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만과 도시의 연계성을 고려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방안연구

        이태동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urrent many metropolises has the exchange trace of the man of the mankind and goods. And one area is this important role the port. The man and goods flocking due to the function of the port got to build the city. And the port function generated the added-value, that is another additional, and the important intermediary which gets to grow as the metropolis came to the port. The traditional aspects of port continued to 20 century before. But the port attribute showed the aspect of transition as the development of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of the navigation light and transport technique, and etc. after 20 century as 'the cargo-only' and 'the massification / enlarging' and 'the fossil fuel recycling'. And 'the port arou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 local resident indifference', and 'the port around falling behind',that is the harbors environment problem of the port region, got to happen by the factor which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is negative. The discussion on the world greenhouse gas regulation got to proceed with the climate change anger according to the fossil fuel consumption of the mankind in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necessity of this port. And subject of this regulation and correspondence came to the port. The aspect of the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n the city and port dimension and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re revealing the tendency that it is similar. The eco-friendly city in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improvement dimension, environment-friendly port concept including the air quality about the city and port, quality of water, and etc. were drawn in the first stage. And while the demand for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happened after 1,990~2,000`s on a full scale, the green port which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notion of development unites to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 solving was draw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green port is progressing world. And the business related to this with is proceeded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level of association including IMO, IAPH, PIANC, and etc. and the green 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area and port according to the area, nation, and port is hosting the construction project variously. In this study,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which it is among the world progress was investigated prior to against LA / LB port, Rotterdam port, and port of the Singapore etc. identity total 9 places. The major harbors were propelling the various business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n order to conclude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and traditional port problem. And it was focusing much efforts and had ties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ncluding the this effec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air quality, water pollution, in which and etc. and is pushing forward strongly and especially, moreover, was the alternative business of the fossil fuel through the introduction including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etc.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In this way, the greenhouse gas, environmental load, energy / recycling of resource, and scene / green the green port for each port sorted the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e spatial domain with each sectional according to the single business (Z1~Z3) and associated business (R1~R3) and detailed technique. And the technology was classified as H / W and soft ware according to the physical element reflection or not of the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current green port was trying to check whether it was distributed over any place according to the spatial domain. Or not. Through this, Z 3 (the city single) area and R 3 (the port-city link) area where there is the association nature was pushing ahead with the business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isoenergetic / recycling of resource much. And with promote the business including the hydrophile,that is the requirement of the community, security of the green area, and etc. on the laser trabeculoplasty it was analyzed in addition. In this way, it converted again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ustainable port guideline for the port administrator' making the item in PIANC and the public trust was trying to be secured. The survey which the analyzed green port hangs out the construction project on 1,2 rounds was carried out.By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e shipping-port divided into the expert and city-building expert you and the first investigation investigated and analyze the importance which the green port for each detail business is right for the construction. As to the second investigation, the local resident and city-port was trying to appreciate the preference