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dentification of fusidic acid resistance in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from dogs

        임윤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Fusidic acid is a topical steroidal antibiotic that is generally used to treat skin infections in both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Although genetic research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resistance to the drug in Staphylococcus aureu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only limited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the incidence of fusidic acid resistance in animal-derived bacterial stra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ccurrence and mechanism of fusidic acid resistance in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from dogs. A total of 52 clinical isolates of S. pseudintermedius were obtained from dogs with pyoderma and otitis between 2017 and 2018 in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usidic acid resistance was determined by disc diffusion method and MIC value using E test. Isolates showing fusidic acid resistance were performed PCR to detect presence of fusA, fusB, fusC, and fusD. To detect fusA mutation, entire fusA gene were further sequenced. Among 52 clinical isolates, 14 isolates including 1 MSSP and 13 MRSP strains were resistant to fusidic acid. All fusidic acid resistant strains were identified as low level resistance. Among fusidic acid resistant strains, point mutations of fusA were confirmed in 11 isolates and amino acid substitutions were detected in 5 isolates at 6 different positions. fusC gene was detected in 7 isolates and there was no fusB and fusD. This study demonstrated the occurrence and mechanism of fusidic acid resistance in clinical S. pseudintermedius from dogs. Continuous monitoring for fusidic acid resistance should be recommended and strategic approach to control antibiotic resistance will be needed in small animal practice. Fusidic acid는 인의 및 수의학 분야에서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국소 항생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사람의 피부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aureus에서는 fusidic acid 내성과 관련된 발생율 및 내성 발생 기전이 널리 연구되어 있다. 수의학 분야에서도 국소 항생제로서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내성 발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렇기에 본 학위논문은 2017년에서 2018년에 개의 피부 및 귀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균주들에서의 fusidic acid에 대한 내성 발생 및 내성 발생 기전을 연구함에 있다. 2017년과 2018년 사이에 농피증과 외이염이 있는 개의 피부와 귀에서 분리된 52개의 S. pseudintermedius 균주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 (Disc diffusion test) 및 E-test를 이용하여 내성을 확인하였다. 내성이 확인된 균들에 대해 이미 연구가 진행된S. aureus에서의 fusidic acid 내성과 관련된 유전자인 fusA, fusB, fusC 그리고 fusD의 유무를 중합 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를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fusA유전자는 추가적으로 유전자배열을 확인하여 점 돌연변이 여부 및 그에 따른 아미노산 변화를 확인했다. 전체 52개의 S. pseudintermedus 균주들에서 14개 (27%)가 fusidic acid에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 중 한 개는 메치실린에 내성이 없고 나머지 13개는 메치실린에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usidic acid에 대한 내성이 확인된 모든 균주들의 MIC 범위는 2-16 μg/mL 사이로 낮은 정도의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fusA의 점 돌연변이는 11개의 균주들에서 확인 되었고 아미노산 변화는 5개에서 6개소의 다른 부위에서 확인되었다. fusB와 fusD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고 fusC유전자만 7개의 균주들에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소동물 임상에서 2017년에서 2018년 사이에 피부 및 귀에서 분리된 S. pseudintermedius 균들에서의 fusidic acid 내성율이 14% 정도이며 이와 관련하여 내성획득은 fusA유전자의 점 돌연변이로 인한 아미노산 변화 그리고 fusC유전자의 획득이 주요하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소동물 임상에서 항생제 내성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탄소나노튜브 강화 생분해성 에폭시수지 복합재료의 제조 및 특성분석

        임윤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poxidized linseed oil (ELO) was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a,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GPC). The ELO was blended with the epoxy resins (diglycidylether of bisphenol-A, DGEBA) to obtain the modified network having ELO content from 10 to 40 wt.%. The DGEBA and DGEBA/ELO blends were characterized by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DGEBA/ELO blends were investigated using several techniqu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GEBA/ELO blends were studied by means of measurements of the Izod impact strength. The morphologies were obserb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DGEBA/ELO blends were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to obtain CNT/DGEBA/ELO composites having CNT content from 2 to 13 phr. The CNT/DGEBA/ELO 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by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studied in critical stress intensity factor (KIC) measurement and by measurements of the Izod impact strength. The electric resistance of the composites was tested using a 4-point-probe electric resistivity tester. The EMI SE of the composites was evaluated by means of the reflection and adsorption methods. As the results, the epoxidized linseed oil (ELO) had been successfully synthesized. The Izod impact strength of the DGEBA/ELO blends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ELO, owing to high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DGEBA/ELO blends. The KIC value of the CNT/DGEBA/ELO composit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NT content, whereas the value was decreased above 8 phr CNT content. This was probably considered that the CNT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DGEBA/ELO blends due to an excess of CNT.

