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이커리 구매채널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성연 세종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 베이커리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보다 다양한 구매채널을 통하여 베이커리 제품을 구매하게 되었다. 산업의 성장과 함께 수많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공급과잉의 시대에 소비자는 구매를 통하여 필요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와 더불어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었으며 가시적 구매가 많은 환대산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하지만 이제껏 베이커리 산업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베이커리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베이커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수준이 높아졌다고 판단되며 이제껏 연구되어 온 베이커리의 기능적 속성들과 더불어 베이커리 이미지와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이 소비자의 태도와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아 변화된 소비자의 가치판단을 진단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베이커리 구매채널에 대한 기능적 일치성 뿐만 아니라 실제적·이상적 자아일치성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연구해 봄으로써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하여 성숙기에 접어든 국내 베이커리시장의 마케팅전략 수립 시 중심에 두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베이커리 구매채널에 따라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를 형성하는 요인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베이커리 구매채널별 차별화된 홍보전략과 마케팅방향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아일치성 개념을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으로 나누어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였으며 기능적 일치성은 제품 및 물리적 환경, 편의성, 접근용이성의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이들을 독립변수로 두며 점포태도를 매개변수로, 점포충성도를 종속변수로 두었으며 관여도를 조절변수로 두어 그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베이커리 구매채널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소비자와 개인 베이커리소비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소비자의 경우 점포태도에 대하여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제품 및 물리적환경이, 점포충성도에 대하여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제품 및 물리적환경이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여도는 일치성과 점포충성도와의 영향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 베이커리소비자의 경우 점포태도에 대하여 제품 및 물리적환경만이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충성도에 대하여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제품 및 물리적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여도는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일치성과 점포 충성도와의 영향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영향관계에 있어 예전 베이커리소비자의 주요선택 기준이었던 접근용이성과 가격이 포함된 편의성은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마케팅담당자들은 운영과 홍보에 있어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의 품질과 영양 등을 조사함과 동시에 목표시장 소비자의 실제적 이미지와 소비자가 원하는 이상적 이미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적합한 이미지의 구축에 힘써야 함을 시사한다. 이는 국내 베이커리산업이 여타 외식산업과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중요한 산업이 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개인 베이커리소비자는 제품 및 물리적환경만이 점포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하여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와는 차별적인 마케팅전략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시사한다. 개인 베이커리를 찾는 고객은 보다 실질적인 측면인 제품의 맛, 영양적 측면과 함께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청결함을 통하여 긍정적인 점포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목표시장의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의 품질유지에 더욱 노력하여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기능적 일치성 요인들 중 가격과 편리한 위치 등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두 구매채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는 베이커리 소비자의 수준과 인식이 확연히 변화하였음을 보여준다. 재방문을 유도하는 것은 더 이상 저렴한 가격과 가까운 위치가 아니라 제품의 맛과 영양적 측면을 포함한 품질 및 청결과 위생,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라는 것을 인지하여 마케팅전략 수립과 방향 설정시 고려하여야 할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베이커리관련 연구에 있어 기능적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온 기존의 연구와 달리 자아일치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범위를 확장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주요어 : 자아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관여도, 점포태도, 점포충성도, 베이커리 구매채널

      •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효과분석 :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을 중심으로

        임성연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for Foreign Cabin Crew - Focused on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foreign cabin crew members from oversea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language service for foreign passengers as well as reducing cost of labour by domestic airline companies. The number of foreign cabin crew members working in K airline company is reaching to 10% of the total number of cabin crew. However, it was disclosed that the airline companies were lack of research with regard to satisfaction of life and study for foreign cabin crew from different cultures, although they seem to eager to hire right and competent people living abroad to have them work for them.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how foreign cabin crew working for a airline company in Korea can improve life satisfaction against differences between their own country and Korea in terms of life sty le, way of thinking, culture and economics. Knowing these potential problems, leisure activity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m to feel satisfaction while living in different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influences on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K airline company in Korea, from 10th June to 16th June in 2013. 