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HD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말소리 오류패턴 분석

        임수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of unknown origin continues to rise, which adds significance to researches on the origins and factors of speech sound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ad a similar speech sound development system to the development system of speech sound error patterns in common normal children or showed an abnormal development system. It would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understanding, auditory and visual attention, and feedback inattention on the normal speech sound acquisition system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with ADHD or attention deficit. Overseas researches have not produced enough results to verify accurate causal relations between ADHD and attention deficit and the delay of speech sound development in the Speech Delay Developmental Psychosocial Involvement(SD-DPI), which is the third subcategory of Dr. Shriberg's Speech Delay(SD) groups. There have been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subject.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subje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topic of relations between attention and speech sound disorders based on a recent previous study(Ju Mi-jin, 2016) that examined the continuous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in the nation,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In the study, two groups(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DHD and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were compared and examined in articulation abilities(Total PCC-R, PWC, and PWP) according to word and sentence levels, differences in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nd correlations between ADHD scores and articulation abilities. The subjects include ten three-, four- or five-year-old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DHD and ten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in the same age range in Dong-, Dalseo-, Dalseong-, Buk-, Seo-, and Suseong-gu, Daegu Metropolitan City. Inventories used in the study included the total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revised(Total PCC-R), the proportion of whole-word correctness(PWC), the proportion of whole-word proximity(PWP), and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t the word and sentence level from the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2(U-TAP 2, Kim Young-tae, Shin Moon-ja, et al., 202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wo groups(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DHD and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in articulation abilities according to the word and sentence level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CC-R, PWC, and PWP scores between the groups. The group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DHD scored lower points across all the indexes than the group of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CC-R and PWC scor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word and sentence level with lower index points at the sentence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WP scor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word and sentence level; secondly, the study examined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ccording to the word and sentence level betwe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DHD and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and found that the former had higher developmental error pattern percentages than the latter at both the word and sentence level. The latter recorded higher non-developmental error pattern percentages than the former; and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DHD scores and articulation abilities(Total PCC-R, PWC, and PW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DHD had weaker articulation abilities than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The former recorded higher developmental error pattern percentages than the latter, who recorded higher non-developmental error pattern percentages than the former.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ADHD scores and articulation ab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ADHD and attention deficit can have impacts on the causes and factors of speech sound disorders and are expec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ffective and efficient interventions for speech sound disorders in the future. 원인을 정확하게 알 수가 없는 말소리장애 아동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말소리장애의 원인 및 요인에 대해서 연구할 의의가 있다. 