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임미경 창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disabled student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 in university. The study were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professors were responded to a survey by questionnaire and asked their perception on the supportive ser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nstructions for them, and the perception on the negative factors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were analyzed. Secondly, to the students were asked their percep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by the interview in depth and the questionnaire. Third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nterview in depth and the questionnaire were compare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51 professors who had taught at the C university in Gyeongnam province(17 of humanities, 12 of social and economics, 6 of sciences, and 16 of engineering) and 10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ttended to their classes (2 hearing impaired, 3 sight impaired, and 5 mentally retarded). The data received were analyzed with 12.0 version of SPSS statistic program.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the supportive ser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significance and practice of instructions were analyzed by the t-test of corresponding sampl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on the supportive ser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s, and negative elemen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d the single-distribution method. The interview in depth for the students included 27 items which were broke down into three steps of pre-class, in-class, and post-class, and then the results were recorded and sorted for analysi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sample of t-test.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ercep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pportive ser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significance and practice of instructions, in details, though the significance was higher, the practice was lower than 'yes' on average. On the other hand, in instructions,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gnificance and practice. Professors considered the factor of university as the biggest factor, subsequently came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 In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of the professors, male professor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n interaction, which belonged to subordinate areas, than female professors. In the variable of age, the professors who were under in the 40-50s had positive and favourable perception on the supportive ser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disabled students. And the variable of major, the professors who had taught at the collage of social and economic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n that of the professors who had taught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Secondly,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on teaching and learning showed that they felt nervous through the class which led them to passively attend to all the classes. They also didn't positively asked for supportive services, which in turn led to the passive atten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inertia of teaching and learning. Thirdly,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on teaching and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pportive ser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instructions of professors. Professors and students considered the factor of university as the biggest negative factor, subsequently, in details, professors considered it in order of the factors of professor and student, while students in order of the factors of student and professor. And, as a whole, there were differences in significance and practi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professors gave a higher point to them than student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Firstly, in order to increase the professors's practice of the supportive ser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y should be received training for over 20 hours before they started teaching the students. The teaching should includ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mpairment and the micro-teaching. Secondly, in order to improve the passive attention to class caused by the students' shrinking feelings, the instruction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students, the active interaction, the hand-out of class index and guidelines should be for the students in the integral environment. Thirdly, The university should run a officially established regulations which indicate 30: 1 as the rate of professor and stud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and grade of impairment and the major. If the class has more than 30 students, it could include assistants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current scholarship system which had applied up to three grade impairment should be revised to include all the impairments, and the students who achieved higher performance in class should be provided an additional support. Fifthly, the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with elevators, convenient facilities, and aids in the library according to the type of impairment. Sixthly, the university should establish the center of impairment support and arrange the experts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y should provide impairment services which are not limited to the time and place by reestablishing professors' perception on impairment and improved systems. 