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비정규직 노동정책 형성과정 연구

        이혜수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정규직 문제는 2000년 이후 한국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근로자의 절반이상이 고용불안과 차별적 처우를 받고 있다는 현실인식에도 불구하고 2006년 11월에 입법된 비정규직 관련 법들이 문제를 해결했는가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이다. 특히 비정규직 정책과정은 노사정이 장기간 협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로 입법이 되었고, 입법절차도 정상적인 의결절차를 거치지 못했다. 입법 직후부터 개정요구를 받았으며 정권이 교체된 이후에는 정부로부터 강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약 7년 가까운 기간동안 협의를 하고도 이해당사자들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비정규직 법안은 어떻게 도입될 수 있었는가에서 문제제기를 시작했다. 기존의 비정규직 관련 연구들은 바람직한 비정규직 정책의 내용이나 노사관계의 특수성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본 연구는 정부의 비정규직 정책을 정부의 정책형성과정으로 보고 정책형성이론인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해서 정책과정을 분석하였다. 다중흐름모형은 정책결정이 합리적이기 보다 우연과 비합리적으로 이루지는 것이라는 분석모형으로 다양한 참여자들과 정치적 환경의 변화와 그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분석모형이다. 참여자들의 의지와 노력, 특히 정책산출에서 정책혁신가의 능력과 역할이 핵심적인 요소이다.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해서 비정규직 정책과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비정규직 문제가 ‘문제’로 정의되는 데는 노동계의 주장이 크게 영향을 미쳤지만, 대안의 형성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대 둘째, 정책이 산출될 수 있는 정책의 창은 문제의 흐름에서 강력한 ‘문제’에 의해서 열렸고, 정치의 흐름에서 정치적 변화에 의해서 열렸지만, 능력있는 정책혁신가가 커플링을 위한 적극적이 역할을 할 때에만 정책이 산출되었다. 비정규직 정책과정은 개방적이고 다양한 참여자들의 많은 생각들이 협력하고 대립하였고 정치환경의 변화도 영향을 주어서 다중흐름모형의 “모호성(ambiguity)”이라는 전제 조건에 부합해서 다중흐름모형으로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정규직 정책과정은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함에 있어서 약간의 특수성을 보이는데 첫째, 정책의 창이 열린 정치적 환경에 따라서 정책혁신가에게 다른 역할이 요구된다는 점이고 둘째, 비정규직 정책은 통상 새로운 정책이 도입되는 적기가 아니라 정권말기에 정부에 대한 지지가 대단히 낮을 때 도입되었다는 점이다. 즉, 정부의 지지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정치흐름에서 약간의 변화와 정책혁신가의 의지만으로 대단히 갈등적인 정책도 도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정규직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이지만 입법 당시의 문제와 대안이 반복되기보다, 기존의 정책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서 문제와 대안이 새롭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과정에서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는 정책이 실효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책의 흐름에서 합의, 정치의 흐름에서 합의는 보다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problems in Korean society since 2000. Despite the fact that more than half of the workers are receiving employment insecurity and discriminatory treatment, it is generally negative about whether the irregular labor legislation passed in November 2006 solved the problem. In particular, despite the lengthy consultation of Labor, Employers and Government, the irregular labor policy process became legislation without reaching consensus, and the legislative process did not go through the normal procedure. Since the legislation, criticism has been received from Labor and the need for a strong revision has been raised from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This study has begun to raise questions about how irregular labor bills, which have not reached consensus even after consulting for nearly seven years, could be introduced. Previous studies on irregular labor policy focused on the contents of desirable policies and the specificity of labor relations, but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process by applying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MSF), which is a policy change theory, to report the irregular labor policy as a general policy formation process of the government. The MSF is an analytical model that policy decision is an accidental and unreasonable process. It is an appropriate model for analyzing the changes of political environment and their interactions with various participa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licy process of irregular labor policy through MSF, First, the claims of Labor have had a great impact on the definition of irregular workers’ problems, but they could not make alternatives. Second, the window of policy in which policy can be produced was opened by a strong 'problem' in the problem stream, and was opened by political change in the politics stream, but policies were only produced when competent policy entrepreneur played an active role in coupling. The irregular labor policy process was open and many ideas of various participants cooperate and conflict, affected by changes in the political environment, and has satisfied “ambiguity” which is a precondition of MSF, which can be appropriately accounted for by MSF. However, the irregular labor policy process has some specificity in the analysis. First, policy entrepreneur are required to play a different role depending on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policy window was open. Second, the timing of the legislation are not the right time to introduce new policies, but it was introduced at the end of Roh administration when the rate of approval for the government is very low. In other words, in a situation where the support base of the government is weak, it is found that policy changes can be introduced the very conflictual policy with a slight change in politics stream and the will of policy entrepreneur.