그 중 주의력결핍 아동들의 말소리 발달 체계가 일반 정상아동들의 말소리 오류패턴 발달 체계와 유사한지, 비정상적인 발달 체계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에 목적 및 의의를 두고 있다. ADHD, 주의력결핍 아동들은 청각 및 시각적 이해력, 청각 및 시각적 주의집중력, 피드백에서의 부주의가 정상적인 말소리 습득 체계, 말소리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국외 연구 중 Dr. Shriberg의 Speech Delay(SD)집단 중 세번째 하위분류인 Speech Delay Developmental Psychosocial Involvement(SD-DPI)집단에서 ADHD, 주의력결핍에 의해 말소리 발달이 지연되는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인과관계가 성립될만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아 현재까지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국내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가 거의 미비하며, 최근 국내 선행연구 논문인 말소리장애 아동의 시각, 청각 지속적 주의집중(주미진, 2016)에서 주의집중력과 말소리장애와의 관련성을 주제로 논문연구를 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 집단(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간 단어, 문장 수준에 따른 말소리 산출 능력(Total PCC-R, PWC, PWP), 음운오류패턴 양상의 차이, ADHD점수와 말소리 산출 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대구광역시 동구, 달서구, 달성군, 북구, 서구, 수성구 지역에 거주하는 만 3세, 4세, 5세에 해당하는 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10명, 순수 말소리장애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검사도구 U-TAP2(우리말 조음음운검사2, 김영태, 신문자 외, 2020)의 단어 및 문장 수준에서 전체 개정자음정확도(Total PCC-R), 단어단위정확률(PWC), 단어단위근접률(PWP), 음운오류패턴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두 집단(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간 단어, 문장 수준에 따른 말소리 산출 능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간에 따른 Total PCC-R, PWC, PWP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에서 지표 점수가 모두 더 낮았다. 또한 두 집단 간 단어 및 문장 수준에 따른 Total PCC-R, PWC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장 수준에서 지표 점수가 더 낮았다. 두 집단 간 단어 및 문장 수준에 따른 PWP 점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간 단어, 문장 수준에 따른 음운오류패턴 양상은 발달적 오류패턴 비율은 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이 단어 및 문장 수준 모두 높았으며, 비발달적 오류패턴 비율은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이 더 높았다. 셋째, ADHD 점수와 말소리 산출 능력(Total PCC-R, PWC, PWP)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이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에 비해 말소리 산출 능력이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오류패턴 양상은 발달적 오류패턴 비율에서 ADHD를 동반하는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이 더 높았고, 비발달적 오류패턴 비율은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집단이 더 높았다. 또한 ADHD 점수와 말소리 산출 능력에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말소리장애 원인 및 요인으로 ADHD 및 주의력결핍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향후 말소리장애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중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 2009년 미디어법 개정의 경쟁과 다양성 정책 분석 연구

        임수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2009, Korea governance revised the media laws. The media laws mainly include the Broadcasting Act, the Newspaper Act, and the Internet Multimedia Act. The revised media laws had a major impact on the structure of a media industry.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has evaluated media policies based on how these affect competition and diversit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 laws based on media competition and d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media industry's competition is vitalized and diversity is secured by the media laws. To confirm this, the literature review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Legislative data, academic paper data, and media coverage related to the revision of media laws were included in our analysis. Research data were published from December 2007 to November 2009. There are a total of 44 research data. This study introduced a view of governance. The revision of media laws was analyzed with four criteria: the government, the National Assembly,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The revision of media laws caused social conflicts in terms of easing ownership regulations and securing media divers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 laws were revised to vitalize competition in the media industry by easing ownership regulations. The revised media laws allowed newspaper and broadcast cross-ownership. The media laws were also revised to secure diversity in the media industry. Regulations of the Audience Share were introduced and the Media Diversity Committee was established.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revision of the media laws made a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media industry. At the same time, it is confirmed that policies were in place to secure diversity. It is supported that diversity can be decreased if the competition in the media industry is vitalized. The revision of the media laws clearly shows that complementary policies are needed to secure diversity. It can give implications for the governance relationship of media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can provide a direction for competition and diversity of media policies. 2009년 방송법과 신문법, 인터넷멀티미디어법 등 미디어 관련 법이 개정되었다. 개정된 미디어법은 미디어 산업의 구조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경쟁(Competition)과 다양성(Diversity)을 기준으로 미디어 정책을 평가해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9년 개정된 미디어법을 방송정책 이념인 경쟁과 다양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개정된 미디어법을 통해 미디어 산업의 경쟁이 활성화되는 가와 다양성이 확보되는 가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고자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방식을 채택하였다. 2007년 12월부터 2009년 11월 사이 생산된 2009년 미디어법 개정과 관련된 법안자료, 학술논문자료, 언론보도자료 총 44개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정부와 국회, 기업, 시민사회라는 거버넌스 관점으로 미디어법 개정의 경쟁과 다양성정책을 분석하였다. 미디어법 개정안은 소유규제완화와 미디어다양성확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사회적 갈등을 빚었다. 연구 결과, 미디어법 개정안은 소유규제완화를 통해 미디어산업의 경쟁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입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개정된 미디어법은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하고 대기업과 외국자본의 방송산업에 대한 소유규제를 완화하였다. 또한 개정된 미디어법은 미디어 산업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입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법 개정을 통해 시청점유율규제가 도입되었으며 미디어다양성위원회가 설치되었다. 더불어 여론집중도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2009년 미디어법 개정이 미디어산업의 경쟁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정책을 마련했다는 것을 확인한 의의가 있다. 즉, 미디어 산업의 경쟁이 활성화되면 다양성은 훼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보완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2009년 미디어법 개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 정책의 경쟁과 다양성에 대한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미디어 정책의 거버넌스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개러지 밴드(Garage Band) 프로그램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 지도 방안