본 연구는 장애 대학생과 강좌 담당 교수자가 교수-학습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장애대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와 교수법, 부정적인 요인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인식은 교수자의 개인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 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여 교수-학습에 대한 장애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셋째, 교수자와 장애 대학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 대학생과 강좌 담당 교수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 실태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C대학교에서 장애 대학생을 가르치는 교수자 51명(인문계열 17명, 사회?경상계열 12명, 자연계열 6명, 공과계열 16명)과 이들의 강좌를 수강하는 장애 대학생 10명(청각장애 2명, 시각장애 3명, 지체장애 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 12.0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장애 대학생 수업에서 교수자의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 교수법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교수자의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 교수법, 부정적인 요인에 대한 교수자의 배경 변인별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업에 참여하는 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결과는 수업 전?중?후 단계로 총 27문항의 면담내용을 녹음 전사하여 전사한 내용을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교수-학습에 대한 장애 대학생과 교수자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수-학습 지원서비스, 교수법에서 중요도와 실천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중요도는 높으나 실천도에 대한 인식이 낮았으며, 평균점수가 ‘그렇다’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교수자는 대학요인을 가장 큰 부정적인 요인으로 보았으며 교수, 학생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배경 변인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요인에서는 상호작용 측면에서 여교수자가, 연령별 요인에서 40~50세 미만의 교수자가, 전공계열 요인에서는 사회?경상계열 교수자가 유의하게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둘째, 교수-학습에서 장애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긍정적인 측면은 (1) 장애 대학생들은 교수-학습에서 수업목표를 이루기 위해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했다. (2) 장애 대학생들은 동료 학생 간에 서로 도왔으며, 학습요청에 대한 좌절이 있을 때에도 정서적인 여유를 가졌다. (3) 장애 대학생들은 수업 전?중?후로 교수-학습에서 확대 자료 준비, 강의내용 녹취, 출석 엄수 등 성실한 자세를 보였다. 부정적인 측면은 (1) 장애 대학생들은 학습도움 요청이 관철될 수 있도록 교수자와 협의하거나 끝까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인식이 부족했다. (2) 장애 대학생들은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잡념에 빠질 때, 또 수업 중에 교수자가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때, 과제제출이 자꾸만 늦어질 때에도 장애 학생 스스로 자문해보는 것이 부족했다. (3) 장애 대학생들은 심리적인 위축감, 타인을 지나치게 배려하고 자신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경향이 있어 발표와 질문 등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려는 인식이 부족했다. (4) 학습전략 습득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학습력 향상의 기회를 얻지 못하거나 그로 인해 교수-학습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교수-학습에서 교수자와 장애 대학생의 인식의 차를 알아본 결과,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와 교수자의 교수법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중요도와 실천도 모두 학습자보다 교수자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장애 대학생이 교수자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는데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장애 대학생이 수업에서 느끼는 교수자의 실천도가 낮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교수자와 장애 대학생 모두 중요도보다 실천도가 낮게 나타났다. 교수자와 장애 대학생은 대학요인이 가장 큰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수자는 교수요인, 학생요인 순으로, 장애 대학생은 학생요인, 교수요인 순으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첫째,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와 교수법에 대한 교수자의 실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사전에 2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은 후 장애 대학생을 교육하여야 한다. 교육내용에는 장애유형별 교수전략과 마이크로티칭 교육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수업 전반에 걸쳐 장애 대학생이 심리적으로 위축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수동적인 학습유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장애 대학생 중심의 교수법과 상호작용의 적용,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 대학생 지원용 수업지표 및 지침서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은 장애 대학생의 유형, 등급, 전공의 특성에 따라 교수자대 학습자 비율을 30:1로 낮추어 운영하되 공식적으로 표준화된 규정을 정해서 운영해야 한다. 30명이 넘는 수강과목에서는 특수교육을 전공한 수업조교가 포함되어 교수-학습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장애 대학생을 위한 학습 소공동체로서 튜터링 제도 운영, 장학금의 등급별 차등지원, 도서관 엘리베이터 및 편의시설 설치, 장애유형별 보조도구 설치, 장애지원센터를 설립하고 특수교육전문가 배치, 대학행정체계 재정립 등 시공간에 제한이 없는 장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L.v.Beethoven의 <Piano sonata in c-minor op.111>의 分析硏究