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is still a social problem to be solved. But in the policy process, problems and alternatives need to be newly formed through evaluation and feedback of existing policies rather than repetition of problems and alternatives at the time of legislation. In addition, the consensus of the stakeholders in the policy process affects the effectiveness, so consensus in the policy stream and consensus in the politics stream need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Key words : multiple streams framework, irregular workers, fixed term workers, temporary agency workers, policy entrepreneur, policy window

      • 초심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이혜수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성인애착과 기본 심리적 욕구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상담 관련 기관에서 상담을 하고 있는 경력 3년 이하인 189명의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 심리적 소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심상담자의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및 심리적 소진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고, 심리적 소진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심상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은 초심상담자의 성인애착 중 애착불안과 심리적 소진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으며, 애착회피와 심리적 소진 사이는 완전매개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out of novice counselor. For this investigation, 189 novice counselors in Seoul and KyungGi area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the adult attachment, burnout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e novice was considered as counselor who had practical experience with below 3 years on counseling center.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test study ques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dult attachment of novice counselor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burnou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of novice counselor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with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burnou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with burnout.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f novice counselo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burnout, and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burnout. The implications to counselor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말레이시아 할랄 화장품시장 동향 및 진출 전략

        이혜수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 중에서 주요 할랄 국가로 꼽힌다. 본 연구는 국내 화장품 기업의 말레이시아 할랄 화장품시장 진출을 도모하기 위해 진출 전략을 연구 진행하였다. 말레이시아의 전반적인 할랄 화장품 시장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말레이시아 화장품 시장 관련 자료를 통해 정보를 분석 및 수집하였으며, 설문지 조사는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동종업계 파트너를 통하여 이뤄졌다.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ᄈᆞ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정부기관의 할랄과 관련된 지원과 교육이 가능하지만 할랄 화장품 시장진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나 인지도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말레이시아 시장진출을 위한 경영전략이 명확히 파악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말레이시아 시장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적절한 말레이시아 화장품 시장진출 전략을 도출해 내야 할 필요가 있다. Malaysia is a major halal nation among Southeast Asia. This research aims to study strategies to advance into the Malaysian halal cosmetics market in order to promote the entry of domestic cosmetics corporates. This study is analyzed through relevant data with Malaysian cosmetics market from domestic and overseas to accurately identify Malaysia’s overall halal cosmetics market characteristic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partner of the same industry living in Malaysia. Malaysia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markets in the Asian cosmetics market. Although support and education of related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halal is available recently, there is a still lack of active promotion or awareness regarding the advancement of halal cosmetics market. In particular, since th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advancement of the domestic cosmetics companies has not been completed to Malaysia, appropriate strategies for entry into Malaysian cosmetics market should be derived through thorough analysis of Malaysian market.