        임수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과 로봇, 증강현실 기술 등의 발전은 우리 사회에 큰 변혁을 가져다주고 있다. 이러한 첨단 과학 기술이 사화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 오는 4차 산업 혁명이 2016년 경제포럼에서 핵심의제로 논의된 이후에 전 세계는 이 차세대 산업 혁명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현 시대적 흐름 속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은 바로 ‘창의·융합 형 인재’로서, 음악 창작 교육의 효과 중 하나인 창의성 계발과도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은 아직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도 주입식 음악 창작 수업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순히 스마트기기나 앱 사용법을 배우는 수업이 아니라 최신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음악 창작 수업을 실시하되, 이를 통하여 전반적인 수업체제의 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훗날 ‘음악 프로슈머(Music Prosumer: 음악을 소비함과 동시에 생산하는 과정에도 적극적인 영향을 끼쳐 올바른 음악 문화를 선도하며, 음악을 향유하고 즐기는 사람)’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개러지 밴드(Garage Ban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음악 창작 수업 지도 방안을 스마트 교육의 취지에 맞게 구안 및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 과정을 거쳐 구성되었다. 제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내용 및 방법, 범위와 제한점, 선행 연구 고찰 등을 기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각종 문헌 연구를 실시하면서 음악 창작 수업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 현황, 스마트 교육의 특징, 개러지 밴드(Garage Band)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스마트 기기 활용방법, 창의적 체험활동과 본 연구의 관련성 등을 조사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스마트 교육, 음악 창작 교육 등과 관련된 수업 모형들을 고찰하고 그 특징을 재구성하여 ‘스마트 음악 창작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의 단계는 ‘1단계: 디바이스, 프로그램 트레이닝’과 ‘2단계: 음악 창작 기본 교육’ 등의 기본 과정과 음악 창작을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3단계인 준비’, 음악 창작을 위한 정보 탐색과 영감을 부여하는 4단계인 ‘탐색’, 집단 지성과 실천 공동체의 뜻을 실현하는 5단계인 ‘협업’, 만든 음악 창작물을 연습하여 발표하는 6단계인 ‘표현’, 음악 창작물에 대한 생산과 소비 권리를 동시에 부여받아 자기 주도적으로 창작에 참여하려는 자세와 기초지식을 함양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하려는 의지를 다지는 7단계인 ‘공유 및 내면화’ 등의 심화 과정으로 구성된다. 제 Ⅳ장에서는 개러지 밴드(Garage Band) 프로그램을 주요 수업 도구로 활용하고, 실제적인 활동 주제로 ‘랩 음악 만들기’ 활동과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캠페인 송’ 만들기 활동 등, 2가지를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수업 지도 방안을 모형 단계 별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러지 밴드(Garage Band) 등의 음악 교육 관련 애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음악 창작 수업 모형을 접목한 음악 창작 수업 지도방안을 자신의 수업에 반영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 더 참신한 후속 연구의 출현을 촉진하여 세계 음악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직장인의 노후생활 준비도 연구

        임수민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복잡한 생활 구조와 급격한 기술 문명의 발달로 모든 의식 구조와 가치관이 바뀌어 가고 있다. 즉, 급진적인 의학의 발달 및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령 인구의 비율과 노령과 함께 수반되는 제반 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해 최근 노인문제가 학자들의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노령과 함께 수반되는 신체적 변화, 경제적 불안정, 사회적 역할상실에 대한 심리적 부적응으로 인한 소외감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성공적 노화의 지름길이다. 본 연구는 당면한 고령화 사회에서 사회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어 질 직장인들에게 안정적인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노후생활 준비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09년 10월 한 달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서울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300부 중에 최종 229부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고 AMOS 7.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방정식 분석, 기술통계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에는 SPSS 15.0이 사용되었다. 사례별 완전 제거방법을 통해 표 152의 표본이 연구모형을 통해 분석되는데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특성을 포함한 회수된 각 설문지의 원자료에 결측치가 포함된 모든 표본을 제거하였다. 고령화 사회에서 길어지는 노후생활을 의식하여 경제적 여유와 정신적․신체적 건강의 유지, 사회활동 참여, 여가 및 취미생활의 개발 등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보장 받을 수 있는 개인적인 준비와 가정적 대비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이 시대의 직장인들에게는 특성상 고령사회에서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의 사회참여가 기대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다음의 제언들이 보다 적극적인 경험과 탐색을 시행하게 함으로써 활동적인 노후를 살아가기 위한 노후준비 의식 변화와 사회적 조건들의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첫째,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후생활에 대비한 치밀한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며 자녀와 별거하면서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노후생활이 사회적 트랜드로 될 것이기 때문에 노후 경제생활을 위한 정부 및 사회단체에서 제공하는 교육 및 자기계발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구축이 선행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성공적인 노후생활은 사회적 관계유지와 자아 정체성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다양한 사회 경험 및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참여에 매우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성공적 노후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은 정신적 건강과 신체적 건강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적당한 운동과 충분한 휴식 및 자기한테 맞는 취미생활을 찾아내어 이것을 통한 건강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We are experiencing so rapid changes in all spheres our lives such as value system and mentality which provoked by fast developing technologies. In an aspect, there is unprecedent improvement in terms of economic abundance, the other hand, there also is an unpredictable malfunctions such as dehumanization and inequality led by aging society.