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β-용혈성 병원 부유균의 항생제 내성에 관한 연구

        임경화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Some germs that live in the air of the hospitals are pathogens and these pathogens can infect the patients, the visitors, or the employees of the hospital. To investigate the infectious germs in the air of the hospital, air-borne bacteria were separa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the isolated bacteria, 9 α-hemolytic strains ware classification by BIOLOG system, and investigated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This experiment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of germs in the air of local hospitals and the resistant of antibiotics to use as basic informations for the cure.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local hospital, 49 types of bacteria were isolated ; among those bacteria, 19 strains were hemolytic bacteria(11 of α-hemolytic and 7 of β-hemolytic). 7 β-hemolytic bacteria were identified Ralstonia pickettii, Rhodococcus rhodnii, Brevibacterium mcbrellneri, Corynebacterium variabilis, Aureobacterium terregens, Arthrobacter cumminsii, Corynebacterium pseudodiphtheriticum. Antibiotic resistance was determined using Minimal Inhibtion Concentration(MIC) 7 β-hemolytic specimens isolated from air in intensive care unit were tested for susceptibility to 21 antimicrobial agents. Ralstonia pickettii showed multiply resistance to 10 drugs including A, B, .... Rhodococcus rhodnii were resistant to cefotaxime. Brevibacterium mcbrellneri were resistant to ceftazidime and Corynebacterium variabilis were resistant to benzathine penicillin G. Aureobacterium terregens showed multiply resistance to 3 drugs including A, B, Arthrobacter cumminsii were resistant to ceftazidime. Corynebacterium pseudodiphtheriticum. were resistant to ceftazidime.

      •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SCTP와 TCP 웹 클라이언트의 응답 시간 분석

        임경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중반 웹의 대중화이후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사람들의 전체 컴퓨터 사용 시간 중 대부분을 웹이 차지하고 있다. 웹 사용자들에게는 얼마나 빠른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가가 웹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현재 인터넷 수송계층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TCP는 단일 스트림으로 여러 개의 파일을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이는 사용자의 응답시간을 지연시킨다. 새롭게 제안된 SCTP는 멀티스트림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통신 시에 많은 스트림을 확보하여 각 스트림별로 독립적으로 파일을 전송하기 때문에 TCP보다 응답시간이 빠를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SCTP의 멀티스트림 특성에 주목하여, 웹 환경에서 수송계층 프로토콜로 SCTP와 TCP를 사용할 경우 응답시간을 분석하는 것이다. TCP와 SCTP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데이터를 전송하였을 때 데이터의 크기와 개수에 따른 파일 응답시간을 비교 분석하고, 클라이언트의 인원수를 증가시켜 여러 명이 동시에 접속하는 다중 클라이언트일 때 파일 응답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응답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여 소규모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C언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였다. SCTP는 멀티스트림으로 파일을 전송하기 때문에 TCP를 이와 비슷한 환경으로 만들어주기 위해서 서버에 포크 함수, 클라이언트에 포크 함수와 쓰레드 함수를 이용하여 다중처리를 해주었다. 연구의 결과는 클라이언트가 1명 일 때, SCTP가 데이터 크기에 따라 쓰레드를 사용하는 TCP보다 평균 82.9~95.9%, 포크를 사용하는 TCP보다 89.4~97.8%의 응답시간 절감율을 나타냈고, 또한 데이터 크기가 증가 할수록 절감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클라이언트 일 때, SCTP가 데이터 크기에 따라 쓰레드를 사용하는 TCP보다 평균 26.9~29.7%, 포크를 사용하는 TCP보다 35.4~38.8%의 응답시간 절감율을 나타냈다. 또한 포크는 프로세스의 개수가 많아져 쓰레드에 비해 시스템부하가 크기 때문에 쓰레드를 사용하는 TCP가 포크를 사용하는 TCP보다 응답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SCTP가 TCP보다 응답시간이 빠른 이유는 SCTP는 내재적 스트림을 생성하여 시간이 거의 걸리지 않고, TCP는 포크와 쓰레드에 의한 스트림 생성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Since popularization of web service, in the mid 1990s, web offer various services, and occupies most of the computer using hours. Fast web service is the important factor to evaluate the quality by user. TCP, currently used for Internet transport layer protocol, is a single stream needing much time in sending many files, which lengthens the response time for which a file appears on the screen after a web user requires it. The newly proposed SCTP, using a multi-stream system, is expected to take less time in response than TCP because it can secure many streams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client and send files independently for each stream. Thus, in this study, noting the multi-stream feature of SCTP, response time was analyzed in case of using SCTP and TCP as a transport class protocol on the web environment. Comparison and analysis was made on the response time by the size and number of files when they are s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CP and SCTP clients, and the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lients, file response times were compared for multi-clients where many persons were making accesses simultaneously. To measure the response time, a small-sized network was organized connecting the server and the clients. Since SCTP sends files by a multi-stream, to provide TCP with the similar environment, multi-stream was made for the server and the client using Folk function, Fork and Thread functions, respectively. As an experiment result, when a client SCTP revealed an average of 82.9~95.9% reduction rate in response time compared to TCP using Thread, and 89.4~97.8% compared to TCP using Fork, according to the file size. when Multi-clients SCTP revealed an average of 26.9~29.7% reduction rate in response time compared to TCP using Thread, and 35.4~38.8% compared to TCP using Fork, according to the file size.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tream generation system, that is, SCTP that generates the stream inherently takes little time, whereas TCP takes some time because it generates the steam by means of Fork and Thread.