      • 코리빙(co-living) 활성화 구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특성 분석

        이혜수 한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래의 주거 환경은 더 유연해지며, 세대의 단위는 세분화 되는 시점에서 현재 거주형태는 도시밀도에 따라 사용 면적은 줄어들고 임대료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통해 코리빙의 거주 및 커뮤니티 공간 시설은 도시에서도 효율적이고, 유대관계 형성 및 경제적으로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주거와 업무의 융합적인 공간에서 생활한다면 삶의 안정과 편의를 통해 더 많은 기회 가치가 생긴다.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을 더 나은 준비성으로 지침 하기 위해 코리빙 국내 활성화 구현의 취지가 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동주거의 여러 형태 중 코리빙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한 것을 근거하여 본 연구의 구성에 맞게 이해하고 주거와 업무 및 취미를 함께 공유 할 수 있는 형태로 커뮤니티 공간의 중요성과 관리자 및 기업의 개입을 통해 코리빙에서 발생되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코리빙의 특성에서 핵심요소인 커뮤니티 공간은 공유공간과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 서비스공간 등의 교집합에서 이뤄지며, 이에 따라 커뮤니티 공간을 세부적으로 도출하였으며, 국내외 코리빙 사례를 통해 공유 범위 및 커뮤니티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셋째, 공유플랫폼을 기반하여 온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교류 관리 방법과 공간에 대한 상호작용에 따라 다양한 그룹이 형성되어 이로써 소유보다는 가치의 개념을 중시하며 체계적인 관리를 지속하는 코리빙의 공간 문화영역을 정의하여 평가한다. 또한, IKEA와 Space10의 미래 생활 연구소에서 조사한 설문조사의 세밀 분석을 근거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내 코리빙 이용자의 인터뷰에 도입시켜 미래 공동 생활 공간을 위한 설계로 잠재적 이용자가 느끼는 공간의 적합성을 파악하였다. 코리빙의 유형은 도시형, 목적형, 장소 형으로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현대인들은 향후 몇 년 동안은 도시에서 생활 할 수 있는 적합한 주거 및 업무의 교차점에 머물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코리빙의 특성에 대해 파악한바, 코리빙에 대한 다양한 근거의 기초적인 자료를 구성하여 추후 국내 사회적 문제점을 보완한 주거 형태인 코리빙의 발전을 기여하고자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연구 중에도 다양한 코리빙 설계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사례를 기반하여 코리빙의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길 희망한다

      • 한국인 투석 전 만성콩팥병 환자의 당뇨병 동반여부 및 콩팥 기능에 따른 식사 섭취 실태 분석

        이혜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성콩팥병에서 식사관리는 말기신부전으로의 진행을 늦추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투석 전 만성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식사 섭취를 조사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동반여부와 콩팥 기능에 따라서 투석 전 만성콩팥병 환자의 식사 섭취를 조사하고 평가하여, 향후 만성콩팥병 환자의 식사 교육 및 중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 단면조사 연구는 2016년 2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내원한 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외래환자 350명을 모집하였다. 투석 및 콩팥이식 대상자는 제외하고 모집하였으며, 3일 동안의 식사기록지 작성을 완료한 256명을 최종적으로 연구에 포함하여 식사 섭취, 일반 특성 및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당뇨병 동반여부 (DM-CKD군 및 Non-DM-CKD군)와 콩팥 기능 (Early-CKD군 및 Late-CKD군)의 2가지 기준에 따라 4군으로 구분하였다. 당뇨병 동반여부 및 콩팥 기능에 따라 연구 대상자의 일반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DM-CKD군이 Non-DM-CKD군에 비해 연령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1), Late-CKD군이 Early-CKD군에 비해 연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2). 체중은 여성에서만 (P = 0.01), 체질량지수는 남성 (P = 0.02)과 여성 (P < 0.01) 모두 DM-CKD군이 Non-DM-CK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연령, 체질량지수, 열량을 보정한 만성콩팥병 환자의 군에 따른 식사 섭취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남성 (P = 0.01)과 여성 (P < 0.01) 모두 Late-CKD군이 Early-CKD군에 비해 총 열량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 결과는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남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총 열량 섭취량 중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 비율 (% of E)은 Late-CKD군이 Early-CK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단백질 P = 0.04, 지방 P = 0.01), 지방 섭취량 또한 Late-CKD군이 낮은 경향성을 보였다 (P = 0.08). 그러나 전체적으로 탄수화물 섭취량 (P = 0.02)과 탄수화물 섭취 % of E (P < 0.01)는 Late-CKD군이 Early-CK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에서는 콩팥 기능에 따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에 차이는 없었으나, 당뇨병 동반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탄수화물 섭취량 (P = 0.06)과 탄수화물 섭취 % of E (P = 0.07)는 DM-CKD군이 Non-DM-CKD군에 비해 낮은 경향성을 보였으나, 단백질 섭취량은 DM-CKD군이 Non-DM-CKD군에 비해 높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P = 0.07), 전체적으로 단백질 섭취 % of E는 DM-CKD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3). 미량영양소 섭취 결과는 남성에서는 DM-CKD군이 Non-DM-CKD군에 비해 인 (P = 0.08), 나트륨 (P = 0.06), 칼륨 섭취량 (P = 0.08)이 높은 경향성을 보였고, 여성에서는 전체적으로 DM-CKD군이 인 (P =0.03)과 나트륨 섭취량 (P = 0.02)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동반여부와 콩팥 기능에 따라 만성콩팥병 환자가 열량 및 영양소를 다르게 섭취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질병이 진행된 상태에 있는 환자는 질병 초기 상태의 환자에 비해 열량 섭취가 낮았다.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만성콩팥병 환자는 당뇨병이 있는 환자 보다 상대적으로 더 엄격하게 단백질, 인,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고 있었다. 또한 투석 전 만성콩팥병 환자의 대부분이 영양소 섭취 기준 중에 에너지 필요 추정량과 투석 전 진행된 만성콩팥병 환자에게 권장되는 열량 섭취 수준 보다 낮은 수준의 열량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권장 섭취 수준 보다 높은 수준의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었다. 만성콩팥병이 진행된 상태의 환자는 남성의 경우 질병 초기 상태의 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고 있었음에도, 만성콩팥병이 진행된 상태의 남성과 여성 환자 모두 권장 섭취 수준 보다는 높은 수준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당뇨병 동반여부와 콩팥 기능에 따른 식사 섭취 상태를 반영하여, 투석 전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개별화된 교육과 적절한 중재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과업중심 수업이 초등영어 말하기와 쓰기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혜수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ask-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EFL elementary school learners and als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ask-based language teaching on learners' productive skills. A task-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EFL elementary school learners was developed based on advanced research, and undergo verification to 20 of English education exper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wo classes of 4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control group students learned English with text book, and the experiment group learned English with developed task-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twenty times each. The data of pre-and post-tests of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ttitude surveys, students' reviews and interviews about the less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ask-based English lessons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peaking and writing skills, especially on writing skills. The control group students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evelopment on writing test.