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선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Learning-by-Play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임 선 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초등학교에서 또래 집단 내의 놀이학습은 일생을 두고 조화로운 인성형성에 영향력을 끼치게 되며, 특히 저학년에서의 놀이학습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놀이와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었다. 실험연구를 통해 첫째, 놀이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자주성, 사교성, 협동성, 책임감, 준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둘째, 놀이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놀이학습프로그램이고 종속변수는 사회성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놀이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실험처치 결과를 평가하는 ‘사전 ․ 사후 통제 집단 실험 설계’이다. 즉,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로 사회성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는 놀이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실험처치를 실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후검사로 두 집단 모두에게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경상북도 구미시내 M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1학년 아동 2개 학급 남, 여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맡고 있는 학급의 아동 20명(남 10명, 여 10명)이다. 그리고 통제집단은 같은 학교의 같은 학년 4개 반 중 실험집단을 제외한 한 개 반의 아동 20명(남 10명, 여 10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선정은 사전 사회성 검사 결과에서 비슷한 점수(동질집단)를 얻은 아동들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사회성 검사」이며, 사회성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사교성 4문항, 자주성 4문항, 준법성 4문항, 책임성 5문항, 협동성 5문항의 총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 도구는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발달단계에 적절하고, 흥미를 유발시키며, 기본적인 활동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재구성한 놀이학습프로그램이다. 놀이학습프로그램을 2006년 9월 11일부터 12월 9일까지 약 3개월 동안 본 연구자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즐거운 생활시간과 재량활동시간 40분을 이용하여 총 18회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학급담임교사가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교수법으로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성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다소 높게 나타났고, 특히, 준법성, 협동성 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선행연구(김인혜, 1996; 최영희, 1999; 유종금, 2004) 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놀이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사회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성을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사회성 발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에서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Likert 5단계 척도를 사용한 사회성 검사지로 사회성을 측정하여 정확한 사회성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놀이학습프로그램을 약 3개월 정도의 짧은 기간에 적용함으로써 아동의 사회성 발달의 미묘한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했고, 아동들이 연구도구에 응답을 하면서 바른 생활이나 사회성 발달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에 따라 응답하는 경향으로 실제 사회성 발달 수준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한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판단된다. 따라서 이상의 추론들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실험설계와 처치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참여관찰과 평정 등 측정도구의 보완을 통한 후속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놀이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사회성의 하위 영역 중 준법성 영역에서, 여학생은 사회성의 하위 영역 중 자주성, 준법성, 협동성, 책임성 영역에서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나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학습 프로그램이 남, 여 집단 간의 사회성 변화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유종금,2004)’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연구의 대상이 초등학교 저학년인 관계로 시기적으로 아직 이들의 발달단계가 성역할의 고정화나 정착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라 판단된다. 따라서 성역할의 고정화나 정착화가 이루어진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의 발달 정도를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러나 특히 저학년에서의 사회성 측정은 전문가 집단의 참여 관찰에 의한 평정척도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3개월 정도의 짧은 기간에 놀이학습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실험처치를 심도있게 다루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 기간을 장기화하고 프로그램의 단계성을 추구하여 다양한 아동들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이 실시하여 실험효과를 정확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놀이학습프로그램의 실시에 따른 사회성의 구성요소로는 사교성, 자주성, 준법성, 협동성, 책임성의 다섯 가지 요소로만 제한하였으나, 후속 연구는 집단의 확장성 및 응집성 등 사회성의 다양한 요인을 포함시킨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알레고리적 차용으로서의 심리적 공간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임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작업세계를 이루고 있는 이론과 작업과정의 다양한 방법을 객관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게 될 새로운 의미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본인의 작품에 사용된 주요한 문학적 도구인 알레고리 개념의 역사와 그것의 시각 예술적 활용의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크렉 오웬스가 주장하는 알레고리 범주에서의 차용의 방식에 주목하고, 기억과 반성의 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내러티브의 생산과 그것의 현실적 재구성에 동원된 이미지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여러 예술적 작례들을 분석한다. 