      •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 담임배정형과 자율학급형 학급 유형 중심으로

        임경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학습전략이 학급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 담임배정 형과 자율학급 형 두 집단의 학급 유형을 운영하는 사이버담임교사는 어떤 역할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의 성공적인 운영 방안의 하나로 현장에 있는 교사와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정책 결정자에게 정보를 주어 앞으로의 효율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의 지원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경기도 광명시와 시흥시에 위치한 K, N, S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1년 이상 사이버가정학습 경험 있는 아동 97%)으로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급유형이 담임배정 형인 초등학교 6학년 96명과 자율학급 형인 초등학교 6학년 84명 총 180명을 대상으로 한다. 사이버담임교사의 경우 남자 1명, 여자 5명이었으며, 6명의 교사 모두 교직 경력이 3년 이상이었다.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 교과과목으로는 담임배정 형의 경우 수학, 국어 교과과목 이었으며, 자율학급 형의 경우 건강한 인터넷, 수학 교과과목이었다. 자기조절학습 검사는 자기조절학습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한 문헌탐색을 기초로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를 한 양명희(2000), 봉 갑 요(2005), 박병기 외(2005)의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자기조절학습 검사 지를 연구자의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의 수준을 고려하여 발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학습전략 검사 도구는 이인숙(2002)이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학습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e-러닝 학습전략 검사 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담임배정 형과 자율학급 형의 학생들에게 자기조절학습 검사와 학습전략 검사를 사전 실시한 다음 4주 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담임배정 형과 자율학급 형 학생들에게 사후 자기조절학습 검사와 학습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은 담임배정 형의 경우 사전검사 시 3.13점, 사후검사 시 3.34점으로 나타나 사후검사에서 자기조절학습이 0.21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조절학습 중 하위요인인 인지조절 및 동기조절이 사후검사에서 0.20점, 0.33점 각각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학급 형의 경우 사전검사 시 3.27점, 사후검사 시 3.34점으로 나타나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자기조절학습이 0.07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의확률이 .05보다 크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학급 유형에 따른 학습전략은 담임배정 형의 경우 사전검사 시 2.86점, 사후검사 시 3.06점으로 나타나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학습전략이 0.20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전략의 하위요인인 자기주도전략, 다중토론관리전략, 비 동시성관리 전략, 시간관리전략은 사후검사에서 0.34점, 0.31점, 0.27점, 0.26점 각각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교육에서의 사이버담임교사의 역할은 크게 관리적 역할, 사회적 역할, 교수적 역할, 기술 지원적 역할의 네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사이버담임교사의 역할은 속한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역할이 조금씩 다르다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학급 유형에 따라 담임 배정형 사이버담임교사와 자율학급 형 사이버담임교사의 역할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담임 배정형 사이버담임교사의 경우 사이버담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관리적 역할, 사회적 역할, 교수적 역할에 우수한 반면 기술 지원적 역할은 미흡하였으나, 자율학급 형 사이버담임교사의 경우 전반적으로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담임배정 형 학급 유형에 속해있는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 하위요인 중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습 전략에서는 자율학급 형 학생들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담임배정 형 학생들의 경우 학습전략 중 하위 요인인 자기주도전략과 다중토론관리전략, 비 동시성 관리전략, 시간관리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특정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생(1년 이상 사이버가정학습 경험 있는 아동 97%)을 대상으로 4주간의 짧은 기간의 실험으로 나타난 결과이며,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했다.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자기조절학습이 제대로 정착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사이버담임교사의 수업 관이나 학생 관의 변화가 있어야 하는 데 이는 꾸준한 관찰을 통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 기존 학교 교육의 틀 속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을 도입하여 활용하고자 할 때는 교육과정 상 사이버수업의 정규수업 인정, 사이버수업활동 참여에 따른 교사의 경력개발 등에 대한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사이버가정학습 공간 내에서 학생 스스로가 학습활동의 주도 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의 조언과 학생들 간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며, 원활한 사이버가정학습 활용을 위해 철저한 사전교육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lass typ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Differences in roles of teachers that run a teacher-assigned and an autonomous class type are also examined to search for and efficiently support measures, in order to successfully ru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as an extension of faithful carrying out of public education. 