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胎産要錄』에 對한 硏究

        장경은 圓光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1951

        󰡔胎産要錄󰡕은 조선 세종 때의 의학자 노중례가 왕명에 의해 편찬한 胎産과 어린아이의 질병 치료에 관한 의서로, 1434년에 편찬되었다. 2권 1책으로 되어 있으며, 상권은 임신과 태교의 법을 21항목으로 나누어 자세하게 논하였고, 하권은 영아를 보살피는 방법에 대해 28항목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이 책은 영유아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지식을 대중들에게 보급하고자 王命에 의해 편찬된 서적이다. 이는 모자건강의 필요성을 국가에서 인식하고 이를 위해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편찬한 서적이라는 데에 그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 책은 전문적인 의학지식은 가급적 배제되어 있고, 산모나 조산원 등의 일반인들이 출산 전후에 알아야 할 지식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어 출산ㆍ양육 지침서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變蒸ㆍ客忤 등의 소아의 상견 질병까지 다루고 있다는 점은 다른 태산서와 차별화되는 특징이다. 이는 출산 당시뿐만 아니라 소아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잘못된 대처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함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책을 통해 한의학과 서양의학은 임신 중 모유수유금기의 원인을 다르게 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서양의학에서는 산모와 임신 중인 태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모유수유를 제한하는 반면, 한의학에서는 모유를 먹는 소아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모유수유를 금기한다. 그리고 출산 3일 뒤에 시행하는 목욕법인 三朝浴兒法은 더러움을 씻어내기 위한 목욕의 본래 의미보다 소아에게 빈발하는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 선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오랜 역사동안 태교와 전통적인 산후조리법, 자녀양육법 등이 시행되어 왔으나, 근대화를 거치면서 이런 문화들은 비과학적이고 미신적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평가절하 되어 많은 부분을 실전하였다. 한편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태교가 心身과학으로 인정되고, 전통적으로 행해지던 산후조리나 양육법 등이 우리의 체질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胎産學은 미래의 인재를 건강하게 양성한다는 차원에서 오늘날에도 그 중요성이 인정되는 학문이다. Taesanyorok(胎産要錄) is a medical book on pregnancy/childbirth and the treatment of children’s diseases, compiled in 1434 by Rho Jung‐rye(盧重禮), a medical ma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The book consists of two volumes. The first volume explains pregnancy and prenatal educational care methods in detail, dividing them into 21 items, and the second volume explains how to take care of infants throughout 28 items. This book was compiled by the king’s order in order to spread among people knowledge for lowering the infantile mortali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mpil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out of it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Furthermore, as a manual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this book excludes professional medical knowledge as much as possible, and focuses on knowledge that ordinary people such as parturient women and midwives should have around childbirth. Moreover, i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books on pregnancy and childbirth in that it deals with diseases common in children such as stool symptoms and fright seizure. This is believed to prevent death caused by wrong treatment of diseases occurring in infantile development. What is more, this book suggests that reasons for restricting breast feeding during pregnancy are different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While Western medicine restricts breast feeding in order to protect the pregnant woman and the fetus, Oriental medicine does in order to prevent diseases in the breast‐fed neonate. According to the book, in addition, Samjoyokabeop(三朝浴兒法), the method of bathing three days after childbirth, is for preventing diseases frequent in neonates rather than for cleansing the body from dirties. Korea has a long history of prenatal educational care, traditional postpartum care, and childrearing methods, but through the course of modernization many of such cultures were undervalued and lost as unscientific and superstitious practices. With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prenatal educational care is now acknowledged as mind and body science, and traditional postpartum care and childrearing methods are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as they have been found to be suitable for Korean people’s constitution. The importance of the scienc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is highly recognized even today in that it determines the healthy growth of the future generations.

      •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운전자 교통위반 행동의 분석

        이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919

        이 연구의 목적은 운전자의 교통위반 행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이들의 위반행동을 규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수단을 확보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로 인해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교통사고를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Fishbein & Ajzen(1975)이 제안한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할 경우, 교통위반 행동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으며, 그것이 교통안전 정책에 주는 함축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변수의 도출은 2004년 통계분석 결과 치사율이 가장 높은 순서대로 과속, 중앙선침범, 앞지르기방법위반, 음주운전 행동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은 패널스터디 방법을 적용해 수집된 데이터 중 1차 조사에서 배포한 설문지 250부 중에서 총 190부가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고, 조사기간은 2005년 10월 2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총 25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의 교통법규위반 행동에 대한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에 행정학분야에서 이 이론의 적용을 통한 정책적 기여가 없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계획된 행동이라 할지라도 각각의 교통법규위반 행동에 따라 원인 변수가 다르게 작용한 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교통법규위반자의 교육정책에 있어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특징 연구 : 2008~2022년에 등장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야오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03