of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of the expert. In the case of the investigation result expert military, and the importance which is high in the energy field which is very relevant to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that is the circle purpose of the green port, revealed the preference. And moreover,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security of the green area in the viewpoint with the c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est which is high in the solution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tha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was displayed. And subsequently,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green area security. Moreover, because of recognize the adaptation problem as the grade of rank like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s, it was analyzed as one in which the change of the awareness is needed for the response efficient of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related regulation which is being strengthened. Accordingly, the new green port concept and detail business which did and has 'joint management system',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the existing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mplication)', and detail section of 'the stability / marketability' was presented. Moreover, after fitting to the concept of the new green port and securing the linkage method of the port and city through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port and city and interchange, the business management according to PDCA cycle according to the laser trabeculoplasty was presented. Keyword : Green port, Eco port, port, port, city, relation 현재의 많은 대도시는 인류의 사람과 재화의 교류흔적이며, 이러한 주요한 역할을 한 영역이 항만이다. 항만의 기능으로 인하여 모여드는 사람과 재화는 도시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항만기능은 또 다른 파생적인 부가가치를 발생시켜 항만은 대도시로서 성장하게 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전통적인 항만의 모습은 20세기 이전까지 지속되었으나, 20세기 이후 항공 등의 교통기술 및 운송기술의 발전 등으로 항만속성은 ‘화물전용화’, ‘대량화/대형화’, 및 ‘화석연료화’의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환경 부정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항만지역의 항만환경문제인 ‘항만주변 환경오염’, ‘지역주민 무관심화’, ‘항만주변 낙후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항만의 환경개선 필요성에 인류의 화석연료소비에 따른 기후변화심화는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규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하게 되었으며, 항만 또한 이러한 규제 및 대응의 대상이 되었다. 도시 및 항만차원에서의 환경문제해결 및 기후변화대응의 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도시 및 항만에 대한 대기질, 수질 등의 환경오염방지 및 개선차원의 친환경 도시, 친환경 항만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1990~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면서 기존의 항만환경 문제해결에 기후변화대응 및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결합한 녹색항만(Green port)이 도출되었다. 녹색항만 구축사업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IMO, IAPH, PIANC 등의 국제기구 및 협회차원에서도 이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국가, 항만별로도 각 지역 및 항만의 특성을 고려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는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을 LA/LB, 로테르담 항, 싱가포르 항 등 총 9곳의 항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통하여 주요 항만들은 온실가스 배출과 전통적인 항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의 도입을 통한 화석연료의 대체사업을 많이 주력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효과가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대기질, 수질 오염 등의 환경오염문제와도 연계가 되어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조사된 항만별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공간적 영역을 기준하여 각 영역별로는 단독사업(Z1~Z3)와 연계사업(R1~R3), 세부기술별로는 온실가스, 환경부하, 에너지/자원순환, 경관/녹지 구분하였으며, 기술의 물리적 요소 반영여부에 따라 H/W, S/W로 기술을 분류하였으며, 현재의 녹색항만 구축사업이 공간적 영역별로 어떠한 곳에 분포가 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시와 연계성이 있는 Z3(배후도시단독)영역과 R3(항만-배후도시연계)영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 에너지/자원 순환과 관련된 사업을 많이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역사회의 요구사항인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 등의 사업을 장기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사항을 PIANC(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에서 만든 ‘항만운영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항만 가이드라인’의 분류체계로 다시 변환하여 공신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1,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계층화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세부사업별 녹색항만 구축에 맞는 중요도를 해운-항만 전문가 및 도시-건축 전문가 군으로 나누어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2차 조사는 지역주민 및 도시-항만 전문가를 대상으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의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전문가 군의 경우 녹색항만의 원 취지인 온실가스 배출과 연관성이 높은 에너지 분야에 높은 중요도 및 선호도를 보였으며, 또한 도시와의 관점에서는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반면 지역주민들의 경우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환경오염문제의 해결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어서 친수, 녹지공간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또한 조사결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 문제를 기존 항만환경문제들과 같은 위계로 인식하고 있었기에 강화되고 있는 기후변화대응관련 규제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을 기반으로 하고 ‘통합관리체계’, ‘환경개선(기존 환경문제 해결 포함)’, ‘안정성/시장성’의 세부부문을 가지는 새로운 녹색항만개념과 세부사업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녹색항만의 개념에 맞추어서 항만과 도시의 네트워크 구성 및 교류를 통하여 항만과 도시의 연계방안을 확보후 장기계획에 따른 PDCA사이클에 따른 사업운영을 제시하였다.