본인의 작업은 사적이면서 공적이기도 한 텔레비전, 그 중에 TV 멜로드라마의 장면, 캐릭터, 배경, 사운드 등을 알레고리적으로 차용하면서 시작된다. 텔레비전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현대의 강력한 문화적 무기 중 하나이다. 텔레비전의 일상성은 대중들 사이의 정서적 교감 과정에서 주요한 기능을 차지한다. 따라서 현실을 재매개하는 TV 드라마의 비매개적 작용과 TV 드라마에 자신을 동일시하는 대중의 감정이입의 심리 현상은 본인이 TV 드라마를 예술적 표현의 소재로 삼는 배경이 될 수 있다. TV 드라마에 대한 본인의 미적 반응은 세상과 소통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를 위해 TV 드라마의 내러티브를 재구성하여 심리적 내면의 공간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차용된 것들은 본래의 내러티브와 다른 재구성된 현실을 이룬다. 그에 따라 감상자는 이미 공유하고 있던 기억과 경험을 동원하여 새로운 해석의 태도를 갖게 된다. TV 드라마에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정서적 클리쉐는 그러한 적극적 감상 과정에서 주요한 지각적 동력으로 작동한다. 이어서 본인 작품의 심리적 모티프가 되는 TV 드라마와 주관적 시간성에 대해 살펴본다. 본인은 비디오아트 형식을 동원함으로써 TV 드라마에서 제기하는 주관적 시간성 관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디오아트 작품에서 시도되었던 시간의 확장을 논의하고, 본인이 작품에서 시도한 슬로우 모션 비디오와 파노라마 등의 형식적 실험과 연관 짓는다. 본인의 영상 작품은 일반적인 시간의 구조를 변화시켜, 일상적으로 흐르는 시계적인 시간의 질서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경험들과 다양한 심리적 시간을 창조한다. 이는 비디오의 기술적 차원과 연계하여 시간의 순환과 지속을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인의 이러한 예술적 실천은 인간과 삶의 순환성에 대한 사유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인은 비디오 아트의 형식적 시간성을 인간 삶에 대한 내용적 은유로서 작용시킨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본인은 다른 사회 개체들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만드는 심리적 기제로서의 TV 드라마의 리얼리티와 주관적 시간성의 특성을 구현하는 작품의 세계를 분석한다. 본인은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찾고, 사회의 다른 개체와 소통하기 위해 공통의 기억과 경험을 내포한 TV 드라마 이미지를 수집하고, 그것을 알레고리라는 수사법으로 차용한 작품 안에 또 다른 의미를 구현한다. 동시대 대중의 감성의 흐름을 반영하는 멜로드라마는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심리적 정서를 자극하며 새로운 관계의 내러티브를 만들어내고 있다. 본인은 그것을 회화 혹은 영상 작품으로 재현하고, 그 순간에 생기는 또 다른 차원의 심리적 공간에서 재구성된 현실의 모습을 발견한다.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찾고, 사회의 다른 개체와 소통하기 위해 본인의 회화와 비디오아트 형식은 공동의 기억과 경험을 내포한 TV 드라마 이미지를 다시 평가한다. 그럼으로써 삶의 의미와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러한 미적 행위를 통해 본인은 궁극적으로 인간과 삶의 본성을 반성과 성찰로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nterplay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multilayered contexts of the author's artistic views. Its primary purpose includes investigating new meanings emerging from the examin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theories and various art making process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new meanings, first, the history of allegory and its use in visual art forms are presented – the author had employed allegory as a primary literary device in her artwork. The author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how adoptions are made within the allegorical ranges proposed by Craig Owens and focused on analyzing multiple cases of artwork in which (1) memories and regret shape a narrative and (2) images are used for a re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narrative. Next, it is noted that television provides spaces that are both private and public. Thus, the author's work is legitimately grounded in the use of TV and, furthermore, in the use of allegorical adoptions common in television melodramas with regard to the scenes, characters, background, and sound. It is also argued that television serves as a tool of modern human culture to influence daily life, and that the everydayness of television accounts for the ways in which the TV remains instrumental in connecting people and life. It hence follows that TV dramas reconstruct their own versions of reality to which people can relate and invest their emotions. Such empathetic interactions with the television dramas actually provided the author with opportunities to consider TV dramas as a rich source of artistic engagement and expression. Indeed, people’s artistic responses while watching TV dramas profoundly shaped the way of relating to the world and seeking validation from others. In light of the TV-based interactions, this dissertation also attempts to reconstruct the narratives of TV dramas and reflect a human psychology of the inner caldrons. People adopt from TV dramas and construct a different reality, which may not be the same as the narratives in the dramas. The drama viewers