        It has been nearly one hundred years since the first animation appeared in China, from the glory of the past to the bottom of the rock, through ups and downs, everything comes back to the starting point and starts again. Since "Monkey King: Hero is Back" in 2015, the long-depressed Chinese theatrical animation finally achieved some success, which brought confidence to most Chinese animation practitioners,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began a new journey. Since the beginning of the new century, the Chinese animation industry has gradually prospered, and the creation of theater animation has also entered a brand new stage. With the change of audience's aesthetic appreciation, the artistic style of theater animation has also changed, and these changes have a certai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ater animation in the future. Taking 2015 as a turning point of development, this paper will sort out and study the theatrical animations from 2015 to 2022. With light Chaser animation and theatrical animation produced by Caituya Pictures as the main research objects, this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ir artistic styles, summarize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theatrical animation, and explores the successful points in the creation of excellent works, hoping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Structure of the paper: Firstly,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expound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nd makes a preliminary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imation. The second chapter summariz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process of animation and theatrical animation, as well as the status quo, development trend and opportunities of Chinese theatrical animation, introduces the art forms of Chinese theatrical animation before the new century, and summarizes the main representative works of each art form. Chapter 3 and Chapter 4 are the key chapters, which introduce the company overview, industrial layout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Caijaya Pictures and Light Chaser Animation, as well as 3-4 major animation works, and analyz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animation works from three aspects: color application, role modeling and scene space. The fifth chapter selects the other three animation companies of the New century, Easy Motion Entertainment, Huaqiang Fangte, Oriental Dreamworks, and expounds their company summary, main work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The sixth chapter mainly summarize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atrical animations in the early period of China an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atrical animations in China today, and compares them in three aspects: color, character formation, and scene space. The seventh chapter mainly explor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theater animation, explores the existing problems and solutions of Chinese theater animation, and makes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theater animation. Although Chinese theatrical animation in the new century has made some achievements, it is often criticized by the audience in terms of story structure and plot. The publicity effect and brand effect also have a certai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theatrical animation. Therefore, Chinese theatrical animation should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foreign theatrical animation, enrich the creation of domestic theatrical animation, and achiev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narrative and visual effects. 중국 최초의 애니메이션이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거의 100년의 역사를 거쳤다.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한때의 휘황찬란했던 시기에서 바닥으로 추락하는 큰 기복을 겪었고, 모든 것을 원점으로 되돌렸다가 다시 시작하였다. 2015년 <몽키 킹: 영웅의 귀환(西遊記之大聖歸來)>을 시작으로 오랫동안 침체되어 있던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마침내 약간의 성공을 거두어 대부분의 중국 애니메이션 종사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었고, 중국 애니메이션의 발전은 이때부터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였다. 2008년 이후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점차 번영하기 시작하였고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창작도 완전히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 관객들의 눈높이가 변하면서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예술 스타일도 그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2008년을 전환점으로 삼고 2008년부터 2022년까지 등장한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정리하고 연구하였다. 컬러룸픽처스와 라이트 체이서 애니메이션에서 출품한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예술적 스타일에 대해 분석 토론하고,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특징을 요약 정리하였다. 우수한 작품의 성공 요인을 발굴함으로써 오늘날 중국의 애니메이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우선 첫 장은 서론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및 연구 방법을 설명하고 중국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특성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조사하였다. 제2장에서는 애니메이션과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개념과 발전 과정,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현황과 발전 추세를 요약하였다. 또한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형식을 소개하고 각 형식의 주요 대표 작품을 정리하고 요약하였다. 제3장과 제4장은 컬러룸픽처스와 라이트 체이서 애니메이션의 회사개요, 산업배치와 미래발전방향, 주요 애니메이션 작품 3-4편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그리고 색채 응용, 캐릭터 조형 및 장면 공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애니메이션 작품의 예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신세기 이후에 설립된 다른 3개의 애니메이션 회사인 이동오락 애니메이션, 화강방특, 동방몽공장을 선택하고 회사 개요, 주요 작품 및 예술적 특성을 설명하였다. 제6장에서는 주로 중국초기의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특징과 중국현재의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특성을 요약하고 색채, 캐릭터 조형 및 장면 공간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제7장 결론 부분에서는 주로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문제점과 해결 전략을 탐색하며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미래를 전망하였다.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이야기 구조와 줄거리 측면에서 관중들의 비난을 받았다. 홍보 효과와 브랜드 효과는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발전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중국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국외의 경험을 흡수하고 국내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창작을 풍부하게 하며 서사와 기술의 동시 발전을 실현해야 한다.