        임미경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Ludwig van Beethoven(l770∼1827)은 프랑스 革命, 독일의 觀念哲學, 浪漫主義 傾向 속에서 자라온 세대로서 이러한 시대적 경향은 Beethoven에게 形式美를 중시하는 古典主義 音樂을 최고의 경지로 끌어올리게 함과 동시에 內容을 중시하는 浪漫主義 音樂의 새로운 길을 열어놓게 하였다. Beethoven의 초기 作品은 Franz Joseph Haydn과 Wolfgang Amadeus Mozart의 古典主義 技法의 영향을 받았지만 점차적으로 선인들의 영향에서 탈피하여 자기자신의 技法을 개발함에 따라 Beethoven 특유의 獨創的인 作品을 만들었으며 이것은 후에 浪漫派 音樂의 출발점을 형성하였다. 본 論文에서 分析한 Beethoven의 <Piano Sonata in c-minor O-P.111>은 L. V. Beethoven의 獨創性을 잘 나타내고 있는 후기 作品으로서 序奏部로 시작되는 第1樂章은 극적이고 생동감있는 第1主題와 서정적인 第2主題와의 대조로써 원숙한 Sonata形式을 이룩하고, 第2樂章은 2部形式인 Arietta主題, 6개의 變奏, 몇 개의 經過句, 그리고 Cada로 이루어진 變奏典 形式으로 되어있다. 第1樂章은 對位法的 技法으로 第2樂章은 멜로디를 자유롭게 變奏하는 技法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이때 각 變奏마다 L'istesso tempo를 표기하여 통일성 있는 tempo로 이끌어 가고 있으며, 각 變奏 사이의 연결과 主題의 회상등에서 연속성이 보여진다. 그리고 序奏部의 주요 音列 E^b-C-B-C-D는 각 主題냐 樂章에 나타나서 통일감을 주고 있으며 빈번한 副屬和音의 사용, 특수和音(증 6화음, picardy3도)등의 사용으로 和聲은 점점 복잡해지고 調性의 변화도 다양하게 나타나 후기 作品의 특징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had lived in a tendency of the French Revolution, Ideal Philosophy, and Romanticism. This tendency, during that time frame, let Beethoven contribute greatly to the growth of Classical Music, and thus open the way for Romantic Music which attached much more importance to substance. Beethoven's early works were influenced by the classical techniques of Franz Joseph Haydn and Wolfgang Amadeus Mozaart. But, even so, Beethoven broke from the influence of the classicism and developed his own techniques, in order that he could make his original opuses and, commence at the starting point of his Romantic Music. Beethoven Piano Sonata Op. 111, which is analyzed here in thesis, is his later opuses and shows his originality. The first movement, that enters into Introduction, is very dramatic and makes a mellow sonata form with a contrast between vivid Subject I and lyrical Subject II. The second movement is formed by variation form something like Arietta subject of binary form, six variations, several transitions, and coda. The first movement unfolds to a counterpoint, while the second movement unfolds to a technique which plays a variation melody in free. One can see the second movement has marks of L'istesso tempo on each variation, and it leads into a unified tempo and shows continuity through linking and appreciation. The main arrangement of tone. such as E^b - C - B - C - D, gives a coherence on each movement or subject. Beethoven often used secondary dominant and special chord, something like Italian sixth chord of picardy third and complicated harmony and various change of tonality are found within this opus and shows the great characteristic of his late works.

      •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임미경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 후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ICT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3가지로 각 1회씩 운영했다. 진로성숙척도 요인 중 개인이 가진 성향이나 태도 등을 측정하는 태도 척도를 사용했으며 결정성, 관여성, 독립성, 성향성, 타협성의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진로성숙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대상이 체험한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은 1년 최소 4회 이상 운영되었고 진로체험활동으로 지자체에서 인증받은 프로그램이며 학교에서 활동을 선택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지역 중학교 1∼3학년 학생들이며, 총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의 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하여 분석한 연구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행한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은 중학생의 청소년의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되어 진로성숙도를 향상시켰다.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 종료 후 실시한 진로성숙검사에서 통계적으로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중학교 학생들에게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진로결정에 도움이 되는 점을 입증할 수 있다. 둘째,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의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긍정적인 진로관 형성과 관계되는 결정성과 비교한 결과였다. 체험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결정성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은 중학생의 결정성, 관여성, 독립성, 성향성, 타협성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며, 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진로관 형성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다양한 ICT를 활용한 체험활동이 광범위한 표본을 통해 진로성숙도 외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볼 수 있는 관련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주제어: ICT, ICT체험할동, 진로교육, 진로성숙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ee programs using ICT were used once for each respectively. Career maturity test was performed by using the attitude scale to measure the propensity or attitude of the individuals among the factors of career maturity scales. The career maturity test was composed of five sub-factors such as determinacy, involvement, independence, propensity and compromise. The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the research subjects experienced were conducted at least four times a year. They were the activities approved by the corresponding local government as career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elected by the school for their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 total of 50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 satisfaction with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ir career maturit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implemented in this study helped middle school students to determine the career path and improved their career maturity. In the career maturity test at the end of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It shows that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can help middle school students to make career decisions. Second, the satisfaction with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determinacy related to positive