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determinants of readiness for old ages.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re put into the empirical test; readiness of physical, economic and relational aspects. And dependent variable is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ir old life. As an intermediate variable, this study adopts the level of expectation for old life assuming the variable will reinforce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e empirical test, this study tak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tilizing the AMOS 7.0.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method was adopted. As the empirical te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effect of intermediate variable is not so much substantial as much as expected meaning other independents override the effect of intermediate variabl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t is observed that economic readiness is remarkable influenc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old life. In addition the relational factor is observed to have an impact on the independent variable. Those findings are compatible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 초등학생의 방과 후 뉴스포츠 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

        임수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방과 후 뉴스포츠 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뉴스포츠 활동이 바람직한 사회적 성격을 함양하는데 유익함을 밝혀 학생의 건전한 사회성 발달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학교 현장에서 건전한 신체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지도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68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각 문항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 Duncan의 다중비교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방과 후 뉴스포츠 활동 참가유무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에서는 책임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요인에서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나, 책임성에서는 비참가자의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요인에서는 뉴스포츠 활동 참가자의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 후 뉴스포츠 활동 참가자와 일반 스포츠 참가자의 사회성의 차이에서는 책임성, 활동성, 지배성, 사교성에서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나, 일반 스포츠 참가자의 인식수준이 뉴스포츠 활동 참가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방과 후 뉴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에서 책임성 요인만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났고, 방과 후 일반 스포츠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가내용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책임성,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요인에서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나, 일반 스포츠 활동이 학생들의 사회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 지배성과 사교성에서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나, 일반 스포츠 활동에 참가한 학생들의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 후 뉴스포츠 활동 참가 종목, 기간, 횟수에 따른 사회성을 살펴보면, 책임성,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19세기 말-20세기 초 불화와 화승들의 변화하는 정체성 : 혜호·철유·축연과 강원·서울 지방을 중심으로

        임수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Joseon era, Magok Temple (麻谷寺) of Geryong Mountain, Hung-guk temple (興國寺) of Surak Mountain, and Yujeom Temple (楡岾寺) of Geumgang Mountain were referred to as the three prominent places of Buddhist painting. Since Magok Temple and Hungguk temple are currently located in South Korea, the Buddhist painting schools of these two temples were well documented.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n the Buddhist paintings created in Yujeom Temple, which is located in North Korea, had not been carried out despite the temple’s significant role in creating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era. Recently,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on the monks whose activity centered on Geumgang Mountain has been published. In spite of the contribution of the recent research, the number of the monks who can be identified via remaining Buddhist paintings and the name left on them is small, which challenges the further study on the monks in Geumgang Mountain. Thus, the study on Buddhist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revolves around Cheol‐yu and Chukyeon whose records are abundant. Jungbongdang Hye-ho, for example, is one of the famous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but the study on him has not been conducted due to the dearth of remaining records and his activities which were geographically restricted to Gangwon area and the capital city.