      • 중국 애니메이션에 관한 창작 연구 : 티베트 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03

        Modern society is in an era of rapid development of transform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is getting fiercer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network information. As exchanges between China and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become more and more close, cultural exchanges are also progressing more frequently. As foreign animations were imported and introduced, Chinese audiences were able to experience new visual experiences through beautiful screens and fascinating characters, and overseas animations were recognized by many Chinese audiences. On the other hand, Chinese animation was relatively shunned by the audience because the uniform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imation did not meet various demands of the public. Some works, such as the anime "Dream Song" and "Jang O-gil," were successful in box office and criticism due to the interest and love of the audience, but most Chinese animation works still struggled due to their low quality and lack of awareness of copyright. In a situation where innovation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the appearance of Dream Song, which won the 4th China Film Festival International Special Contribution Award in 2017, drew attention to minority animation as a way to innovate Chinese animation.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China in 1978, animations based on ethnic minorities have been improving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example, "The Nine Deers", "Myowangjeon" and "Xi Ling Xie" won the 2007 Asian Youth Animation Comic Contest Youth Jury Prize and the 2007 China Animation Game Industry Gold Finger Award, and were loved by both Chinese and overseas audiences. This led Chinese animators to recognize the need for creative thinking and proved that the application of Chinese minority elements could be an important breakthrough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Tibetan national anima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hinese minority anim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of Chinese animation. For example, the contents of the works "The King of Tibet Antilob" and "Dream Song" were no longer early myths or legends, but sought new changes by pursuing thoughts and ideals about the environment. This paper explains the historical origin, character analysis, workability, valu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ibetan animation in detail, and uses comprehensive research methods,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and case analysis methods in the research process to obt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second chapter analyz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nimation. Although the birth of animation is only a historical process of more than 100 years, human beings trace the initial exploration of animation phenomenon to the primitive society. As early as the Paleolithic Age, the advanced consciousness of animation has already been budding in Europe. As a result, animation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on a technical level. The third chapter from the analysis on the level of Tibetan character animation, the animation of the animal charac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or character and movement, are to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udience the inherent impression, therefore, this chapter will from the characters of the prototype, role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method research in three dimensions, which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he five factors of personality model (FFM) are analyzed. The fourth chapter 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ibetan animation works. "Narrative structure" is an overall framework, which is the order and way of telling the story or telling the story.