100responses were available out of 130 questionnaires. The frequency test was used for the purpose of Demographic variables,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sis of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Reliability analysis was employed in order to measure reliability for the method. To prove hypotheses,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in order to find out a correlation among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cause and eff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indicted that foreign cabin crew members participated in hobby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most frequently, and also being involved broadly, though less frequently, in culture and art activities and recreational activities as well,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ccupation and the pattern of their life. For further details, they spent almost everyday using the internet, gathering with friends and relatives, which seems regard as the high frequency. However, they spent watching TV, eating out, having (or developing) relationship most frequently. In sports activity, light exercise such as jogging and walking are mostly enjoyed. It is said that foreign cabin crew members are highly involved in static leisure activities rather than dynamic leisure activities to relieve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exhaustion. It is required that the organization consider the development of leisure programs and the support to engage their employees to take part in variety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Secondly, it is indicated tha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foreign cabin crew, there is a notabl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leisur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ly, the organizations are needed to have the concern and provide the broader opportunitie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ir employees with less satisfaction,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declining satisfaction. Resultingly, this will help you acquire the customers' satisfaction through service quality control. Thirdly, as a result of analysis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satisfaction di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ly, in a consequence of analysis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general life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di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general life satisfaction. Lastly, as a result with analysi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eral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id significant influence on general life satisfaction.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효과분석 -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최근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고 객실에서의 역할도 확대되고 있는 외국인 객실승무원이 국내 항공사에 근무하는 동안 사회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겪고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조직 적응과 유화력을 높여 직무 만족뿐 아니라 심리적 행복감과 전반적 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외국인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그들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유형을 알아보고,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전반적 생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15일간이며, 국내 K항공사의 외국인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행복감, 전반적 생활만족도의 세부항목들을 영역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간의 상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관관계(Correlation)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여가 활동 참여도와 여가 활동 유형별 세부 선택 현황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선택을 한 취미·오락활동의 경우 인터넷을 즐기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음악 감상, 친구모임, 쇼핑, 외식, 사진 등이 선택되어 대체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여가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관광의 경우 해외여행의 항목이 가장 많았으며, 바닷가 또는 교외로 나가 관광을 즐긴다는 답변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밖에 휴식 분야의 경우, TV 시청, 사교활동 분야에서는 가족방문 및 전화․문자․카카오 톡이 많았고, 문화·예술 분야의 경우 독서가 높이 선택되었다. 스포츠 활동 중에서는 Jogging/Walking을 가장 많이 선택하여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여가활동유형은 직업 특성과 생활 패턴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만족, 생활만족,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랜드와 말레이시아 국적의 객실승무원의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베트남과 몽골 국적의 객실승무원은 비교적 낮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여가만족의 요인 중 심리적 만족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만족과 전반적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여가만족의 요인 중 심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이 전반적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행복감과 전반적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행복감은 전반적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화 제1주석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 란타늄 도핑 효과에 대한 연구

        임성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p 형 반도체 층으로써 란타늄 (La)을 도핑을 시킨 산화 제1주석 (tin monoxide, SnO) 박막을 재료적 및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1.9 at%의 La 도핑은 부드러운 표면 계질 (界質, surface morphology)를 동반하며 (101) 방위 집합조직 정방정계 (tetragonal) SnO 상의 형성을 일으켰다. La이 도핑이 되어진 SnO 박막 내에 존재하는 La 양이온은 n 형 Sn4+ 상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La 가 도핑 되지 않은 SnO 박막과 함께 비교했을 때, SnO 박막의 La 도핑은 정공 이동도와 정공 캐리어 농도를 증가시켜 p 형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우수한 반도체 특성을 보이게 하였다. 성능의 향상 이유는 La가 SnO 혹은 산화 주석 (tin dioxide, SnO2) 결정 내 주석 (Sn) 자리를 치환하는 반응이 아닌, post deposition annealing (PDA) 중 Sn2+에서 Sn0+Sn4+로의 불균등화 반응(disproportionation conversion) 및 SnO2 상의 성장 억제에 의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La 도핑 한 SnO 산화물 반도체의 TFT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thermal oxidation silicon oxide (SiO2)를 절연체로 사용한 바텀 게이트 구조 (bottom gate structure)의 TFT를 제작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La을 도핑 하지 않은 대조군 SnO TFT는 각각 0.29 cm2/Vs 및 5.4×102의 전계이동도와 점멸비 (ION/OFF)를 보였지만, 1.9 at% La이 도핑 된 SnO TFT에서는 각각 1.2 cm2/Vs 및 7.3×103의 향상된 전계 이동도와 ION/OFF 특성을 보였다. 부드러운 표면 계질 및 La이 도핑 된 SnO 산화물 반도체 내의 감소한 gap-state 농도에 기반하여 성능이 향상된 원인을 토의하였다.