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Buddhist monk painters whose activities were centered around Geumgang Mountai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the following geographical boundary: Gangwon (江原), Geumgang (金剛山), the capital city Seoul and Kyeong-gi (京畿). Gangwon is the region where Buddhist monk painters from the temple in Geumgang Mountain spent most of their time and their paintings remain. On top of Gangwon, the capital city Seoul and Kyeong-gi area are the place where the tradition and its variation coexisted: Seoul had been the capital of Joseon Dynasty for five hundred years and represented the tradition of the royal house and Kyeong-gi area, surrounding Seoul, was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royal house. After the opening of ports to foreign traders, Seoul and Kyeong-gi became the center of commerce in Korean peninsula due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geographical advantage. The monk painters from Geumgang Mountain are known to have engaged in active exchange with other monk painters in Seoul and Kyeong-gi area. Although Gangwon and the capital area were in the vicinity, I argue that this active exchange is attributed to the families in Gangwon and Geumgang area. In Particular, the Hwadam/Hwa-ak family had an outstanding influence in Gangwo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as the transition period from Joseon Dynasty to The Great Han Empire and the Buddhist monk painters experienced a change in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 as well. The monk painters borrowed iconography from non-Buddhist paintings and introduced the shading techniqu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typical style of Buddhist paintings. This new shading technique which was influenced by Western paintings developed furthe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fter Cheol‐yu and Chukyeon, in the 1930s, the advanced version of shading technique was found in the paintings of Bo-Eung Mun-seong, Eunho Kim, Yongshin Chae. That is, around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new style of Buddhist paintings with the elements of non-Buddhist paintings were created. The Buddhist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led this transition, the incorporation of the new elements into the tradition, in producing Buddhist paintings. It implies that studying the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helps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modern era. Before, producing Buddhist paintings means praying to the Buddha, but the meaning altered in the modern era. By studying the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such as Cheol‐yu and Chukyeon, one is expected to comprehend the transition period of Buddhist paintings. Currently, only the monk painters of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the School of Geumgang Mountain.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later generation of the school has not been completed yet. For this reason, later monk painters who cannot be regarded as the school are conventionally referred to as the School of Geumgang Mountain in a few cases. In this study, starting from the cases of Cheol‐yu, Chukyeon and Hye-ho, whose records demonstrate them as the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the monk painters who collaborated with the school will be identified. Based on this identification, the features of the Buddhist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ould be illustrated. Furthermore, based on their paintings produced in Gangwon, Seoul and Kyeong-ki,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sixty years of transition period of Buddhist paintings ranging from the late Joseon era to the modern era and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of the monk painters. keywords : Buddhist paintings of the Geumgang Mountain, Monk Painters of Geumgang Mountain, Hye-ho, Cheol-yu, Chukyeon, Status of monk painter. Student Number : 2015-22466 조선시대에는 3대 화소라고 일컬어지는 계룡산의 마곡사(麻谷寺), 수락산의 흥국사(興國寺), 금강산의 유점사(楡岾寺)가 있었다. 마곡사와 흥국사는 38선 이남에 위치해 있어 화승의 유파에 대한 정리가 비교적 잘 되어있으나, 유점사는 현재 북한 지역에 자리하고 있어 조선시대 불교 회화 제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부족으로 마곡사와 흥국사에 비해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금강산에서 활동했던 승려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근래의 연구 성과 역시 금강산에서 활동했던 소수의 승려들에 관한 것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금강산의 사찰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승려들 중 남아 있는 불화와 화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승려의 수가 극히 적기 때문이다. 현재까지의 금강산의 화승 연구는 남아있는 자료가 많은 철유(喆侑)와 축연(竺衍)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중봉당 혜호(慧皓)의 경우, 대표적인 금강산의 화승이지만 앞서 말한 두 화승보다 남아있는 자료가 적고 활동 범위도 강원과 도성 인근에 국한되어 있어 아직까지 단독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본고에서는 철유와 축연, 그리고 혜호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금강산을 기반으로 활동한 화승들의 특징을 강원·금강 그리고 도성과 그 인근인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해보려고 한다. 강원도는 금강산의 사찰에서 활동했던 화승들이 활동했던 지역이며, 금강산의 화승들이 남긴 작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강원도 외에 도성과 그 인근 지역인 서울과 경기 지역에 주목하는 이유는 전통과 변화의 공존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서울은 오백년간 조선의 수도로서 기능하며 왕실의 정통성을 의미하는 공간이었으며, 경기 지역 역시 서울 인근에 위치해 있어 왕실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위치해 있었다. 