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writing skills considerably improved. However, both of two groups showed no meaningful improvement in aspects of students' positive thinking towards learning English and self-learning ability.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mentioned that their participation rate in English lessons and cooperative attitude with other students were enhanced. Also they feel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in the classroom was increased. 과업중심 교수법은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에 적절한 교수법으로 줄곧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과업중심 교수법은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므로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 있는 우리나라 초등영어 학습자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영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과업중심 수업모형을 개발한 후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어려움으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표현 능력의 향상과 관련하여 말하기와 쓰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영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과업중심 수업모형은 무엇인가? 둘째, 개발한 과업중심 수업모형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말하기와 쓰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개발한 과업중심 수업모형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우리나라 초등영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과업중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관련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초기 과업중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초기 과업중심 수업모형을 활용하여 사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 실험은 연구자 본인과 서울시 소재 A초등학교 영어 전담교사가 각각 1개 단원, 4학년 학생 1개 반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전 실험을 마친 뒤, 두 수업자가 만나 초기 과업중심 수업모형의 현장 적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초기 모형의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쳤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과업중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최종 과업중심 수업모형은 영어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 받은 후 실험 수업에 적용 하였다. 다음으로는 과업중심 초등 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의 말하기와 쓰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성남시 소재 B초등학교 4학년 5개 학급 중 영어진단평가 결과에서 동질집단으로 판정된 2개 학급, 총 4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 24명을 대상으로 20차시에 걸쳐 개발된 과업중심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말하기와 쓰기 성취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 자료의 수집은 사전・사후 말하기 및 쓰기 성취도 평가,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 설문 조사, 학생 수업 소감문, 학생 인터뷰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중 학생 수업 소감문과 학생 인터뷰 내용은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머지는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 및 사전 실험을 통해 개발된 과업중심 수업모형은 전체 차시별 전개를 그 특징으로 하며, EFL 상황에 있는 초등영어 학습자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필요한 학습 단계를 밟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전과업과 본 과업 단계를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영어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적절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과업중심 수업은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와 쓰기 성취도 검사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성취도 검사 결과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말하기와 쓰기 두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또 집단 내 사전-사후 말하기 성취도 결과 검증에서 통제집단은 재구성과 정확성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상승이 있었으나 유창성에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반면 실험집단은 재구성, 정확성, 유창성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주었다. 특히 쓰기 성취도의 경우 통제집단은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 간에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지 못한 반면 실험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었다. 셋째, 정의적 영역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과업중심 수업에서 과업을 보다 다양화하고 학생들의 과업 유형 선호도를 미리 조사한 후 과업중심 영어 수업을 진행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 교과서 중심의 영어 수업 역시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실제성 있는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실험집단 학생들의 소감문과 학생 인터뷰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참여도 증가, 협력도 상승, 영어 사용 기회 증가 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초등영어 교육에 가지는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 현실에 적합한 과업중심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과업중심 교수법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개발된 과업중심 수업모형은 EFL 환경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며 기존의 수업모형과는 차별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발된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말하기와 쓰기 성취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학생들의 표현기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실험 학생 수를 늘려 연구해본다면 보다 풍부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과업중심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과업중심 수업을 영어 교과서에 융합시키는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과업중심 영어 수업이 교육현장에서 보다 의미 있게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어린이집에서의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실태 및 인식