      • 베트남 민요 수업지도방안 연구 : 2009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임윤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 사회는 국제결혼과 이주 노동자의 급증으로 인하여 각기 다른 인종적,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가진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 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나 우리나라의 남성과 베트남여성과의 국제 결혼 건수는 중국을 다음으로 2위를 차지 할 만큼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 자녀들이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들의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도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17종 중에서 베트남민요의 비중을 알아보고 교과서의 제재곡을 중심으로 베트남의 사회적, 문화적, 음악적등의 특징을 알아보며 베트남 민요를 분석하고 학습지도안을 만들어 적절한 다문화적 음악교육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2009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베트남 민요가 얼만큼 수록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서 전체 악곡에서 베트남민요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베트남 민요 중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인 표현, 감상, 생활화에 활동 성취 기준을 충족 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을 세분화 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을 이용하여 학습지도 방안을 연구하여 수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전체 악곡수를 대비 세계민요의 악곡 수는 12.9%를 나타내었다. 17종의 교과서 중에서 베트남 민요가 수록 되어 있는 교과서는 8종으로 보여지고 한 교과서마다 한 개씩의 베트남 민요만을 수록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베트남 민요의 내용 영역별 분류에 있어서는 표현 영역과 감상영역으로 치우친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표현 영역 중에서 가창, 기악, 창작, 신체표현을 고루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가창 영역으로 치우친 것을 볼 수 있었다. 베트남 민요의 제재곡에는<축제의 북>, <가을 축제>, <어린이들의 축제>, <리 디아 빠임 보>, <베오꽃과 구름>이 수록 되어있는데 <축제의 북>, <가을 축제>, <어린이들의 축제>는 제목만 달리 표기 되어 있고 같은 음악이 수록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어린이들의 축제’의 제목으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베트남 민요의 <어린이들의 축제>, <리 디아 빠임 보>, <베오꽃과 구름’>을 수업지도방안 연구를 하였다. 다문화사회에서 살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권을 음악교육을 통해서 배우고 느끼면서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가치를 이해하는 학교교육으로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다문화음악교육에 다양한 나라의 악곡을 수록하고 효율성이 높은 교수방법으로 수업프로그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Due the abrupt increases in international marriage and immigrant workers with all different ration, cultural and lingual backgrounds, the modern society has transform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t unprecedented speed. Especially, the number of marriage between South Korean males and Vietnamese females is ranked to be the second highest following Chin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Vietnamese folk songs listed in 17 music text books of middle school, revised in 2009, and to analyze their social, cultural and musical features to develop a prope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ethod in order to figure out the actual problem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y face with in school an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diverse cultures. First, the percentage of Vietnamese folk songs listed in 17 music text books of middle school, revised in 2009, was investigated. Second, the music curriculum of middle school, revised in 2009, was analyzed in details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Vietnamese folk songs listed in the music text books have meet the required education standard in terms of expression, appreciation and habituation. Third, proper teaching methods were investigated upon analysis of the Vietnamese folk songs listed in the text books. From the study, it was revealed as the following. In 17 music text books of middle school, revised in 2009, the total percentage of Foreign folks songs listed is 12.9%, and one Vietnamese folk song is listed only in each of 8 music text books. These Vietnamese folk songs are rather inclined to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in case of the expression, they mostly focus on singing rather than being balanced between singing, instrument, creation and physical expression. The titles of the Vietnamese folk songs listed in the text books are <Drum of Festival>, <Autumn Festival >, <Children Festival>, < (Li Dia Bbaim Bo)>, <Beo Flower and Cloud> and it was found that the songs titled as <Drum of Festival>, <Autumn Festival>, and <Children Festival> are actually the same song. In general, this song is mostly commonly titled as ‘Children Festival’. Proper teaching methods were studied for <Children Festival>, <Li Dian Bbaim Bo> and <Beo Flower and Cloud>, listed in the text books. In order to deliver multi-cultural values to student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would be essential to introduce diverse cultures to students and allow them to learn how to appreciate other cultures. As a part of such efforts, it would be necessary to list folk songs from various cultures in the text book and study on teaching methods to maximize the teaching efficiency.

