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iN코팅의 殘留應力이 磨耗壽命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임정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wear life of TiN coated on Si-wafer was evaluated according to change of the residual stresses. TiN coating was deposited to vary the residual stresses due to deposit condition (V_(bias)). In order to remove effects of other factors, the coated specimens were the same roughness, hardness and thickness of coatings. The residual stresses were measured by XRD method. The scratch test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bonding strength of TiN coatings and substrates, which was evaluated as the critical loads to failure. The sliding test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wear life of TiN coatings, which was evaluated as the number of cycles to failure. The sliding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a specially designed diamond cone-on-disk type tribometer, which was capable of measuring the friction forces. From the measurement of residual stresses it was confirmed that TiN coatings on Si-wafer had the compressed residual stresses. And the residual stress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bias voltage. From the scratch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ical load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mpressed residual stress in TiN coating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compressed residual stresses in TiN coatings always not caused the longer wear life. From the result of scratch test it is predicted that the critical point to change a tendency of wear life is the residual stress of -2GPa. From the sliding test it showed that the infinity life, at which the coated Si-wafer survive more than 4,000cycles, was about 0.25~0.85N of the normal load, also revealed dominant abrasive wear mechanism during sliding against diamond cone. Using the percent contact load, the ratio of sliding normal load to the critical scratch load, the cycles to failure are measured to predict the wear-life of TiN film. On the wear life diagram it showed that the infinity life was about 1.5~4% of the critical scratch load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safe sliding conditions of the coated specimens.

      • 자기장학의 수준과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임정순 서울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교사 배경 변인별 자기 장학과 교수효과성의 수준을 제시하고 교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자기 장학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자기장학과 교수효과성의 수준 및 관계 연구를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하였다. 문헌 연구로 자기장학의 개념과 유형, 교수 효과성의 개념 및 교수 효과성 측정 준거 등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은 선행연구자들이 개발한 측정 도구를 연구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를 각 교육청별로 1학교씩 11개교를 무선 표집 하여 41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32부의 설문지 중에서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외하고 310부를 유의미한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되는 직위 교육 경력, 학교 규모로 통계 처리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배경 변인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대학원, 학원수강, 연구회 참석 여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장학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Duncan의 사후검정 분석을 하였다. 자기장학과 교수효과성 관계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자기장학에서 교사들의 수준을 살펴보면 전문 과정 이수 영역에서 대학원 수강을 제외한 연수시간, 학원 수강, 연구회 참여와 대중 매체 활용은 대체로 높은 수준이며 자원인사 상담, 현장 견학, 개인적 차원의 연구의 수준은 조금 높은 수준이다. 자기장학의 수준은 배경 변인인 직위, 교직 경력, 학교 규모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는 영역은 전문 과정 영역, 개인적 차원의 연구 영역이었고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은 영역은 연수 시간과 대중 매체 활용 영역, 자원 인사 상당 영역 중 동료·선배 교사 면담, 현장 견학 영역이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자신의 교수효과성을 대체로 높은 것으로 인식하며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의 구조화를 제외한 수업 전개 전략과 학습 동기의 유발, 학습 기회의 부여, 학생 행동 관리가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특히 교직 경력이 25년 이상인 고 경력 교사가 교수효과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자기장학 수준과 교수효과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자기장학 수준이 교수효과성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34.5%이며, 개인적 차원의 연구, 교육 문화 시찰, 자아 성장 발전을 위한 학원수강 여부 순으로 교수효과성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위에서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앞으로의 자기장학의 방향은 수업개선을 위해 수업을 녹음, 녹화하여 분석 평가하고 학생들의 의견 조사나 면담활동을 통한 수업 반성을 통해서 자기 수업에 피드백하거나 개인 현장 연구를 통한 전문성 신장, 교육 문화 시찰 활동, 자아 성장 발전을 위한 학원 수강의 방법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자기장학이 교사의 자발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되 최소한의 장학담당자의 적절한 지도성 발휘가 요망된다. 계획 수립, 실행 과정, 결과 협의의 단계에서 장학 담당자의 적절한 지도성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장학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단기간의 연수보다는 장기 연수(안식년제) 및 현장 견학 등의 다양한 방법적인 형태가 연구되어야 하고 좀 더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가 듣고 본 만큼 또 아는 만큼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교직의 발달 단계에 따라 교수효과성을 올릴 수 있는 자기장학의 정보 제공 및 지원 활동, 적절한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사 직무연수는 학점제를 운영한다거나 연수비를 보조해 주는데 비하면 학원 수강은 그렇지 않다. 기능을 요하는 교과는 단기간의 연수보다는 학원을 통해 1년 이상의 장기간에 그 기능이 향상되어가므로 좀더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섯째, 사회적으로 고 경력 교사를 선호하지 않고 우대하지 않는 풍토가 개선되어야 하고 고 경력 교사들이 쌓아 놓은 교수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노하우를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운영 체계가 필요하며 고 경력 교사들도 스스로 사회 변화와 학교 문화의 변화에 빨리 적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e direction of self-supervision to enhance the teaching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factor of teacher' background. First of all, I researched documentary records and investigation for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and teaching efficiency and the study of relation. I researched the theory about the concept and pattern of self-supervision, the concept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e standard referred to teaching effectiveness estimation for the documentary records. I made use of questionnaires for the investigation study, and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after being corrected and complemented so as to suit to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estimative instrument that senior investigators had developed. I chose 11 elementary schools at random; one at every District of Education in Seoul, and I conducted the survey on 419 teachers. Among 325 questionnaires I received, I excluded questionnaires that was not faithful and gathered statistics about their positions, careers and school size which were expected to make meaningful differences. I also did cross-analysis about studying at graduate schools, academy attending for study, using the mass-media and educational personnel counseling which were collected the data. In addition, I did T-test and ANODA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self-supervision and teaching effectiveness. When there meaningful differences, I analyzed the post censorship of Duncan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among each group in expecting to make meaningful differences. I also analyzed a multiple regression to know the self-supervision and teaching effectiveness. I summarized the study result attained through these processes as follows. First, when I looked into the level of the teachers in self-supervision except for studying at graduate school for taking professional course, study and training time, academy attending for study,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for the study and utilizing the mass media were relatively high. Depending on the position, career, school size, the parts that hav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fields are professional courses and individual research parts. But the parts which don't have meaningful difference are study and training time, utilizing the mass media, counseling of colleague and senior teacher in educational personnel counseling, and visiting a field for study. Second, elementary teachers thought that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 Depending on the analysis about the difference of their background fields, except for the organization of lessons, the strategy of class development, triggering motivation to learn, giving chances to learn, controlling student behavior were different meaningfully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 Specially, high career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more than 25 years recognized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high. Thir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has a lot to do with teaching effectiveness. The explanation degree of teaching effectiveness through self-supervision is 34.5%, and in the following order, individual research, inspecting educational culture, and attending academic program for study influenced the teaching effectiveness were high. Based on the suggestions above, I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given so that individual research field, inspecting educational culture, and academic attending method for self-growing and development might be made. Second, self-supervision should be paid regard to teacher's volunteer and self-regulation, but the school inspector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should show at least a proper leadership. The school inspector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will lessen the trial and error through his proper leadership at the stage of planning, practicing process ,and result discussion. Third,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 through self-encouragement of learning, various systematic patterns of the long-term study and training(resting year system) than short-term, and spot inspection etc. should be studied, and more interest and support are needed, for teachers can teach students as much as they hear, see, and know. Fourth, offering the information of self-supervision, supporting activity, and producing a proper atmosphere are needed so as to enhance the teaching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stage of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ifth, now, a unit(grade) system is operated and training fee is offered in duty training for teachers, on the other hand, academic attending for study is not that way. The subjects needed skill are promoted through long-term training over one year in academy rather than short-term training, so I think more interest and support are needed. Sixth, the atmosphere that doesn't prefer and show special courtesy toward high career teacher should be improved. We need a operation system that can share know-how to enhance the teaching efficiency that high career teacher achieved. I think that the high career teachers also should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 of society and school culture.