      • 문정희 시의 에코페미니즘 연구

        이태동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초 록 문정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수필가이다. 이미 그의 고등학교 시절부터 각종 문예대회에서 우수상을 휩쓰는 등 뛰어난 문학성과 능력을 인정받아 서정주로부터 공부할 만큼 탄탄대로를 걸어왔다. 독특한 개성과 탁월한 지적감각의 소유자로 국제적인 감각도 겸비해 끊임없는 실험정신을 통해 내면의 울림을 전해주는 그녀는 그동안 10여권의 시집(600편)을 남겼다. 높은 이상과 현실의 벽을 초월하려는 강렬한 이미지와 통쾌함의 진수로 그의 생태적 여성성과 인간으로서의 당당함, 권리를 주장하는 페미니스트적 사고가 함께 결합된 에코페미니즘 접근은 예리한 통찰력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생명력’, ‘근원의 자각과 인간적 성향’, ‘여성적 자유’,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여성 내면의 형상화’등 다섯 가지 성향으로 집약되며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고 본다. 첫째, ‘여성의 생명령’은 여성과 자연의 관계를 하나로 접목시키는 상상력을 드러내 자연의 본성을 여성성으로, 여성의 본성을 자연성으로 환치시킴으로써 아무런 차등이 없음을 보여 생명과 자연의 원시성을 그대로 살려 낸다. 둘째, ‘근원의 자각과 인간적 성향’에서는 우회와 역설의 미학이 나타나고 희극적인 역설적 반응이 깊은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능이자 원초적인 욕망들은 숨기는 것 보다 생활적 관습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내 일탈적인 양상을 보임으로써 인식의 색채를 훨씬 상승된 이미지로 전환시켜 준다. 셋째, ‘여성적 자유’에서는 여성적 삶의 평등과 삶의 진실성을 바탕으로 억압과 사회 문화의 제도적 모순에 인간적인 면을 전제로 행복한 삶을 지향하려 한다. 넷째,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은 남성성이 쌓아올린 경쟁적이고 권위적인 근대적 삶의 결핍을 메우고 새로운 생명적 존재성을 복원하는 방법임을 깨닫게 한다. 사랑의 진정성으로 순간적인 사랑의 황홀을 꿈꾼다. 관능적 시어, 감각적 언어의 표현도 대담한 문정희 시학의 진솔한 부분으로 들 수 있다. 다섯째, ‘여성 내면의 형상화’에서는 시인이 추구하고 있는 아름다운 사랑의 세계를 보여주되 사랑의 기쁨보다는 사랑의 슬픔에 의해서 그 세계를 읽게 한다. 문정희는 인간과 자연의 존엄함을 환경과 생명의 굴레 속에서 찾으려는 생명존중 사상을 뿌리 깊게 간직하고 있으며, 그 문제 역시 아름답게 풀어 갈 화두로 남긴다.

      •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합창 교수 학습 방안

        이태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든은 오디에이션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오디에이션의 8가지 유형과 6단계를 설명하고 이것을 음악학습이론에 적용시켜 변별학습과 추론학습의 단계를 설명하는 기술연계학습이론과 조성과 리듬의 위계화를 설정한 내용연계학습이론을 제시하였다.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인 오디에이션의 전제 조건은 소리를 음악적으로 지각하는 능력이다. 음악 수업 시간에 소리를 음악적으로 지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기본 과제인 것이다. 이러한 소리에 대해 집중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합창이고, 합창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으므로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하여 합창 학습 모형을 구안했고 그에 따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 시간에 초반부 5분 정도는 다양한 음정 패턴의 연습을 하도록 제시하였는데, 교사의 패턴을 단순히 따라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패턴 연습을 하는 가운데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의 추론학습 중 일반화 또는 그 이상의 단계까지 나갈 수 있도록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위의 초반부 패턴 학습 후에 합창 교수 학습 방안에서는 악보를 보고 성부를 익혀서 합창을 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교사의 목소리로 제재곡의 가락을 들으면서 학생들은 규칙박을 신체로 쳐서 기본박과 세분박의 구성을 느끼며 제재곡이 몇 박의 곡인지 감지를 하고, 그 가운데 곡의 가락에 어울리는 화음을 오디에이트하여 교사와 확인을 하며, 모둠으로 나눠 화음 반주를 하면서 악보를 확인한다. 학생들이 파악한 화음을 악보로 확인하고 각 성부의 음을 익혀 합창을 하고, 악상의 표현 방법을 토의하여 표현하고 오스티나토 가락의 연주 또는 간단한 화음 반주를 하며 합창을 한다. 합창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힌 리듬꼴이나 화음의 진행, 음계 등을 바탕으로 즉흥 연주 및 리듬 짓기, 가락 짓기 등을 하고, 수업 진행 속에서 알게 된 사실들을 이론적으로 정리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합창 교수 학습 방안에서는 수업 초반부의 패턴 학습이 기본이 되고, 단순한 모방에 의한 소리의 재생이 아닌 학생 스스로의 내적 생산에 의한 소리의 표현이 되도록 반복적으로 지속적인 패턴 연습이 필요하다. 수업의 진행은 되도록 교사의 육성으로 하며, 귀로 감지한 소리와 악보를 결합하는 과정이 수반되며, 먼저 화음을 파악하고 화성의 진행과 가락의 흐름을 익힌 후 각 성부의 가락을 익혀 합창을 하게 되어 성부의 가락을 더 정확히 노래 부를 수 있다. 또한 리듬 짓기와 가락 짓기, 악기 연주 등의 다른 활동과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통합된 인덱싱 방법을 이용한 내용기반 디지털 방송 비디오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태동 아주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디지털 방송의 출현은 방송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컨텐츠는 영상 및 음성정보뿐만 아니라 문자정보를 비롯한 여러 가지의 의미정보들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시각적 관계, 시간적 관계, 공간적 관계, 비정형적이고 대용량적인 관계 등의 특징정보들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데이터 모델링 기법으로는 비디오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텍스트 기반의 전통적인 정보검색 시스템으로는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기존의 전통적인 정보검색 시스템과는 다른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방송 비디오 검색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기존의 전통적인 정보검색 시스템과는 달리 새로운 비디오 인덱싱 기법(컷 경계 검출 방법, 비디오 분할 방법, 대표키 프레임 및 특정정보추출 방법 등)과 비디오의 효율적인 검색기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비디오 인덱싱을 위한 명확한 비디오 데이터 모델들(Explicit video data models)을 필요로 한다. 그러함에도 현재 제안된 대부분의 비디오 인덱싱 기법들은 명확한 비디오 데이터 모델들을 제시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접근방법들은 비디오의 본질적인 의미적 구조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컨텐츠 제작과정에서 잘 확립된 사전 제작지식정보와 비디오 제작·편집정보에 기반을 둔 비디오 데이터 모델과 새로운 비디오 분할 접근기법을 제시하였다. 