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가설 1 유치원의 규모에 따라 중식지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유치원의 소재지에 따라 중식지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설 3 유치원의 설립배경에 따라 중식지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와 같은 가설을 세웠다. 연구대상은 대전과 충남에 위치한 공립, 사립유치원교사 182명에게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해당변인에 따라 변량분석과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규모에 따라 중식지도에 차이가 있다」라는 가설에 대한 결과 학급수가 작은 유치원보다 3학급 이상 유치원에서 중식지도 중 중식 전 감사의 말하기 지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 긍정, 부분 부정되었다. 둘째, 「유치원의 소재지에 따라 중식지도에 차이가 있다」라는 가설에 대한 결과 읍 면 단위에 소재한 유치원보다 도시에 위치한 유치원에서 중식 전 감사의 말하기 지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가설 2는 부분 긍정, 부분 부정되었다. 셋째, 「유치원의 설립배경에 따라 중식지도에 차이가 있다」라는 가설에 대한 결과 공립유치원보다사립유치원에서 중식 전 감사의 말하기 지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가설 3은 부분 긍정, 부분 부정되었다. 따라서 가설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으며 학급 규모가 클수록, 시골보다는 도시유치원에서, 공립보다는 사립유치원에서 중식 전 감사의 말하기 지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unch guide between big kindergartens and small kindergartens, between rural kindergartens and urban kindergartens, between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ome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lunch guide between big kindergartens and small kindergartens. Hypothesis 2: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lunch guide between rural kindergartens and urban kindergartens. Hypothesis 3:There will be differences in lunch guide between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To achieve this purpose, 182 kindergarten teachers in Daejeon and Chungnam were sampled and 'Questionnaire on the lunch guide in kindergartens'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t-test of vari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is differences in lunch guide between big kindergartens and small kindergartens. Children in big kindergartens are well guided to say thank you before lunch than children in small kindergartens. 2. There is differences in lunch guide between rural kindergartens and urban kindergartens. Children in urban kindergartens are well guided to say thank you before lunch than children in rural kindergartens. 3. There is differences in lunch guide between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Children in private kindergartens are well guided to say thank you before lunch than children in public kindergartens. In general,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in big, urban and private kindergartens are well guided to say thank you before lunch than children in small, rural and public kindergartens.

      • 장기요양시설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

        장보경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e :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e nurse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in D, K area. The number of subjects was 108,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pril 12 to 28, 2017.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 : The average scores of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nurses were 13.04 out of 15 in knowledge, 4.87 out of 5 in attitude and 4.46 out of 5 in 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nd between attitude and performance. Conclusion :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Considering nurses play important roles in infection control, effective guidelin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infection control tailed to long-term care facilitie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아동의 대인관계 성향에 따른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과의 관계

        장보경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대인관계성향, 즐겨 참여하는 놀이유형, 자아효능감의 일반적인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놀이경험이 개인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져 온 자아효능감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에 따라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과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3, 6학년 남녀 아동 277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성향척도, 놀이유형척도, 자아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t-검정과 상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관계지향적인 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서양의 개인주의 보다는 우리나라의 집단주의정서가 이어져 내려오면서 아동이 대인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주로 동정·수용·사교·우호적인 관계지향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관계지향적인 특성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여아가 남아보다는 타인에게 더욱 허용적이고 동정적으로 다가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동의 놀이유형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모험놀이 참여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아동들이 자전거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모험과 도전요소가 내포된 놀이를 가장 즐겨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경쟁놀이를 남아가 여아에 비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아들이 승패가 있는 구기 운동이나, 격렬한 투기 운동 등으로 이루어진 경쟁놀이에 여아에 비해 많이 참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동의 자아효능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효능감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즘의 아동들은 예전에 비해 자신의 용모를 가꾸는데 신경을 많이 쓰고, 영양가 있는 식생활로 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지면서 신체적 효능감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아와 여아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이며, 4가지 놀이유형 중 모험놀이와 경쟁놀이가 자아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과 가장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험놀이 중 인라인 스케이트나 자전거 타기, 놀이기구 타기는 혼자서도 할 수 있는 놀이이지만 놀이터나 학교 운동장에서 다른 아동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근육을 조절하면서 해야 하는 놀이이므로 자아효능감을 높여주는데 유익하다고 할 수 있고, 또한 경쟁놀이는 규칙을 이해하고, 전략을 짜며, 다른 아동들과 함께 하고, 신체를 대체로 많이 활용하는 놀이이기 때문에 자아효능감의 모든 요인과 상관을 나타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경쟁, 우연, 모험놀이와 자아효능감의 관계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밀접하였다. 즉, 여아의 경쟁, 우연, 모험 놀이 참여도가 높을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남아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대인관계 성향에 따른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하였다. 즉, 대인관계 성향의 세 하위요인의 하 집단이 상집단보다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간의 관계가 더 밀접하였다. 