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따른혼밥선택속성이만족도에미치는영향

        임소영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개인주의 문화 확산으로 인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만들어졌다. 이런 사회적 변화로 혼자 밥을 먹거나 혼자 술을 먹는 홀로 즐기는 문화가 유행하면서 혼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혼밥은 단순히 1인가구의 증가뿐만 아니라 개인주의 문화 확산, 사회적 관계에 대한 피로감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려하는 소비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혼밥은 간편하고 합리적인 소비로 미니멀리즘 추구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혼밥은 단순히 밖에서 먹는 외식뿐만 아니라 내식까지 포괄적인 의미가 되어가고 있으며 혼밥과 혼술을 단순한 유행이 아닌 새로운 소비문화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혼밥이라는 소비 현상에서, 혼밥을 선택할 때의 속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주목하여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혼밥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혼밥 소비 트렌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연구와 관련하여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집단은 혼밥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8년 5월 21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자기기입법과 SNS를 통한 온라인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유효자료 226부를 SPSS Ver.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는 빈도·요인·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혼밥 선택속성에 대하여 부분채택이 되었다. 외식향유추구형, 건강추구형, 간편성추구형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합리성추구형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혼밥 선택속성은 만족도에 대하여 채택이 되었다. 심리적, 편리성, 메뉴, 가격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만족도에 대하여 부분채택이 되었다. 외식향유추구형, 간편성추구형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추구형과 합리성추구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에 관한 선행연구는 이론적 및 실험 논문이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 논문에 대해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실증분석을 통하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 선택속성의 각각 요인들을 파악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증분석 결과에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혼밥 선택속성과 소비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좋은 연구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혼밥에 대하여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이지만 연령대나 개인 성향에 따라 만족도는 차이가 있으므로, 혼밥에 대해여 눈치를 보거나 부담감을 갖지 않고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적 연구가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표본추출방법과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한계점이다. 혼밥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 추출을 하였기 때문에 식문화 라이프스타일 성향을 일반적으로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령대, 월 평균 소득, 직업, 결혼여부 등에 따른 선택속성과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세밀하고 심도 있는 연구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의 선택속성에 대해 세밀하고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 new lifestyle has been created by the recent increase of single-family households and the spread of individualism culture. With this social change, solo dining is becoming an issue because the culture to enjoy eating alone or drinking alone is popular. Solo ding is not jus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family households, but also a consumption phenomenon that tries to spend its own time away from the proliferation of individualist culture and the tiredness of social relations. Solo dining can be viewed as a reflection on the pursuit of minimalism with simple and rational consumption. The purpo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lo dining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of eating habi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solo dining consumption treads and to be used as a basic data on the study of eating habits. The sample group of this study surveyed consumers who had solo dining experience and conducted online survey through self - entry method and SNS through the questionnaire. 226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SPSS Ver.23.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was regression analyzed for frequency, fact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etary lifestyle was partially adopted for the solo dining optional attribute. The factors of eating out enjoyment type, health pursuit type, simplicity pursuit typ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reasoning type factor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the solo dining selection attribute was adopted for satisfaction. Psychological, convenience, menu, and price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ird, the eating habits lifestyle was partially adopted for satisfaction. Eating out enjoyment type, simplicity pursuit type 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However, health - seeking type and rationality - seeking typ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on eating habits and solo dinners are lacking i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dat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dietary life style and the rice flour are needed for the future research papers. Secon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e factors of dietary lifestyle and solo dining choice attribut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ed factors as shown i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refore, it would be a good research if the study of solo dining choice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style is continued. Third, the most positive response to solo dining, but the satisfaction level varies according to ages and personal preferences. Therefore, various marketing researches that can be enjoyed freely without seeing or feeling pressure on solo dining should be done fine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It is a limitation point according to the sampling method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Because consumers who have solo din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done, there is a limit to general application of the food culture lifestyle t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s, monthly average income, occupation, and marital status. In the future, I hope that detailed study on dietary life style and solo dining selection attributes will be done.