      • 복합재 반사판 안테나의 유한요소 모델링 및 전개특성 분석

        임윤지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개형 안테나는 우주궤도 상에 도달하면 수납형태의 안테나가 전개되어 우주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전개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개특성은 위성의 동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지상에서 발사된 안테나는 성능에 문제가 발생해도 회수하여 수리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고도의 신뢰성을 가진 전개장치가 필요하며 전개 거동 및 안정성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전개구조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는 메커니즘의 운동방정식을 세우고 수치적 해석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전개형 우주구조물의 경우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러 개의 물체가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된 다물체 시스템이기 때문에 다물체 동역학을 이용한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폴딩과 트위스팅 각도를 갖는 2자유도 메커니즘으로 전개되는 안테나를 다물체 시스템으로 고려하여 전개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안테나 패널을 쉘로 모델링하여 굽힘과 비틀림 커플링을 고려한 보다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얻고자 한다. 안테나 패널은 얇은 쉘 구조물로 얇은 두께를 가질수록 잠김 현상이 발생하여 유한요소 해의 오차가 빠르게 증가한다. 잠김현상을 제어하기 위해 Helliger-Rissner원리와 감절점 솔리드 쉘 개념을 기반으로 Assumed strain 방법을 적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쉘 유한요소 모델을 구하고 이를 이용해 설계변수에 따른 전개특성을 분석하고 수치적으로 구한 전개 시뮬레이션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전개형 안테나의 전개시험과 비교한다.

      • Epicoccum nigrum에서 orevactaene 생합성의 분자 유전학적 규명

        임윤지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describes the identification and targeted gene inactivation of orevactaene (OVT)/epipyrone A biosynthetic gene cluster (BGC) in Epicoccum nigrum KACC 40642. OVT and epipyrone A are polyketide compounds that were individually reported from E. nigrum, but recently, they have been determined as the same structure through organic synthesis study. OVT/epipyrone A is known to hav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inhibition of RNA binding of HIV-1 regulatory protein Rev and inhibition of telomerase activity. E. nigrum KACC 40642 that was used in this study produced a high yield of yellow pigment, and it was tentatively named Epn-Y. The crude extract containing Epn-Y was subjected to LC-MS analysis, which indicated that Epn-Y has the same molecular weight as OVT. Epn-Y was purified and analyzed by 1H- and 13C-NMR. This confirmed that Epn-Y is the same substance as OVT/epipyrone A. OVT is a polyketide compound with a heptaene, and a 4-hydoxy-2-pyrone moiety that is linked to D-galactose. OVT also contains a saturated hydrocarbon structure which infers the involvement of a highly-reducing fungal polyketide synthase (HR-fPKS) in its biosynthesis. The reported E. nigrum ICMP 19927 genome sequence information was used to localize the OVT BGC. We searched the HR-fPKS genes in the E. nigrum ICMP 19927 genome sequence by using the lovB gene of lovastatin biosynthesis as the search probe. Each E. nigrum HR-fPKS BGC was then analyzed to see whether glycosyltransferase (GT) gene was neighbored or not. This procedure identified one BGC that is composed of B5807_07929 (HR-fPKS), B5807_07930 (GT) gene and B5807_07931 (cytochrome P450) gene. These three genes and B5807_07932 (transporter) genes that were assumed to form OVT BGC were named ovtA, ovtB, ovtC and ovtD, respectively. The inference of biosynthesis mechanism based on OVT structure suggests that OVT biosynthesis can be completed by OvtABC three enzyme reactions. Any BGC that is similar to OVT BGC (ovtABCD) is not registered in the MIBiG (Minimum Information about a Biosynthetic Gene cluster) database. Therefore, we can suggest that OVT BGC is a new model BGC. BGCs homologous to OVT BGC were found in the fungal genomes, and the MultiGene BLAST analysis supports the notion that OVT BGC is composed of only four genes of ovtABCD. In order to determine the role of ovtABC in OVT biosynthesis, gene inactiv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of three genes. Gene inactivation was designed to replace internal regions of each gene with an antibiotic resistance genes using DNA homologous recombination, and neomycin phosphorylation enzyme gene (nptII) was used. Each gene inactivation construct was introduced into E. nigrum by utilizing a transformation technique using Agrobacteirum tumefaciens. It was found that OVT productivity was lost in the ΔovtA::nptII strain