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비정부기구 역할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임동현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aradigm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has been shifting based on changes in macro-environments such as international affairs, cultural policy,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hift is moving from a one-way flow object between subjects to multi-level and multi-party exchanges. Further, the nature of the exchange is also expanding from public sector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to the privat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exchange activities and to present ways of utiliz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using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s a medium. This study started with a recognition that the way to utilize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for culture and arts as a medium is emphasiz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using both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case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ories based on numerous books and paper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topics: the concept of cultural exchange; the meaning, and type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direc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the role and utilization of NGOs as a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urthermore, the selection of cases and compa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based on the opinions from experts who have participated in numerou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exchange activities of NGOs for culture and ar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trend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the influence, and role of mediating agencies i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demands made at reasonable levels; and the utilization and limitations of NGOs for culture and arts as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ased on the finding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further to multi-level and multi-party cultural exchan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encourage the transition of subjects for exchange,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toward the private sector. These positive influences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an be expanded and revitalized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rivate sector bodies. Therefore, institutional and polic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courage them. Seco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projects should actively engage and utilize mediating agencies, accep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gencies to further expand and revitalize multi-level and multi-party 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exchange activities should emphasize process and content rather than purpose and resul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projects should be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s and respect. Third, the use of NGOs as a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especially the use of NGOs for culture and arts, needs to be actively encouraged through policies to promote and reactivat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Therefore, government-affiliated agencies and public agencies need to refrain from directly engaging i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s much as possible, and support the promotion and reactiv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their original purpose. Appropriate polic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simplistic selection methods and systems. There were some l imitations in this research process that future research can address. First, more cases should be collected from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who overcame their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particular, the cases should be generalized as much as possibl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cases. Second, research methods and content requi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o complement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rive more accurate and meaningful results by completing the following: establishing research hypothes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research, seek diversification of research content, securing as many research participants and statistics as possibl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variety of ways to utilize NGOs for culture and arts as a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rough more in-depth studies. In order to do so, continuous research and efforts are needed for generalization through data collection, specific classification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and the analysis of various cases. 