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is framework, and then presented to the audience in the form of the already determined, so as to understand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heme and the picture in the animation. Therefore, this chapter explores from the aspects of narrative structure, narrative complex promotion, and narrative space representation. The fifth chapter uses the method of comparative argument to analyze the animation works of Tibetan and other ethnic minor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belief difference, cultural inheritance, voice analysis, folk customs and so on. Meanwhile, it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spirit level of each ethnic group, so as to obtain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under the ethnic theme. The sixth chapter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ibetan theme animation creation. This paper will analyze the creation value of minority theme animation from the aspects of nationality, times and region, so as to understand the existence value of Tibetan theme animation. And success factors. Chinese animation is Tibetan ethnic culture material begins to remodeling, new expression form of popular culture on widespread attention and Tibetan ethnic animation material various Tibetan peoples in the expression format based on material and find a way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현대 사회는 급속한 변혁의 발전 시대에 처해 있으며, 뉴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정보의 보급으로 국가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과 세계 각국의 교류가 갈수록 밀접해짐에 따라 문화교류도 더욱 빈번하게 진행되고 있다. 외국 애니메이션이 수입되어 소개됨으로써 아름다운 화면과 매혹적인 캐릭터를 통해 중국 관객들은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었으며 해외 애니메이션은 많은 중국 관객들의 인정을 받았다. 반면, 중국이 제작한 애니메이션의 획일적인 특성은 대중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중국 애니메이션은 상대적으로 관객의 외면을 받았다. 애니메이션 <요곤장오>(搖滾藏獒) 과 <장오다길>(藏獒多吉)등 일부 작품들은 관객의 관심과 사랑을 받아 흥행과 비평에서 성공하기도 하였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중국 애니메이션 작품은 낮은 품질과 저작권에 관한 인식 부족으로 고전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중국 애니메이션 발전을 위한 혁신이 필요한 상황에서 2017년 제4회 사로전영절(丝路电影节) 중국영화국제전파 특출 공헌상을 수상한 <요곤장오>(搖滾藏獒)의 등장은 소수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을 중국 애니메이션 혁신의 한 방안으로 주목하게 되었다. 1978년 중국개혁개방 이후 소수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은 양적 질적으로 모두 향상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구색 사슴>(九色鹿), <묘왕전>(苗王传) 및 <서령설>(西嶺雪)은 2007년 아시안 유쓰 애니메이션 코믹 콘테스트 청년 심사위원상 및 2007년 중국 애니메이션 게임 산업 Gold Finger Award상을 수상했으며 중국 및 해외 관객의 사랑을 받았다. 이는 중국 애니메이터들로 하여금 창의적인 사고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였고 중국 소수민족 요소의 적용이 중국 애니메이션 발전의 중요한 돌파구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중국 소수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 티베트 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은 중국 애니메이션 창작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작품 <더 킹 오브 티베탄 앤틸롭>(藏羚王之雪域精靈), <요곤장오>(搖滾藏獒)의 내용은 더 이상 초창기 신화나 전설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사고와 이상을 추구하여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였다. 본 논문은 티베트 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의 역사적 기원, 캐릭터 분석, 작품성, 가치 및 타민족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특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연구과정에서 종합적 연구방법, 비교연구방법 및 사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대량의 선행 연구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2장은 애니메이션의 기원과 발전 측면에서 분석한다. 비록 애니메이션의 출현은 오늘날까지 백여 년의 시간을 거쳤지만, 애니메이션 현상에 대한 인류 최초의 탐색은 원시 사회로 추적할 수 있다. 일찍이 구석기 시대에서 애니메이션의 사전 의식이 유럽에서 싹트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제3장은 티베트 소재 애니메이션의 인물 측면에서 분석한다. 애니메이션에서의 동물 캐릭터, 인물 캐릭터, 캐릭터 간의 관계와 운동은 모두 관객의 고정관념에 따라 디자인이 진행된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인물의 원형, 캐릭터 분석 및 이미지 형성 방법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코스타(PaulCosta)와 마이크 레이(RobertMcRae)의 빅 파이브(five-factor model,abbreviation,FFM)(人格五因素模型)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제4장은 티베트 소재 애니메이션 작품의 서사구조이다. '서사구조'는 완전한 플롯으로 이야기 서술 또는 이야기 서사의 순서와 방식인데 플롯의 요구에 따라 확정된 다음 확정된 형식으로 관객에게 보여주어 애니메이션의 주제와 화면 간의 조합 관계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서사구조, 서사 의식의 추진, 서사 공간의 표징 등 측면에서 탐색한다. 제5장은 비교 논증의 방법으로 티베트 민족과 티베트, 몽골족, 묘족 등 세 민족 소재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신앙 차이, 문화 계승, 사운드 분석, 민속 등 측면에서 분석하는 동시에 각 민족의 영적 측면의 차이점에 대해 사전 해석을 진행하여 각 민족 소재의 애니메이션 특징을 얻어낸다. 제6장은 티베트 민족 애니메이션의 창작 특징 및 가치에 대해 검토한다. 민족성, 시대성, 지역성 등 측면에서 소수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의 창작 가치에 대해 분석하여 티베트 소재 애니메이션의 존재 가치와 성공 요인을 파악한다. 중국은 티베트 민족 문화 소재 애니메이션을 리모델링하기 시작하면서 대중문화의 새로운 표현 형식으로 들어섰는데 광범한 주목을 받았고 티베트 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을 기준으로 다양한 표현 형식에서 티베트 민족 소재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적합한 길을 모색하고 있다.