그리고 왕실과 조선의 전통을 수호하던 서울과 경기 지역은 개항 이후 인구의 증가와 지리적 이점으로 한반도 상업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또한 화승들의 교류에 있어서도 금강 지역의 승려들이 특히 서울·경기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했던 것이 파악된다. 인접한 지역에 있었던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당시 강원·금강 지역의 문중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19세기 후반은 조선이 대한제국이라는 이름으로 이행하는 시기로서 불화를 제작하는 화승들에게도 변화의 바람이 부는 시기이다. 19세기 후반의 화승들은 불화 이외의 그림에서 새로운 도상을 차용해 불화에 도입했고, 기존 불화에서 사용하는 화법과는 다른 음영법을 사용했다. 흔히 서양화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이 음영법은 20세기 전반에 들어서며 더욱 발전하였다. 철유와 축연 이후 1930년대에는 보응 문성을 비롯한 김은호, 채용신이 그린 불화들에서는 고도로 향상된 음영법을 엿볼 수 있다. 즉, 19세기 후반을 전후로 불화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 불화 이외의 요소가 개입되어 새로운 유형의 불화들이 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화를 제작하는 화승에게서 보이는 전통과 변화의 양상은 금강산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한 화승들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근대기 금강산의 화승들이 이와 같은 변화를 주도하는 물결의 선두에 서 있다는 것은 금강산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승들에게서 근대기 불화의 변화 경향을 간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화승들에게 불화를 제작하는 것이 불공(佛供)을 닦기 위한 목적이었다면 근대기에 접어들면서 화승들의 불화 제작은 그 궤를 달리 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흐름을 대표하는 승려들 중 일부는 철유와 축연을 위시로 한 금강산 사찰의 승려들이다. 이들의 자취를 파악한다면 불화의 과도기적 양상 또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재 금강산 승려들의 화맥 정리는 19세기 초반에 그쳐있고, 그 이후의 화맥은 정리되지 않았다. 때문에 실제로는 금강산화문이라고 부를 수 없는 경우에도 관습적으로 금강산화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금강산의 화승이라는 기록이 분명하게 남아있는 축연, 철유 그리고 혜호를 중심으로 함께 작업한 화승들을 파악한 이후, 19세기 후반 금강산의 화승들의 특징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이 강원도와 서울·경기 지역에서 그렸던 그림을 중심으로 조선후기에서 근대기에 이르는 약 60년간의 과도기 불화의 변화 과정과 화승들의 정체성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수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기에 교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규명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은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 230명이 응답한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관계 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인 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정보공유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에 따라 석·박사가 학사보다 교사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교과지식 이해력과 교수설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1~10년 경력의 교사보다 11~20년 경력의 교사와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이 일반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보다 학교 조직문화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분석을 시행한 결과, 대체로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특히 직무 만족도는 모든 연구 변인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 조직문화(β=.528)와 교사 효능감(β=.376)이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를 45.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근무환경 만족도와 교직 만족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각각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46.9%로 나타났으며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30.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이해서는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을 높이고 학교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사의 직무 만족도가 학생의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역량 등 교육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important, we need to underst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Identifying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up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to work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how do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survey data from 2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AMO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or not working at an innovative school. According to gender, femal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haring, which is a sub-factor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lso,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the understanding of subject knowledge, which is a sub-factor of teacher expertise, and the design of teach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are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depending on whether they worked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especially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tudy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β=.528) and teacher efficacy(β=.376)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ly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s recognized and the higher the teacher's effica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our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5.9% of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s the subordinate variables,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was found to be 46.9%, and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30.9%.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have a great influence on explaining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nd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by examining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follow-up studies on how teacher job satisfaction affects student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etence in general education are required.