이는 의존적이거나, 친구관계를 잘 맺지 못하거나, 자기폐쇄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들보다 놀이의 참여도가 높아질수록 자아효능감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격렬하고 활기찬 놀이들을 주로 포함하고 있는 경쟁놀이와 모험놀이가 사회정서적 효능감 및 신체적 효능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는 정적인 놀이보다는 바깥놀이들이 아동의 자아효능감을 높여주는데 더욱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general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types of favorite plays that children participate and sense of self-efficacy.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play-experience of children and sense of self-efficacy that is proved as important factor for individual development. Researched people are 277 male and femal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measure, type of play measure and sense of self-efficacy measure were used for the research. Major research methods are t-test and mutual relation analysis. Followings are summing up of proved results by the research. First, after checking general features of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it is proved that relationship intended feature is the highest. This explains that sympathy, acceptance, socializing and amicableness are major to be formed as a relationship intended feature when children en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ause Korean traditional grouping emotion is still stronger than western individualism. As we researched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between both genders, female children is more intended to be relationship intentional, and this explains that female children is more permissive and sympathetic when they try to reach other people. For the ‘children’s types of play’ research, adventure play has the highest participating rate. This explains that children likes some plays like in-line skating or bicycle which implies adventure factor and challenging factor. After research of differences by gender, it is proved that male children do more competitive plays comparing to female children. This explains that male children like to do competitive plays like ball sports or rough fighting sports which is to have winner and loser. After we check general features of children’s sense of self-efficacy, it is proved that children recognize physical sense of self-efficacy most highly. This explains that nowadays, children pay more attention to beauty and as they have better nutritious condition than the past, they feel physical sense of self-efficacy most highly. And for this factor, there is no difference shown by genders. Second, children’s types of play and sense of self-efficacy are in close relation. Adventure and competitive plays are in the closest relation with every sub-factor of sense of self-efficacy among 4 types of plays. That is, adventure plays like in-line skate, bicycle race or rides are able to play alone not like plays in playground or on the ground. Those are to play together with other children and give opportunity to hang out together. Also, they are useful plays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because it is needed to control muscles when children play those. Therefore, competition plays are in close relation with all the factors of sense of self-efficacy because children need to understand rules, have strategy, have teamwork wit! h the other children and use their body a lot. Male children are in closer relation with competition, coincidence, adventure plays and sense of self-efficacy. That is, female children's sense of self-efficacy is stronger than male children's when female children's participating rate of competition, coincidence and adventure plays is high. Third, it is proved that common things in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plays up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and sense of self-efficacy exist. That is, sub group of three sub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in closer relation with types of plays and sense of self-efficacy than upper group. This suggests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children who doesn't make friends easily or who is dependent or self-closed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when they participate plays more than other children who are not like them. Particularly, competitive plays that include dynamic plays in it and adventure plays are in close relation with social and sentimental sense of efficacy. This explains that outside plays is more useful for children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that non-moving plays inside.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부적응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 및 또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보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on the intention of leaving school among adolescents who hav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maladaptation. The subjects are 471 adolescents in Daegu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method, sobel test, and SPSS PROCESS to analyze the model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of leaving school. Female students have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of leaving school than male students. And their school grades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leaving school.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ir school year.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maladaptation depending on the subjects school grades and their school year. However their gender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maladaptation. Second, Academic stress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intention of leaving school but academic maladaptation had some mediation effects on intention of leaving school. Third, improve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intention of leaving school caused by academic maladaptation but relationships with peers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Finally,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lso moder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intention of leaving school through academic mal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some positive implications of practical intervention on adolescents who have the intention of leaving school.