      • 서울시 자치구별 도시기반시설의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임소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기반시설은 지역주민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어 매우 중요한 시설로서 작게는 도시, 크게는 국가 발전에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고 성장도를 측정하는 기준으로서 도시기반시설의 균형적 공급은 중요한 요소이지만, 재정적·공간적 여건 등 다양한 제약요소로 인하여 지역 간 격차가 크게 존재하고 있다. 오늘날 소득수준의 향상·지역 간·계층 간 형평화에 수반해서 ‘생활의 질’ 수준 향상에 대한 욕구는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욕구는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도시기반시설의 지역 간 실태를 분석하고, 지역 간 격차 요인을 분석하여 도시기반시설의 지역간 균형발전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도시기반시설의 자치구 간 격차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하에 본 연구가 시작하였으며, 궁극적인 연구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설정한 범위와 방법 및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도시기반시설의 지역불균형에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자치구 격차에 관한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연구 방법 및 측정지표 등을 조사 하였다. 제3장 현황분석에서는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 대상인 서울시의 일반적인 지역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도시기반시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제4장 실증분석에서 2005년과 2010년의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6개 도시기반시설에 대하여 11개의 서울시 특성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또한 변이계수를 활용하여 지역 간 격차 정도를 알아보고, 서울시 자치구별 도시기반시설 지역간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함과 동시에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 번째, 2005년과 2010년 모두 서울시 자치구별 도시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2005년에 비해 대부분의 도시기반시설은 지역적 격차가 완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도시기반시설의 입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도시기반시설의 자치구 간 위치를 분석해 본 결과 서울시 26개 자치구 중 종로구·중구·강남구·서초구 등에 도시기반시설이 편중되어 있으며, 외곽지역인 금천구·구로구·관악구·강북구·은평구·노원구 등의 지역은 도시기반시설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도시기반시설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다수의 도시기반시설은 입지적 특성은 인구요인보다 경제활동요인의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경제활동이 활발할수록 도시기반시설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활동요인 다음 요인으로는 아파트비율이 많이 있는 주거환경 요인이 도시기반시설 입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저소득계층 지역에 도시기반시설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도시기반 시설 공급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어 기반시설이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자치구별 재정자립도 차이에 따라 도시기반시설의 공급에 당연히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지만, 동일한 행정구역내에 존재하는 도시기반시설의 격차는 형평성 문제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지역주민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찾아 도시기반시설이 양호한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는 현상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중앙정부 및 지자체는 이를 적극적으로 시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각 자치구별 형평성 있는 공급이 될 수 있도록 배분 문제를 조정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도시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기반시설의 수립계획에 있어 지역불균형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Urban infrastructure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local residents so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ilities, looking at the small picture is the city and on the other hand, the big picture is the basic and essential development of a nation. Thus,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measuring the growth of distric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of balanced supply of urban infrastructure but due to the various constraints such as financial and spatial conditions, the gap between districts are significantly existing. Today, the desire to improve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ccompanied by rise in income level, inter-regional, peace in between tiers is growing whereas the desire about urban infrastructure in getting stronger. Analysing the status of regional inequality of urban infrastructure between th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alysing the gap between regional factors and the analysi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the urban infrastructure needs to be presented. The composi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tion : Background, purpose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2: shows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inequality of urban infrastructure those which need to be examin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study. Also, it gives urderstanding of relevant to preceding study trend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study and the present one. Chapter 3: In present state analysi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area of spatial range target Seoul, present state analysis of urban infrastructure. Chapter 4: In empirical analysis, from 2005 to 2010 making seoul district as the base out of 11 urban infrastructure 6 of the Seoul city's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lso, taking the advantage of coefficient of variation evaluating the degree on inter-regional gap, with the help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Regional Inequality of Urban Infrastructure between th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multiple regression, further analysis were carried out. Finally, Chapter 5: describ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nd a summary of the following results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describes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e research as well. If we summarize the study's