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ransport Mechanisms of a condensing Droplet with Insoluble Surfactants : 이태호
이태호 Washington State Univ 1984 해외박사
첫째 순수 수증기속을 움직이는 입자에 대하여 표면을 따라서 응축열 및 질량 전달 을 예측하 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어 수증기 쪽의 경계층은 칼맨-폴하우젠의 적분 방식을택하였다. 확산 미컨斂〉풔�내부 코아는 유한 차분수치 방법을 채택하였다. 응축률은 액상의 코아영역이며, 이곳에셈�등온선과 같으며 전달 미케니즘은확산이다. 응축속도는 기 액상에서의 응축속도는 경계층 두꼈努쳔갭�분리점은 후방 정체점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내부운동 역시 경계층 두께의 감소와 열저소시켜 전달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둘째 처음부터 응축입자 표면이 깨끗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접근을 했으며,표면제의 내부운동에 미치는 영향은 표면에서의 총 힘들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퓽피�표면장력 구배와 기. 액상에서 생기는 전달력이 내부유동에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그 힘의 탉遍置�경우보다 한 차원정도 차이가 난다. 셋째 고체 불용 표면제가 형성된 경우의 내부유동을 섭�해석했으며 그 결과큰 표면체가 내부유동을 느리게 하며 그 크기에 따라서 내부 와류 유동의 전방정체점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3가지 영역은 존재하며 사간에 따른 음축속도의감소나 입증가는 내부와류유동에 별 영향이 없었다. 증기응축과 표면제의 관계에 대해서 실험적으로 수행했측정과 목측에 의해 음축표면제 층을 순간적으로 투과하여 액상에 합류하였다.
Dynamic Structural Agricultural Price Stavilization Policy Models for Produc ers : 이태호
이태호 Iowa State Univ 1994 해외박사
이 논문은 한자가 일본에 먼저 전파된 다음 한반도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한금세기 최고의 중국 언어학자인 Bernhard Karlgren의 견해를 반박하기위하여쓰여졌다. 그러므로 고대 동아시아옳記�전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하는 백제 한자음을 「三國史記」에 나오는 地名을 자료로국어학적 방법에서탈피하여 중국 역사 음운론의 체계와 방법에 의해 새롭게 재구했다. 이 백제 프薩뮌�고대음인 上古音(漢以前音)과 隋唐代音인 中古音등과 비교 분석하여,한국의 고대 한자음을箚資습�흔적을 지니고 있었음을 밝혀냈다. 이를근거로 한국 고대 한자음이 일본의 가장 오래된체계인 吳音보다 더 이른시기의 중국음을 반영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Karlgren의 견해를 반박했다러백제 한자음을 중국의 주요 현대 방언들과 비교하여 백제 한자음의 지역적 연원에대해 고찰했늡逵窩�통설이었던 백제음, 일본 吳音과 중국의 浙江省일대의吳語와의 관련설에 대한 문제점을 � 현대 중국 방언중에는 福建省일대의閔語가 백제음, 및 일본 吳音과 가장 흡사함을 밝혀냈다. 윱�閔方言이 고대吳方言의 음운 체계를 많이 보존하고 있는데서 기인한 사실로, 백제 한자음의연논할 때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그러므로 백제 한자음의 연원이 중국의吳語라고 하는 것은 어폐갭�보다 정확히 고대 閔語 또는 고대 吳語라고해야함을 주장했다. 이 논문은 중국 언어학계에서 이견이 많은 上古音 재구에참고할 만한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고대 동아시아에서의전래의시기와 경로에 대한 기존 학설을 반박하고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데 그 학문적중요성이 있�
흑린 소자의 Weak Localization 영역에서 양자 수송
We study the magneto-conductance and dephasing in a strongly localized regime in black phosphorus (BP) devices. The phase coherence length, l_φ obtained from the magneto-conductance follows a temperature dependence of T^(-1⁄3) in the strongly localized regime with k_F l_e<1 (〖ξ< l〗_φ) based on the Ioffe–Regel criterion. Here k_F, l_e and ξ are the Fermi wave vector, mean free path and localization length, respectively. The conductance behavior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confirms that the transport regime of our BP is in a variable range hopping regime, which results in the strongly localized regime.