career path form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were compare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experiential activities was, the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determinacy w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improved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uch as determinacy, involvement, independence, propensity and compromise. It was also found that as they were more satisfactory, they were more helpful in the career decision. In subsequent studies,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made to find out whether ICT utiliz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are useful for the career decisions other than career maturity, which are not covered in this study, through broader samples. key words : ICT, ICT Activities, Career Education, Career Maturity

      •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임미경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주민들은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에 대해 알 권리가 있고, 기초자치단체는 보유하는 정보를 지역주민에게 공개하여야 하며, 지역주민은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초자치단체 운영에 참여 할 수 있다. 지역주민의 알권리, 투명한 행정, 지역의 역사자료 보존을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필요하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은 기록물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하는 중간 역할을 담당하여 지역 기록물관리의 기초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기초자치단체의 기록관은 기록물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과학적인 방법으로 보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현황 조사를 위해 2009년 9~10월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채용이 많이 이루어졌던 서울·경기·인천에 소재한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11곳을 방문하여, 기록관리 전문요원과 인터뷰를 통해 소속기관의 기록관리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정책적인 개선방안과 기록관리 현황에 근거한 세부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정책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정책개선에 있어서는,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가 발전 할 수 있도록 법률의 보완과 국가기록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국가기록원은 행정안전부에서 독립하여,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어야 한다. 국가기록원이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할 기록연구사 채용을 전담하고, 기록연구사는 국가기록원과 기초자치단체에서 순환근무가 가능하다면 국가기록원이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파악에 용이하여 정책추진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은 지역에 관한 기록물을 수집하여 지역주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개선방안을 통해 본 논문은 향후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이 준용할 수 있는 방향과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e local residents have the right to know about the administration and local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 should open its information and data to local residents so that the resident can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strict records management is required so that the local resident can easily find out the proper information, the transparent local administration is performed and the historical data and information can be preserved. The role of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at local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y transfer the data to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and they are the foundation for local records management.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should preserve the data and information and make them available for general use in a proper, scientific way according to Public Records Control Act. To study the current situation of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working at local governments, I visited 11 local government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ere a lot of records management personnel were hired in September and October 2009. I had interviews with the officials to find out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its problems and suggested a detailed improvement proposal in terms of records management policy and its current state. For the improvement in the work system of record management officials working at local governments, there shall be improvement in policy first. For the improvement in politics, som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play more roles in preserving record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be independent from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lead the records management policies for local governments. I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in charge of recruiting the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for local governments and the officials can work by rotating their positions between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 local bodie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ill be better positioned to understand the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at local entities and efficiently put its records management policies into practice. In addition,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have the capability to collect the data on regional situation and provide it to local residents. Using the improvement proposals, this paper shows the direction and method which the future records management officials in the local governments can take advantage of.