      •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음악교육

        임성연 관동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who should receive special education due to both congenital and acquired reasons and the number has been increasing from 7,739 in 2007 to 10,367 in 2010 and 11,279 as of 2012, now. However, there are few teach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on special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problems because educational supports for disabled students don't work very well. Music can make enhance atten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help their emotional stabilities. Music also helps them express their own emotional with non-linguistic communications. Through various types of education, it provides many researches opportunities on disabled children for both educational and therapeutical purposes with huge effec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 curriculum applied with Zoltán Kodály, selects easy and interesting piec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focuses on both songs and instrumental music. In regards to this, with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s ability to pay attention, music education by using visual, tactual and auditory senses should continued to be developed.

      •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임성연 우석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생활에 부적응 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검사의 사후 분석 결과가 좋아질 것이다. 2.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학생들은 자기표현성향검사의 사후 분석 결과가 좋아질 것이다. 3.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학생들은 K-HTP검사의 사후 분석 결과가 좋아질 것이다. 4. 집단미술치료 실시 학생들은 프로그램 진행과정 중 적응행동이 점차 향상될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I시 W여중 1학년 학생 중 한 학급을 선정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학생 3명으로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매회 45내지 90분간 총 12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분석으로는 학교생활적응 검사, 자기표현성향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질적 분석으로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동적 집·나무·사람(K-HTP)검사를 사전·사후로 비교분석하여 그림에 나타난 학생의 부적응 행동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 중 나타난 학생들의 작품 활동과 행동을 프로그램의 초기, 중기, 종결 단계로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집단미술치료 적용 전·후 비교에서 학교생활적응검사와 자기표현성향검사 점수가 사후 향상되어 집단미술치료의 적용이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투사검사인 K-HTP 검사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집단미술치료의 회기별 활동과정에서도 학생들의 적응행동은 눈에 띄게 점차 향상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집단미술치료의 적용은 학생들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학교생활에 부적응 하는 중학생들의 학교적응에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group art program targeting students with maladaptive behaviors in middle school, and to testify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on school adjustment.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made. 1. Students may improve post analysis result of school life adaptation examination after group art treatment enforcement. 2. Students may improve post analysis result self-expression inclination examination after group art treatment enforcement. 3. Students may improve post analysis result of K-HTP examination after group art treatment enforcement. 4. The Students who take Group art treatment enforcement will gradually improve their adaptability during program progress Study subject people were 3 students who are not adapting in school life. they are first-year student at W girls' junior high school I executed 12 times of art treatment program for 45~90 minute each time from April to May , 2007 I executed group art treatment program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o verify its effect. I checked the students who take group art treatment program before and after with school life adaptation examination and self-expression inclination examination for quantitative analysis. I checked them with K-HTP(home·tree·a person) examination for qualitative analysis after that i analyzed student's maladjustment motions which appear to picture. Also, I observed and analyzed their behavior and works to make steps such as first, middle and termination step of this program According to this study, I found that the group art