then draw upon their own memory and experience to form a new interpretation. In this process, some emotional clichés underlying TV dramas might become a catalyst for the cognitive process of watching TV dramas. Moreover, the dissertation considers TV dramas through the lens of subjective temporality. The use of video art enabled an exploration of subjective temporality in a concrete way: More specifically, the paper discussed the expansion of time attempted in video art and extended the discussion further to include two experimental visual art forms selected in the author's work, such as slow-motion video and panorama. The work of author's video art generally involves creating new and various subjective experiences of time, unlike clock time, by altering the normal structure and convention of time. Owing to technology in video production, the cyclical and continuous nature of time was able to be expressed sensually. This artistic innovation allowed the author to remain aware of a human life as integral part of the entire cycle of cause and effect. In this way, the author contrives a new understanding of structural time in video art as metaphors relating to human life. Building from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s and discussions, the author analyzed the unique ways in which both reality and subjective temporality of TV dramas contribute to the role of TV dramas in connecting with people and society. In more details, the author documented specific images of TV dramas that echo the private yet common experiences of people in the society and elicited deeper meanings from the images allegorically adopted. Emerging from this process was the reconstruction of reality through painting or video art in different moments of time, space, and mind in the midst of growing new narratives of melodramas connected with the needs of people and culture. After all, the author's visual art forms revisited the images of TV dramas reflecting common life experiences. By doing so, it is desired that one reaches out to the world and recognizes the value of self and life. In turn, this activity can also raise the question of life and purpose. More fundamentally, it is believed that the artistic exploration of this dissertation about methods and forms in video art that seek awareness of meaning, identity, and purpose in life lends credence to the view that reflection and growth is essential part of human nature.

      • 감정의 Causality에 따른 공감광고(共感廣告)의 효과

        임선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occurs through 2 processes that consumers share the emotion of advertising’s model. Cognitive process of the empathy is that people understand others’ cause and situation and then they imagine the emotion they or others feel in this situ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y feel others’ emotions. Emotional process of the empathy is that people are infected with others’ emotions involuntarily by others’ emotional expression (ex> facial expression, gesture, tones of voice). So, model’s facial expression bring consumer to emotional process of the empathy and the cause of emotion bring consumer to cognitive process of the empathy.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emotion’s causality in advertising with model’s facial expression. Also, we wanted to know moderating effect of the valence of model’s emotions (positive emotion/negative emotion). As a result, they felt more emotion when consumers looked at the advertising with the cause of emotion than the advertising without the cause of emotion. And the effect of emotion’s causality to emotional response was stronger on negative emotion advertising than positive emotion advertising. But, this effect didn’t appear on brand recognition. This study didn’t prove the effect of emotion’s causality to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brand and advertising recognition. However, the results on emotional response and brand recognition showed the potentiality that advertising effect can be different by process to feel emotions. 광고모델의 감정을 소비자 자신이 느끼는 공감경험은 두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 인지적 공감과정이란 상대방이 감정을 느끼는 원인, 상황을 이해하고 그 상황에서 느낄 감정을 상상하는 과정을 통해 공감 경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정서적 공감과정은 상대방의 감정표현, 예를 들어 얼굴 표정, 제스처, 목소리 톤 등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이 비의식적, 자동적으로 전염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감정이 표현된 얼굴표정은 정서적 공감과정을, 감정을 느끼는 원인의 제시는 인지적 공감과정을 일으키게 된다. 본 연구는 모델의 감정이 표현된 얼굴표정을 사용한 광고에서, 모델이 느끼는 감정의 원인이 제시되는지의 여부에 따른 광고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모델이 표현한 감정의 감정가(긍정적 감정/부정적 감정)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도 알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는 감정원인 제시광고를 보았을 때, 감정원인 비제시광고를 보았을 때보다 더 강한 공감경험(감정반응)을 하였으며, 감정원인 제시여부는 부정적 감정광고에서 긍정적 감정광고에 비해 그 영향력이 더 컸다. 그러나 이러한 공감과정은 브랜드 기억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감정의 causality에 따른 인지적 공감경험의 발생이 광고·브랜드 태도, 광고 기억에 주는 영향은 밝히지 못했지만, 감정반응과 브랜드 기억에 대한 결과는 소비자가 광고를 보는 동안 어떤 과정을 통해 감정을 느꼈는지에 따라 광고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중등 미술교육에서 한글 자모를 활용한 기초조형 지도방안 연구

