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低溫에서의 織物 구김회복에 관한 硏究

        임유빈 忠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Monsanto crease recovery of a variety of fabrics (cotton, wool, nylon, PET) was measured under the temperature between ?50℃ and ?10℃, various relative humidities of preconditioning and craese recovery tim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t low temperatures, the Monsanto test result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2. The Monsanto test results decreased with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of preconditioning, but that of wool fabric extremely decreased above 70% relative humidity. 3. The Monsanto test result of nylon fabrics was largely effected by low temperatures, but the results of PET fabrics was not generally changed by low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ies of preconditioning. 4. The Monsanto test result increased with increasing crease recovery time.

      • 주변 녹지분포를 고려한 공원녹지면적 기준 정립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제2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임유빈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0년대에 들어서 서울의 인구 집중 및 수도권의 주택부족을 이유로 신도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현재 약 10개의 제2기 신도시가 수도권에서 건설 및 예정 중에 있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패러다임 확산되면서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2000년대의 신도시들은 낮은 밀도와 높은 녹지율, 생태계획수법과 첨단도시계획시설물 등 쾌적한 주거환경과 자족성을 갖추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낮은 밀도와 높은 공원녹지율을 충족시키기 위해 신도시 건설에 필요한 택지 수요량이 그만큼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경우 가용택지의 부족으로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주택공급이 한계에 부딪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낮은 밀도와 높은 공원녹지율의 영향으로 토지분양가가 상승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사업지구 내에만 적용하고 있는 공원녹지면적 기준에 대해 검토하고, 사업지구 주변의 녹지분포 등을 반영할 수 있는 공원녹지산정 기준을 정립하고, 이 기준을 제2기 신도시에 적용하여 실제 적용 가능성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조성원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제2기 수도권 신도시를 대상으로 헤도닉 가격 모형을 이용하여 개발원가 및 조성원가 추정모형을 도출하고, 주변 도시림을 반영하였을 경우 조성원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fter entering into 2000s, necessity for new cities was raised under the excuse of population concentration of Seoul and shortage of houses in metropolitan region and at present, about 10 new cities of the second period are planned to be built in metropolitan region. In particular, as paradigm regarding sustainable development is being expanded, attention to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and as demands for environment friendly element were also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d living standard, new cities in 2000s are endeavoring a lot to have equipped with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lf-sufficiency including low density and high rate of green land, ecological plan techniques and advanced urban plan facilities, etc. However, demand quantity of housing lands required for building new cities is increasing as much in order to fulfill low density and high rate of green lands of parks. When this kind of trend continues, it is possible to bring about the result that supply of houses can be limited due to housing lands development projects with shortage of available housing lands. In addition, it becomes burden for consumers finally as land allotment price is increased due to impacts of low density and high rate of green lands of parks.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standard of green area of park which is only applied to the current project regions, establishes standard of calculation of green lands of parks which can reflect distribution of green land surrounding project region and has analyzed possibility of actual application through actual proof analysis by applying this standard to new cities of the second period.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impacts on preparation cost, development cost and preparation cost estimation models were drawn out by using hedonic price model with object of new cities of the second period in metropolitan region and also changes of preparation cost were analyzed by reflecting surrounding city forest. Finally, implications of policy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중등 합창 교수·학습 과정안 연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적용을 중심으로-