treatment is effectively improving maladjustment student's school adaptation because the points of examination of school life adaptation and self-expression are improved before group art treatment. When I checked K-HIP result, i found the group art treatment also exposed positive effect to middle school student who should adapt their school life. the students were improved glaringly and gradually in process of time . Therefore, the group art treatment is effect in the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maladjustment in school life even if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 크리스토와 쟌느-클로드 작품의 연대적 아우라 경험 : 뉴욕 센트럴 파크의 <The Gates>를 중심으로

        임성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1960s, various attempts to tackle problems in and surrounding public art have been made for over 40 years. A huge amount of public funding is usually required for public art, be it an urban monument or piece of contemporary ‘community art’. But standards for evaluating public art remain ambiguous, due to contradictory concepts between private and public concer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public art must take to go forward, based on research by Christo Javacheff and Jeanne-Claude, who produced model public artworks that balance between aesthetics and public participation. Born in Bulgaria, 1935, Christo Javacheff was influenced by socialist art, using his famous technique ‘wrapping’ to conceal the reality of socialism, and ‘theater’ as public propaganda. Exiled in Paris, Christo married Jeanne-Claude, daughter of a French military officer, and then began with her collaborative work on an enormous and outdoor scale. After moving to New York in 1964, the couple befriended 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ts, Happening artists, Conceptual artists, and Landartists. Pursuing ‘art as a process,’ they focused on wrapping American nature, like avalley, island, and a coast, and also wrapped European historically significant public buildings. The Gates (1978-2005), Central Park, New York, complete after a 28-year period of preparation and work, drew world wide attention, as a wrapped natural scene and public architectural installation. It was marked by two features : one was its ‘enormity,’ covering the largest artificial park in the world, with 7,503 gates. As Immanuel Kant wrote, such enormity has a ‘qualitative quantity,’ and can lead viewers to an overwhelming experience and eventually, the sublime. Each grandiose orange gate operated as a landmark, returning the non-placed park to a humanistic space. The second feature was ‘ephemerality,’ which deprived the work of its physical characteristic, so it could not be possessed by anyone, since its quality as a commodity was removed, as Theodor Adorno and Max Horkheimer argued. The Gates escaped possession by anyone, and is instead retained as a collective memory. Owing to its characteristics ‘enormity’ and ‘ephemerality,’ viewers could have a special experience. The 600 non-expert workers who took part in this work making generate their own aesthetics as an amusement or play, not labor, intervening in its process as co-creators. A wide variety of criticisms of and admirations for their work were diversely raised from its preparation to its completion and withdrawal, giving rise to various discourses on “what is art?”. As their work exists for the time being, those taking part in spreading its secondary derivative images through news media, DVDs, photographs, printed catalogs, and web materials are also considered significant participants in forming the aesthetics of their own. This is a special aspect of their work. Based on its features ‘enormity’ and ‘ephemerality,’ viewers could have a special experience, sharing a common feeling deriving from a grandiose project. This landmark project returned Central Park space to a humanistic place, where all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re one’s labor became joyful play. As culture derives from community play, it reinforced the solidarity proved by human history. The Gates enabled participants and witnesses to feel their own commonality and solidarity in diverse ways. They commonly experience a ‘solidary aura’ derived from emancipation from established art styles. This is not organic the solidarity based