국제문화교류는 국제정세의 변화와 문화정책적인 측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기술의 발달적 측면과 같은 거시환경들이 변화함에 따라 그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방식은 교류주체와 대상간의 단선적 교류방식에서 다층·다자간 교류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류의 실질적 주체의 성격 또한 정부기관 및 전문기관과 같은 공공영역에서 민간 활동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현대 국제문화교류의 흐름과 방향성은 다층·다자간 문화교류로 흘러가며 교류주체의 영역에서도 국가·정부기관에서 민간영역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문화교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를 매개기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강조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비정부기구가 교류활동에 매개기관으로 참여했을 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를 국제문화교류의 매개기관으로서의 인식공유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데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연구의 효율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을 따라 연구방법에 있어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인 체험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화교류의 개념과 국제문화교류가 갖는 의미와 유형,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특징과 국제문화교류의 방향성 변화, 그리고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비정부기구 역할 및 활용에 관하여 많은 서적과 논문들을 근거로 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를 위한 사례선정과 비교분석은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의 교류활동에 대한 체험적 사례와 국제문화교류 활동과 사업에 다년간 경험을 갖춘 전문가들의 경험을 통한 의견들을 토대로 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교류활동의 방향성 변화와 동향,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매개기관 참여 영향과 역할, 그리고 합리적 요구와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 활용과 한계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문화교류 활동은 다층·다자간 문화교류 방식으로 지금보다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류주체의 중심은 정부기관 및 전문기관에서 민간 활동 영역으로의 이동과 전환이 더욱 확산되고 장려될 필요가 있다. 국제문화교류 활동은 다양한 민간 활동 주체들의 참여로 확대 및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긍정적 영향들은 궁극적으로 국제문화교류 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장려 및 제도와 정책적 방안 마련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국제문화교류 활동과 사업들은 매개기관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와 함께 다층·다자간 문화교류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해 매개기관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활용해야 해야 한다. 그리고 목적과 결과보다 과정과 내용이 중심이 되는 교류활동을 지향해야 한다. 국제문화교류 활동과 사업들은 상호이해와 존중이 바탕이 되고, 다층·다자간 문화교류로 활성화되기 위해, 촉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매개기관의 참여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하고 도입하여야 한다. 셋째,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비정부기구 활용, 특히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의 활용은 국제문화교류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에서도 정책적으로 적극 장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부 산하기관과 공공영역의 전문기관들은 국제문화교류 활동에 실질적 주체로 나서는 것을 최대한 지양하고 본연의 설립목적인 국제문화교류의 진흥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에 보다 충실한 태도가 요구되며, 획일화된 형태의 선정 방식과 시스템들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례와 의미 분석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들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사례분석 한계성에 대해서는 어려움과 한계 극복을 위해 국제문화교류 수행 단체들과 기관들에 대한 보다 많은 사례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면밀한 비교분석과 사례들의 의미를 통해 최대한 일반화하여야 한다. 둘째, 연구방법 및 내용은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의 질과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설 설정과 연구내용의 다각화를 모색하고, 많은 연구 참여자 확보와 통계 등의 방법을 통해 보다 적절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 활용방안은 보다 면밀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련된 단체와 기관들의 구체적인 분류작업과 자료수집, 그리고 비교분석으로 다양한 사례와 의미 분석을 통해 일반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 백합나무로부터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열분해반응 특성 연구

        임동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이오매스는 전 세계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풍부한 자원으로서, 화석연료와는 달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식물체 생장을 통한 이산화탄소 흡수작용에 의하여 지구 온난화 감소 효과의 장점과 화학산업의 원료물질 공급원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체 및 재생에너지의 한 분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산성, 경제성, 기후변화 대응 면에서 우수한 수종으로 용재수인 백합나무를 대상으로 열분해반응 특성을 수행하고 바이오에너지 생산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첫째, 백합나무에 대한 원소분석, 무기물분석 및 수분·회분 함량분석을 실시하여 물성자료를 확보하였으며, TGA를 통해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마이크로 튜빙 반응기를 이용하여 백합나무의 열분해반응 속도연구와 kinetic 모델을 적용하여 반응속도 상수를 계산하였다. 셋째,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반응조건을 변화시켜 열분해 생성물 수율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열분해공정을 적용한 백합나무로부터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있어 주요한 반응특성 및 잠재적인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사회안전식별영상정보를 활용한 인공지능 영상분석 지원센터의 설계와 운영 연구