      • 서울시 기후변화 종합 취약성 분석을 통한 재난별 재해관리 강화방안

        장경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03

        As population and resource consumption are concentrated in cities due to the recent accelerated urbanization, deepening social problems such as fine dust, traffic congestion, water shortages, and disasters are a major threat to the sustainability of cities. In particular, in the 2018 National Consciousness Survey, Korea needs countermeasures to solve the increase in disaster-prone areas due to climate change and new environmental issues. In particular, climate change is occurr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and accordingly, various countermeasures related to disasters and disasters are being promoted. These countermeasures can be seen in two aspects: the first is to mitigate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and the second is to prepare in advance for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The former aspect is that civil society and companies are actively participating, but the latter aspect is that the same damage does not occur in all classes or regions, but the damage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hat reflect accurate predicti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preliminary preparation and follow-up process. Also, smart cities are being promoted worldwide to solve urban problems along with climate change. However, since the smart city currently being promoted is focused on the ICT fiel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value enhancement in various fields is mentioned. In order to respond to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comprehensiv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frastructure that allows citi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climate change and respond effici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domestic damage caused by abnormal weather through a comprehensive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in Seoul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at citizens can feel and utiliz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patial vulner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on heat waves, floods, fine dust, and cold wave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process of the study first constituted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indicators for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ability sectors for spatial vulnerability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autonomous districts, vulner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VRI calculation method to select autonomous districts with high vulnerability. Nex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ulnerabilities by region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dministrative dong units of the selected autonomous districts. Based on this, disaster response measures related to domestic climate change were comprehensively summarized and then regional disaster response measures were presented, focusing on immediately after and after the disaster. Accordingly, vulnerable areas needed information and physical infrastructure for rapid evacuation of citizens, vulnerable areas in the sensitivity sector needed physical resources and post-economic support, and vulnerable areas in the adaptability sector suggested countermeasures considering the need to expand the post-recovery process. This study reflec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natural disaste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countermeasures to reduce manpower, time, and budget requirements, and the need for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the response system at the time of the disaster.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ctual damage of the region because it was analyzed with the processed data.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s and identify correlations with indicators to suggest more practical and broader use of urban and architectural planning fields in consideration of selecting appropriate locations for disaster reinforcement infrastructure. 최근 가속화 되고 있는 도심화로 인해 인구와 자원 소비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미세먼지, 교통혼잡, 물부족, 재난 등 각종 사회문제의 심화는 도시의지속가능성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2018년 국민 의식 조사에서 한국은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취약지역 증가와 새로운 환경이슈가 현안 문제로 조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기후변화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난과 재해의 관련된 다양한 대응 방안이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대응 방안은 두가지 측면으로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로는 기후변화 현상의 원인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대응이며, 두 번째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에 사전적으로 대비하고자 하는 측면이다. 전자의 측면은 시민사회 및 기업들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후자의 측면은 모든 계층이나 지역에 동일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 환경적 차이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피해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전적 대비와 사후 대응 과정은 정확한 예측과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가 기후변화에 책임을 지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기후변화 종합 취약성 분석을 통해 이상기후로 인한 국내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들이 체감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지리정보시스템인 GIS를 활용하여 폭염, 홍수, 미세먼지, 한파에 대하여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공간적 취약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우선 공간적 취약성 분석을 위해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부문에 대하여 사회적, 물리적, 환경적, 경제적 지표를 구성하였다. 자치구의 취약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취약도가 높은 자치구를 선별하기 위해 VRI 산정방식등을 활용하여 취약도를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선별된 자치구의 행정동 단위 분석을 통해 지역별 사회적, 물리적, 환경적, 경제적인 취약성의 특성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난 대응 방안을 종합하여 정리한 뒤 재난 발생 직후와 사후에 초점을 맞춰 지역별 재난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후노출에 취약한 지역들은 시민들의 신속한 대피를 위한 정보와 물리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였으며, 민감도 부문의 취약한 지역들은 물리적 자원과 사후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였고, 적응능력 부문의 취약한 지역들은 사후 복구과정 물리적, 환경적, 인프라 확대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재난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인력, 시간, 예산 소요의 저감을 위한 대응 대책의 방향성과 재난 발생 당시와 사후 대응체계의 적절한 이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가공된 데이터와 함께 분석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실질적인 피해와 상관성이 높은지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재해 현황을 파악하여 지표들과의 상관성 파악을 통해 재난 강화 인프라 구성에 적절한 입지 선정 등을 고려하여 더욱 실질적이고 도시, 건축계획 분야의 폭넓은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전라남도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산업 정책 방안 연구