when examined by TLC and HPLC analysis. It was also found that OVT production was completely lost in both ΔovtB::nptII and ΔovtC::nptII strains. The latter two gene inactivation strains were expected to accumulate intermediates of OVT biosynthesis, but no accumulation of relevant metabolites could be observed. At this stage, it is difficult to discuss why no intermediate accumulated in either ovtB or ovtC inactivation strain in connection with OVT biosynthetic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of scientific significance for the first identification of the BGC of OVT that remarkable biological activities. From a biotechnology perspective, this study will provide a genetic resource for producing fungal recombinants that accumulate OVT and to guide discovery of biosynthetic pathways of OVT-like compounds in fungal genomes. 본 연구에서는 Epicoccum nigrum KACC 40642 균주에서 orevactaene (OVT)/epipyrone A 생합성 유전자군의 선택적 유전자 불활성화 실험을 수행하여 동정한 결과를 보고한다. OVT와 epipyrone A는 E. nigrum에서 개별적으로 보고된 polyketide 계열 화합물이지만 근래 유기합성 연구를 통하여 동일구조의 물질로 확인되었으며 HIV-1 조절단백질 Rev의 RNA 결합 저해, telomerase 활성 저해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E. nigrum KACC 40642 균주 또한 노란색소를 높은 수율로 생산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해당 색소를 잠정적으로 Epn-Y라 명명하였다. Epn-Y를 포함하는 조추출물을 LC-MS에 적용하여 Epn-Y가 OVT와 동일한 분자량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순수 분리된 Epn-Y를 1H- 및 13C-NMR 분석에 적용하여 Epn-Y가 OVT/epipyrone A와 동일물질임을 확인하였다. OVT 구조는 D-galactose가 연결된 polyketide 구조이며 해당 polyketide 구조가 포화 탄화수소 구조를 포함하고 있음에 근거하여 highly-reducing fungal polyketide synthase (HR-fPKS)에 의하여 생합성 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유전자군의 선발에는 보고된 E. nigrum ICMP 19927 유전체 서열 정보를 활용하였다. 해당 유전체 서열에서 lovastatin 생합성의 lovB 유전자를 탐침으로 HR-fPKS 유전자들을 탐색하였으며, 이들에 대하여 glycosyltransferase (GT) 유전자의 인접 존재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B5807_07929 (HR-fPKS) 유전자가 B5807_07930 (GT) 유전자, B5807_07931 (cytochrome P450) 유전자와 인접하여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세 개의 유전자와 B5807_07932 (transporter) 유전자가 생합성 유전자군 (Biosynthetic Gene Cluster; BGC)을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하여 각각 ovtA, ovtB, ovtC, ovtD로 명명하였다. OVT 구조에 기초한 생합성 기작의 추론은 OvtABC 세 개의 효소 작용으로 OVT 생합성이 완료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OVT BGC (ovtABCD)와 유사한 생합성 유전자군은 MIBiG (Minimum Information about a Biosynthetic Gene cluster)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OVT BGC는 단순하지만 새로운 모형의 BGC임을 제안할 수 있다. OVT BGC와 유사한 BGC를 진균 유전체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해당 분석에 대한 MultiGene BLAST 분석 결과는 ovtABCD 네 개의 유전자 만으로 OVT BGC가 구성됨을 시사하여 준다. OVT 생합성에서 ovtABC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세 개의 유전자에 대하여 각각 유전자 불활성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불활성화는 DNA 상동 재조합 현상을 활용하여 각 유전자의 내부 영역이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로 치환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는 neomycin 인산화 효소 유전자 (nptII)를 사용하였다. 완성된 유전자 불활성화 재조합체는 Agrobacteirum tumefaciens를 사용하는 형질전환 기법을 활용하여 E. nigrum에 적용하였다. 우선 제작된 ΔovtA::nptII 균주에서 OVT 생산성이 소실됨을 확인하였으며, 이 후 제작된 ΔovtB::nptII, ΔovtC::nptII 균주에서도 OVT 생산 이 완전히 소실됨을 확인하였다. OVT 생산성 확인에는 TLC 및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후자의 유전자 불활성화 균주들의 경우 OVT 생합성의 중간체가 축적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대사체의 축적은 관찰할 수 없었다. 현 단계에서는 ovtB 또는 ovtC 불활성화 균주에서 어떠한 중간체 축적도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OVT 생합성 기작 해석에 연결하여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생물학적 활성으로서 주목할 만한 품성을 가지고 있는 OVT의 생합성 유전자군을 최초로 동정하였다는 데에 과학적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생명공학적 측면에서는 OVT를 축적하는 진균 재조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유전자원을 제공하고, 진균 유전체에서 OVT와 유사한 polyketide 화합물의 생합성 경로를 발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폭력담당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안 연구 : 학교폭력담당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안 연구