        임유빈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School is the place where most social interaction is experienced during adolescence, and the adolescents develop social skills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by interacting with others in school. COVID-19(Coronavirus Disease) has caused many changes in the form of classes in the secondary education. Students are unable to attend school normally, and the propor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is increasing rather than face-to-face classes. Non-face-to-face classes in which students learn individually reduce the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other students. Thus, the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that are enhanced by interaction could be lacking. It is necessary to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mprove students’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in the post COVID-1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secondary students to develop the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applies flipped learning method that enables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which may be lacking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an be improved,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a more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at can be applied in the post-COVID-19 era. In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hemes. First,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developing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effect of chorus class on the development of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was investigated. Third, the appropriateness of the applic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ology to conduct a activity-oriented clas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the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was presented, and a secondary choru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was developed for fostering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lipped-learning that enables activity-oriented classes was applied, and each of three classes was developed to foster responsibility and self-express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ibility of students can be fostered through the secondary choru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development of responsibil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conducted in class, students will be taught responsibility, and furthermore, they will fulfill their personal duties in society, consider and respect others, and form a community-centered thinking, which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students. Second, students’ self-expression ability can be fostered through the secondary choru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development of self-exprssion abil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conducted in class, they will be communicat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ith confidence in society to handle conflicts skillfully and maintain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학교는 청소년 시기에 가장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곳으로, 청소년들은 학교 안에서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사회성을 발달시킨다. 최근 감염성 바이러스 코로나 19(COVID-19)의 발생으로 인하여 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수업형태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학생들은 정상적인 학교 등교가 불가능하고, 수업 형태는 대면 수업보다는 비대면 수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비대면 수업의 증가는 청소년들이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타인과의 상호작용 기회를 축소시킨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청소년기에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함양해야 할 자기표현능력과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책임감 등 사회성 발달에 필수적인 역량이 결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수업환경에 맞는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면서도 학생들의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 교육을 활발히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방식을 적용하여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중등 합창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으로 결여될 수 있는 청소년들의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에 기여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을 적절하게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코로나 시대에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해 세 가지 주제로 선행연구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수업지도안 분석, 둘째. 합창 수업이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셋째, 플립러닝의 교육적 효과와 활동 중심 수업을 위한 플립러닝의 적절성 분석이다. 위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의 시사점 및 결과를 토대로 책임감과 자기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중등 합창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활동 중심의 수업이 가능한 플립러닝을 적용하였으며, 각 수업별 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책임감 함양을 위한 중등 합창 교수·학습 과정안을 통하여 학생들의 책임감이 함양될 수 있을 것이다. 수업에서 진행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책임감 함양되고 더 나아가 사회 속에서 개인의 의무를 다하고 타인을 배려 존중하며, 공동체 중심적 사고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자기표현능력 함양을 위한 중등 합창 교수·학습 과정안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표현 능력이 함양될 수 있을 것이다. 수업에서 진행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이 함양되고 더 나아가 사회 속에서도 확신을 가지고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전달하여 갈등을 능숙하게 다루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 연계성을 위한 경계공간 연구 : 용산 전자상가를 중심으로

        임유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철도는 도시발전의 핵으로서 주변지역의 개발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현대의 역사가 추구해야 할 모습은 단순히 교통연결을 위한 결절점이라는 의미를 넘어 도시의 공공시설, 지역사회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통하여 도시와의 조화를 추구하는 중심으로 바뀔 것이다. 따라서 역사 주변을 포함한 종합적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용산역 전자상가는 용산역의 거대한 규모의 역사와 철도라는 인프라로 인하여 북쪽과 남쪽으로 보이지 않는 경계가 생성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접근성 및 보행자의 동선조차 열악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에 의한 지역적 단절에 대한 연계와 그로 인한 새로운 건축물에 대하여 제안해 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과 범위에 대해 알아보고 2장에서는 복합역사의 특성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3장에서는 용산역의 의미에 대해 되집어 보며, 4장에서는 경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6장에서는 본 연구의 중심인 계획대상에 대한 설계와 전반적인 것을 짚어 보고자 한다.