        태기 목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1903

        <국문초록> 현대를 일컬어 `대중여가사회`라 한다. 특히 주 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서 여가시간의 증가로 다양한 여가문화가 창출 되고 현재 여가의 가장 대표적인 활동이 스포츠이며, 이러한 경향은 더욱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스포츠의 경향은 건강과 체력증진 또는 오락 등의 전통적인 관습에서 벗어나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분류되어 보다 적극적인 투자를 통하여 이윤의 극대화를 얻고자 하는 스포츠 비즈니스 적 가치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타시도에 비해 겨울철 따뜻한 날씨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먹거리, 찬란한 문화유산 및 정감 넘치는 남도민의 공동체 등 비교우위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스포츠관광산업의 성공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전라남도에서 추진해온 스포츠산업정책의 결과들을 분석하여 미래의 지역발전에 필요한 스포츠산업 정책방안을 도출해 내고자 거시적 환경과 미시적 환경이 포함된 전라남도의 스포츠시설, 스포츠 이벤트대회, 동계전지훈련팀 유치실적, 지역자원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포츠이벤트, 골프산업의활성화, 해양스포츠자원 등 내부환경과 전남지역과 경쟁관계에 있는 경상남도, 강원도, 제주도의 관강자원 및 스포츠산업자원의 외부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산업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자료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전라남도 스포츠산업 발전의 재약요건과 잠재력 및 경쟁지역의 스포츠산업 환경을 분석하여 전라남도 지역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산업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본 연구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남도의 골프산업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구체적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해외골프수요를 국내수요로 전환을 위한 방안으로 국내골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구노력 및 정부의 정책수립이 시급하며, 전라남도의 골프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관광문화와 연계한 테마별 골프패키지 상품개발과 골프장과 레저시설을 겸한 테마랜드 조성이 요구되며 부족한 골프장 신설이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해양 레저스포츠 활성화 전략으로 선박을 이용한 해양레포츠의 활성화와 어업기능인 어항을 어업과해양관광레저 기능으로 전환하는 해양 레저스포츠 활성화 방안이 요구되고, 해양 휴양형 스포츠관광개발 방안이 필요하며 요트산업을 대중스포츠로 부각시켜 요트를 이용한 관광객의 저변확대 및 활성화를 기해야 한다. 또한 권위 있고 규모면에서 차별화된 국제 해양 레저스포츠 대회 창설로 전라남도 지역의 자연조건을 활용한 경기 종목과 경기방식을 제정하는 대회를 창설하여 참여자 및 관람자의 흥미와 언론의 조명을 통해 세계의 관심을 유도하여 해양레저스포츠 종합대회를 창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라남도의 동계전지훈련 클러스트는 전통적으로 시설과 종목별 강세 등을 고려 목포-강진-순천-광양으로 이어지는 축구, 강진-순천-여수로 이어지는 야구 태권도 씨름 나주-강진-보성으로 이어지는 싸이클, 목포-해남-광양으로 이어지는 육상종목의 클러스터 개발이 바람직하고 종목별로 권역을 특화하는 방안으로 숙박시설 확충과 전천후 훈련장과 체력훈련장 등 시설 인프라가 필요하며, 소비자인 동계전지훈련 참가자로 하여금 높은 만족도를 유도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마케팅이 동반될 때 참가자는 비로써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일 것이다. 넷째, 전라남도는 특성화된 이벤트 개최전략과 특히 틈새 스포츠시장으로 노인, 여성,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지역보다 입지적으로 스포츠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자연자원 및 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자원과 결합된 스포츠이벤트의 개발과 지역의 문화축제와 공존하는 참여형 스포츠이벤트의 개최로 지역특산품과 스포츠이벤트의 연계마케팅 방안이 요구된다. 다섯째, 전라남도에서는 경쟁력을 갖춘 스포츠산업 도시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며, 개발 가능한 스포츠산업 도시로는 강진군의 엘리트 스포츠이벤트 개최도시, 목포시는 축구와 해양스포츠, 순천시는 생활체육활성화 도시, 광양시는 축구종목의 특성화된 도시, 마지막으로 여수시는 종합스포츠제전의 도시로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라남도 권역별 스포츠관광개발 전략으로는 목포, 강진을 중심으로 한서부권, 여수,순천,광양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 그리고 나주,화순,담양으로 한 내륙권의 지역에 유입된 외부 인구를 지역관광지로 끌어들이는 소프트웨어 전략이 요구되며, 체험관광의 충족유도 그리고 지역관광자원의 성격 및 기능과 스포츠이벤트의 일정 등도 고려된 관광루트개발도 이루어져야 한다. 2009년 6월에 실시한 감사원의 전라남도 종합감사 결과에서 전라남도 스포츠산업정책에 대해 기존의 단순하게 치러지는 체육행사와 시설물 설치 등에 국한 되었던 스포츠 관련 업무를 2006년부터 과감히 개선하여 스포츠산업이 앞으로 고부가 가치를 생산하는 지역 성장 산업임을 인식하고 특히 겨울철 관광 비수기에 훈련하는 운동선수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지역경제를 살리고자 노력한 공을 인정하고 전라남도지사는 위 모법사례를 널리 알리고 위 부서에 대하여는 표창 등을 하여 사기를 높여 주시기 바란다는 평가가 말해 주듯이 전라남도에 추진해온 지금까지의 하드웨어적인 시설확보 전략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스포츠산업 전략은 지역경쟁력 및 전라남도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 역사적 특징, 문화적 매력, 행정서비스 등의 도시브랜드확보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동시에 지역 간 긴밀한 협력과 중앙부처의 확고한 추진의사가 필요한 전략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론이 전라남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산업 정책 방안으로 모든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라하고는 생각하지 않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국내의 다양한 사례와 외국의 사례를 많이 수집하여 넓고 깊은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전라남도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산업 발전에 미력한 힘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 영·미 화인작가 문학작품의 혼종성 연구 : 린위탕(林語堂)과 장이(蔣彛)를 중심으로