        임윤지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학교폭력 담당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안 연구 임 윤 지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하 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담당 전문가들과 면담을 통하여 학교폭력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과 대처방안을 조사함으로써 실천적 제안을 모색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개 기관의 학교폭력 담당 5년 이상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과 개방형 질문으로 1:1 면담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면담 내용은 총 5건 이며, 연구자와 전문가가 함께 심층 분석을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상 제시된 연구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교폭력의 발생원인은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인적 원인으로 공격적 성격, 충동성 등 정서적인 것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고 가정적 원인으로는 부모의 가치관, 양육태도, 자녀와의 대화부족 등이 학교폭력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사회적 원인으로는 매스컴의 발달, 폭력문화의 빈번한 노출, 과도한 입시경쟁, 성적 지상주의 등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무관심 및 제도적 문제점이다. 교사의 과도한 행정업무로 인한 시간적 부담으로 학교폭력 지도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직이수 과목 중 학교폭력 예방교육 내용에 관한 의견이다. 예비교사라면 학교폭력의 실태, 예방, 대처, 법규 등 충분한 지식을 갖춰야 할 필요성이 있고 향후 올바른 예방과 대처를 위해 상황극을 통하여 실질적인 모의실습을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학교폭력 유관기관의 연계성이다. 학교폭력의 유관기관들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는 부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관들의 적극적인 연계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교폭력 예방교육 시기이다. 갈수록 심각한 학교폭력의 저연령화 현상으로 인하여 빠르게는 유치원, 보통은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학교폭력예방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공감과 배려교육의 중요성이다. 상대방에 대한 공감과 배려의 부족은 학교폭력 발생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공감, 배려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긍정적인 문화를 형성해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 밖의 적극적인 스포츠 활동의 장려, 학교폭력 전문상담사 수용, 학교폭력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개선, 법적강화, 사건 처리 후 사후관리, 학생인권조례제정, 국가 재정적 지원, 프로그램 구체성 등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과체중 및 비만 여자 청소년의 학교체육활동 수준과 정신건강인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임윤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and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physical activity of overweight and obese female adolescents. To be done. In this study, we used the 2017 raw data from the annual online survey on adolescent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selected overweight and obese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2017 Child and Adolescent Growth Chart.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overweight and obese female adolescents was very low,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activities, and the hours of sitting activity and smartphone usage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they perceived positively whether they were subjective health or subjective happiness, and negatively in stress perception,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sadness and despair, and suicidal thoughts. Physical activity increased as the school physical activity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sedentary behavior, and the use time of smartphon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In addition, the more school sports activities, the more positively the subjective health and subjective happiness, but the more negatively perceived stress,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sadness and despair, and suicidal thoughts. Therefore, in order for overweight and obese female adolescents to spend more time with sedentary behaviors and smartphones, school physical activity should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nd keep mental health healthy. something to do.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 여자 청소년의 학교체육활동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인지, 건강행태와의 관련성을 탐색해 봄으로써 향후 과체중 및 비만 여자 청소년의 건강관리를 위한 학교체육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2017년도 원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의 여자 기준에 따라 과체중 및 비만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조사대상 과체중 및 비만 여자 청소년들의 신체활동량은 매우 저조하였고, 학교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으며 좌식행동시간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상당하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인지, 주관적 행복인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스트레스 인지, 수면을 통한 피로회복 정도, 슬픔 및 절망경험, 자살생각 경험에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체육수업과 스포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평상시 신체활동량 또한 증가하여 학교체육활동이 신체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학교체육수업과 스포츠활동에 많이 참여해도 좌식행동지침 