        임동현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을 “다차원 다변수 입체적 통계의 코딩화”라고 생각하는 개발자의 시각에 따라, 인공지능학습용 데이터셋 구축 사업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 이슈로 시장이 요구하는 데이터가 생산·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안전식별영상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영상분석 지원센터”에 대해 제안한다. 사회안전식별영상정보는 CCTV 운영 목적에 직접적 관련이 있는 “방범”, “교통 문제 해결”, “재난·재해 대응” 등의 해결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자치구 CCTV 영상정보 중에서, 개인 영상정보 또는 개인정보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는 영상정보 또는 다른 정보와 결합하면 개인 식별이 가능할 수 있는 영상정보로 정의한다. 인공지능 영상분석 지원센터는 사회안전식별영상정보를 폐쇄된 환경에서 원본 데이터의 유출이 없고 데이터 가공이 비가역으로 진행되는 시스템 프로세스를 운영하여 수많은 학습용 데이터를 준비해 두고, 이를 이용자가 충분히 활용해서 개발 또는 학습하고, 학습 결과물인 인공지능모델 또는 소스 코드 또는 라이브러리만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센터이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보호와 개인정보이용의 중심에 서는 세계 최초 사례로, 각종 표준화 과정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인공지능 기술 수준을 높여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스마트소재를 이용한 오션 열에너지하베스팅

        임동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지구온난화의 심각한 기후변화영향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오션에너지는 향후 국가이익을 성장시킬 수 있는 잠재력 지닌 미래성장에너지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에너지하베스팅 분야에서 해양파동과 마찰전기를 접목한 연구가 소개되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마이크로 응용분야에서 벗어나 매크로 응용분야인 신재생에너지로의 야심찬 미래적인 비전도약을 보여준다. 그러나 마찰전기 방식은 반드시 접촉과 분리 상태가 반복되어야 하므로 파도가 느리고 매우 잔잔한 소강상태일 때는 운영될 수 없는 치명적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파동소강상태에서도 운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열과 마찰전기를 결합한 새로운 기법인 오션 열-마찰전기 에너지하베스팅(Blue-MTTG)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소재를 이용한 무전원 자가 구동방식에 기반하며, 태양열과 해양표층수의 열과 마찰전기를 결합한 신개념 오션 열에너지하베스팅 기법으로 파도의 동적진동에 무관하게 운영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 Blue-MTTG 개념구현 및 주요설계변수 기반 특성평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오션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하베스팅 분야의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due to the serious climate change impact of global warming, the need to secure renewable energy technology has emerged. Among them, Ocean energy is forecast to be future growth energy with potential to grow national profit in the future. Meanwhile, studies combining ocean waves and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have been introduced, showing an ambitious future vision leap to renewable energy, a macro application, away from traditional micro applications. However, the triboelectric technique has a critical limitation can't be operated when the waves are slow and very calm, because contact and separation must be repeated.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se problems so that they can be operated even in none waves, we implement a new technique, Ocean Therm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Blue-MTTG), which combines the thermal and triboelectric effects. This system is based on a non-power self-driving method using smart materials, and can produce electrical energy regardless of the dynamic vibration of waves by using the thermal energy of collected solar heat and ocean surface water. As a result of the study, concept implementation and major design variable-based characteristic evaluation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This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cornerstone of a energy harvesting research field using ocean energy.

      • 동성애적 정체성 형성의 퀴어이론적 분석 : 노년 게이 남성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임동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동성애적 욕망을 지닌 개인이 중층적인 동일시의 과정을 통해 섹슈얼리티를 형성하는 양상과 이들의 일상성이 갖는 특징이 동성애적 정체성을 재절합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구술생애사를 통해 동성애적 정체성을 미시적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이를 재맥락화하고 섹슈얼리티 재현의 새로운 정치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구술생애사가 내포하는 서사적 정체성은 동성애적 정체성의 구성성을 풍부하고 새롭게 맥락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퀴어이론을 분석적 자원으로 삼았다. 본질적이고 고정적인 것으로 상상되기 쉬운 동성애적 정체성을 구성적 측면에서 탐구함으로써 동성애적 욕망과 정체성을 더욱 적절하게 개념화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노년 게이 남성 4인의 구술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구술자들의 특성과 이들의 발화가 조건 지어지는 맥락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퀴어방법론을 채택하여 여타 방법론들을 부가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성애 중심적 사회의 이질적인 동성애적 욕망을 지닌 개인들은 성장 과정에서 이 욕망을 동일시할 수 있는 대상들을 마주한다. 이들의 성장기는 동성애적 정체성이 담론적으로 부상하지 않은 시기였다. 이때 동성애적 욕망들을 동일시하고 의미화하는 방식은 구술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동성애적 욕망은 수행적인 것으로 동일시되기도 하며 대상에 따라 중층적인 동일시의 양상을 띠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 매스미디어가 생산한 에이즈 담론은 하나의 종으로서의 동성애자 정체성을 부상시킨다. 구술자들은 이 같은 정체성을 종로라는 퀴어 장소를 중심으로 경험했다. 이를 계기로 구술자들은 각자 새로운 일상성을 구성하게 된다. 일상에서 이성애적인 표준적 생애각본의 바깥에 위치한 퀴어 시공간을 자신이 처해있는 조건에 맞게 끊임없이 재조정해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동성애적 실천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어있는 퀴어 일상을 살아가는 구술자들에게는 새로운 시간성이 나타난다. 재생산의 압박으로부터 다소간 자유로운 이들은 이성애적 규범으로부터 탈동일시된 특유한 시간성의 하비투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구술자들이 퀴어 일상에서 경험하는 친밀성의 형식들은 종종 음란함으로 등치되며 정체성에 대한 반동일시적 태도를 형성한다. 이처럼 동성애적 정체성은 퀴어 일상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상정되는 담론적인 동성애자 정체성은 구술자들이 스스로 의미화하는 성적 욕망들과 불안정하게만 접합되며 끊임없이 탈동일시되는 과정에 놓인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동성애적 정체성을 본질적인 것으로 상정하지 않는 방식이 성적 욕망을 더욱 적절히 개념화함을 보여준다. 동성애적 정체성과 이것이 기입되는 게이 남성의 몸의 관계와 언제나 불안정한 과정 안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동성애적 정체성의 구성성을 재맥락화함으로써 섹슈얼리티의 대안적 재현과 급진적인 퀴어정치학의 필요성을 다시 제기한다.