        손유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902

        20세기 중국현대문학을 논할 때에 한 국가·한 체제·한 문화권에서는 해석될 수 없는 수많은 결과 지점을 마주하게 된다. 그동안 우리는 중국현대문학이라는 언어적 유희에 갇혀 중국이라는 한 거대한 국가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중국 대륙 이외의 지역 즉, 탈구된 위치에 자리한 작가와 작품을 연구한다고 했을 때 이미 중국현대문학의 범주에서 벗어난 것만 같은 위기감마저 든다. 더욱이 중국문학의 언어적 속성을 국적이라는 틀로 묶어두려고 할 때 중국의 화인작가는 중국현대문학의 주변부로 밀려나 아류로 취급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중국인의 문학을 중국·현대·문학이라는 지리적·시간적·장르적 담론의 틀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20세기 대표적인 영미 화인 이산작가로 린위탕(林語堂·Lin Yutang, 1895-1976)과 장이(蔣彞·Chiang Yee, 1903-1977)를 꼽을 수 있다. 린위탕과 장이는 화인작가로서 역사적 흐름과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국가와 민족에 대한 주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전 세계를 돌며 광범위한 창작활동을 벌였다. 화인작가는 과거 자신들이 속해 있던 곳으로 돌아갈 수 없는 현실적 공간에 머물고 있다. 이들은 작품을 통해 토속민에서 이주민으로, 중심에서 주변으로 오고가며 경계에 머무르기도 하고 넘나들기도 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서 인간의 아픔을 담아내고, 시대의 경련을 묶어내기도 하고, 침묵하는 자의 외침을 쏟아내며 역사의 발자취를 기록해내기도 한다. 작가는 언어로 시대를 담아낸다. 과거의 언어를 표면으로 이해하고 작품을 범주화하려고 하면, 작가의 내면을 볼 수 없을 뿐 아니라 시대의 이면에 감추어진 역사적 가치들을 간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인작가의 작품을 연구할 때, 그의 본국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이주 후의 삶까지도 총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어느 시대를 사느냐에 따라 작가는 현실을 진단하고 비판하는 비평가, 현실을 넘어 대안을 제시하는 이상가, 현실과 이상을 융합시켜 이념을 나타내는 사상가일 수도 있다. 이들은 조국을 떠난 이후 타국에서 창작활동을 통해 제2의 인생을 시작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도 하고, 조국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었다. 화인작가의 작품세계에 주목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에서는 ‘디아스포라(diaspora)’ 대신 ‘이산(離散)’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이산민은 본래의 나서 자란 고장에서 타지로의 이동을 통해 초지역·초국가의 특성을 가지고 경계에 머무른다. 이 과정에서 이산민은 경계에 맴돌거나 넘나들며 ‘혼종성’을 유지해 간다. 호미바바(Homi K. Bhabha)는 서구 중심적인 관점에서 탈피하려는 탈식민주의적 시도에서 그치지 않고, 문화들 간의 혼종과 그 틈새적(interstices) 공간의 특징으로 설명한다. 호미바바가 말하는 틈새는 서로 다른 문화와 정체성이 중첩되는 경계의 공간이다. 이 경계의 공간에서 자기중심적인 정체성과 문화는 해체되어 간다. 이로부터 혼종성은 민족적 정체성의 이해와 문화적 가치라는 상호 주관적이고 집단적인 경험이 교섭되면서 다중성과 치환의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영미의 화인 이산작가 린위탕과 장이의 작품세계 속에 내재되어 있는 혼종성의 특징들을 탐구하는 데 있다. 린위탕과 장이는 서구 영미권 사회에서 활동한 중국의 대표적인 화인 이산작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작품의 서사 구조와 시공간의 흐름 속에 내재되어 있는 혼종성의 특징들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린위탕과 장이는 30여년 동안 해외에서 창작활동을 하면서 주관적인 민족성과 자기중심적인 문화를 넘어서 다문화주의의 문화적 다양성을 예술적으로 잘 표현한 작가이다. 이들은 이산작가로서 혼종적 정체성과 주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초국가적 정체성은 경계에 선 존재의 인정인 반면, 주체성은 경계를 넘나드는 의지로 정의될 수 있다. 혼종적 정체성이 서로 다른 이질적인 경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의 인정과 확인이라면, 혼종적 주체성은 그 경계를 넘나들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이 혼종화 과정이다. 혼종화는 ‘거부-제한-확대’의 과정을 거치면서 정체성을 확인하고 주체성을 발현하게 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를 다시 ‘경계의 확인-경계의 응시-경계의 넘나듦’이라는 관점으로 확대해 볼 필요가 있다. 혼종화 과정에서 보이는 거부·제한·확대는 경계에 선 자의식의 확인과 응시, 이를 넘나들고자 하는 의지와 맞닿아 있다. 이처럼 이산민은 떠나 온 고국과 타국이라는 경계에 머물면서 허물기와 넘나들기를 반복하며 제3의 공간을 만들어간다. 화인작가는 끊임없는 헤어짐과 만남을 통해 동서양의 정서적·물리적 거리를 가로질러 중국현대문학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주인공들이다. 화인작가의 삶과 같이 이들의 작품 속에 투영된 등장인물 간의 관계 또한 수많은 경계에서 충돌하며 해체되고 개별화되어 간다. 이 과정을 경계의 넘나듦인 동시에 혼종성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이들의 작품세계를 분석할 때에는 국가와 민족, 이념과 지역이라는 범위에서 벗어나 작품 그 자체의 세계 속에서 접근하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린위탕과 장이의 작품세계를 통해서 경계에 있는 자아를 확인하고 그 경계를 넘나들고자 하는 주체성의 혼종성을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목적 성취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혼종적 서사구조 속에 등장하는 시공간 의식과 정체성, 주체성의 문학적 특징들을 밝혀내고자 한다.