실천여부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고, 좌식행동 시간에는 주중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학교체육수업 참여정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스포츠활동 참여 팀 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체육수업에 많이 참여할수록 주관적 건강인지, 주관적 행복인지, 스트레스 인지, 수면을 통한 피로회복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슬픔 및 절망경험과 자살생각 경험은 학교체육수업 참여정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스포츠활동 참여 팀 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지, 주관적 행복인지, 수면을 통한 피로회복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스트레스인지, 슬픔 및 절망경험, 자살생각 경험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더불어, 신체활동지침을 실천할수록 주관적 건강인지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그 외의 정신건강인지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따라서, 과체중 및 비만 여자 청소년들이 좌식행동과 스마트폰 사용으로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학교체육활동을 통해 평상시 신체활동량을 늘리고, 정신건강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여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학교체육의 활성화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의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자질 함양을 위한 중학교 의생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안 개발 및 효과 평가 : 중학교 기술·가정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을 중심으로

        임윤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통해 청소년이 주변의 문제를 발견하고 공동체를 위해 해결방법을 고민하며 실천하는 사람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라 중학교 가정 교과서 의생활영역 학습활동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른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안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은 ADDIE의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진행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중학교 가정 교과 의생활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확인하였으며, 아쇼카한국(2017)에서 제시한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와 자질을 선정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른 의생활영역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안을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른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안과 체인지메이커의 자질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울산에 있는 K 중학교 1학년 28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육안을 실행하였으며, 수업을 실행하기 전과 후에 체인지메이커 자질을 측정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개발된 교육안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업 실행 전과 후에 체인지메이커 자질 수준을 조사한 뒤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고, 수업 참여 학생의 성찰일지와 실행교사의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교과서 의생활영역의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주변의 문제를 발견하고 공동체를 위해 해결방법을 고민하며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이 실천적 문제해결을 교과의 특성으로 삼는 가정 교과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 둘째,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른 가정과 의생활영역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안을 교수·학습과정안 10차시, 개별 학습 활동지 17개, 모둠 학습 활동지 7개로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교육안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체인지메이커 자질 수준이 수업 전 평균 3.87(SD=.54)에서 수업 후 평균 4.59(SD=.64)로 증가하였으며, 수업 참여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수업 실행교사 인터뷰에서도 학생들의 가치와 행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라 개발된 가정과 의생활영역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안이 청소년의 체인지메이커 자질 함양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정 교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노력하는 체인지메이커 자질을 가진 청소년을 기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른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안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여, 학생들이 가정 수업을 통해 사회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며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실천하는 사람인 체인지메이커로 자라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원예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임윤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원예교육 프로그램으로 연계 교육 가능한 단원을 선정하여 기 적용된 원예 활동을 재구성하거나 개발하여 적용한 후,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 함양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실과, 미술, 창의적 체험활동’ 내에서 원예 활동과 연계 가능한 단원을 추출하여 총 15차시의 원예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원예 활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연중 및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별 지속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환경 인지 등과 관련된 결과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내 원예 활동과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허브 활동을 주로 실시하였다. 