      • '여성 포털 사이트'의 디지털 컬러 사용에 관한 연구

        장보경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미디어의 발달과 웹의 발달로 인류에게는 새로운 시각전달매체와 직면하게 되고, 웹 상에서 홍보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웹사이트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웹사이트를 디자인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시각적 요소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 '컬러'는 가장 영향력 있는 디자인 요소이다. 어떠한 대상의 이미지는 형태와 컬러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데, 이 두 요소 중에서도 인간은 형태보다도 컬러를 더 잘 기억한다고 한다. 그러나 컬러에 관해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컬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관련 분야 연구 실태가 저조하고 국내 문헌도 그리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컬러 계획시 결정 요소의 하나로서 작용하는 이용자의 기호와 심리를 비교 분석한 자료조차도 부실하다. 특히 사용자 선호색 정보가 부족하고, 있다하여도 그 신뢰도가 낮고 거기에 더하여 웹사이트 디자인 컬러 계획이 체계적이지 못하여 컬러가 갖는 주요기능인 시각적 효과인 주목성이 떨어지는 경우를 우리는 흔히 보았다. 그런 이유로 남성보다 여성이 컬러에 대해 더욱 민감하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웹 순위 포탈 사이트 'Chart Chart'(www.chartchart.com)의 2001년 11월 순위에서 상위 20개 여성 포털 사이트를 연구 대상으로 결정하고, 컬러이미지 공간을 이용한 형용사 이미지 분석과 메인 화면 이미지 분석, 배색 이미지 분석을 통해 여성 포털 사이트의 컬러 이미지 특성을 분석 보았다. 효과적 디지털 컬러 사용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컬러사용이 요구된다. 둘째, 고정관념을 탈피한 여성적인 컬러계획이 요구된다. 셋째, 정보의 특성에 맞는 컬러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 전통의 오방색을 이용한 웹사이트 디자인이 요구된다. 위에서 제안된 컬러 계획을 적용함으로써 각 사이트들은 다른 사이트와 차별화 된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와 정보의 특성에 맞는 컬러 계획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Research purpose of thesis makes us recognize the importance about web site design understanding the fact advertisement in web bring us effect and facing with new medium in visual transmission. In designing the web site variety of visual effect is needed. Color of them have the influence in design essence image about voluntary object is influenced by form and color. In this essence the human prefers color to form and remembers the color than the form. But, nevertheless importance, role, and function in color increase, Domestic research and literature in relative fields have a weakness. Beside this, Utilizer's taste and mind acted in planing color. The basis comparing have a difficulty Especially it has a shortage in information about utilizer's proceeding color and materials compared with mind. Above all, If the information remains, it has a low credit and difficult system in web site color plan bring us attention which is decreased a visual effect. In this reason, Basing on the fact women is more sensitive than man. It determined woman portal site as aim of research. In 'ChartChart' November, 2001, portal site in web ranking,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 about color image with analysis about main screen image, color scheme image, adjective's image utilizing space in color image. To use a affective digital color, We propose some details. 1. Various use in color considering utilizer's characteristic. 2. Womanly plan about color beyond fixed concept. 3. Suitable plan in informative characteristic. 4. Web site design utilizing color in five direction. Applying above mentioned color plan. Each affect discriminate with other sites. and it would come true suitable color plan in utilizer and informative characteristic.

      • 국내외 기업의 디자인 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장보경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외 기업의 디자인 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 무용수업에서 인지평가, 정서, 대처 및 수행간의 관계