      •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현황

        임유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an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xamine the educational status of graduate schools in dental hygiene, and seek to systemize the operation plan. Methods: The operation status an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in dental hygiene open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net data collection. In addi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ned subjects, it was analyzed through the ADHA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s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Dental Hygiene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admission to the Korean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and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creased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department's opening, and it was operated stably. Through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in Korea, research skills can be improved and the ability to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 can be developed. However, the lack of curriculum such as leadership and professional collaboration can be a limit to fostering talented people with various abiliti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various subjects in each field will be opened to expand the options of graduate students and foster various tal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eration status of the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achieve academic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through 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status and setting of human resources and core competencies. 치위생학 대학원이 2007년 최초로 개설된 후 15년간 운영되고 있다. 대학원 학위과정은 해당 학문분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학문의 연계성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교육의 표준화는 치위생학 학문체계를 확립해나갈 수 있는 기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운영현황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치위생학 대학원 교육현황을 고찰하고, 운영방안의 체계화를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 교육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에 개설되어있는 치위생학 대학원을 대상으로 운영현황과 교육과정을 설문지와 인터넷 자료 수집을 통해 조사하였다. 운영현황으로는 전공 개설 현황과 입학자격, 졸업요건, 입학생 및 졸업생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교육과정으로는 각 대학원의 개설과목 명, 과목 수, 실습과목 운영과 같은 내용을 조사하였다. 또한 개설과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체계와 미국치과위생사협회에서 제안하는 ADHA Graduate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es 분류를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 과정의 입학 지원자와 입학자 수, 재적생 수는 학과 개설 초반에 비해 그 수가 증가하였으며, 안정적이게 운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위취득자의 경우도 석사학위의 경우 2012년도 이후, 박사학위의 경우 2017년 이후부터 꾸준하게 학위취득자를 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입학자격과 졸업요건을 미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미국은 1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요구하는 입학조건 혹은 실습 및 인턴십 과목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두는 등 임상능력을 비교적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 졸업요건에 학술지 투고에 대한 조건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교과목을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체계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연구치위생 관련 교과목이 31.77% , 임상치위생 관련 교과목이 27.76%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치위생 관련 교과목은 8.70%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ADHA Graduate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es 분류에 따라 한국 치위생학 일반대학원 교과목 분류하였을 때, 학문과 연구 분야(33.11%)와 보건정책과 인력정책에 관련한 교과목(26.76%)이 가장 많았다. 반면 리더쉽 분야(2.68%)와 전문직 간 협업과 통합돌봄 분야(4.35%)에 대한 개설이 미비했다. 이는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통해 연구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적인 치과위생사로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리더쉽과 전문직 간 협업과 같이 치과위생사의 전문직화에 있어 필수적인 교육과정의 부족은 여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분야의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해 대학원 재적생들의 선택권을 넓히고, 다양한 인재를 양성하길 기대한다. 한국의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현황을 살펴본 결과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대학원의 통일된 교육목표와 교육수준을 설정한다면, 더욱더 체계화된 질적 성장을 이룰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위생학 대학원의 운영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지속적인 운영현황 파악과 인재상 및 핵심역량 설정 등을 통하여 치위생학의 학문적 발전을 이루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중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지위불안감의 매개효과