on social division of labor but the solidarity generated from sharing beautiful artistic images. Those experienced this solidary aura for an ethically, morally enhanced community. This formation of an aesthetic community is what Christo and Jeanne-Claude have pursued. An aesthetic The Gates presents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Claes Oldenburg’s Spring set up at the Chonggye stream. This work, classified as one of public art works in terms of its form and material, was chosen one-sidedly by a few experts without gathering public opinions. While Spring was compulsorily accepted as a landmark of Seoul by the public, The Gates was installed through the 28-year process of consent and removed after its 16-day display. Any citizen accepted it by force, and they thus asked a question, “What is art?” and answered it for themselves. This memory enabled them to form an aesthetic community. 1960년대부터 약 40여 년 동안 공공미술에 대한 담론과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공공미술은 근대 도시의 발달로 시작된 기념비에서부터 현대 '공동체 미술'에 이르기 까지 대단위의 공적 자금사용이 이루어지지만, 미술이라는 사적인 활동과 공공이라는 공적인 활동 사이에서 이율배반적인 개념 때문에 그 평가 기준이 모호한 상태이다. 이에 미학과 공공의 참여에 대해 균형점을 가지고 세계적으로 성공한 공공미술의 사례를 만들어낸 크리스토와 쟌느-클로드의 작품을 연구하여 공공미술의 지향점을 유추해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1935년 불가리아에서 태어난 크리스토 자바체프(Christo Javacheff)는 사회주의 미술에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의 현실을 은폐하는 '포장'과 대중 선동을 위한 '연극'을 그의 작품세계에 반영한다. 후에 파리로 망명을 와서 프랑스 장교의 딸인 쟌느-클로드(Jeanne-Claude)와의 결혼을 하고, 부부가 한 명의 아티스트로 활동을 하며 본격적으로 대형 프로젝트 제작을 시작한다. 오랜 역사의 유럽을 벗어나 새롭고 거대한 규모를 가지고 있는 뉴욕에 1964년 이민을 온 부부는 미국 추상표현주의, 해프닝, 개념미술, 대지미술 등의 작가들과 교류하며 서로 영향을 주었다. '과정으로서의 예술'을 지향하는 그들의 작업은 주로 미국의 대자연(계곡, 대농장, 섬, 해안 등)을 포장하였고, 유럽에서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공공 건축물들을 포장하였다. 가장 최근에 완성되고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던 뉴욕 센트럴 파크의 <The Gates>(1978-2005)작품은 28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준비, 제작되었으며 자연포장작업과 도시속의 공공조형물 포장작업의 요소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그들의 작품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Gates>는 크게 두 가지의 특징을 지닌다. 먼저 7,503개라는 엄청난 양의 게이트들이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공원 전체를 뒤덮는 '거대성'을 보여준다. 거대성은 칸트가 주장하는 '질적인 양'을 가지며, 관람객들이 그들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압도적인 경험을 하며 숭고미를 느끼게 된다. 또한 주변과 구별되는 인공적인 오렌지색의 거대한 게이트들은 랜드마크적 기능을 하며 '비-장소'화 되었던 공원을 다시 인간적 공간으로 되돌려 놓게 한다. 두 번째 특징은 '일시성'이다. 일시성은 기존 미술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물성을 제거함으로써 아도르노와 호크하이머가 비판하는 '상품으로의 예술'의 성격을 제거하고 아무도 소유할 수 없게 한다. 그럼으로써 탈소유가 된 작품은 관람한 모든 사람들의 머릿속에 '집단적 기억'으로만 소유된다. '거대성'과 '일시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The Gates>는 관람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요구한다. 작품 제작에 참여한 600명의 비전문가 노동자들은 공동 창작자로 작품에 개입하여 노동이 아닌 유희(놀이) 생성에 의해 참여자들이 스스로 미학을 만든다. 유난히도 비판과 동조의 의견이 다양한 크리스토와 쟌느-클로드의 작품은 준비과정에서부터 철거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도 관람객들의 다양한 담론이 형성되어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공론장이 만들어진다. 일시적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2차 파생 이미지(뉴스미디어, DVD, 사진, 출판도록, 인터넷 등)로만 참여를 하는 사람들도 원본과 복사본의 구분이 모호해진 현대 사회에서 미학을 생성하는 중요한 참여자들로 볼 수 있는 것이 이 작품의 특별함이다. 거대성과 일시성이라는 <The Gates>만의 특성에 의해 관람자들은 특별한 체험을 하게 된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들은 거대한 작품에서 한계를 넘어서는 공통된 감정을 느끼게 되고, 거대한 랜드마크적 작품은 비-장소로 변해버린 센트럴 파크의 공간을 다시 도시 거주자들이 서로 통할 수 있는 인간적인 공간으로 환원된다. 그리고 노동은 놀이가 되고 인류의 역사가 그러하듯 공동체 놀이에서 문화가 생기며 서로 결속력을 강화시켜준다. 이런 다양한 방식으로 <The Gates>는 참여하고 목격한 경험자들에게 특별한 그들만의 공통감을 불러일으키며 그들에게 연대감을 느끼게 만든다. 경험자들이 기존의 예술 형식에서 벗어나 공간과 형식의 해방으로부터 발생한 새로운 현대적 아우라인 '연대적 아우라'를 공통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이는 뒤르케임에 제시하는 사회 분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적 연대감'이 아니며, 아름다운 예술 이미지를 공동으로 체험함으로써 생기는 연대감이다. ‘연대적 아우라’를 경험한 사람들은 비록 정의할 수 없고, 보이지 않지만 윤리적, 도덕적 고양이 이루어진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런 심미적 공동체 형성이 크리스토와 쟌느-클로드가 지향하는 미학이다. <The Gates>에 의해 완성된 미학은 우리나라 청계천에 위치한 올덴버그의 <스프링>작품과 차이점을 드러낸다. 형태와 재료에서 공공미술의 문법을 지니고 있는 <스프링>은 시행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엘리트들에 의해 선정되고 공간을 사용하는 일반 시민들의 의견은 전혀 수렴되지 않았다. 번복될 수 없는 결정으로 인해 시민은 <스프링>이라는 외국작가의 작품을 서울의 랜드마크로서 받아들이고 살아가는 강압적인 현상이 있었다면, <The Gates>는 28년이라는 합의의 과정이 있었고, 16일간의 전시 후에는 완전히 제거 되어 시민들은 그 작품을 강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었다. 다만 다양한 담론들 속에서 '무엇이 예술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대답했던 기억들만 남아 경험자들만의 보이지 않는 심미적인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 어린이 체험전시의 예술교육프로그램 연구