        장보경 세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논문요약 무용수업에서 인지평가, 정서, 대처 및 수행간의 관계 이 연구의 목적은 Lazarus(1991)의 인지-동기-관계적 이론에 근거하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인지평가와 과제수행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반응과 대처전략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 그 인과적 관계가 대학생들의 무용경력 수준과 전공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며, 모집단에서 추출된 두 개의 무용전공 집단에서도 동일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무용을 전공하는 남녀 대학생 936명(남자=127명, 여자=809명)이었다. 이 들의 평균 연령은 20.61세이며, 평균 무용경력은 8.30년이었다. 자료는 상황적 인지평가, 긍정적 부정적 정서, 스트레스 대처전략, 그리고 과제수행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그리고 다집단 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과 다집단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용시간에 스트레스에 대한 대학생들의 도전평가는 긍정적 정서, 문제해결 중심적 대처전략 및 과제수행과 정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대학생들의 긍정적 정서와 문제해결 중심적 대처전략은 도전평가와 과제수행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2. 무용시간에 스트레스에 대한 대학생들의 도전평가는 긍정적 정서,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 및 과제수행과 정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대학생들의 긍정적 정서와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은 도전평가와 과제수행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3. 무용시간에 스트레스에 대한 대학생들의 위협평가는 부정적 정서, 정서 중심적 대처 및 과제수행과 관련이 있으며, 대학생들의 부정적 정서와 정서 중심적 대처전략은 위협평가와 과제수행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4. 과제수행에 대한 문제 중심적 대처전략의 영향력은 무용경력 8년 이하의 대학생들이 더 높지만, 과제수행에 대한 회피 대처전략의 영향력은 무용경력 9년 이상의 학생들이 더 높다. 5. 회피 대처전략에 대한 부정적 정서의 영향력은 발레전공 대학생이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전공 대학생들보다 더 높지만, 과제수행에 대한 회피 대처전략의 영향력은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이 현대무용과 발레전공 대학생들보다 더 높다. 6. 무용시간에 스트레스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지평가, 정서, 대처전략 및 과제수행간의 인과적 관계는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 결과는 무용시간에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하여 자신의 성공과 기량숙달, 학습을 위해 도전할 만한 것으로 평가하는 대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안녕감과 가치를 위협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대학생들에 비해 훨씬 더 긍정적인 정서경험과 문제해결 중심적 대처를 통해 요구된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따라서 무용전공 대학생들이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학습 환경을 도전적인 것으로 평가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적인 대처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주요어 : 무용수업, 스트레스, 인지평가, 정서, 대처전략, 과제수행

      • 루빈미술관 소장 18세기 작 <치티파티(Chitipati)> 도상 연구

        장보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뉴욕 루빈미술관(Rubin Museum) 소장 18세기 작 <치티파티(Chitipati)>에 나타나는 도상적 변화가 요기니탄트라의 관념 및 티베트의 묘지 수행과 탄트라 의례적인 맥락을 반영하고 있음을 고찰한다. 이 불화에는 티베트에서 화장터의 수호신인 치티파티를 주제로 한 기존 탕카들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요소들이 등장한다. 12세기에 사꺄파(sa-skya-pa)의 사첸 뀐가 닝뽀(sa chen kun dga' snying po, 1092-1158)에 의해 쓰인 『두르 퇴 닥뽀 사다나(dur khrod bdag po'i sgrub skor bzhugs so)』의 묘사를 충실하게 반영한 이른 시기의 치티파티 불화에서, 치티파티는 소라고둥을 밟은 채 화장터에 타오르는 지혜의 화염을 배경으로 춤추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에서는 소라고둥과 화염 배경 대신 전각 도상이 불화 중앙에 그려진다. 이 전각 상단에는 헤루카[차크라삼바라](Śrī Heruka/Cakrasaṃvara, 'khor lo bde mchog)와 바즈라바라히[바즈라요기니](Vajravārāhī/Vajrayoginī, rdo rje rnal 'byor ma)가 상위 본존으로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정체가 불분명한 나체의 인간 형상이 그려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도상 변화의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첫째로 요기니탄트라의 ‘다키니(ḍākinī, mkha' 'gro ma)의 거주지’와 ‘화장터(śmāśāna, dur khrod, charnel ground)’ 관념을, 둘째로 티베트의 대표적인 묘지 수행인 ‘쬐(gcod)’를, 마지막으로 치티파티의 춤이 실제로 공연되는 불교 의례인 ‘참('cham)’을 검토하고자 한다.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 중앙에 그려진 전각은 치티파티가 거주하는 장소, ‘우디야나(Oḍḍiyāna)’를 상징화한 궁전일 가능성이 높다. 우디야나는 대승 불교와 탄트라 불교의 실재하는 순례지임과 동시에, 요기니탄트라의 발전과 더불어 탄트라의 관념화된 ‘성지(Pīṭhā)’이자 ‘다키니의 정토’로 여겨졌다. 특히 파드마삼바바의 정토도 혹은 바즈라요기니의 정토도는 관념적인 성지로서의 우디야나와 관련이 깊으며, 두 정토는 다키니들이 거주한다는 데서 공통점이 있다. 티베트 불교미술에서 정토도는 주존이 다스리는 궁궐을 불화 중앙에 크게 묘사하는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의 전각 또한 정토도에 관습적으로 그려지는 궁궐 누각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요기니탄트라에서 다키니의 거주지는 일반적으로 화장터라고 여겨지며, 이는 화장터의 수호신인 치티파티가 수호하는 공간과 관념적으로 연결된다. 다키니들의 주존인 헤루카와 바즈라요기니의 궁전은 우디야나의 설산에 위치한다고 여겨졌다. 