        임유빈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지위불안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지위불안감, 전위공격성 간에는 유의한정적 상관이 있는가? 둘째, 중학생의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지위불안감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의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위불안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중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총 577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전위공격성, 지위불안감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577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획일적이게 응답한 자료,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중복으로 기재된 119부를 제외하고 총 458부의 자료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을 살펴보았다. 중학생의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전위공격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위불안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전위공격성, 지위불안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에서 전체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전위공격성은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지위불안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위불안감과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또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학생의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지위불안감성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지위불안감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위불안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위불안감의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이 커질 때 전위공격성을 강화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위불안감의 수준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가 커질 때 전위공격성을 강화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전위공격성을 예측하는 선행요인인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지위불안감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연구가 미흡한 지위불안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결과는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전위공격성을 예측하는 선행변인이 생애초기에 형성되는 내적심리요인임을 파악함으로써 생애초기의 부모와의 애착관계 및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아동기에 애착관계를 재형성할 수 있도록 치료적으로 조기 개입하는 것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회화 과정을 거치는 청소년기에 지위불안감이 영향력을 강하게 미친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청소년의 전위공격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보다 넓히는데 도움을 주는 경험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covert narcissism on displaced aggression,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atus insecurity in the relationship among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and displaced aggression. To achieve research purposes. this research set up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social status insecurity, and displaced agg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at are relativ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social status insecurity on displaced agg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atus insecurity in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covert narcissism on displaced aggressio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o a total of 577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grades. The survey was done with the questionnaire asking questions on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social status insecurity, and displaced aggression. Among the collected 577 copies, 119 which were filled with insincere answers or answers by marking the same numbers, or which had many missing or duplicate answers, 458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Using SPSS 21.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variable showing difference by gender variable. Gender did not make any differ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variables like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and displaced aggression. But,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ones in social status insecurity. Second, this research examined correlations among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displaced aggression, and social status insecurit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ose variables. Displaced aggre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status insecurity. And, displaced agg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covert narcissism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Third,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v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status insecurity on displaced aggression, and found out that the ranking of explanatory powers of three variables is covert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status insecurity in descending order. Forth,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atus insecurity in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status insecurity on displaced aggression, and found out that,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status insecurity, it has mediating effect that as rejection sensitivity and covert narcissism rise, displaced aggression is strengthened.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status insecurity in predicting displaced aggression, and,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atus insecurity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By finding out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predicting displaced aggression which is socially problematic is internal psychological factor which is formed early in life,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baby and its parents or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finding identifies the necessity to clinically intervene the child-parent relationship to reform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the childhood period when resilience is high. And, by revealing the fact that, in adolescent period when people experience socialization process, social status insecurity has strong effect on displaced aggression,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empirical basis to widen the range of our understanding on displaced aggression of adolescents.

      • 연약지반 상 암거의 측방유동에 대한 원인분석 및 대책공법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임유빈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Korea, roads and railways are being actively built to connect cities. In recent years, large-scale civil construction has been done to connect coastal areas or islands. In most coastal areas or islands, the soil is naturally deposited and consists of loose soft ground. Therefore, when a large-scale civil structures such as bridges and culverts are constructed in coastal areas or island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deformation or destruction of structures. For this reas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t construction sites to secure stability in soft grounds and to reduce maintenance costs due to ease of maintenance. However, due to the time and cost problems in the design process, the investigation of the ground has not been faithfully performed even in these efforts. Due to this, the site's geological conditions are not accurately reflected, and many problems are occurring. In particular, the lateral movement, in which consolidation settlement of the soft ground and horizontal deformation simultaneously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greatly reduces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In addition, when the lateral movement is large, the structure is destroyed. Therefore, research into countermeasures that can prevent the lateral movement of structures and prevent them by investing a lot of money is emerging. In this study, the PHC pile was installed, but the cause of the culvert that caused lateral movement due to the overall deformation of the ground was examined. Also, based on the reviewed results, a countermeasure method was selecte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lateral movement, and the effect of securing the stability in the case of applying it to the site was examined. For this,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even when PHC piles are installed, large horizontal deformation occurs in the lower part of the soft ground when the soil is piled up before the soft ground is sufficiently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Jet grouting method was applied, it was analyzed that the vertical displacement and horizontal displacement did not occur, so that stability to the lateral movement could be secured.