      • 급성기 뇌졸중 입원환자 가족 간호제공자를 위한 다중구성 간호중재 효과

        임정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Multicomponent Nursing Intervention for Family Caregivers with Acute Stroke In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ulticomponent nursingintervention for familycaregiverswithacutestrokeinpatients. The design of the research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55 family caregiver (experimental 27, control 28) who have has inpatients with acute stroke in K hospital.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ly 26 to November 3, 2017. The multicomponent nursing intervention was given in eight twice weekly sessions. As outcome variabl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caregiving demands, self-perception, stress management were measured at the end of sessions by research tools. The research tools included SF-36 health survey questionaire, caregiving burden, caregiving mastery, coping behavior patter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PSS program. Development of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proceeded as follows: (1)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guideline of structural model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health of caregivers by Raina et al.(2005).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consisted of education about caregiving demand, narrative therapy for positive self-perception, aromatherapy for stress management.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consisted of 8 sessions from 30-60 minutes with two interventions per week with face to face intervention from expert.(2)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were finalized after expert group validation of structure, formation, and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caregiving demands (time, difficulty)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was supported (time: t=6.54, p<.001, difficulty: t=5.79, p<.001). Hypothesis 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self-percep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was supported (t=-6.22, p=.004). Hypothesis 3: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stress manag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was supported (t=-2.83, p=.007). Hypothesis 4: "Caregiving demands and health of family caregiversinacutestrokeinpatients will be related." was supported (time: r=-.64, p<.001, difficulty: r=-.52, p=.005). Hypothesis 5: "Self-perception and health of family caregiversinacutestrokeinpatients will be related." was rejected (r=-.04, p=.849). Hypothesis 6: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of family caregiversinacutestrokeinpatients will be related." was supported (r=-.64, p<.001). Hypothesis 7: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was supported (psychological health: t=-5.84, p=.003, physical health: t=-7.41, p<.001).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is multicomponentnursingintervention for familycaregiversinacutestrokeinpatient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reducing caregiving demands, improving self-perception and stress management. Health of family caregiversinacutestrokeinpatients was correlated with caregiving demands and stress management, but not with self-perception.