      •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과 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임미경 동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구 문화의 다양한 운동놀이 대신에 우리 사회 고유의 지식 · 개념 · 가치를 포함하는 전통놀이가 일반 ·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일반 · 장애유아의 인식변화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인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한 구립 K어린이집 일반유아(혼합 만 4,5세) 16명과 장애유아(혼합 만4,5세) 4명 총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기초체력 측정은 문화체육부(1995)에서 제시한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에 대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또래 관계 수용도인 상호적 관계를 웃는 얼굴, 찡그린 얼굴, 보통의 얼굴이 붙은 바구니에 넣도록 하여 이름이나 사진을 보고 그 친구에 대한 느낌이나 함께 놀고 싶은 정도를 평정하는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행동 관찰을 강소연(1994)에 의해 수정, 보완된 Holloway 와 Reichhart-Erlckson(1988)의 또래와의 상호작용 범주를 바탕으로 긍정적, 의존적,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또래와의 행동을 관찰기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기초체력을 측정한 결과의 평균을 산출하고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Program을 이용하였다.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선호도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선그래프로 비교 하였으며, 장애유아를 대상으로는 긍정적, 의존적,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인식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기법은 연구문제 1의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기초체력에 대한 차이 분석은 t-검증을 적용하였고, 연구문제 2의 인식의 변화 분석에서는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선그래프를 통한 차이 비교와 장애유아를 대상으로는 매회기 마다 또래와의 행동을 관찰하여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전통놀이를 통한 인식의 변화에서는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선호도 검사를 측정한 결과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이 모두 향상되었다. 또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행동을 관찰한 결과 상호간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행동적, 태도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음으로써 인식이 변화 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과 인식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에게 물리적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며, 흥미를 가지고 함께 뛰어 놀 수 있는 전통놀이를 활용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Our traditional plays reflect the unique knowledge, concepts and values of our society, unlike the diverse plays with the Western cultural background. Thus,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an desegregated traditional war-game education on the basic physical development and perceptional change of normal and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To this end,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or this study; First, would the desegregated war-game education have effects on normal and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s basic physical development? Second, what effects would such a desegregated education have on normal and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 sampled 16 normal children (aged 4 or 5) and 4 handicapped children (aged 4 or 5) attending 'K' public children's house in Kangnam, Seoul.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the researcher used a scale of muscular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equilibrium and instant motor ability suggest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1995). On the other hand, normal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was measured by observing their responses (sense of friendship, desire of playing together, etc) to the baskets with their friends' name tags or photos showing some facial expressions (smiling, wry or neutral). handicapped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was measured by using Holloway and Reichhart-Erickson's (1988) scale of mutual interactions with peer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Kang So-yeon (1994); the interactions were divided into positive, dependent and negative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means of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Normal children were tested for their preferences, and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a linear graph, while handicapped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was observed if it was positive, dependent or negativ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basic physical strength between normal and handicapped children and thereby, test the study point 1. In order to test the study point 2, differences of perceptional change were analyzed by means of a linear graph in case of normal children, and by means of observing interactions with peers every round of the test in case of handicapp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segregated traditional war-game education had some effects on both children's basic physical development. Second, normal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handicapped counterparts was found to have changed positively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test. As a result of observing handicapped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it was confirmed that their perception could be changed positively because the interactions had not negative but positive effects on their behaviors and attitud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may well be concluded that the desegregated traditional war-game education had som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children's basic physical development and perceptional change. Hence, for a successful desegregation education, a favorable physical environment needs to be created for both children, and in this vein, it may be important for teachers to encourage both children to be engaged in the traditional plays together and thereby, feel a sense of achievement.