Background : Patient, family, society and country are badly damaged by - stroke(CVA; Cerebrovascular Accident). To reduce sequelae and return rapidly to society, treatment in acute stage is very important. In many researches on purgation therapy(下法) used in acute stage of stroke, the changes of blood pressure, pulse and so on before and after purgation therapy were reported. But, the changes of human body according to the day elapsed after defecation were not reported. So it was needed to confirm the changes. Methods : Seventy-six patients were researched. We observed forty-three patients at acute stroke and thirty-three patients at convalescent strok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regular defecation in stroke patients, we analyzed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day elapsed after defecation.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 1. In stroke group, compared with the day after defecation, the mean blood pressure of the third day after defecation increased. Particularly, in acute stroke group, increased most. 2. Especially, in stroke and acute stroke groups, compared with the second day after defecation, the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third day after defec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3. In infarction group, compared with the day after defecation, the mean blood pressure of the third day after defecation increased. Particularly, in acute infarction group, increased most. 4. Especially, in infarction and acute infarction groups, compared with the second day after defecation, the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third day after defec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 In stroke patients, regular defecation is important. So we think that purgation therapy(下法) is needed in stroke patients over the third day elapsed after defecation. We think that the bowel movement control in acute stroke patients is more important than convalescent stroke patients.
학습조직요인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이태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경기 북부 지역의 학습 조직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학습 조직화 요인이 조직 유효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변수를 통하여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첫째, 학습 조직 요인인 권한 위임이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조직 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학습 조직 요인인 부서 간 협력이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조직 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학습 조직 요인인 지식 공유가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조직 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중소기업의 학습 조직 요인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이 매개할 것이다. 긍정적인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이 높은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에 상당한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태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교육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융합 교육’이 교육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따져보는 것에 있다.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이 증명했듯, 현대 사회에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 제품이 국가 경쟁력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화됨에 따라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전문가들이 협업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기술 분야에서는 여러 가지 기술이 융합된 연구가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등장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설정하였다. ‘창의’라는 개념과 ‘융합’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용어처럼 연관 지어 제시했다는 것은 그만큼 두 가지 개념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육과정 상에서 융합이라는 개념은 주로 창의적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융합이라는 개념은 국가·사회적 요구가 교육에 강하게 반영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 묘사되고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란 다양한 분야의 아이디어를 합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이다. 이는 결국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융합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인재를 양성할 것을 교육에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가 반영되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수학과를 중심으로 융합교육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확대되었다. 과거에는 교사의 판단에 따라 해당 내용을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던 반면, 이번 교육과정부터는 단원마다 필수적으로 가르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학·과학 교과서의 각 단원의 마지막 활동은 모두 융합 교육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지어 과학 교과의 경우 교과의 성취 기준에도 융합교육과 관련된 목표가 기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융합 교육은 더 이상 교사의 판단에 따라 자율적으로 가르치는 활동이 아닌, 필수적인 활동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융합 교육의 주장처럼 전혀 다른 성격의 교과 내용이 합쳐져서 새로운 사고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가? 융합 교육에서는 융합을 ‘통섭’, ‘수렴’, ‘방법’의 세 가지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통섭으로서의 융합은 과학을 중심으로 모든 학문을 이해하려는 환원주의적 접근을 취한다는 점에서 불가능하면서도 위험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수렴으로서의 융합은 물질이나 기술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융합의 개념을 지식을 인식하는 차원에 그대로 대입했다는 점에서 오류가 있다. 마지막으로 방법은 기존의 문제 해결 중심 교수법과 의미상 큰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은 융합의 형태 역시 문제를 중심으로 느슨한 통합이 이루어졌을 뿐, 융합 교육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새로운 지식 체계가 형성되었다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융합이라는 개념 자체가 이론적으로 명료하지 못한 부분이 많기에, 융합을 교육의 형태로 구현한 융합 교육에서도 다양한 문제점이 드러난다. 본 논문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융합 교육의 문제점은 세 가지다. 첫째, 융합 교육은 교육을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도구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융합 교육에서는 목표로 설정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법을 합리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셋째, 융합 교육은 교육의 결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융합적 사고를, 교육의 방법으로 무리하게 적용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문제다. 도입 배경과 의미, 그리고 실제 운영 사례를 살펴본 결과, 융합 교육은 국가·사회적 요구가 교육에 성급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융합은 현재 우리나라의 융합 교육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여러 교과의 지식을 함께 제시한다고 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순한 수준이 아니다. 융합은 교과 지식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내면화할 때 비로소 도달할 수 있는 높은 경지라고 보아야 한다.