      • 내적 상처와 연민에 관한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임유빈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2014년부터 2015년 동안 본인의 작품 전개과정에서 생성된 작품들 중 2015년 8월‘스며드는 쓰다듬을’이라는 타이틀로 전시되었던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내용과 형식적 전개과정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심리유형이론에서 사람들의 일반적인 삶의 태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외향성’과‘내향성’을 제시하였다. 외향적 태도를 가진 사람은 외부세계의 사람이나 사물에 관심을 쏟는다. 반면에 내향적 태도를 가진 사람은 외부세계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 안으로 몰입한다. 본인은 과거 굉장히 내향적 성향이 강했던 사람으로‘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함께 자아에 대한 탐구가 청소년기 때부터 이어져 왔었다. 그리고 결혼을 한 후 출산과 양육이라는 경험을 통해 타인과 외부세계에 대한 관심과 소통이 시작되면서 본인의 탐구영역은‘인간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과 함께 확장 되었다. 어느 날 역 근처에서 자주 보아왔던 노숙인과 매춘부를 보면서 왠지 모를 강한 연민을 느꼈고 시간을 그들의 어린 시절로 되돌려 엄마가 되어주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이 감정은 사회에서 소외받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오늘날의 사회는 기술의 발달로 물질적 풍요는 더해지고 있으나, 정신적 안락을 유지하는 능력은 오히려 위축되고 있다. 즉, 군중 속에서의 고독감, 대중 속에서의 사회적 유대의 상실감, 예기치 않는 사회변동에서 오는 삶의 방향에 대한 예측력의 결여, 복잡한 정치, 경제, 사회체계 앞에서의 무력감 등이 만연해 있다. 즉, 풍요한 사회이자 고도기술사회로써 기술이 진보하고, 경제적으로 발전한 사회임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정신적 공백이나 인간 소외를 안고 있는 사회이다. 본인은 이러한 삶의 과정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상처받은 인간 내면의 어둡고 부정적인 면모를 끄집어내어 이미지화 하고 작가의 손에 의해 쓰다듬어지는 과정을 통해 회복과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의도를 가지고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서 내용적 전개를 통해 급속히 변화된 사회 안에서 삶의 한계를 경험하는 인간의 모습을 소외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러한 인간의 모습을 마주할 때 느끼는 공감과 연민의 감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동시대를 살아오며 인간을 탐구한 선행 작가인 프란시스 베이컨과 로버트 롱고의 작품 연구를 통해 본인의 작업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작품의 형식적 전개 에서는 본인 작업의 조형적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작품에 등장하는 비구상의 기하학적, 유기적 형태와 직조물을 이용한 질감의 표현과 색의 선택과 사용에 대해 서술한다. 그리고 작품분석을 통해 작품의 구체적인 내용적 분석과 형식적 전개의 분석이 이루어진다. 본인의 최근 2년간의 연구와 작품 활동은 타인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상처 받은 사람들을 쓰다듬고 보듬어 주고 싶은 본인 내면의 에너지를 해소하고, 작품을 감상하는 이에게는 공감과 연민의 감정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게 하며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람이다.

      • 부유구조물의 길이에 따른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임유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인한 육지면적의 부족, 육상자원의 고갈 및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지구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은 해양공간의 이용 및 개발이다. 해양공간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해상공항, 해상기지 등의 해양 부유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규모가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초대형 부유구조물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부유구조물은 길이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강성으로 인해 부유구조물의 길이나 파랑에 대해 민감하여 구조물이 유탄성 거동을 하게 되므로, 길이에 대한 거동특성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기존의 부유구조물의 거동에 관한 연구는 구조물을 탄성지지보로 근사화 한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단순화된 탄성지지보를 이용하여 각 길이에 대한 고유진동수와 모드형상을 확인하였고, 실제 부유구조물의 동적거동에 가까운 FSI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부유구조물의 세 지점에서 측정된 변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부유구조물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각 지점에서의 변위 차이가 증가하며 특정 길이 이상이 되면 변위 차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 방법으로 가속도 응답에 대한 FFT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부유구조물의 응답 진동수와 모드형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길이가 짧은 부유구조물은 1,2 차의 모드만이 거동에 기여하는 강체거동을 하고, 긴 길이의 부유구조물은 다양한 모드가 동적거동에 영향을 주어 탄성거동의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일반 부유구조물과는 달리 길이가 길어지는 대형부유구조물은 길이에 따른 탄성거동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본 연구는 실제의 길이보다 작은 수치 모델에 관한 것으로 실제 길이나, 추가적인 질량, 파랑하중에 의한 부유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