현재 비디오 인덱싱 방법은 일반적으로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비디오 시퀀스의 컷 경계 검출기법에 의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비디오의 다양한 특수편집효과에 의한 점진적 장면전환(Gradual Scene Transition)일 경우, 정확하게 컷 경계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기존의 컷 경계 검출방법들은 시간적인 측면이나 자동검출이라는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들이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 컷을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점진적 장면전환과 같은 경우에는 비디오의 다양한 편집효과에 의해 샷 또는 장면 사이의 경계가 불분명하므로 검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방송 비디오 컨텐츠 제작·편집과정의 비디오 편집 결정 데이터 모델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비디오 컷 경계 검출 및 분할방법과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개발된 비디오 검색 시스템들은 비디오 내용정보 추출 방법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은 비디오 제작과정의 의미적 구조와 사전 제작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호관계를 어떻게 표현해 줄 것인가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이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검색방법들 간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검색방법을 제공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검색방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표키 프레임의 하위레벨에 표현된 내용기반 특징정보와 상위레벨에 표현된 주석기반 특징정보를 반드시 추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분할과 대표키 프레임 추출 시 비디오의 의미적 구조와 사전 제작지식정보의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특정정보를 추출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주석기반 검색과 내용기반 검색을 통합한 비디오 인덱싱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합된 비디오 인덱싱 방법은 비디오의 하위 레벨에 표현된 내용기반 메타데이터 유형과 비디오의 특징정보추출이 어려운 상위 레벨에 표현된 주석 기반 메타데이터 유형을 동시에 이용하므로 컨텐츠 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컨텐츠 제작과정에서 잘 확립된 사전제작지식정보와 비디오 제작·편집정보에 기반을 둔 비디오 데이터 모델과 통합된 비디오 인덱싱 기법을 제시하여 내용기반 디지털 방송 비디오 검색 시스템을 설계·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비디오의 의미적 구조와 사전 제작지식정보를 구조적으로 축적하여 비디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므로 정확한 디지털 방송 비디오 컨텐츠의 축적관리와 구축작업의 효율화가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방송 비디오 컨텐츠 제작 시 정보공유 및 재이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새로운 비디오 컨텐츠 제작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복수의 스토리를 선택적으로 시청하기 위한 멀티스토리 방송 컨텐츠의 제작 등 구조화된 복잡한 정보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디지털 방송 비디오 검색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지털 방송 데이터베이스의 에이젠트 기술, 디지털 아카이브 기술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advent of digital broadcasting has brought much change in broadcasting environments. Video contents of digital broadcasting involve not only image and sound information but also text and other referable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digital broadcasting is a multimedia medium featuring visual, time-related, spatial relations as well as atypical and high-capacity relations. Therefore, existing data modeling methods are not enough to present video contents effectively. That also means that the text-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cannot be an effective tool to search and manage video broadcasting over the Internet. A new digital broadcasting video retrieval tool based on digital archive system could overcome limitations inherent in the tradition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he new retrieval system adopts a video indexing method, comprising cut boundary detection and video parsing method, representative-key frame and 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technique, which didn't exist with the traditional method. Also, it's important to define explicit video data models designed for video indexing. But the video indexing methods that are available on the market aren't using explicit video data models. They are also incapable of utilizing meaningful structure when they activate their approaching methods. This study addresses these problems and suggests new video data models and a video parsing method by referring to prior production knowledge information and video production and edit information, both of which are critical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digital broadcasting. Most of video indexing methods are based on cut boundary detection of video sequences, which are formed in hierarchical structure. But this system is insufficient to handle gradual scene transitions created by special edit effects, as it fails to suggest an algorithm that accurately identifies cut boundaries. The cut boundary detection has its strength in time consumption and automatic searching. But its detection ability proves weakness in gradual scene changes of video data, as the boundaries between shots or scenes become blurred when special edit effects gradually change video data. To solve these technical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ed new cut boundary detection and a new parsing method using metadata of video edition decision data model, along with an algorithm. The traditional video searching methods focused on text only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issues involved in the meaningful structure creat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video contents and the prior