180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K, N, and S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wangmyeong and Siheung, Gyeonggi-do were subjects of this study. There were 96 students in the teacher-assigned class type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84 were from an autonomous class type school. There were one male and five female cyber class teacher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The curriculums were running by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re Math and Korean for the teacher assigned class type and Healthy Internet and Math for the autonomous class typ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s used in a research that studied model exploration and validation based on literature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done by Yang Myeong-hee (2000), Bong Gab-yo (2005), and Park Beong-gi et al (2005) were extracted and modified for this study,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ers and the level of the subject. As for the learning strategy examination tool, the e-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In-suk (2002) to measure learning strategies applied by user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was modified and compensated in this study. First, a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and learning strategy examination were held among teacher-assigned type and autonomous class type students beforehand. Then after 4 weeks, a follow-up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and learning strategy examination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settle the study issue.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following are analysis result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y the teacher assigned type class group appeared as 3.13 in the pretest and 3.34 in the post-test, showing an increase of 0.21. Thi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ubordinate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uch as perception control and motive control each was increased by 0.20 and 0.33 in the post-test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a positive influence was given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However, autonomous type class scores were 3.27 in the pretest and 3.34 in the post-tes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ppeared to have increased by 0.07, but the p-value was larger than 0.05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econd, as for the learning strategies by each group, the teacher-assigned type class scored 2.86 in the pretest and 3.06 in the post-test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0.20. Therefore, the learning strategies were positively affected. Subordinate factors of learning strategies such as self-initiative strategies, multiple discussion management strategies, asynchronous management strategies and time management strategies were increased each by 0.34, 0.31, 0.27, and 0.26 in the post-test which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 appeared to have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strategies as well. Third, the roles of teacher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4, managerial roles, social roles, and instructional roles, technical forty roles. The required roles of cyber class teachers could differ a littl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which teachers are in. In this study, it also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roles of cyber class teachers in two different class types. Whereas managerial roles, social roles, and instructional roles role of cyber class teachers in the teacher assigned class type were satisfactory as a cyber class teacher, technical forty role of cyber class teachers were not. The cyber teachers in the autonomous class type were overall unsatisfactory. According to these results, students in the teacher-assigned type cla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subordinate factors- perception control and motive contro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lso, while autonomous class type students did not show a grea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teacher-assigned type class students were confirme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in subordinate factors of learning strategies such as self-initiative strategies, multiple discussion management strategies, asynchronous management strategies and time management strategies. Results were obtained from a short 4-week experiment implemented among 6th grade students living in a specific area. However, we were not able to clarify whether it could be maintained after a certain period. In order to appropriately settle and operate self-regulating learning in which the learner becomes the main agent, the idea of cyber class teachers on classes or students must change. And this requires a long period of research through constant observations. Also,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on recognizing cyber classes as a regular course and developing teachers' careers from participating in cyber class activities are required when adopting and applying cyber home learning in the existing school education system. Teachers' advice and cooperation between students will be needed so that the student could acquire the initiative of learning activities within the cyber home learning space. A thorough preliminary education must be done for smooth application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 한국과 싱가포르의 수학교과서 비교연구 : 비와 비례 단원을 중심으로