        임성연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문화 예술의 가치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기본적인 의식주가 충족되고 늘어나는 여가시간을 활용하기 위한 대중들의 움직임과 감성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문화의 흐름으로 인해 자신의 정서적 가치 만족을 위해 기꺼이 지출을 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러한 현상이 유지되면서 여가활동과 지적가치의 산물로 여겨지는 예술활동은 폭 넓게 발전해왔으며, 문화 예술을 향유하는 대중들의 수준향상을 촉진시켜 문화 예술의 발전과 변화를 이끈다. 이는 예술을 문화 산업으로 발돋움 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되었고, 문화산업의 발전에 따라 예술분야에서 중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각적 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치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전시 관람자의 수준향상과 영향력은 전시형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이미지와 엔터테이너적 요소들이 즐비한 즐길 거리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 대중들은 단순한 관람의 형태인 전시에 만족하지 못하고 변화를 요구한다. 대중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현대 사회에서 박물관과 미술관은 오감을 만족시키고 교육적 효과와 재미까지 주는 다양한 기획전시와 프로그램을 대중에게 선보이려 한다. 특히 어린이를 상대로 하는 체험전시와 교육프로그램에서 많은 변화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능력개발에 필수조건인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문화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 예술교육은 어린이들의 삶과 생활 전반에서 감성자극으로 인한 인지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학문적 가치가 있으며,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창의성 발현을 위한 감각교육의 중요성을 받아들여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체험전시가 만들어지고 활성화 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있는 미술관과 박물관은 학교외의 통합교육의 장으로서 그 역할이 더 확대 되어야 하고, 대중들의 접근성이 용이한 전시의 특성을 이용해 예술교육의 장으로서 어린이 체험전이 활용되어야 한다. 다양한 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감각교육은 어린이 미래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 되고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어린이 체험전의 구조는 놀이와 재미위주의 상업적 전시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의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어린이 나이별 행동발달시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감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며, 국내 어린이 체험전시의 유형별 분석과 예술교육프로그램 선행사례를 연구하고 현장에 대입시켜본 결과를 바탕으로 감성교육의 장으로서 어린이 체험전시에서 예술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모색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oday culture and arts are elemen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fe. Thanks to the public’s desire to enjoy leisure time that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necessities of life have beenfulfilled and the trend of modern society that emphasizes emotion, more and more people are eager to spend money for the satisfaction of their emotional values. As such phenomena continue in all areas of society, a wide range of artistic activities, which are considered the product of leisure activities and intellectual value, have advanced. Such activities promote the public’s level of appreciation of culture and arts, and in turn, they lead to the advancement and change in culture and art. These artistic activities have played the role of having arts emerge as cultural industry, an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which signifies that the consumers now have higher expectation toward visual elements, which occupy considerable importance in arts.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exhibition visitors and the increase in their influence have brought much change in the form of exhibitions. The public who are always exposed to entertainments and diverse images are not satisfied to exhibitions inthe format of simple viewing and therefore request changes. In keeping with such requests of the public, museums and art galleries have made effort in showcasing various special exhibitions and programs that can satisfy the five senses of the public whileeducating and entertaining them at the same time. Particularly, exhibition-study programs and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children have attempted many changes, which is becaus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nurtures creative thinking abilities, necessary conditions for individuals’development of competencies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considered