production knowledge inform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searching methods is a key to overcoming this weakness. In other words, retrieval techniques need to offer a wide range of searching methods by extraction contents-based feature information indicated on the low level of the representative-key frame and the annotation-based feature information expressed on the high level of the frame. This study suggested a new video parsing method and a new video indexing method that combines the annotation-based retrieval and contents-based retrieval by utilizing meaningful structure and prior production knowledge information when representative-key frame retrieval takes place. As a result, the search and retrieval of feature information becomes easy. This integrated video indexing method can improve the search function drastically by using both content-based metadata type stored on the lower level and annotation-based metadata type kept on the high level simultaneously, which was considered difficult to retriev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video data model, based on prior production knowledge information and video production and edit information that are provid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digital broadcasting, and an integrated video indexing method to establish a new content-based video searching method. Under this method, the video database is set up by combining meaningful structure and prior production knowledge information. As a result, efficient database construction and accumulation management of video contents is possible. Besides, the feasibility in sharing and recycling information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video contents enhances efficiency in producing a variety of applications. As for the next-generation research, a more advanced digital broadcasting searching method can be developed to make a selection over multi-story broadcasting possible and to handle structured, complicated information accurately. And the researches on agent technologies involved in multimedia digital broadcasting database and digital archive technologies should continue to fuel the development of digital broadcasting.

      • DLC 마이크로 패턴을 가지는 Roll 금형제작 연구

        이태동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Diamond like cabon(DLC) film is amorphous of carbon-carbon or carbon-hydrogen covalent bonding structure, which have similar property with diamond such as abrasion resistance, high hardness, chemical stability,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transmittance(between visible light and ultraviolet). Due to the excellent properties referred above, it is suggested to apply in various field such as aerospace, biological and mechanical fields. However, a few disadvantages of DLC coatings can derail certain applications. For example, high internal stresses of DLC coatings lead to poor adhesion of the coatings to some substrate materials, which also restricts the thickness of the coatings. Many researchers have doped DLC with different impurities to address this issue. By doping nitrogen into DLC coatings, the bond structure, tribological behavior, surface energy, roughness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coatings can be modified. The surface of an ideal roll mold should have low adhesion and friction coefficient along with high hardness and excellent wear resistance. With these regards, DLC coatings with superior properties become a promising candidate for protective coatings. In this study, the DLC thin film was not used as a protective coating. Instead, we had applied micro pattern consisting of only DLC film. We have selectively etched DLC film by using lithography and lift-off process. In this way, we had fabricated DLC micro pattern on aluminum roll mold. And we have formed this pattern on the PET film by UV curing resin. And then we have analyzed dimension and form of the DLC micro pattern on roll mold and hardness, adhesion, wear characteristics, Raman spectroscopic of nitrogen doped DLC film.

      • 지능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을 위한 조진해석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이태동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능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은 불완전한 지식과 정보 표현을 가지고 컴퓨터로 하여금 문제를 추론할 수 있는 지식 베이스 시스템이다. 지능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이 개발됨으로써 의사 결정자는 융통성 있게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으며, 문제를 검토 해결하는 대책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여기서 이 논문은 범용 추론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건 해석기의 설계 및 구현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 지능을 바탕으로 한 지능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지식표현 방법과 추론 과정을 쉽게 하여 시스템 환경을 개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