        임경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과 수학교과서(6-가, 6-나)에 제시된 비(ratio)와 비례(proportion)에 관련된 단원을 중심으로 싱가포르 수학교과서의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과 싱가포르의 비와 비례 단원의 교육내용과 방향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수학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비와 비례 단원에서 학습 내용의 조직 및 계열성의 차이는 무엇인가? 2. 비와 비례 단원에서 학습 내용의 도입방식과 전개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1 비와 비율 개념의 정의와 도입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2. 2 비례식의 도입방식과 전개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2. 3 연비의 전개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의 7차 수학교육과정 상의 수학교과서(6-가, 6-나)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Math 5A, 5B, 6A)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교과서는 비와 비율 단원을 통해 6-가 단계에서 처음으로 비 개념을 제시하고 싱가포르 교과서는 한국보다 1년 일찍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에 비 단원을 통해 비 개념을 제시한다. 둘째, 한국 교과서는 비, 비율, 비례, 연비 등의 내용을 각 단계 마다 한번씩 제시되고 있는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는 비와 비례에 대한 내용을 초등학교 5학년에서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매 학년마다 확대, 심화되도록 조직한다. 셋째, 한국은 6-가, 6-나 단계에서 비, 비율, 비례, 연비 등의 내용을 다루고 정비례(direct proportion) 단원은 함수 개념 도입 전에 7-가 단계에서 다루는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는 초등학교 과정에 비, 비율, 비례식과 함께 정비례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넷째, 한국 교과서에서 비 개념을 도입할 때, 제시하는 비는 정수비가 아닌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는 정수비를 시작으로 비 개념을 도입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승법적 비교를 시작으로 비 개념을 인식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고 있다. 다섯째, 한국 교과서는 비는 양의 순서쌍을 포함하는 이항관계이며 비율은 기준량에 대한 비교하는 양의 크기라고 정의한 반면에, 싱가포르 교과서는 비(ratio)는 같은 성질을 갖는 양 사이의 비교이며 비율(rate)은 다른 종류의 양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 짓고 있다. 여섯째, 한국 교과서는 비례식을 도입할 때 비의 값을 이용하여 비례식을 앞 상태에서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의 비의 값이 다음 상태에서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의 비의 값과 같다는 방식으로 도입하였고, 싱가포르 교과서는 한 단위를 빨간 사과 1개로 보았을 때, 2개로 보았을 때, 4개로 보았을 때의 비를 구하여 모두 같은 동치비(equivalent ratios)를 의미함을 이끌어내어 비례식의 의미를 도입하고 있다. 일곱째, 한국 교과서에는 비례식에서 미지의 항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cross multiply 전략만을 제시한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는 비례식 풀이 방법으로 한 대상의 곱셈적인 변화가 동치비율 쌍에서 다른 대상에서의 곱셈적인 변화가 같다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시하며 더불어 한 단위(single unit) 전략도 제시한다. 여덟째, 두 비의 관계를 연비로 나타내는 방법을 제시할 때 한국 교과서와 싱가포르 교과서는 두 비의 관계에서 기준점의 비를 찾아서 세 크기간의 비교를 나타내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차이점이 있다면 한국 교과서에서는 세 비의 관계를 제시하여 연비를 구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한번에 알아보도록 했지만,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세 비의 관계를 쉽게 알아보도록 하는 과정은 제시하지 않았다. This study is a thesis to examine the education contents and objectives of the unit on ratio and proportion in Korea and Singapore and to look for suggestions to improve mathematics education of our country by centering on the unit related to ratio and proportion presented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 (step 6) and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 contents of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of Singapore.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 and sequency of learning content in the ratio and proportion unit? 2.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and development methods for learning contents in the ratio and proportion unit ? 2.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definition and application methods for the ratio and rate concepts 2.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methods for the proportional expression ? 2.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methods for the continued ratio ? In order to perform such research, the mathematics textbook on 7th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mathematics textbook of the Singapore elementary school have been selected and compar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concept i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step 6-ga through a unit on rate and ratio in Korea while the concept of ratio is presented one year earlier in Singapore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a unit on ratio. Second, while there are no repetitions in the contents of rate, ratio, proportion and continued ratio in Korea, the contents on ratio and proportion is organized by being extended and deepened each grade from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seventh grade in middle school in Singapore. Third, while the contents such as rate, ratio, proportion