        임선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seek the method to use Korean alphabets for enhancement of formative ability in art education. First, students were made to study the excellence of Korean alphabets and their formativeness. And they were made to apply them formatively to making after appreciating cases of works using them. Education effects are as follows, which can be obtain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rt education using formativeness of Korean alphabets. First, Korean alphabets interest and motivate students with familiar images. Second, active participation can be induced as they relieve the burden to express realistically. Third, Korean alphabets help them understand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nd enhance their formative abilities as they are composed of basic elements of formation and formative principles. Fourth, identity of our cultur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attitude to recognize aesthetical values of Korean alphabets and use them in daily life. Generalizing findings of this study, using Korean alphabets in formative education can give learners new values of them and based on thi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m and formative abilit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achieve objectives of art subject, expressions and appreciation ability enhancement, creativity development, and aesthetical attitude. It has been able to expect that through formative education to use Korean alphabets, its effect spreads to other formative activities to play a positive role. We hope that the present research will be of help to the future effective formative education and instruction of formativeness of Korean alphabets.

      • β-락톤의 자유라디칼반응에 대한 분자궤도함수론적 연구

        임선희 全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β-락톤구조를 가진 화합물, (2-oxa-3-oxocyclobutyl)methyl (7a), (2-oxa-3-oxo-4-methylcyclobutyl)methyl (7b) 그리고 (2-oxa-3-oxo-4-vinylcyclobutyl)methyl 라다칼 (7c)의 세가지 경로의 기체상 단분자 반응을 ab initio 방법을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론적 계산은 UHF/3-21G, UHF/6-31G^(*), UMP2(FC)/6-31G^(*), G3(MP2) 그리고 G3 수준에서 수행되었다. 3개의 β-락톤 라디칼은 C-O 결합절단, C-C 결합절단 그리고 고리확장의 3가지 반응 경로로 진행되고, 이 3개의 경로 중 반응속도론적 관점에서 7a와 7b는 C-O 결합의 절단이 가장 우세하다. 그러나 7c는 비닐 치환기의 공명안정화효과로 인해 C-C 결합의 절단이 가장 우세하다. 한편, 열역학적 관점에서는 모든 라디칼에서 고리 확장경로가 가장 유리하고, C-O 결합 절단경로가 가장 불리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종 생성물은 반응조건에 의존함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a와 7b의 최종 생성물은 하위 반응인 탈카르복시화 과정이 반응물로 되돌아가는 역반응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가장 가능한 최종 생성물은 C-O 결합의 절단을 통하여 얻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모든 결과는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와 일치한다. The gas-phase unimolecular reactions of three radical species with a β-lactone skeleton, (2-oxa-3-oxocyclobutyl)methyl (7a), (2-oxa-3-oxo-4-me thylcyclobutyl)methyl, (7b) and (2-oxa-3-oxo-4-vinylcyclobutyl)methyl radical (7c) have been investigated theoretically at UHF/3-21G, UHF/6-31G^(*), UMP2(FC)/6-31G^(*), G3(MP2) and G3 levels. Kinetically, the C-O cleavages are the most favorable for (7a) and (7b) among three possible reaction pathways, i.e., C-O cleavage, C-C cleavage and ring expansion. However the C-C cleavage is the most favorable for (7c) due to delocalized stabilization effects of vinyl substituent. On the other hand, thermodynamically, the ring expansions are the most favorable and the C-O cleavages are the most unfavorable in all the radical species. This indicates that the final products might be dependent upon the reaction conditions. Nevertheless, the probable final products for reactions of (7a) and (7b) could be produced through the C-O cleavages, since the subsequent decarboxylation is much faster than the reverse reaction back to the reactant radical species. All these results are well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findings.