『차크라삼바라탄트라』의 24곳의 성지 가운데 화장터 유형에 거주하는 요기니의 정수들(four essence yoginis)은 이 두 본존을 사각형으로 둘러싼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또한 이 사각형의 바깥쪽으로, ‘8개의 위대한 화장터(aṣṭamahāśmāśāna, dur khrod chen po brgyad)’를 수호하는 다키니들이 만다라를 그물처럼 에워싸는(saṁvaṛa) 형태를 만들어낸다(ḍākinījāla). 따라서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의 전각은 화장터를 상징하는 우디야나의 궁궐 누각으로 보이며, 이 탕카의 제작자 및 관람자는 전각 상단에 배치된 두 본존 주위로 수많은 다키니들이 둘러싼 차크라삼바라 만다라를 관상하였을 것이다.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에 그려진 조장(鳥葬)터와 인간의 형상은 묘지 등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고립된 장소(dben sa)를 수행처로 활용한 티베트의 묘지 수행인 쬐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티베트의 가장 대표적인 묘지는 화장터가 아닌 조장터이므로 치티파티의 역할은 단순히 화장터를 수호하는 데 한정되지 않는다. 치티파티 신앙과 쬐의 전통은 밀접한 연관을 맺고 발전하였다. 예컨대 쬐의 창시자인 마찍 랍된(ma gcig lab sgron, 1055-1149)을 그린 촉싱(tshogs zhing) 하단에는 치티파티가 그려지며, 쬐의 주존은 치티파티의 상위 본존인 바즈라요기니이다. 그뿐만 아니라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와 비슷한 도상 변화를 보여주는 동시대의 작품의 하단에는 쬐 수행자로 보이는 수행자들이 묘사된다. 특히 쬐의 필수 절차인 ‘의식의 전이('pho ba)’ 관상법은 18세기 치티파티 탕카들에 그려진 인간의 형상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티베트의 보편적인 관상법의 틀인 양 차제 가운데 원만차제(圓滿次第, rdzogs rim)에 의거하면, 수행자는 본래의 육체 대신 환신(幻身, sgyu lus)을 얻는다. 쬐에서 이 환신은 정수리로부터 빠져나와 주존 바즈라요기니와 합일하는 의식과 상응한다. 또한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에서 한 형상이 지붕 위에 떠 있다는 사실은 ‘하늘을 나는 능력(khecaratva)’을 지녔으며 ‘공성(空性)’ 그 자체로도 여겨진 다키니를 관상하고자 하는 요기니탄트라의 일반적인 인식 체계와도 관련된다. 따라서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에 그려진 인간의 형상은 육신에서 빠져나온 쬐 수행자의 의식일 가능성이 충분하다. 한편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에 그려지는 신의 춤은 ‘조복('dul ba)’이라는 탄트라 의례적인 관점과 결부하여 해석할 수 있다. 『두르 퇴 닥뽀 사다나』에서는 신의 춤이 악귀를 조복한다고 언급한다. 참 의례에서 관정(灌頂) 의식을 거친 후 실제로 공연되기도 하는 치티파티의 춤은 링가(liṅga)라고 불리는 악한 조형물을 조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링가는 힌두교에서 시바신의 표상이었으나, 티베트 의례에서는 부정적이고 악한 특질을 의미한다. 링가의 ‘처형’을 통해 ‘해방’을 바라는 의식은 참의 핵심 절차이다. 처형과 해방은 탄트라 문헌의 중심 서사이다. 8세기 이래 탄트라 불교에서는 바즈라파니가 현현한 헤루카가 시바 혹은 그의 화신을 처형하고 불교의 만다라로 귀속시켰다는 내용이 흔히 등장한다. 17세기에 쓰인 『참의 지침서('chams yig)』에서도 참의 목적에 대하여 헤루카가 루드라(Rudra)를 조복하는 과정이라고 명시한다. 시바의 다른 이름인 루드라는 ‘단도의 소지자’로서의 헤루카를 뜻하는 ‘바즈라킬라야(Vajrakilaya)’ 의례 전통에서 조형물인 링가로 시각화되어 단도에 의해 처형된다. 등장인물이 거의 호법신으로 구성된 참에서 링가를 조복하는 치티파티의 춤이 헤루카의 역할을 대신한다는 사실은 치티파티가 헤루카의 계보에 속하게 된 배경과 관련된다.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에서 치티파티의 상위 신으로 차크라삼바라가 배치된 것은 바이라바에서 차크라삼바라[헤루카]로 이어지는 티베트 불교 요기니탄트라의 ‘화장터의 신’ 계보를 암시한다. 헤루카의 기원은 카팔리카(Kāpālika) 전통의 화장터의 신, 즉 바이라바(Bhairava)의 이름과 형태를 빼앗은 것과 관련되는데, 8세기 이후 시바교의 중심을 이룬 바이라바 신앙은 불교 요기니탄트라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쬐라는 실제 묘지 수행의 주존이 차크라삼바라의 배우자인 바즈라요기니라는 사실 또한 치티파티의 상위 본존 정립과 큰 관련이 있을 것이다. 『두르 퇴 닥뽀 사다나』를 저술한 사첸 뀐가 닝뽀는 ‘화장터 신앙’을 강조하는 요기니탄트라의 ‘화장터의 신’ 계보를 염두에 두고 치티파티를 수용하였음에 틀림없다. 이처럼, 루빈미술관 소장 <치티파티>는 상위 탄트라의 관념 및 수행과 의례적인 맥락이 복합적으로 교차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인들의 묘지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작례이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 iconographic changes of Chitipati (śmāśāna adhipati, dur khrod bdag po)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Rubin Museum reflect the higher concept of Yoginitantras, the practice of the Charnel ground, and the context of Tantric rituals of Tibet. This Buddhist painting features unique elements that distinguish it from existing Thangkas within the theme of Chitipati—that is, the lords of the Charnel ground in Tibet. In early Chitipati paintings, which faithfully reflected a description of Dur khrod bdag po Sādhanā (Dur khrod bdag po'i sgrub skor bzhugs so) written by Sa chen kun dga' snying po (1092–1158) of sa-skya-pa in the twelflth century, Chitipati is portrayed in a dancing posture, stepping on a conch, against the background of a flame of wisdom burning on the Charnel ground. In the Chitipati at the Rubin Museum, however, a two-story pavilion