and continued ratio are dealt in step 6 and direct proportion is dealt in step 7-ga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function, Singapore deals with direct proportion along with equivalent ratios in elementary school. Fourth, because the ratio presented is not the constant proportion in Korea but constant proportion in Singapore, it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ratio by starting with multiplicative comparison. Fifth, while the ratio is binomial relationship including sequential pair of quantity and rate is defined as the size of quantity to be compared toward the standard quantity in Korea, the ratio defined as comparison between quantity having same characteristics and rate as being used while comparing quantity of different type. Sixth, Korea has applied proportional expression as a method stating that 'the ratio value of quantity to be compared with standard value in the former state' is same as 'the ratio value of quantity to be compared with standard value in the following state' using the value of ratio but Singapore applies it by calculating the ratio when one unit is seen as 1 apple, 2 apples and 4 apples and deriving the fact that they all mean the same proportional expression. Seventh, while Korea has only suggested the cross multiplication strategy for the solving method of proportional expression, Singapore uses the method that multiplicative change of one subject is same as the multiplicative change of other subject in an equivalent rate pair to make suggestion and also presents the single unit strategy in addition. Eighth, two countries have used the same method of expressing comparison between three amounts by getting the ratio of standard point in a relationship of two rates while presenting the relationship of two rates as continued ratio. If there is a difference, although Korea has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ratios to visually recognize them at a glance, this wasn't the case in Singapore.

      • 미술관 증축에 따른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임경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시물의 양적 확대와 함께 전시물의 다양화와 관람자의 수의 현저한 증가에 따라, 부족한 공간을 증축을 통해 해결하는 미술관이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건물의 증축에 따라 미술관 공간의 구조적인 질서가 변할 수 있으며 기존 건물과 증축된 건물의 관람 동선의 연결이 비효율적으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미술관은 전시물을 효과적으로 전시, 전달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많은 관람자가 소장품을 감상하게 되었기 때문에 각자가 보고 싶은 전시실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명확한 공간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술관 증축에 대한 사항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미술관 증축 시 전체 공간 구조의 변화와 이에 따른 관람 동선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술관 유형 별로 증축에 따른 공간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미술관 증축 시 증축 공간이 전체 공간의 연속성을 해치지 않으며 관람자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관 공간구성의 근본적인 유형을 제시하고 있는 Montaner & Oliveras의 "flexible spaces" 를 갖는 미술관과 "rooms and corridors" 를 갖는 미술관의 두 가지 개념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시실이 독립적이며 기능적인 이유에서 서로 연결된 단속적 미술관(rooms and corridors)의 예로 The National Gallery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관람자의 흐름을 강조함으로써 개실의 구분이 모호하여 시각적, 공간적으로 단일체를 이루는 연속적 미술관(flexible spaces)의 예로 Solomon R. Guggenheim Museum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공간구조의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개념을 토대로 Axma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얻은 각 미술관의 축선도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과정에서 증축에 따른 변화에 중점을 두었다. 단속적 미술관에서 증축을 하게 되면 증축된 공간과 연결되는 공간의 통합도가 크게 증가하며, 증축 이전에 주요 관람경로를 이루던 다른 공간의 비중이 감소하게 된다. 결국 증축된 공간과 연결되는 공간에 유독 관람자의 발길이 빈번해지며, 이는 전체 관람의 불균형과 더불어 이 공간의 작품을 심각하게 감상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증축으로 인한 변화는 주요 관람동선에 위치한 실에만 영향을 미치며 대부분의 다른 실들의 통합도는 거의 변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연속적 미술관에서는 증축에 따라 통합도의 평균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때 평균값의 증가는 특정공간 통합도의 현저한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니라 미술관내의 모든 공간에서 통합도가 전체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다. 따라서 연속적 미술관에서 증축을 하게 될 시에 전체적인 공간 조직이 변하게 되며 전시실이 개별 형식으로 되어 있지 않은 특성 때문에 관람객의 밀도 변화에 따른 전시실내의 분위기가 민감하게 변화할 수 있다. 한편, 단속적 미술관과 연속적 미술관 모두 증축 이후의 국부 통합도의 편차가 이전 보다 높게 나와 증축 이전의 상태가 공간적으로 균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증축되는 부분에 공간의 연결이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공간의 명료도를 살펴보았을 때, 단속적 미술관은 증축으로 인해 R^(2)의 값이 낮아졌다. 곧 증축 전이 증축후 보다 각 공간의 통합도와 연결도의 상관관계가 높고, 따라서 관람객이 각 공간을 보다 잘 인지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반면 연속적 미술관에서는 증축에 따라 R^(2)의 값이 높아졌다. 