      • 일개 종합병원 응급실 내원 고객이 지각한 의료서비스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선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을 내원 고객이 지각한 의료서비스 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병원의 목표인 고객만족를 높이고, 의료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소 중 어떠한 요소를 고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느지 알아보고 직원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임의 표출된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Cronin 과 Taylor(1992)가 개발하여 손인순(2005)이 번역하여 의료서비스에 맞게 수정한 33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종속변수의 차이, 평균과 표준편차, 관련요인간의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기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충성도와 관련된 요인의 정도는 평균은 5.05, 서비스 품질의 평균은 4.95이었고, 서비스 품질의 요인별로 살펴보면 유형성 4.98[Tangibles], 신뢰성 5.00[Reliability], 반응성 4.82[Responsiveness], 확신성 4.84[Assurance], 공감성 4.8[Empathy]점으로 나타났다. 2) 의료서비스 품질과 충성도와는 유형성(r=.63), 반응성(r=.77), 확신성(.78), 공감성(.76), 신뢰성(.72)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서비스 품질의 요인은 확신성(?=.30), 반응성(?=.26), 공감성(?=.23), 유형성(?=.1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 중 확신성이 의료서비스 품질의 요인 중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4개의 서비스 품질요인으로 충성도를 70.9%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응급실을 이용하는 고객은 의료서비스 품질 중 확신성, 반응성, 공감성, 유형성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의 첫 인상을 결정짓는 응급실을 이용한 환자 및 보호자는 치료를 받고 외래로 다시 내원하거나, 수술 또는 입원실로 입원을 하게 되므로 고객관리 차원에서 응급실의 의료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edical service quality upon customer loyalty when perceived by the inpatients of emergency department, so the customer satisfaction could be increa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spital's objective.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which factor out of medical service quality is regarded as most important by the customers, as well as to serve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staf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from randomized 214 patients and caregivers from an emergency department at a hospital located in Kyongi-do. As developed by Cronin and Taylor (1992) and 33 items are used which were translated by Son (2005).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Window 18.0 Programm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t is evaluated in real number and percentage, difference in dependable variables from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lated factors? coefficient correlation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in detail are as follows. 1) Factors related to customer loyalty were on average 5.05, product service quality's average was 4.95 and when evaluated under each individual factor, the result was Tangibles 4.98, Reliability 5.00, Responsiveness 4.82, Assurance 4.84, and Empathy 4.8. 2) Medical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angibles (r= .63), Responsiveness (r= .77), Assurance (r= .78), Empathy (r= .76) and Reliability (r= .72). 3) Factors of Medical Service Quality that has effect on customer loyalty was in the order of Assurance (?= .30), Responsiveness (?= .26), Empathy (?= .23) and Tangibles (?= .16). Out of these factors,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Assurance was the biggest influential factor upon customer loyalty. With these four factors of medical service quality, customer loyalty was explained 70.9%. Conclusively it has been identified Assurance, Responsiveness, Empathy and Tangibles have the most closely related influential factors of medical service quality by the customers who use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inpatients and caregivers who use the emergency department at the hospital either become outpatients in other departments or undergo a surgery or go through a hospitalization as inpatients. So from the customer management perspective, there needs to be a plan to increase the level of customer loyalty with enhancement of the emergency department?s medical service quality.