      •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임수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 교육 활동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을 대상으로 L어린이집의 만 5세 12명(실험집단)과 A어린이집의 만5세 12명(비교집단), 총 24명이다. 연구도구는 환경 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Musser 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 Preschool version)을 허윤정(2001)이 수정‧제작한 환경 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고, 유아의 환경보전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환경처(1994)와 윤기영과 조경희(1993), 윤애희와 박정민(1998)의 연구를 토대로 한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 도구를 사용한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2014년 9월 3일부터 2014년 10월 10일까지 이루어 졌으며, 실험집단에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을 전개하여 실시하고, 비교집단에서는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에 따른 환경교육’을 주 2회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총 12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집단 간의 동질 집단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의 사후 검사결과에 대해 t-test로 처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을 실시한 집단에서 환경 친화적 태도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을 실시한 집단에서 환경보전지식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환경교육에 적용되며, 그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본 활동을 적용해 보길 기대한다.

      • 나의 욕망탐구를 통한 '엄마성'의 발견

        임수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나는 성공적인 커리어우먼이라는 삶의 목표를 가지고 살아왔다. 열심히 일해서 인정받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했고, 그러기 위해서 결혼이나 출산은 부차적인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니 개인으로서의 나의 자아실현의 욕망도 중요하지만 아이를 향한 엄마로서의 욕망 역시 커다란 것임을 느꼈다. 그러나 두 가지 일을 하면서 무엇 하나 제대로 성에 차도록 못하며 분열되어 가는 나를 느끼던 중,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이의 사회성 문제를 계기로 일을 그만두고 전업맘이 되었다. 그러나 전업맘이 되기를 망설이고, 전업맘이 된 후에도 워킹맘에 비해 스스로 위축되는 나를 돌아보며 나 스스로가 전업맘의 가치를 비하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왜 나는 성공적인 커리어우먼이 되길 욕망했고, 엄마의 존재를 비하했는지 나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면서 성찰하게 된다. 자기내러티브를 통해 나의 욕망을 탐구한 결과 나를 비롯한 이 시대의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통해 되는 엄마라는 존재보다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시대의 인간상인 경제적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인간이 되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면서 이를 갈망하도록 사회화되어 자라왔다는 사실과 우리 사회 역시 그러한 인간상이 되도록 부추기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나의 경우 어린 시절부터 대타자의 욕망을 적극 수용하면서 외부의 기준에 나를 맞추고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면서 결핍증에 시달려왔음을 깨닫게 되었다. - - 나를 둘러싼 대타자와 그들의 욕망이 나를 억압하고 있었음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주체로서의 한걸음을 내딛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내 감정을 돌아보면, 내가 구속되어 있는 타자의 욕망의 세계와는 다른 인간의 존재적 근원인 보편의 세 - - 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프로이트, 융, 라캉 등의 정신분석학자들이 이미 유아기적 기억상실 너머의 상실의 세계, 집단무의식의 세계로 개념화한 바 있고, 불교, 성리학 등 인류의 오랜 철학적 사고의 내용이 그러한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보편을 확인한 나는 보편과 특수의 교차적 존재, ‘중간자’로서의 나를 인식한다. 중간자인 나는 특수의 세계, 현실 속에서 살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이리저리 흔들리지만 결국은 보편의 세계에서 우러나는 내 몸과 감정의 소리에 따라 교차적인 모습, 나다운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나다운 나’가 되면 역시 ‘나다운 엄마’가 될 수 있다. 현실 속에 주어진 다양한 엄마의 욕망들이 진정한 ‘엄마로서의 나의 욕망’과 합치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엄마성’의 출발이다. 기존의 모성이데올로기는 거부하지만, 정작 어떻게, 어떤 엄마가 되어야 하는지 모르는 이 시대의 엄마들은 자신이 배운대로 엄마로서의 ‘효율적인 생산성’을 드러내기 위해 아이의 학업성취를 지표로 활용한다. 그리고 이는 과도한 사교육과 학업부담 등으로 아이의 심리적 문제 및 아이와 엄마간의 관계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정말 그것이 자신의 아이를 사랑하는 엄마로서 해야 할 일이고 가져야 할 욕망인지 다시 생각해 본다면, 아이는 물론 엄마인 자신도 타자의 욕망으로 인한 결핍증과 소진, 우울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 나는 내 것인 줄 착각했던 타자의 욕망을 인식하고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중간자’로서의 내 주체를 확인함으로써, 타자의 욕망에서 자유로운 나만의 엄마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 시대의 모든 엄마들이 자신의 감정과 욕망을 지키고, 아이의 감정과 욕망도 함께 지키면서 자신만의 ‘엄마성’으로 행복한 개인, 그리고 엄마가 되길 기원하는 바이다. I had valued the achievement and recognition from my work rather than getting married and being a mother as I had always wanted to be a successful woman in my career. However, I realized that I also have a desire to be a good mother for my daughter after having a childbirth. I was not happy with my life