analysis result, first, in 2005 and 2010 all autonomous district of Seoul and the regional inequality of urban infrastructure has high level but compared to 2005, most of the urban infrastructure regional inequality has the characteristics of mitigating. Second, in or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infrastructure position, the analysed result of the urban infrastructure's district location, Jongro-gu, Gangnam-gu, Guro-gu, Seocho-gu etc out of 26 districts of Seoul city's urban infracture is concentrated and the urban infrastructure of the outer region Gumchun-gu, Guro-gu, Gwanak-gu, Gangbuk-gu, Eunpyeong-gu, Nowon-gu etc turned out to be inadequate. Third,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ition of the urban infrastructure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was affected by economic activity factors rather than the population factors. It seems that the benefit of urban infrastructure can be enjoyed more by active economic activity. After economic activity factor the ratio of the apartment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wer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different from expecting to increasing the urban infrastructure in low-income family region, it can be said that the urban infrastructure is inadequate which cannot affect the supply of urban infrastructure. Of course the supply of urban infrastructure can differ according to the autonomous districts financial independence, the gap of urban infrastructure that exist within the identical administrative area bring about a rise in equity share problem and ultimately the phenomenon of urban infrastructure instead of focusing on local residents should migrate towards the area in finding a better quality of life is in rise. Therefore, the city of seoul to actively correct these kinds of problems should make an effort, the allocation problems should be adjusted in order for autonomous districts to be the supply with equity. With the help of analyzing the regional inequality of urban infrastructure which were not addressed in the existing research, urban infrastructure's establishment plan and the significance of regional disparities were understood. Even though the analysis of regional inequality of urban infrastructure were carried out. A large number of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school, hospitals, parking, subway, library, cultural facilities were not considered. This can be taken a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 평가염려 완벽주의 및 사후반추사고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고통제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소영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및 사후반추사고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고통제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사후반추사고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적응적인 사고통제방략을 사용하는 것이 발표불안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설문에는 한국판 발표불안 척도(SAS),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사후반추사고 척도(PERS), 사고 통제 질문지 척도(TCQ)가 사용되었다. 통계분석에는 SPSS 22.0와 Hayes(2013)가 제안한 SP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사후반추사고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사후반추사고를 투입하였을 때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가 정반대의 부호를 나타내 사후반추사고의 억제효과가 시사되었다. 둘째, 사후반추사고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사후반추사고의 수준이 낮을수록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는 증가하였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후반추사고를 통해서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고통제방략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후반추사고를 통해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사후반추사고의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발표불안의 수준을 낮출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사후반추사고 등의 개인내적인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으며, 발표불안을 낮추기 위한 인지적 방략의 역할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상담 장면에서 발표불안과 관련된 대학생 상담개입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ought control strategy on the relations amo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ost-event rumination and speech anxiety. A total of 389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d its Macro. Because moderated mediation model is the integrative model containing both moderation and mediation effect, models were tested in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seq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ed: First,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an associ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t-event rumination. And the link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were suppressed by post-event rumination.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thought control strategy moderated the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on speech anxiety. Further analyzing the moderation model, the moderated effect of thought control strategy was increased at low level of post-event rumination, compared to high level of post-event rumination. Third, a thought control strategy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n speech anxiety through post-event rumin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confirmed a psychological factors lead to speech anxiety such as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ost-event rumination, as well as cognitive strategies to reduce speech anxiety.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be a significant foundation on undergraduates with speech anxiety in counseling setting.