      • Tumor Necrosis Factor(TNF)-α potentiates RhoA-mediated monocyte transmigratory activity, in vivo at a picomolar level

        임선희 울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Although nanomolar range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had been conventionally used in most previous in vivo experiments, the concentrations of TNF-α in the serum is up to picomolar range under inflammatory condit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picomolar TNF-α could directly modulate the functional activity of circulating monocytes. Methods and Results- In THP-1 monocytes treated with TNF-α (1-100 pM/30min), cytosolic RhoA small GTPase was found to be rapidly translocated to the plasma membrane via ezrin/radixin/moesin (ERM) proteins, the cytoskeletal linker. The ERM proteins were activated through threonine phosphorylation by TNFRI-activated protein kinase C (PKC), and monocytes treated with picomolar TNF-α eventually showed more potent and prolonged generation of functionally active GTP-bound RhoA in response to secondary stimulus with a RhoA-activating chemoattractant, i.e.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s a consequence, human monocytes were clearly preconditioned by 10 pM TNF-α. They showed more potent MCP-1-mediated chemotaxis and firm adhesion in vitro and ex vivo. The intraperitoneal introduction of 1 ㎍ mouse-specific TNF-α, which elevated serum TNF-α >5 pM within 16 hours, increased the number of CD80+ monocytes transmigrated to the JE/MCP-1-injected intraperitoneal space of C57/BL6 mice. Conclusions- Picomolar concentrations of TNF-α built up in the blood stream under inflammatory conditions may prime RhoA-dependent activities of circulating monocytes to develop more potent recruitment to the inflammatory foci. 배경- 염증 상태에서 혈중 TNF-α의 농도는 picomolar 단위로 매우 낮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nanomolar범위의 높은 농도에서의 기전 및 활성 보고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 picomolar 농도의 TNF-α가 직접적으로 단핵구의 기능 및 활성을 조절하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및 결과 - TNF-α(1-100pM/30min)로 처리한 THP-1 monocyte에서 cytosolic RhoA small GTPase가 cytoskeletal linker인 ezrin/radixim/moesin(ERM) 단백질을 통해 세포막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발견 되었다. ERM의 기능은TNFRI을 통해 활성화된 protein kinase C (PKC)가 ERM의 threonine 잔기를 phosphorylation 시킴으로서 활성화 되었고, piomolar TNF-α로 처리된 monocyte는 chemoattractant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MCP-1) 등) 들을 활성화 시켜 2차적 자극을 유도 할 수 있는 GTP-bound RhoA의 활성 및 생성이 더 강하게, 더 오래 지속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human monocyte들은 10pM 농도의 TNF-α 조절 하 에서 더 강력한 MCP-1-mediated chemotaxis 와 firm adhesion을 in vitro 와 ex vivo 모두에서 나타내었으며, 1μg의 mouse-specific TNF-α를 C57/BL6 mouse 복강에 주입하였을 때 (16시간 동안 혈중 TNF-α의 농도는 5pM의 범위 이내로 증가하였음.) JE/MCP-1을 주입시킨 군에서 복강으로 이동한 CD80+ monocyte의 수가 JE/MCP-1이 주입 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결론 - 염증상태에서 존재하는 picomolar TNF-alpha는 RhoA에 의한 단핵구의 활성을 유도함으로서, 2차적인 염증자극을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염증반응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지역 방언 교육 방안 연구 : 언어 태도를 중심으로

        임선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ime passes, changes in languages mean that they do not have complete structures as well as the changes and the differences resulted from various reasons are natural. Although the regional dialects in some provinces are a result of transformation but they had disregarded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as a corruption discrepant from common language forms. Also, almost no one was willing to learn them. However, a lot of media that are close to viewers frequently use the regional dialects so that the learners are quite positive to the transformed languages in comparison with the people in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se facts and emphasizes that teaching the regional tongue at schools needs to be alter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he education of the regional dialects was delivered to the students together with that of standard language, and its purpose is to internalize values and meanings of each type of language. Yet, the school education may highlight the status of the standard language, so the learners may have differentiated perception over the language.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provincial language may be ignor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the education of regional dialects has been in line only wit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s well as the audiences have been exposed to the regional dialects the media use and accepted them thoughtlessly. To make the students evenly understand the regional dialects as well as the standard language, educators should not lean toward only one of them and they have to help the learners accept them properly. Thus, this study targets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leads them to instill the values and the meaning of the regional dialects through diverse and meaningful experiences regarding them. Also, this research helps the learners to have right attitudes about the language and seeks the effective educating methods to let the learners enjoy the creative lives with language. In second chapter, we set the relation between the standard languages and the regional dialects by examining their concepts and features and establish theoretical bases. Furthermore, we take a close look at the correlation of regional