        이혜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핵가족화와 저출산이라는 양상을 보이면서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기간이 전체적으로 단축되었고,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가족에서의 양육에 대한 기능은 약화되는 반면 영아보육에 대한 사회적 욕구와 국가의 책임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유아의 긍정적인 발달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유아교육기관과 연계된 부모의 적극적인 역할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또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를 통해 인증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높아졌으므로 평가인증 제도가 부모연계 프로그램 운영실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의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실태와 인식을 조사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부모연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린이집에서의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실태를 평가인증 시행 유무와 어린이집 기관유형별로 조사하였으며 둘째,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어린이집 기관유형 및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직위, 학력, 경력,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무선표집대상으로 전국에 있는 국공립, 민간, 직장,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과 교사 436명이며 연구도구는 조미영(2008)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실태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각 집단별 운영실태와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후 Scheffé 검증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을 한 어린이집과 유지 중인 어린이집은 부모를 어린이집으로 참석시키는 형태의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자주 실시하였지만 평가인증을 하지 않은 어린이집은 방문형태의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자주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참석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공립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이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에 비해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중 각각 하위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모연계 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이 가장 높은 반면, 가정어린이집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직위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 원장이 교사보다 더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인식으로 국공립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이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 보다 전반적으로 더 자주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고 원장이 교사보다 더 자주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에는 어린이집 기관유형과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연계 프로그램 실행의 어려운 점에 대한 인식으로 가정어린이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원장이 교사보다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에 따른 차이는 전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In modern society, with the nuclearization of family and a low birth rate, the period of parents’ child-rearing decreased, overall, and with an increase of double-income families, the function of rearing by the family became weaker while social needs and state responsibility for nursing children are gradually increasing. Thus,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 of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parents’ active roles and participation linked to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essential. In addition, since certified daycare centers’ qualitative level increased through daycare center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s,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the impacts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s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operation status and perception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at daycare centers, seeking for a method of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at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nd the type of daycare center institution. Second, it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daycare center institution and teac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position,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age). Research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436 directors and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public, private, workplace and home daycare centers nationwide, and as research tools, the questionnaires used in Mi-young Choi (2008)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study. For a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using SPSS Win 18.0 statistics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was conducted, and after an ANOVA to look into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on status and perception by each group, a post-test was carried out using a Scheffé test.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aluated and certified daycare centers and maintained daycare centers frequently carried out a parent connection program that makes parents participate in the daycare centers while those not evaluated and certified did not often carry out a parent connection program by visiting and carried out a parent connection program that would not need parents’ particip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ational public daycare centers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carried out parent connection program more tha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Second, each sub-type of the perceptions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at the daycare centers are examined as follows: For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there was the highest perception in national public daycare centers while there was the lowest perception in home daycare centers, and of teac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depending on position, and the directors had higher perceptions than teachers di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ve approach with parents, national public daycare centers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responded that it would generally be better carrying it out more often tha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responded, and directors responded that carrying it out more often would be better than teachers did.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volunteering act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s’ volunteering activity depending on the type of daycare center institution and teac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For the 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the execution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home daycare centers had the most perception, and the directors had more perceptions than the teachers di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parent connection program, overall,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age.