환경 감수성의 구성 요소에는 “자연에 대한 관심, 심미적 체험, 정서 안정, 자연에 대한 동정과 연민, 오염된 환경에의 노출” 등을 포함한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직접적인 체험과 간접적인 체험 활동으로 속성을 구분하였다. 연중 가능한 활동으로는 ‘학교 정원 관찰하기’, ‘식물이 하는 일’, ‘내가 가꾸고 싶은 허브’, 봄 활동으로는 ‘압화/책갈피 만들기’, ‘공기를 맑게 하는 방법’, ‘스칸디아모스 정원 만들기’, ‘식물을 잘 기르는 방법’, ‘방울 토마토 재배하기’, 여름 활동으로는 ‘수경 재배하기(개운죽)’, ‘허브 관찰 및 수확하기’, ‘허브 작품 나눔 활동’, 가을 활동으로는 ‘몬스테라 식물 액자 만들기’, 겨울 활동으로는 ‘식물도감 만들기’, ‘나만의 학교 정원 디자인하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 함양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 설문지’를 원예 활동에 맞는 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실험군과 통제군으로 선정한 두 개의 학급에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적용한 환경 감수성 원예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학년 대상으로 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원예 활동 프로그램의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나, 환경 감수성의 모든 하위 요소를 프로그램에 골고루 제공하지 못하였으므로 환경 감수성 하위 요소가 골고루 반영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 박물관에서의 새로운 체험학습방법의 개발 : 유아 대상 전통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임윤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박물관은 인류, 역사, 고고, 민속, 예술, 산업, 자연과학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 전시하고 이들을 조사, 연구하여 문화, 예술 및 학문의 발전과 일반공중의 문화교육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박물관은 오늘날의 사회적, 문화적 요구와 도전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수동적인 수집가와 편협한 전문학자들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 변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많은 박물관들은 유물의 수집과 보존으로부터 연구와 커뮤니케이션에 동등한 역점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이러한 박물관은 종래의 고전적 기능으로부터 오늘날에는 교육적 기능을 중요시하는 개념으로 기능이 변화하여 사회문화 교육기관으로서 교육기관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교육기관의 협력자로서의 기능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대상으로 삼고있는 유아(3, 4, 5세 어린이)들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이나 가정에서 박물관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유아교육기관과 연계가 미흡하고 기존의 학습방법의 문제점으로 인해서 단순히 소풍이나 나들이 장소로 이용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박물관의 교육적 가치를 증진시키고 유아교육기관에서 박물관을 좀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현재 유아들을 대상으로 박물관에서 진행중인 놀이학습활동을 조사, 연구하였는데 새로운 체험교육방법의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박물관은 그 성격상 현장학습과 관련이 깊은 곳이다. 현장학습이란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총칭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현장에 직면하게 함으로써 시야를 넓히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다. 미래를 이끌어갈 유아들에게 우리의 것을 알리고, 우리 정신을 심어주는 것은 소중한 일이다. 전통놀이란 옛날부터 전승되어 온 놀이를 말하며, 민속놀이라고도 한다. 전통놀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공유하는 지식?개념?가치를 포함하는 ‘문화’로서,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유아들에게까지 계승되어 현대감각에 맞는 놀이문화 창조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유아에게 있어서 교육은 곧 놀이이다. 놀이란 하나의 생활양식이므로 놀이를 통해 유아는 사회화하고 전인적으로 성장?발달한다. 유아의 놀이는 일상생활에서 관찰하고 경험했던 것을 표출하는데서 출발한다. 유아들에게 학습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하고 재미있는 ‘놀이’라는 개념으로 인식하게끔 만드는 것이 바로 모든 선생님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전통놀이에 관한 활동들은 여러 가지 여건으로 어렵고 멀게만 느껴져 오던 부분으로 유아들에게 즐겁고 의미있는 생활경험이 될 수 있고 발달에 적합한 전통민속놀이를 발굴해야 할 것이다. 현대화란 이름으로 소홀히 되어가고 있는 우리의 명절을 소중히 여기고, 전통을 놀이활동으로 쉽게 유아들이 접하게 함으로써 우리 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다. 그래서 유아 대상 전통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박물관에서의 새로운 체험학습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앞으로도 어린이들에게 민속놀이가 유익하고 즐거운 경험이 될 수 있도록 어린이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전통문화 교육에 관한 연간 지도계획 수립 및 실천으로 연계성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부모님과 함께 할 수 있는 전통놀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이고 적합한 체험학습방법을 통하여 다가갈 수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유아교육에서는 박물관을 비롯한 다양한 체험학습현장 등의 환경변화 이상으로 유아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게 하는 동기유발활동, 즉 동기부여(motivation)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동기부여는 교육적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교육인들은 대상인 유아 중심으로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아이들의 일상생활과 교과 과정을 연결시켜서 대상의 체험중심의 새로운 동기부여 방법을 찾는 것도 새로운 시도일 것이다. 