as a working-mother since I felt myself divided into two identities and I was not doing good enough in both area, as a working woman and a mother. I, moreover, was tempted to quit my work and be a full-time mother as the psychological unstability of my daughter who is about to enter elementary school. Aftr all, I quit my job even though it was not an easy decision because it was kind of giving up my longtime dream to be a successful career woman and even more I have devalued being full-time mothers. I found myself depressed and unsatisfactory after I became a full-time mother and the feeling goes worse when I compared myself to working-moms. I was distressed with this feeling and it was the momentum that I started to think of my feeling, emotion and desires. As a result of this ‘Self-narrative’ study on my desires from past through present, I found that women including me of this era, of ‘neo-liberalistic capitalism’, have been educated and encouraged to value and aspire to become the human being who is producing the best economic surplus value rather than to become a mother through marriage and childbirth. I was the one who eagerly accepts and pursues this value through my life from childhood to be recognized by Others such as parents, schools and companies that I worked for. That was the reason why I always had the feeling of deficiency that drives me not only to be more conductive and efficient but also to achieve more. It is possible to take one step ahead toward being a subject just by recognizing that I was being caught by Other’s desire unconsciously. From that perception, I can perceive the ‘structure of Universality’ which is the origin of ‘Human Nature’ and different from the world that we see and live in physically. Psychoanalysts such as Freud, Jung and Lacan have already conceptualized it as a forgotten world beyond consciousness with ‘infant amnesia’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Philosophies such as Buddhism and Confucianism have asserted it’s existence for long time. With this notion, I can identify me as ‘Glocal Being’ which is an Xological being existing across both structures of Universality and Uniqueness. As a ‘Glocal Being’, I live in the world of Uniqueness experiencing various emotions and feelings which shakes myself goes up and down by incidents, however, I am also living on the way I am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Universality at the same time. Thus, I am an Xological being. I can be conscious of it by only understanding my feeling, emotion and desires since those are the sensible presence of Human Nature originated from the Universality. ‘The way I am’ forms ‘the way I am as a mother.’ It is the beginning of ‘Mother Nature’ to examine and decide whether those given desires are in accord with ‘my true emotions and desires as a Mom.’ As current mothers, we don’t know how to be a good mothr and what mother should be since we haven’t given it a thought. We just refuse to follow the traditional model of Mom, which is called ‘Maternal Ideology,’ and try to prove ourselves as ‘efficient human being with productivity’ as we are educated and encouraged by socialization. That’s why Moms are so eager to force their children to get academic achievements as the indicator of Mom’s efficiency. And it results in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overflowing of private education expense, excessive studies of students, which caus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chi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mother. Thus, I think, we can be free from the feeling of deficiencies, burnout and depression caused by the pressure of pursuing those embedded desires from Others as long as we reconsider whether it is really something that we want to desire as a mother who loves own child. I can have my own ‘Mother Nature’ which is free from the Other’s desire by recognizing myself as a subject, ‘Glocal Being.’ I hope all the mothers to be relieved and happy being a mother whether she is a full-time mother or a working-mother as a individual subject who is aware of her own ‘Mother Nature’ which can be achieved by respecting emotions, feeling and desires of herselves and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