      • 활동보조인의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의 증가로 사회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7년부터 새롭게 도입된 바우처 서비스는 사회서비스의 전달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바우처 서비스 중 제공인력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사업으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가 있으며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실시로 활동보조인이라는 새로운 제공 인력이 등장하였다. 활동보조인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에 있어 실질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서비스 질과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활동보조인이 적절한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기 위해 직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해 이용자 만족, 서비스 성과에 주로 초점이 맞춰지고 있어 실질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보조인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활동보조인은 사회서비스제공 이라는 막연한 업무 내용에 따라 서비스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처우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활동보조인의 처우개선을 위해 최근 활동보조인이 소속한 활동지원기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에 초점을 맞추고 활동보조인이 속한 기관에 대한 중요성에 따라 그들이 인식한 조직지원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업무 수행에 있어 역할모호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실시하는 기관에서 활동 중인 활동보조인 19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보조인의 조직지원인식은 평균 3.57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직이 활동보조인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활동보조인의 역할모호성은 평균 2.00 수준으로 활동보조인이 본인의 역할에 대한 모호성 정도가 비교적 높지 않으며 이는 역할에 대한 이해가 높은 수준임을 의미한다. 셋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은 평균 3.55 수준으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활동보조인의 역할모호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으로는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활동보조인의 개인적 측면 뿐 아니라 조직적 차원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계속해서 실천적으로는 첫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활동지원기관에서 활동보조 전담인력을 중심으로 활동보조인에 대한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활동보조인의 활동지원서비스 업무범위 및 기준에 대한 규정을 통해 직무 수행에 있어서의 의무화 권리, 책임이 보다 구체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활동지원 기관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ith diverse needs increased in social services, the newly introduced voucher service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services in 2007. During the voucher service, there was an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projects in which was a remarkable change in the human resources supply, and a new provider of personal assistants emerg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The personal assistant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degree of user satisfaction by providing the service substantially in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It is therefore essential for the personal assistant to be positively aware of the job,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service delivery. However, in reality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about personal assistant who provide services substantially, primarily focusing on user satisfaction and serv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ague work content of social service provision, this personal assistant feels difficulty in service execution, and therefore improvement in treatment is necessary. Also, concerns for personal assistant organizations where recent personal assistants belong have been increasing for improving treatment of personal assistants. By doing this, in this research, we will focus on the personal assistants and try to examine how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they recognized affects job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t. Also, this study examines if the ambiguity of the personal assistants’ roles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purposes, 196 part of personal assistants who are active in the institution with disability person assistant service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personal assistants appeared at an average level of 3.57, meaning that this organization is highly interested in activity aid. Second, the role of the personal assistants is ambiguous on the average 2.00 level, meaning that the assistant has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the role and that the degree of ambiguity of personal assistants’ role is not relatively high.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ts was slightly higher at the average 3.55 level. Finally, we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the role ambiguity of personal assistants has the effect of partial medi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oretically, in order to improv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ts,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that not only the personal aspect of the personal assistants but also the organization level is carried out. Subsequently and practically, support for activity assistants should be prepared primarily for personal assistants, in order to improv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ts. Secondly, according to the scope and standards of the personal assistants service work of the personal assistant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bligation right and responsibility in the performance of the work to be more realized. Third, support for the personal assistants organization should be done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