dialects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language, checking the discussion on the attitudes. In the next chapter, by clearing up the educational meanings, we assure that the regional dialect education has justifications and identify the connection of that education in each class reflect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Moreover, we critically analyze 7 Korean textbooks and 7 texts of Korean in daily lives, and the results become the guidelines of the regional dialect education. Based on this, the chapter four contains the contents for the education and maps out the teaching procedures that effectively aid the students to learn the basic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regional dialects by reconstructing the courses to match with the regional dialect education, utilizing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odels. Additionally, we could see the positive changes of the learners, which is resulted from the demonstration of the educational influences of teaching-learning plans. This research also reveals that the teaching methods that are suggested after reviewing the effects of respective materials and activities on the education can be used efficiently at schools and for follow-up studies. It rejects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oncentrating on the acquisition of conceptual knowledge about the regional dialects by using the teaching materials far from the lives of learners, thus it seeks for the ways of educating the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attitudes as well as to understand that the regional dialects are precious cultural assets of Korea through interesting and educational experiences.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that stress normative recognition about all types of Korean, this study is highly meaningful. Also, it has a value because it gives the chances to reevaluate the local words that had been excluded in Korean classes so that it enhances the status of the regional dialects. Additionally, by applying the educat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to schools and proving their effect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can be acknowledged in that it finds the possibility to change the learners in positive ways. 시대의 흐름에 따른 언어의 변화는 언어가 하나의 완성된 체계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님을 의미함과 동시에 다양한 요인에 의한 변화와 차이의 형성이 자연스러운 것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를 대표하는 현상 중 하나인 지역 방언 또한 이러한 분화의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채 공통의 언어 형식에 어긋난 언어 변종으로 인식되었으며, 심지어 교육 현장에서까지 의식적으로 배제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우리의 일상생활에 밀접해 있는 다양한 매체에 지역 방언이 빈번히 노출되면서 과거에 비해 학습자들에게 눈에 띄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현재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방언 교육 또한 학습자들의 긍정적 인식에 부합하는 변화가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기존의 지역 방언 교육은 표준어 교육과 함께 이루어져 왔다. 이는 표면적으로 각각의 가치와 의의를 두루 내면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지만, 자칫 표준어의 위상을 부각시키는 형태로 나타나 학습자들이 지역 차별적 언어 인식을 갖도록 유도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를 통해 오히려 지역 방언의 중요성이 잠식될 수 있다는 문제가 따른다. 또한 그동안의 지역 방언 교육이 지나치게 지식 습득의 측면에 머물러 있고, 매체에서 활용되는 지역 방언이 별도의 여과 장치 없이 학습자들에게 무분별하게 수용되고 있다는 것도 국어교육적 측면에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바람직한 지역 방언 교육을 위해서는 지역 방언과 표준어 둘 중 어디에도 우위를 두어서는 안 되며, 개념적 지식의 전달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이를 올바르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 태도 교육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9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지역 방언에 대한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하여 지역 방언이 갖는 가치와 의의를 내면화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지니며, 나아가 이를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풍부한 언어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표준어와 지역 방언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 이 둘의 관계를 정립함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본 연구의 관점인 언어 태도에 대한 논의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지역 방언 교육과 언어 태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교육적 의의를 밝혀 지역 방언 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학교 급별 지역 방언 교육의 연계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교재로 활용되는 국어 교과서 7종과 생활 국어 교과서 7종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지역 방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설정의 근거로 삼았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지역 방언 교육에 적합한 형태로 재구조화함으로써 지역 방언에 대한 기초 지식 학습과 가치 및 태도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도 절차를 구상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마련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 이를 적용한 결과 학습자들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자료와 활동이 지니는 교육 효과의 개별적 검토를 통하여 제시된 교육 방안이 후속 연구 및 교육 현장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일상생활에 유리된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 방언에 대한 개념적 지식의 습득만을 강조하는 현행 교수-학습 방안을 지양하고, 학습자들이 흥미롭고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통하여 지역 방언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임을 인지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함양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자 했다. 이는 기존의 연구들이 표준어와 지역 방언에 대한 규범적 인식을 강조하였다는 점에 비추어볼 때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며, 국어교육 측면에서 표준어에 비해 소외되어 왔던 지역 방언을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표준어와 지역 방언에 대한 동등한 시각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안한 교육 방안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