      • 갑상샘 학습의 효과적인 플립러닝을 위한 인터랙티브 웹 교육 콘텐츠 개발

        임소영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질환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갑상샘 질환의 진단과정과 관련한 내용으로 웹 기반의 갑상샘 학습의 효과적인 플립러닝용 교육 콘텐츠를 제안한다. 플립러닝은 수동적인 강의 중심의 수업방식과 달리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수업방식으로 의학교육에서 효과적인 수업방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내분비질환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갑상샘 질환의 진단과정과 관련한 학습 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형식으로 시각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플립러닝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2D 이미지, 3D 애니메이션, 인터랙티브 3D 모델 등 플립러닝용 웹사이트의 멀티미디어 학습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는 인터랙션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web-based educational content for flipped-learning of the human thyroid learning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agnosis process of thyroid disease, which is a common occurrence in endocrine diseases. Flipped learning is a learner-centered active teaching method, unlike the passive lecture-centered teaching method, and is considere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medical educat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reate more effective flipped learning educational content by visualizing it in a content format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multimedia learning content on the website such as 2D images, 3D animations, and interactive 3D models, learners can actively learn through interaction.

      • 키치 특성의 핸드백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 상품과 소비의 상징성을 기반으로

        임소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 소비 사회에서 나타나는 욕망, 자아상실, 소외의 문제의 근간을 키치 사회의 속성으로 보고 현대 소비사회에서 타자의 정체성을 모방하여 주체성을 상실한 소비와 상품이 자아와 삶의 방식을 대변하는 인간과 사물의 관계에 대해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오늘날 요구되는 올바른 상품의 가치와 주체적인 소비의 방식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핸드백 디자인을 통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오늘날 상품은 단순한 물적 대상이 아닌 문화와 사회를 읽을 수 있는 담지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품은 개인적 의미와 함께 사회 전체적으로 공유되는 지배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문화적 의미가 부여된 상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소비를 통해서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생활방식이 무엇인지 보여주기를 원하고 동시에 소비자 자신의 가치를 드러낸다. 상품이 문화적 의미를 갖고 그것의 소비가 상징화 되는 것은 특정 문화적 맥락 속에서 행하여지는 행위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것은 디자인과정을 거쳐 상품을 개발 할 때 그것이 속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 해준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 예술, 디자인 등 많은 분야에서 담론의 주제와 논제로 화두가 되고 있는 키치를 미학의 관점과 시대사조로 한정하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사회현상의 구체적인 현상으로 주목하고 이와 맥락을 함께하는 소비사회의 특성과 속성의 근간으로 본다. 키치적 속성에서 비롯되는 소비 사회의 갈등을 키치적인 해석을 통하여 키치적인 방법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인은 소비 사회의 갈등을 욕망, 자아상실, 소외로 정리하고 이것을 상품인 핸드백 디자인에 담아 소비자에게 전달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로 기호, 대상체, 해석체라는 기호학의 세 가지 요소를 틀로서 제안한다. 기호는 사회적 문화적 상징이 되고 있는 상품으로 에르메스 버킨 백을 지정하고, 대상체는 디자인의 결과물인 펠트 백으로 앞에서 지정한 기호를 연상할 수 있도록 형태적인 요소를 차용하고 있다. 소재는 플라스틱과 펠트를 사용하여 지정된 기호의 상품과 상반된 이미지를 유도하여 지정된 기호의 이미지에서 탈피한 새로운 주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해석체는 대상체로부터 소비자가 해석 할 수 있는 새로운 기호인데, 기호로 지정된 에르메스 버킨 백과 대상체인 펠트백이 주는 상반된 이미지와 형태적 차용에서 오는 괴리감은 키치의 역설적 성격으로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째, 미학과 시대사조로 한정 짓는 키치 연구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키치를 사회현상의 구체적인 현상으로 주목하여 소비사회의 특성과 속성의 근간으로 보고 사물과 소비의 관계와 함께 연구하였다. 둘 째, 이미 만들어져 있는 대상을 가주고 논하는 키치 패션의 연구의 틀에서 벗어나 키치의 특성이 들어날 수 있는 디자인을 전개 하였다. 셋 째, 사회, 문화적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패션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상품의 물리적인 설계에 앞서 사회와 문화의 이해를 우선시 하였다는 것이다.

      • 신경증적 경향성이 정서중심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임소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신경증적 경향성이 정서중심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2명(남성 153, 여성 259명)을 대상으로 신경증적 경향성,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중심적 대처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을수록 정서중심적 대처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을수록 정서인식 명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중심적 대처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정서인식 명확성은 신경증적 경향성과 정서중심적 대처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중심적 대처 간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 정서인식 명확성이 신경증적 경향성과 정서중심적 대처를 매개하지 못하는 이유를 다루었다. 주요어: 신경증적 경향성,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중심적 대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focused coping. Subjects were 412 (male 153, female 259)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of South Korea.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composed with NEO-PI-R, Trait Meta-Mood Scale (TMM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WCC).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uroticism had positive effect on emotion-focused coping. Second, neuroticism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ty. Third,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Forth, emotional clarity didn't mediate relations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focused cop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asons why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focused coping are not significant, and why clarity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focused coping are discussed. Key words: Neuroticism,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oping