일반 및 디지털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하드카피의 계측오차에 관한 비교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asurement error between (1) conventional films, (2) digital cephalographs and (3) hardcopy. The material consisted of 29 cephalographs for each image modality using Asahi CX-90SP in th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One observer measured fiducial measurements at an interval of four weeks. Measurement error was tested by Dahlberg's formula. A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ct it between each mod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stortion in the images of the digital cephalographs and the hardcop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mage. 2) The digital cephalographs showed 1.62mm(N-Me) and 0.88mm(S-N)enlargement in linear measurement (p<0.001) and showed 0.32 degree-2.25 degree enlargement in angular measurement except SN-PP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mage. 3) The hardcopy showed linear enlargement in N-Me, S-GoI, S-N and GoI-PgI( 0.46mm-0.99mm)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mag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gular measurement. 4) The digital cephalographs showed enlargement in linear measurement in N-Me, S-N, S-Ar and in all angular measurement. 5) Random errors were the greatest in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 including upper and lower incisors and derived landmarks. Based on the results, it indicates that the digital cephalographs and hardcopy using storage phosphor digital radiography showed the same accuracy as the conventional films in clinical use.
Pharmacological effect of tetrahydroberberine from Corydalis Tuber on gastric motor dysfunction
이태호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0 국내박사
Functional dyspepsia is a condition associated with repetitive indigestion symptoms as early satiety, postprandial fullness or discomfort, vomiting and nausea in the central part of the epigastrium with no specific cause such as histopathological and biochemical organic lesion. Factors that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functional dyspepsia symptoms are delayed gastric emptying, impaired gastric accommodation, visceral hypersensitivity,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psychosocial effect. Drugs like prokinetic or fundus-relaxant are I clinical use and in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medication which shows efficacy of various causes of functional dyspepsia. It has a broad effect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sensory dysfunctions. Tetrahydroberberine, an isoquinoline alkaloid from Corydalis Tuber, enhanced gastric emptying in an animal model. It showed the prokinetic property by stimulating increasing motor activity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including stomach, duodenum and jejunum. Also, it had a therapeutic effect on restraint stress-induced impaired gastric compliance, an experimental model that was established by this study. Moreover, it showed fundus-relaxing property by increasing meal-induced gastric accommodation in Beagle dogs. The effects of tetrahydroberberine on gastrointestinal motor functions are mediated by serotonin 1A and 1B, dopamine 2, and adrenergic α2 receptors as well as nitric oxide. Based on DNA microarray, it changed the expression of stress-related neuropeptide. It had no effect on ataxia by its action on serotonin 1A receptor. With these results, tetrahydroberberine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in the control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cluding functional dyspepsia. 기능성소화불량증 (functional dyspepsia)은 조직 병리적 및 생화학적인 기질적인 병변 등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상복부 중앙에 조기 포만감, 만복감, 팽만감, 구역(또는 오심) 등의 소화 장애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를 말한다. 그 원인으로는 위배출지연, 위순응장애, 과민내장, 헬리코박터균 감염, 사회심리적 영향 등이 제시되고 있다. 약물치료는 위장관운동촉진제 (prokinetics) 또는 기저부 이완제 (fundus-relaxant) 등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거나 개발 중에 있다. 한편,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다양한 병인에 대해 효력을 나타내거나 소화기 운동 및 감각 기능 장애에 대해 전반적으로 작용하는 치료제가 부재한 실정이다. 현호색 성분인 테트라히드로베르베린 (tetrahydroberberine)은 이소 퀴놀린계 알칼로이드 (isoquinolin alkaloid)로 동물모델에서 위배출을 촉진하였고 위장, 소장, 공장 등 상부위장관의 운동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등 위장관 운동 촉진활성 (prokinetic property)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립한 구속스트레스 유발 위장 이완 장애에 대해 치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각성 비글견의 식이 유발 위순응을 증가시키는 등 기저부 이완활성 (fundic-relaxing property)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소화관 운동기능에 대한 테트라히드로베르베린의 작용은 세로토닌 1A (5-HT1A) 및 1B (5-HT1B) 수용체, 도파민 2 (D2) 수용체, 아드레너직 알파 2 (α2 adrenergic) 수용체와 일산화질소(NO)을 매개로 하였으며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결과, 스트레스 연관 뉴로펩타이드 (stress-related neuropeptide)의 발현 변화가 관찰되었다. 한편, 세로토닌 1A (5-HT1A) 수용체 작용에 의한 운동실조 (ataxia) 발현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현호색 성분 테트라히드로베르베린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등 기능성소화관장애를 치료하는데 있어 유용한 후보 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