appears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instead of the conch and the flame background. At the top of this building, Śrī Heruka (Cakrasaṃvara, 'khor lo bde mchog) and Vajrayoginī (Vajravārāhī, rdo rje rnal 'byor ma) are placed as the higher deities, surrounded by naked human figures whose identities are unclear. Cakrasaṃvara and his consort, Vajrayoginī,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deities of the Yoginitantras, which are designated as the "Mother-Tantra" section of the Anuttarayogatantra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se changes, discussing it in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e concept of the "residence of ḍākinī (mkha' 'gro ma)" and "the Charnel ground" of the Yoginitantras. The second is the Tibetan practice of the cemetery, "gcod." And lastly, I examine the dance of Chitipati in "'cham," a well-known Buddhist ritual of Tibet. The pavilion in the Chitipati at the Rubin Museum is likely a palace, symbolizing the place where Chitipati resides, Oḍḍiyāna. Oḍḍiyāna was regarded as a geographical pilgrimage site for Mahayana and Tantra Buddhism, an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Yoginitantra, it was also considered a sacred site of Tantra, "Pīṭhā," and "the Pure Land of ḍākinī." The pure land of Padmasambhāva or Vajrayoginī is deeply related to Oḍḍiyāna as a conceptual sacred place, and in both of these pure lands, many ḍākinīs reside. In Tibetan Buddhist art, the pure land is also a representative iconography that describes the palace ruled by the main deity in the center of the thangka. The huge palace of the chief figure, assumed to be located in Oḍḍiyāna, is generally depicted in the center of these two "pure land" images. Therefore, we note the possibility that the central building where Chitipati dances may be the palace of Oḍḍiyāna. In Yoginitantra, furthermore, the ḍākinī's residence is universally considered the Charnel ground, which is ideally connected to the place protected by the Chitipati, lords of the Charnel ground.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palace of Heruka and Vajrayoginī, lords of ḍākinīs, is located in Oḍḍiyāna. According to Cakrasaṃvaratantra, among the twenty-four sacred sites, the four-essence yoginīs who live in the Charnel ground (śmāśāna) type are embodied as surrounding the highest deities in a square shape. Outside this square, a number of ḍākinīs protecting "the eight great Charnel grounds (aṣṭamahāśmāśāna, dur khrod chen po brgyad)" encircle (saṁvaṛa) mandala like a net (ḍākinījāla). Because of this, we cannot overlook the possibility that the pavilion drawn in the Chitipati at the Rubin Museum is a palace for the two upper deities. The producers and viewers of this thangka must have visualized the Cakrasaṃva mandala surrounded by numerous ḍākinīs around the highest deities. The sky burial ground and human figures painted in the Chitipati at the Rubin Museum can be understood through "gcod," the Tibetan cemetery practice, using the sky burial ground or isolated places (dben sa) that evoke fear as the space for the ritual. The most renowned method of Tibetan funeral custom is not cremation but a sky burial, so the role of the Chitipati is not limited to simply protecting the crematorium. The cult of Chitipati and the tradition of gcod are closely related, having developed together. For example, Chitipati is described at the bottom of the "Field of Assembly (tshogs zhing)" as depicting Ma gcig lab sgron (1055–1149) who was the founder of gcod. And the highest goddess of gcod is black Vajrayoginī (Krodikali, khros ma nag mo), the higher deity of Chitipati. In addition, we should note that in a contemporary work that shows similar iconographic changes to the Chitipati of the Rubin Museum, the yogis who are viewed as gcod practitioners are depicted at