      • 등급반응모형, 평정척도모형, 부분점수모형의 문항모수와 피험자모수 추정치 비교분석

        임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평가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서답형 문항이나 수행과제에 대한 단계적 채점이 증가하고 있다. 다분문항반응이론은 피험자의 세부적인 중간단계 능력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는 검사이론으로서 가치가 높다. 또한 정의적 영역을 측정하는 심리검사에서 여러개의 응답범주 분석에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실제 검사 자료에 다섯 가지 다분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하여 각 모형들이 문항모수와 피험자 모수를 동일하게 추정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학구적 실패 내성검사 중에서 과제수준선호척도의 8개 문항에 대한 전국의 초·중 ·고등학생 1,739명의 응답이다. 응답척도는 Likert 6단계 척도로 '매우 반대'에서 '매우 찬성'까지이다. 이러한 응답척도 분석에 적용 가능한 다분문항반응모형으로 5개를 선정했으며, 다섯 개 모형은 등급반응모형, Muraki의 평정척도모형, 부분점수모형, Andrich의 평정척도모형, 일반부분접수모형이다. 등급반응모형의 모수추정은 MULTILOG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Muraki의 평정척도모형과 일반부분점수모형은 PARSCALE 프로그램, 부분점수모형과 Andrich의 평정척도모형은 BIGSTEP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추정된 문항모수와 피험자 모수는 모형별 추정치간 상관계수와 반복설계 분산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비교의 대상인 종속변수는 문항모수로서 변별도와 5개 문항범주난이도, 피험자 모수이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별도를 고려하는 등급반응모형, Muraki의 평정척도모형, 일반부분점수모형의 문항모수 추정치는 제1범주난이도에서 모형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변별도와 제2범주난이도, 제3범주난이도, 제4범주난이도, 제5범주난이도는 모형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모형간 추정치의 상관은 세 개 모형에서 매우 높았으며, 특히 Muraki의 평정척도모형과 일반부분점수모형의 상관이 높았다. 등급반응모형 Muraki의 평정척도모형의 변별도는 모형간 매우 유사하였고, 모든 문항에서 일반부분점수모형의 변별도가 이들 두 모형보다 다소 낮게 추정되었다. 검사척도의 양호성을 입증할 문항범주난이도의 동간성은 부분접수모형에서 잘 지켜지지 않았으며 등급반응모형, Muraki의 평정척도모형, Andrich의 평정척도모형, 일반부분점수모형에서는 비교적 잘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Likert 척도의 검사분석에 부분점수모형은 문항모수 해석에서 다른 모형들과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다섯 가지 모형에 대한 피험자 모수 추정 결과는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추정치 자체의 차이는 있더라도 각 모형별 추정치를 통해 피험자들에게 순위를 매긴 결과는 대체로 등위상관계수가 .98 이상으로 높아서 피험자 모수 추정의 결과는 모형간 매우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모형을 비교함에 있어 프로그램의 효과와 모수 추정방법의 효과가 완전히 통제되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모형간 비교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건에서 모의자료를 대상으로 모형비교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imilarity of item parameters and person's trait(parameters) among five different polytomouse IRT models. The five models are Samejima's(1969) Graded response model(GRM), Muraki's(1990) Rating scale model(MRSM), Master's(1982) Partial credit model(PCM), Andrich's(1978) rating scale model(ARSM) and Muraki's(1992)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GPCM). Data set is a sample from the Prefered Task Difficulty Scale(N=1739), which is a subscale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 constructed by Kim(1994) for Korean students. The Prefered Task Difficulty Scale has 8 items and each item has six item response categories. The respondents mark rating scale categories labeled 'disagree strongly' , 'disagree' , 'disagree a little' , 'agree a little' , 'agree' 'agree strongly.' MULTILOG computer program was used to estimate parameters of GRM. PARSCALE computer program was used for MRSM and GPCM. BIGSTEPS computer program was used for PCM and ARSM. Item Parameters(item discrimination and five step values associated with categories) and person parameters are analyzed. Each parameter is compared across the model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and F-ratio of repeated design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group of models which estimate item discrimination, most of category parameter estimates a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between MRSM and GPCM . However, as a result of F test, only the first category parameter estim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M, MRSM and GPCM. For a misfitting item, 8, estimated item parameters among models were very diverged. The equal distance of five item category parameters were sustained well in the models of GRM, MRSM, ARSM and GPCM, not in PCM. Based on the comparisons of item parameter estimation, PCM may result in different conclusion with other four models to analyze Likert scale responses.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estimated person parameter of the five models ranged from .965 to 1.000.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984 to 1.000 were higher tha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Even though the estimated person parameters of five models are not equal numerically, these five models rank examinees in same order. Based solely on the comparisons of person parameter estimation, there appears to be no clear advantage in selecting one model over the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