이는 명료도가 증축으로 인하여 높아졌고, 따라서 관람객의 공간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증축이 미술관에 미치는 영향은 본 연구에 따르면 미술관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향후 미술관 증축시 유형에 따라 다른 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단속적 미술관에서는 기존부와 증축부 사이의 연결위치에 주안점을 두어야하며, 연속적 미술관에서는 증축에 따른 전체적인 전시실의 공간의 성격 변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Due to an increase in quantity of the collections followed by the diversifying of the collections as well as the considerable increase in visitors, there are numbers of museum, which try to solve their problems of insufficient space by the expansion. However,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museum space can be changed, and a movement pattern of visitors in the existing and the expanded museum can be inefficient because of the expans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the aim of obser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entir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movement pattern due to the change. Especially, the study was purposed to present the basic direction that hereafter when there is an expansion of a museum the expanded space will not destroy the entire space but naturally lead the flow of visitor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patial changes with the patterns of museums. This study was preceded in accordance with two different concepts, one is the museum with the idea of Montaner & Oliveras' 'flexible spaces', and the other is the museum with the idea of 'rooms and corridors', which present the prototyp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the museum. The National Gallery was chosen and analyzed as an example of the intermittent museum, which the exhibition rooms are independent but also connected for functional reason, and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was chosen for the case of the continuous museum, which accomplishes the visual and structural unity through the vagueness of individual exhibition rooms that is caused by emphasizing the flow of visitors.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axial line of museum that was obtained by the usage of Axman program with the basis of the concept of Space Syntax that can operat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al organization. If the expansion occurs in the intermittent museum, integration of the place that is connected with expanded space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a relative importance of other spaces that used to constitute the main movement pattern before the expansion will be decreased. Finally, the visitors will frequently visit the place that is connected with expanded space and it might cause distractions to those who want to enjoy the exhibits of the space more carefully. However, the changes caused by the expansion affect the rooms that are located on the main movement pattern, and we can observe almost no changes in the integration of most other room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continuous museum, the average of integ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with the expansion. At this time, the increase of the average value is the phenomenon that is caused not by the remarkable increase of specific spatial integration but by the increase in entire integration of all the spaces in the museum. Therefore, if the expansion occurs in the continuous museum, there will be a modification in entire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atmosphere in the exhibition room might be susceptibly alter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density of visitor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not having individual exhibition rooms. In addition, the deviations of integration 3, which were both taken after the expansion of the intermittent museum and the continuous museum, was higher than that of before, so we know that the condition before the expansion was uniformly distributed in space. It is interpreted as the connection of space to expanded parts was concentrated. When we look at the Intelligibility of the space, the value of R^(2) has decreased because of the expansion for the intermittent museum. It means that the relativity in each space of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of before the expansion is higher than that of before the expansion, therefore, the visitors can recognize the each space better than before. However, the value of R^(2) for the continuous museum became higher along with the expansion. It means that the intelligibility ha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by visitors became higher. According to the study, the effects to the museum from the expansion appear to be different with the types of museums and it indicates that hereafter when there is an expansion of museum, it is necessary to have different plans for different types. It is important to put the primary object on the connecting location of the existing and expanding areas for the intermittent museum and on the modific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entire exhibition space by the expansion for the continuous museum.