the bottom. The essential initiation of gcod, "sky opener practice (nam mkha' sgo byed)," which involves the transference of the practitioner's consciousness ('pho ba) to Vajrayoginī, is likely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human figures illustrated in some Chitipati thangkas of the eighteenth centur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stage (rdzogs rim), one of the significant visualization methods of Anuttarayogatantra in Tibet, at enlightenment (Siddhi) the practitioner is believed to obtain an illusory body instead of the original body. In gcod, this illusory body (sgyu lus) corresponds to the mind/consciousness separating from the top of the head and uniting with Vajrayoginī. In addition, the fact that one human silhouette floats on the roof in this work might relate to Yoginitantra's general perception system, which seeks to visualize ḍākinīs, generally identified with nothing (Śūnyatā), and who have the ability to fly in the air (khecaratva). Thus, the human figures drawn in the Chitipati of the Rubin Museum are likely the consciousness of the practitioner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body. On the other hand, the dance of these lords of the Charnel ground, described in the Chitipati of the Rubin Museum, can be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the notion of Tantric ritual, "'dul ba." Dur khrod bdag po Sādhanā mentions that the dance of Chitipati conquers evil spirits. Chitipati's dance, performed after "Abhisheka" in the 'cham ritual, a large Buddhist masque ceremony in Tibet, plays a prominent role in taming an evil effigy called "Liṅga." The Liṅga was originally a symbol of Śiva in Hinduism, but in Tibetan rituals it refers to my internal or external enemies, as well as a gathering of all negative characteristics. The ritual of hoping for liberation through Liṅga's execution is the key process of 'cham. Death and liberation are the central narratives of Tantric literature. In Tantra Buddhism since the eighth century, it is common to see that Heruka, an emanation of Vajrapani, executed Śiva or his incarnations and attributed them to the Mandala of Buddhism. 'Chams yig, written in the seventeenth century, also states that 'cham is the process of the taming of Rudra by Heruka. Rudra, another name for Śiva, is represented as an effigy, Liṅga, a symbol of evil, is then finally killed by a dagger (phur pa) for purification and liberation in the tradition of Vajrakilaya, or "Heruka, the owner of the dagger." That Chitipati's dance, which tames Liṅga, replaces Heruka's role in 'cham, which consists almost entirely of protector deity characters (dharmapāla), is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Chitipati's belonging to Heruka's clan. The arrangement of Cakrasaṃvara (Heruka) as the upper deity of Chitipati at the Rubin Museum suggests the genealogy of "Deity of the Charnel ground" of the Yoginitantras in Tibetan Buddhism, which lead from Bhairava to Cakrasaṃvara. The origin of Heruka is related to the deprivation of the form of Bhairava, a cemetery deity of Kāpālika tradition, and the cult of Bhairava that had been the center of Shaivism since the eighth century exerted an enormous influence on Buddhist Yoginitantra. Focusing on Vajrayoginī, the consort of Cakrasaṃvara and the chief deity of the actual cemetery practice of Tibet,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upper deities of Chitipati. Sa chen kun dga' snying po must have accepted Chitipati, recognizing this genealogy in the Yoginitantra and saṃvara tradition, which emphasizes the cult of the Charnel ground. As such, the Chitipati at the Rubin Museum is an important image in which the perception and practice system of the upper tantra and the ritual context inters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