      • HIL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직류 마이크로그리드의 향상된 분산 제어 연구

        임동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직류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는 컨버터들의 범용성 향상을 위한 향상된 분산 제어를 제안한다. 기존 분산 제어의 경우, 부하 분담률 결정이나 부하 분담률 향상을 위한 상위 제어를 컨버터의 로컬 제어기에서 수행한다. 하지만 상위 제어가 각 컨버터의 로컬 제어기에 구현되기 때문에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분산 제어가 적용된 직류 마이크로그리드의 경우, 다양한 제조사의 컨버터들로 구성된다. 각 컨버터의 제조사들은 최상위 운영자가 원하는 제어 전략들을 로컬 제어기에 추가적인 제어 루프로 구현하여 컨버터를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추가적인 제어 루프의 구현으로 인한 로컬 제어기의 복잡성은 제조사들이 이를 반영하여 제작하기 어렵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하나 컨버터의 상황에 따라 제어 전략의 변경 시에 모든 컨버터 제조사들이 동시에 로컬 제어기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향상된 분산 제어는 유연 제어 계층이라는 추가적인 제어 계층을 통해 상위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기존 분산 제어와 달리 상위 제어는 유연 제어 계층에 위치한 외부 제어기를 통해 수행되며, 로컬 제어 계층의 로컬 제어기는 컨버터 제어만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각 컨버터의 로컬 제어기는 추가적인 제어 루프를 구현하지 않기 때문에 로컬 제어기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직류 마이크로그리드 상황에 따라 유연 제어 계층을 통해 제어 전략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HILS)를 통해 제안하는 향상된 분산 제어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대학 및 학과 선택변인과 선택만족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인접 K대학교를 중심으로

        임동현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대학환경은 저출산 현상에 따른 학령인구의 자연감소로 인하여 향후 2011년을 정점으로 점차 대학진학 학령인구는 격감하여 대학 입학정원의 공급초과현상이 지속될 경우 대학의 총체적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대학의 위기는 특히 지방소재 대학부터 이미 시작되고 확산되어졌으며, 이제는 수도권과 인접한 대학 간에도 치열한 학생유치 경쟁과 함께 신입생 미충원으로 인한 심각한 사태가 우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입생들의 특성과 대학을 선택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에 인접하고 있는 대학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는 수도권과 인접한 중규모 사립대학인 K대학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및 학과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신입생들의 입학단계에서 개인사항,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및 학과 선택에 미친 영향요인과 대학 신입생들의 배경요인에 따라 각 변인들이 가지는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대학 및 학과 선택과정에서 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에 입학하기 직전 신입생들 중 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일부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749부를 회수하여 SPS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들의 탐색단계로 대학을 알게 된 계기는 주변사람들, 대학을 잘 알게 해준 매체로는 인터넷, 학생들의 전공학과 선택 시기는 고등학교 재학 중, 전공학과 선택 시 고려사항은 적성과 흥미로 응답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신입생들의 탐색단계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부환경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 변수의 작용이 신입생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학당국에서는 주변 정보원과 신입생들에게 대학 및 학과 선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선택단계 이전부터 꾸준히 제공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입생들의 지원단계로 대학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시기는 원서작성시기, 학교를 지원한 가장 큰 이유는 전공이 마음에 들어서, 학교를 선택한 동기는 본인스스로 결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주는 의미는 대학이 신입생유치를 위한 고객중심의 정책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신입생들의 등록단계에서 대학에 2개 이상 복수 합격하여 최종 선택한 이유는 원하는 학과, 통학거리와 교통편의가 대부분 선택요인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인접한 대학에 입학하는 신입생들은 대학선택에 있어서 대학의 인지도 보다 원하는 학과와 통학거리를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자신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선택요인은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 단계에서 자신이 원하던 전공분야와의 일치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취업문제와 함께 보다 좋은 직업에 대한 선택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신입생들의 대학 선택에 대한 만족도가 전공학과 선택 만족도 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신입생들의 대학 선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과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은 그들의 삶, 가치관과 함께 계속하여 변화하고 있다. 