      • 치마의 장식요소와 표현성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부터 2001년까지

        임경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예로부터 여성의 전용 의복이었던 치마가 조선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장식요소에 있어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면서 미적 표현을 강화시켜 왔는지 규명하고, 치마 장식요소들의 변화과정을 미의식 측면에서 정리하여 그 속에 담긴 상징적 표현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치마의 장식요소를 색상·문양·구성 및 봉재·차림새로 구분하여 각 시대에 따른 장식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시대적 범위는 유물과 회화·사진자료가 많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고, 여성이 착용한 예복치마와 평상복 치마를 위주로 고찰하여, 예복의 속옷으로 착용되었던 무지기 치마·대슘치마 등의 친의류는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조선시대는 문헌과 출토유물 및 풍속화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였고, 개화기를 지나 현대까지는 각종 사진자료를 볼 수 있는 신문·잡지 등을 문헌고찰과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치마의 장식요소의 변화를 살펴보면, 조선전기는 신분에 따른 색상과 직물에 규제를 두어 계층에 따른 치마의 구분이 나타나고, 조선 후기는 다양한 착장태에 따른 차림새가 강조된다. 대체로 조선시대는 직접적 장식이 아닌 직물의 문양과 색상으로 장식하였고 다양한 着法에 의해 미의식을 표현하였다. 개화기 이후 치마구성의 변화를 주어 착용의 편리함을 추구하였고, 광복 이후는 다양한 직물의 발달로 직물표면 자체를 활용한 치마장식이 강하게 나타난다. 1970년대 이후 아플리케·자수·금박·그림 등 다양한 장식기법으로 치마를 장식하였으며, 1990년대는 우리 문화의 소중함을 인식하여 천연 직물과 염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手工藝的 장식기법을 활용한 치마의 장식이 강조되는데 치마의 장식변화에는 그 시대 사회상의 변화가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 나라의 치마는 길고 넓은 직사각형의 천을 주름잡아 허리나 가슴에 둘러 입음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착용되어진다. 또한 치마는 한없이 뻗어나갈 수 있음을 표시하는 동시에 하나의 원점으로 모을 수 있다는 것을 상징하면서 여며졌다.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면서 등장한 가슴을 가리기 위한 치마허리도 양반 부녀자는 유교적 윤리관에 따른 은폐의 효과를 위해서 사용되어지고, 기녀들은 아름다움의 표현을 위한 노출효과로서 착용된 듯 하며 개화기 이후 신여성들이 치마허리를 개량하여 조끼허리식으로 만들어 달면서 치마허리는 저고리 속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는 실용의 기능으로 바뀌어지면서 현대에까지 이어져 왔다. 치마의 여밈으로 신분을 표시하기도 하였는데 19세기 중엽 이후 양반, 특히 노론 여성의 치마 여밈이 왼쪽 여밈으로 전환되었다고 생각되어지며 이 시기에 양반은 왼쪽으로 여며야한다는 인식이 고정되어 오늘날은 왼쪽 여밈으로 정착되었다. 치마 주름의 크기나 분량은 치마전체의 실루엣에 영향을 미쳐 動的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으며 주름을 통해 신분을 엿볼 수 있다. 누비는 유교의 덕목과 규범에 얽매인 조선시대 여인의 심리적 위안이었으며 장수와 풍요로움을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를 담고 있다. 조선시대는 직접적 장식이 아닌 구성이나 봉재상의 변화로 은은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으나 현대에 와서는 직접적 장식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면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자 한복에서 시각적으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치마에 대한 미적·상징적 의미를 재인식하고, 앞으로의 변화 과정을 유추하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나 연구내용 중의 많은 부분이 유물을 직접 관찰하지 못하고 보고서를 참고하게 되었음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This thesis represents factors of decoration and expressions for skirts. It depends on published relics, literatures and newspapers, and also materials for the study are extracted from them. First, it examines how aesthetic expressions for decoration of skirts are emphasized through a skirts history from Choseon dynasty to today. Second, various decorative elements in a process of changes of skirts in each period, are regulated in an aesthetic sense and symbolic expressions: elements of decorations focus on colors, patterns, composition, a way of sewing and kinds of dresses. Moreover, different kinds of colors refer to different social status for the beginning of the Choseon dynasty, and the aesthetic sense is, also, expressed with the patterns and colors of textiles. On the other hand, for the end of the Choseon dynasty, there are not direct decorations. Also, the period from civilization to today is divided four parts: after the civilization, after 1945s, 1970s and 1990s. Each period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After the civilization, the change of patterns and convenience of wearing -After 1945s (Independence period from Japan), various textile -1970s, variety of decorations -1990s, There is aspect of returning to the tradition. Finally, this study depicts how skirts are important and occupy a big part visually in womens Han-Bok. Also, after many Korean big events, the Olympic Games, Korean traditional boom was occurred, and a revolution of clothing was emphasized traditional styles. Therefore, this thesis expects that Korean traditional clothes to be pointed out with new style, scatter in Korea, and many Korean people use new traditional clot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