      •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보행환경개선 계획수립 방안 연구

        임소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bee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ince 2014. After diverse transformations, as of 2022,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guidelines for the 2022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eviously, if it was possible to utilize the budget for the priming project by planning the H/W project and the S/W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the current budget utilization for the priming project has changed due to a change in the vision of recreating urban space through economic hub space and regionally specialized regeneration. S/W projects such as governance operation and resident capacity building were excluded from the priming project in principle. Local governments should use their own funds when necessary. Hence, it became difficult to utilize the S/W project promotion budget in the priming water project,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ortion of budget utilization for the H/W project augmented.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H/W projects such as the creation of a base space that can utilize the budget for the priming water project, 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and support for repairing old houses are issues of urban regeneration. Considering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centered on the H/W project, it is necessary to seek a more active approach to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business plan for urban space composition and the need to improve the local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road diet and open space creation as a plan for urban regeneration H/W project in the form of a planning thesis. As a research method, three cases of advanced cases such as 'Pedestrian-friendly Street' in Gyeongju, 'Pedestrian-friendly Space' in Namyangju, and 'Cheotmajoong-gil' in Jeonju were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Yongbong-ro, Buk-gu, Gwangju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udy and finding the implications thereof, this study proposes a plan that can be applied to Yongbong-ro, the project site. In this way,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road diet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presented. Based on this, an action plan for Yongbong-ro, Buk-gu, Gwangju was established. It can be asser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create and utilize the space created by reducing the local road into a space that can be used by local residents. These task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initial project, and it is judged that an open spac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local environment and limited budget of the site is necessary. In conclusion, as a consequence of inference through comparison of three advanced cases, we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to apply a successful model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Yongbong-ro. First, it is a plan to promote a road diet by reducing the existing four-lane roads to two lane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preparing an alternative detour road, Yongbong-ro road is reduced to secure pedestrian space. Second, it is a plan to recreate the space secured through road reduction as an open space and utilize the space as a cultural resting place. Currently,Yongbong-ro is located in the middle boundary between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It is also a space that has eliminated the boundary by tearing down the wall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region through the university town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 would like to consider using this space as an open space cultural resting place as a concept of a plaza where residents can gather and utilize. Keywords: Walking Environment, Road Diet, Urban Regeneration, Improvement of Local Environment, Open Space

      • 전당뇨병 성인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과의 상관관계

        임소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나트륨 섭취는 권고기준을 초과하여 섭취되고 있으며, 과도한 나트륨의 섭취는 고혈압, 비만,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질환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와 당뇨병, 비만 발병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공복혈당(fasting blood glucose ; FBG)에 따른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과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제5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30세 이상 성인 총 4,47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FBG에 따라 1) 정상군(FBG < 100 mg/dL, normal), 2) 전당뇨병군(100 mg/dL ≤ FBG < 126 mg/dL, pre-diabetes), 3) 당뇨병군(126 mg/dL < FBG 또는 당뇨병 치료를 받는 대상자 또는 당뇨병 진단을 받은 대상자, diabetes)과 같이 총 3군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대상자들을 나트륨 섭취량뿐만 아니라 각 비만 유형에 따른 기준에 따라 계층화하였다. 나트륨 섭취와 신체계측 및 생화학 검사 결과간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나트륨 섭취와 각각의 비만 유형에 따른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당뇨병군에서 허리둘레가 나트륨 섭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정상군과 비교하여 전당뇨병군에서 허리둘레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정상군과 당뇨병군에서는 나트륨 섭취량과 복부비만간에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반면, 전당뇨병 대상자 중 고나트륨군에서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부비만 발병 위험이 1.479배(p=0.029)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게다가, 전당뇨병 고나트륨군에서 교란인자인 나이, 성별을 보정 한 후에도 나트륨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복부비만 위험율이 1.590배(p=0.01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당뇨병 고 나트륨군에서 저 나트륨군에 비해 공복혈당, 공복 인슐린,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HOMA-IR)과 복부미만 위험률이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 상관관계는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model 2와 나이, 성별, 총 에너지를 보정한 model 3에서도 유의적인 상관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전당뇨병 성인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전당뇨병 성인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나트륨 섭취량 모니터링과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