importa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academic values as it can develop children’s cognitive skills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the children in all areas of theirlife, an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e perceptual education for realizing creativity has been recognized crucial. As a result, various exhibition-study programs should be created and promoted. Art galleries and museums, which are at the center of such programs, should expand their role as the place for comprehensive educationin collaboration with schools, and exhibition-study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used as the place for arts education based on the nature of exhibitions, which is that exhibitions make the public’s access to arts easier. Perceptual education through various arts education programs will become an important medium for realizing creativity of children in the future. As such, although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has greatly emerged, most of exhibition-study programs for children in Korea are commercial-based, focusing mainly on entertainment and fun. Therefo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for children,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by age and behavioral development periods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perceptual education according accordingly. Furthermore, the study conducts a case study of arts education programs and analyzes the exhibition-study programs forchildren in Korea by format, and based on such a survey, it aims at examining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plans of arts education programs in exhibiton-study programs for children as means of perceptual education.

      • 충남지역 일개 요양병원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임성연 고려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충남지역 일개 요양병원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임 성 연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 (지도교수: 최 재 욱, MD., Ph. D) 목적 : 충남지역 일개 요양시설에 입원한 치매환자의 주 부양자와 요양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치매환자의 주 부양자에게 영향을 주는 부담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여, 전문요양시설 이용의 필요성과 같은 보건복지서비스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 모든 조사는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31일까지 A, B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요양시설 이용자 조사를 하였으며, 요양시설 비 이용자의 경우는 관내 치매환자들 중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 각각 12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치매 노인의 일반적 특성 7문항, 주부양자의 일반적 특성 11문항, 주부양자의 부양 부담 7문항 등 총 25문항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충남지역 논산시와 부여군의 요양병원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부담에 대한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요양시설 이용여부에 따라서 심리적 부담, 신체적 부담, 경제적 부담, 사회적 부담 및 전체적인 주부양자의 부담수준은 상당히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경제적인 부담의 경우는 주부양자가 요양시설 이용을 하는 경우 과중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부담을 제외한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부담의 경우는 부담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노인의 연령, 치매증상, 치매증상기간에 따라서 상당히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사회적 부담에 대해서 50-59세를 제외한 연령의 부담수준이 높았으며, 심리적, 신체적, 경제적 부담의 경우 연령이 많으면 부양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치매노인 주 부양자의 연령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신체적부담에서는 연령이 높더라도 오히려 부양부담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부양자의 학력에 따라서는 전체적인 부양부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정의 평균수입수준에 따라서는 전체적인 부양부담에서 200만원 미만의 월평균 소득인 경우 가장 부담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주 부양자의 학력과 가정평균 수입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서 인지하지 않거나, 요양판정을 받는 경우에 부양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부양자들의 개인적인 특성보다는 부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요인들이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가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리어 이것은 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이 이용하지 않는 대상자보다 부담감이 적었으나 경제적 부담의 경우는 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부양자의 부담감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요양병원, 치매노인, 주부양자, 부양부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