그러한 영향에 따른 신입생들의 배경 특성과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를 관련 분야의 연구 자료와 함께 앞으로 더욱 축척해 나가고 대학은 그에 따른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 조직의 존립과 변화의 긍정적인 지향점은 신입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장점을 극대화시켜 대학발전을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여 신입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 한국 저지종 젖소의 우유생산성 및 환경적응성에 관한 연구

        임동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기온이 상승하고, 우유 소비패턴이 시유에서 유제품으로 변화하는 등 다양한 낙농산업에서 환경변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고온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고, 우유 생산량이 낮지만 유단백 및 고형분 함량이 높은 원유를 생산할 수 있는 저지종 젖소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환경조건에서 저지종의 생애 전환기 주요 적응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도입 수정란으로 태어난 저지종 송아지의 성장 및 면역능력을 통한 생애 초기 적응성을 조사하고, 고온기 열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적 반응 및 계절에 따른 우유 생산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홀스타인종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비유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지종과 홀스타인종 우유의 주요 성분를 비교 분석하였다. 홀스타인종 모체의 초유와 정상유로 포유한 저지종 송아지는 홀스타인종 송아지보다 이유전 체중(p<0.05)과 일당증체량(p>0.05)이 적었다. 반면 사료효율은 홀스타인종보다 저지종 송아지에서 더 높았다(p>0.05). 두 품종의 송아지에서 혈중 IgG는 10 mg/mL 이상으로 홀스타인종 모유을 통해서도 수동면역이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저지종과 홀스타인종 착유우의 생리적 적응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일평균 THI가 61에서 85로 증가함에 따라 홀스타인종보다 저지종의 호흡수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p<0.05). 반면, 직장온도 및 반추위와 유방의 체표온도은 홀스타인종보다 저지종의 변화폭은 낮게 나타나 저지종이 고온에 보다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두 품종의 착유우가 계절에 따라 발휘하는 우유생산성을 분석하여 국내 기후조건에 대한 적응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모든 품종의 착유우가 여름보다 가을에 우유생산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 일평균 THI가 16에서 80까지 증가함에 따라 우유생산량은 홀스타인종의 경우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반면, 저지종의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HI 66-70와 비교하여 겨울의 THI 16-20에서 홀스타인종의 우유생산량은 15%까지 증가하는 반면, 저지종은 11%까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모든 계절에서 두당 우유생산량 및 유지방과 유단백 함량은 저지종보다 홀스타인종에서 높게 나타나 국내 유대가격산정체계에서는 홀스타인종이 보다 유리한 젖소 품종이 될 것이다. 국내에서 저지종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추위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성, 우유생산성 및 번식특성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2차 유체동역학적 응답에 대한 통계 해석 및 설계파 기법 연구

        임동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비선형 유체동역학적 응답의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설계 하중 추정 프로시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극한 환경조건에서의 비선형 유체동역학적 응답을 2차의 포텐셜 유동으로 근사하여 통계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대표적인 비선형 유체동역학적 응답인 플랫폼의 저주파 표류운동, TLP(tension leg platform)의 고주파 스프링잉 응답 및 플랫폼 주변에서의 비선형파는 모두 2차의 포텐셜 유동 이론으로 상당 부분 근사가 가능하며, 보다 이상적인 경우 2차의 볼테라 급수(Volterra series)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세 유체동역학적 응답을 2차의 볼테라 급수로 이상화하고, 이 때의 통계적 특성을 고유치 해석 기법과 Hermite-moment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두 번째로, 계류선의 장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의 저주파 표류운동의 극한값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설계파 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저주파 표류운동은 파 표류 감쇠력 및 점성항력으로 인한 감쇠력 등 비선형 감쇠력과 계류선에 의한 비선형 복원력 등으로 인하여, 2차의 볼테라 급수로 이상화한 결과에 다소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확한 극한값 해석을 위해서는 시간영역에서의 플랫폼-계류선 연성해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장주기의 저주파 표류운동의 특성 