      •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가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정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는 최근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초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노인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의 역할상실과 자유시간의 증가에 따라 여가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노인의 사회참여 방법으로 자원봉사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의 노인문화는 변화하고 있다. 21세기 노인은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삶의 가치실현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욕구가 자원봉사 활동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노인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에게 보다 풍요로운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노인의 잠재능력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사회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노인과 자원봉사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들을 분석하여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자원봉사활동과 생활만족도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노인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자원봉사자와 비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 관련요인을 알아본다. 둘째, 노인 자원봉사자와 비 자원봉사자간의 생활만족도를 비교․분석한다. 셋째, 자원봉사활동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본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대상자는 서울 강북지역 소재 자원봉사기관 중 4개소를 임의로 선택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없는 대상자는 서울 강북의 중․서부지역 노인복지관 및 야외공원에서 소일하고 있는 노인을 임의로 선택하였다. 조사는 2005년 2월 20일부터 4~5일간 준비한 설문서 및 1:1 개인면담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이 중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노인 90명, 자원봉사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 80명, 총 170명의 응답 자료를 선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원봉사활동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 자원봉사활동 참여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는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요인과 노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이다. 여기에선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가족관계, 건강상태 등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와 생활만족도이다.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 평균이 비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관련 요인과 생활만족도이다. 자원봉사활동 기간, 자원봉사활동 만족 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노인들은 자원봉사를 통해서 타인에게 도움을 주고 노후 생활에 갖게 되는 열등감이나 소외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적 차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자원봉사자와 비 자원봉사자와의 참여에 의한 설문을 통해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삶의 만족도에 부응하는 국가정책과 자원봉사 인력으로서 노인 인적자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활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응용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최근 사회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자원봉사가 사회적 자원으로 인식됨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이 복지국가나 복지사회를 이룩하는데 선행조건인 동시에 필수조건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학력 전문지식을 가진 노인의 잠재적 인력을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은퇴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프로그램도 보완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추후의 노인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함으로써 중산층, 고학력 노인 자원봉사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노인 스스로 ‘복지의 수혜 대상’이 아닌 ‘복지의 제공자’로의 인식전환에 일익을 담당하여 사회적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오늘날의 노인들은 이전 세대보다 훨씬 건강하고 높은 교육수준과 경제적 자립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중 많은 노인들은 전문 자원봉사활동을 원하고 있으나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부족하여 단순 자원봉사에 국한된 활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자원봉사자의 만족도가 감소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한다. (탑골인 노인 복지센터) 그러므로 이제 노인도 더 이상 사회적 부담이 되는 의존적 존재로 볼 것이 아니다. 자기성장을 꾀하는 독립적인 존재로서 또한 사회참여활동의 훌륭한 인적자원으로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노인의 의식도 다양하게 변하고 있어서, 물질적인 면에서의 풍요로움보다 정신적인 풍요를 원하는 사람들이 현저히 증가였다. 또한 적극적으로 삶을 창조하려는 성숙한 모습과 사회의 일원으로서 어떤 형태로든지 도움이 되고자 하는 노인들이 늘어나고 있어서, 개개인 각자의 연령에 맞게 적극적으로 자기실현과 사회참여, 심리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하기 위해 정부의 노인 복지정책에도 ‘활기찬 육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노인 자원봉사활동이 늘어날 추세이다.

      • 수술진행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암수술 환자가족의 간호요구 만족도와 상태불안

        임정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ccording to the two kinds of methods of offering information during cancer surgery on the family needs satisfaction and state anxiety at the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Korea. Materials &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0 subjects. Forty subjects were assigned to be served informational intervention directly. Forty were assigned to be served text message informational intervention that was transferred from a computer program to cellular phone of patient's family by perioperative RN. Data were collected during 15th January to 25th March, 2006. The research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after skin incision, after specimen out, after returning to recovering room). The outcome variables were the level of the state anxiety with Spielberger's state anxiety scale, and nursing needs of patients' families with Perioperative Family Needs Questionnaire(PFNQ).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ost test design.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X2 - test and t - test. Resul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level of perioperative family needs satisfaction between the group which nurses offer the perioperative information group and the text message group(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level of state anxiety in offering informational intervention between the direc tperioperative information group and the text message group(P>0.05). Conclusion: Based upon the above finding, it seemed that the nursing intervention with cellular phone short message service is as effective as direct perioperative information in reducing the level of state anxiety and in increasing of the level of nursing needs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