      • 나노여과(NF)막 공정에서 Flux의 영향과 고농도 유기물이 이온제거율에 미치는 영향

        홍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87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as be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ux on the nanofiltration process and the influence of high concentrated organic matters on the ion rejection rate of nanomenbrane. The study has been consisted of four series of experiments; namely A, B, C and D. The raw water was B lake water containing high organic matters in the range of 4 to 6 mg/L of TOC. In experiment A, the starting flux was 40.69 L/m^2h(LMH). Water flushing was exercised for every 24 hours to minimize the membrane's concentration polarization. In experiment B, the same raw water has been used. However the starting flux was 21.96 LMH to compare the results with experiment A. The two series wer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ux on the fouling of nanomembrane. The flux, TMP variation through the filtration time and the flux recovery after chemical cleaning were observed. After experiments, the surface of membranes were analysed by SEM-EDS.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s; ① In high flux of 41 LMH, the fouling of the membrane was proceeded rapidly as the flux was decreased soon. Furthermore the fouling was so severe that the flux was not recovered by chemical cleaning. Water flushing to relieve concentration polarization on membrane surface was performed for every 24 hours. It was of no use in recovering flux or in rejecting TOC. However it was able to improve the removal rate of divalent cations such as Ca2+ and Mg2+ . ② Under the low flux of 22 LMH, the flux was maintained as 20-22 LMH for 56 days without chemical cleaning to the end of test. The operation pressure was 2.45kgf/cm2, recovery rate was 10%, initial flux was 22 LMH. ③ With low flux, the fouling characteristics of membrane was evidently different. So it is thought that critical flux is existent between 20 LMH and 41 LMH. ④ By the SEM-EDS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fouling was processed more by inorganic matters than by organic matters. ⑤ The rejection rate of divalent cations such as Ca2+ and Mg2+ didn't show any differences by clean water flushing. So it is thought that the flushing effect is closely related to fouling phenomenon of membrane surface. The experiments C and D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 concentrated organic matters on the ion rejection in nanofiltration process. In the last stage of nanofiltration, the raw water is highly concentrated leaving high concentration of ions and organic matters. The raw water were concentrated 4 times to simulate the influent of last stage nanofiltration. In test C, the inorganic salts were added to provide high ion concentration of Cl- 252 mg/L, NO3--N 2.6 mg/l, Na+ 117 mg/L, Mg2+ 29 mg/L, Ca2+ 67 mg/L. The concentration of TOC and DOC were 25 mg/L and 24 mg/L, respectively. The operating condition was same to that of the experiment B. In test D, inorganic salts were added into pure multiply distilled water to provide the ion concentration of Cl- 252 mg/L, NO3--N 2.6 mg/l, Na+ 117 mg/L, Mg2+ 29 mg/L, Ca2+ 67 mg/L. It was believed that organic matters were excluded in experiment D. The results of experiment C and D were concluded as shown in the following. ① The nanomembrane showed high rejection rates for divalent ions although the organic concentration was around in the range of 24 mg/L. The average removal rate of Cl- , Na+ and NO3--N were 91.7 %, 83.5 % and 73.5 %, respectively. ② The nanomembrane also showed similar high rejection rate for divalent ions in the experiments D. The average removal rate of Cl- , Na+ and NO3--N were 90.8%, 84% and 81.1%, respectively. ③ It had been revealed that the high concentrated organic matters might not hinder ion rejection in nanofiltration process unless organic fouling has been occured.

      • 아파트 평면 유형별 CO2배출량 및 경제성 평가

        형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87

        최근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위해 환경 선진국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많은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CO2 배출량을 BAU대비 30% 감축안을 국가차원의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2015년에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시행을 앞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후변화협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위해 아파트의 CO2 배출량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전에는 판상형이 건설되어 왔고 최근에는 조망권과 토지효율성의 극대화의 이유로 탑상형이 주로 건설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다양한 유형과 층수로 아파트가 건설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형별, 층수별 CO2 배출량 및 경제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실제로 건설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각각의 유형과 층수를 분류하고 주요자재에 대한 물량을 산출하여 CO2 배출량을 산출 및 물량에 따른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여 층별 가장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아파트의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 이내에 국내에서 건설된 100개의 아파트의 건축도면과 구조도면을 분석하여 아파트의 유형을 가장 흔히 건설되고 있는 판상형, 탑상형 Y형 그리고 탑상형 L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을 15층, 20층, 25층, 30층의 층별 대표모델을 두 개 동씩 선정하여 CO2 배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건설자재인 콘크리트, 철근, 거푸집의 3가지 자재의 동별 물량을 산출하고 이를 통하여 각 유형별 층수에 따른 CO2 배출량 및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때, 아파트 평면 유형에 따라 CO2 배출량이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주축으로 아파트의 유형을 몇 가지로 구분하여 먼저 유형별 건축공사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파트의 평면유형별로 물량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주요 소요자재량 즉, 콘크리트, 철근, 거푸집의 량에 따른 생산단계 CO2 발생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아파트 평면 유형별로 주요 건축자재의 물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여 CO2 배출량과 경제성을 고려한 층별 아파트 평면 유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