상 수렴된 통계 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매우 긴 시간 동안의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주파 표류운동의 극한값 계산을 효율화하기 위하여, 1차의 유체동역학적 응답에 주로 국한되어있는 설계파 해석 기법을 2차의 응답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차의 볼테라 급수의 극한값 주변에서의 평균 프로파일을 유도하고, Most-likely extreme response 기법을 도입하여 설계파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간영역 연성해석 결과와 전시간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된 설계파 해석 기법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수많은 해석 조건에 대하여 플랫폼의 변위 및 계류선의 장력의 극한값을 추정하기 위한 설계 해석 프로시저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프로시저는 주파수영역에서의 비연성·준정적 해석을 통한 해석 조건의 사전선별(prescreening), 선별된 해석 조건에 대한 설계파 해석, 전시간 해석을 통한 최종 설계 하중 산정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프로시저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Walker Ridge 해역의 metocean data를 바탕으로 반잠수식(semi-submersible) 플랫폼 모델에 대해 프로시저를 적용하여 계류선의 설계 하중을 산정하였으며, 위험 환경조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hydrodynamic responses are investigated, and an improved design load estimation procedure is proposed. For this purpose,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hydrodynamic quantities modelled by the second-order potential flow theory is performed first. The slow-drift motion of a platform, the springing response of a TLP (tension leg platform), and the nonlinear wave elevation around a platform, which are representative second-order hydrodynamic problems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can all be approximated by the second-order potential flow theory, and represented as a second-order Volterra series in ideal cases. In this study, the above three hydrodynamic responses are idealized into Volterra series, and statistical properties are analyzed by applying the eigenvalue analysis and the Hermite-moment method. Secondly, a new design wave method is developed to efficiently estimate the extreme value of the slow-drift motion of the platform which has a great effect on the extreme tension of the mooring lines. The slow-drift motion is affected by various sources of nonlinearity such as the wave-drift damping, viscous drag forces, and the nonlinear restoring force by mooring system. Therefore, a platform-mooring line coupled analysis in time-domain is inevitable to take into account these nonlinear forces. However, due to the long natural period of the slow-drift motion, the simulation time should be very long to obtain the converged statistical distribution. To improve efficiency in the extreme value prediction, the design wave analysis concept, which is generally limited to first-order hydrodynamic problems, is extended to the second-order problem. In particular, the Most-likely extreme response concept is adopted, and the average profile around an extreme peak of the second-order Volterra series is derive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the full-length time-domain simulations to verify the accuracy. Finally, a design analysis procedure is proposed for estimating the extreme horizontal offset of the platform and the extreme tension of mooring lines under many simulation conditions. The proposed procedure consists of following three stages: Prescreening of simulation conditions through de-coupled frequency-domain analysis, design wave analysis for screened conditions, and the full-length time-domain simul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dure, the design load of the mooring lin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procedure to the semi-submersible platform model based on the metocean data of the Walker Ridge area of Gulf of Mexic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