평가 역시 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결과물 중심보다는 학습과정 속에서 어린이가 어떻게 반응하고, 무엇에 흥미와 관심을 보이며, 어떻게 참여하는지 알아보는 과정 역시 중요시되어야 한다. 앞으로도 ‘놀이’와 ‘교육’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충족시키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유아를 위한 새로운 체험교육방법의 개발과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Museums are institutions that acquire, conserve, exhibit, research and study material evidences of mankind. The material evidences including archaeology, folklore, various forms of art, and nature science, contribute to advancement of culture and education. Lately, museums must make a change from passive collectors with scholarly pursue to active cultural institutions to meet the needs and interests of public. It is a challenge they should overcome to survive. Many museums have made a leap from collection-oriented institutions to people-oriented places for communication and open interpretation. Education became a new function--as much as exhibition--that museums take seriously these days. One of many approaches that museums as socio-cultural institutions take is to have close relation with education institution such as schools. It is a misfortune to discover during research for this thesis that museums pay very little attention for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aged 3, 4, and 5 year-old). It is found out that the museums regard no needs for them to make efforts for young audience since the people who care for children consider no great value for museum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improve current situation, the researcher focuses on museum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researcher examined three major museums that hav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researcher felt a necessity of development of a new teaching method for experience-based education. Museums are the places for field trips and experience-based education. Field trips--performing outside of a classroom--provide opportunities for different kinds of learning. Many young students get excited by new environment and materials that they only hear and learn from textbooks. They become more active and energetic learners. It is important for these young students to learn about their tradition and ways of life in history. Traditional games mean games from previous generations, and it is also called folklore games. Traditional games include knowledge, ideas, and values from another generation and they were shared by many people in our country. Therefore, traditional games must be succeeded by young people of our generation, and a new tradition with today's sensibility has to be added to the old ones. In order to keep the tradition and culture, education should include traditional games in their curriculum. Education means a play for youngsters. The young children's first step for learning is observing experiences of others. Some of Korean traditional games lost their touch with people. Many people feel the distance to overcome. We must develop new ways for the people to enjoy traditional folklore games. They can be resource of fruitful learning. Therefore, it was developed a new method for experience-based education for young students in museums. We try to make effort to reorganize folklore games suitable for young students' interest and capabilities. We also need to consider that folklore games are helpful and pleasant experience. Moreover we plan and practice ou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every year. Also, parent participation is important for these new education. Museums as environment for new kinds of learning become important elements for various experience-based education. However, above all, motivation is the most difficult education element to be emphasized. A new approach to motivate the youngsters is that lesson plan should connect to daily life and experiences of children. Evaluation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to make a difference for the future. Teachers should regard how children react, their interests and how the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learning rather than final outcome. To create a proper education program, 'game' and 'education' play important elements that need to be examined in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